KR102019246B1 -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 Google Patents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46B1
KR102019246B1 KR1020160061356A KR20160061356A KR102019246B1 KR 102019246 B1 KR102019246 B1 KR 102019246B1 KR 1020160061356 A KR1020160061356 A KR 1020160061356A KR 20160061356 A KR20160061356 A KR 20160061356A KR 102019246 B1 KR102019246 B1 KR 10201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work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762A (ko
Inventor
조영철
이병호
정종택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60061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46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는, 입력되는 제1 고주파 전력에 의해 대상물을 유도가열하는 제1 워킹코일; 입력되는 제1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고주파 전력을 생성하는 제1 인버터부; 입력되는 제2 고주파 전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유도가열하는 제2 워킹코일; 입력되는 제2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고주파 전력을 생성하는 제2 인버터부; 입력되는 제1 조작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워킹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통합제어 마이컴을 포함하고, 특히, 적어도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는 직렬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OF BUS COMMUNICATION TYPE}
본 발명은 워킹코일에 의한 유도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통신에 버스 방식을 이용하는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도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고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2개 이상의 복수의 대상물을 동시에 가열 조리할 수 있는 복수의 화구를 구비한 전기 레인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복수의 화구를 가진 전기 레인지에는 각 화구마다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인버터가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 인버터는 개별적인 DSP(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구가 3개인 전기 레인지는 3개의 DSP를 구비할 것이며, 화구가 4개인 전기 레인지는 4개의 DSP를 구비할 것이다.
한편, 이렇게 복수의 화구 및 복수의 DSP를 구비한 전기 레인지일지라도,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고 처리하여 각 DSP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는 하나만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 보드에 구비된 통합제어 마이컴에 의해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각 DSP들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에서는, 통합제어 마이컴과 각 DSP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이다. 즉, 통합제어 마이컴에는 DSP에 대하여 발신하는 신호를 위한 복수의 단자 세트가 연결된 DSP의 개수에 맞추어 구비되어 있으며, 각 세트들은 각 DSP의 대응하는 신호 단자 세트와 서로 1:1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각 DSP에도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신호 단자 세트가 구비되며, 통합제어 마이컴에는 연결된 DSP의 개수에 맞추어 단자 세트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통합제어 마이컴에서 임의의 DSP에 3개의 신호를 전송해야 하고, 각 DSP는 1개의 신호를 통합제어 마이컴으로 피드백하도록 구성된다면, 통합제어 마이컴과 DSP는 각각 4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각 단자들을 서로 1:1로 연결시켜야 할 것이다.
더욱, 하나의 통합제어 마이컴이 4개의 DSP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면, 통합제어 마이컴은 16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각 단자들로부터 선로를 각 DSP로 연장시켜 단자들간을 1:1로 연결시켜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화구를 구비할수록 단자간 연결을 위한 선로를 구성하는 것이 복잡해지고 재료 비용도 증가하게 되며, 통합제어 마이컴의 단자수도 증가하므로 마이컴을 설계하는 것도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제어 마이컴과 복수의 DSP를 서로 직접연결함에 따라 발생하는 통신 선로와 관련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는, 입력되는 제1 고주파 전력에 의해 대상물을 유도가열하는 제1 워킹코일; 입력되는 제1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고주파 전력을 생성하는 제1 인버터부; 입력되는 제2 고주파 전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유도가열하는 제2 워킹코일; 입력되는 제2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고주파 전력을 생성하는 제2 인버터부; 입력되는 제1 조작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워킹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통합제어 마이컴을 포함하고, 특히, 적어도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는 직렬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레인지는, 입력되는 조작 신호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에 따라 단지 제1 스위칭 신호만 생성하고, 상기 통합제어 마이컴은, 상기 제1 워킹코일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 조작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워킹코일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조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렬 통신 방식은, RS 232C, RS 423, RS 422, RS485, USB, SATA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 처리부에서 요구하는 입력전압과 상기 통합제어 마이컴이 전송하는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의 전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전압 차이를 상쇄시켜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가 상기 입력전압으로 상기 제1 신호 처리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절연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통신부는, 전송할 신호에 대응하여 광을 방출하고 상기 광을 상기 신호로 역변환하는 광통신소자쌍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를 정상수신하였음을 표시하는 응답, 현재의 스위칭 신호 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응답, 상기 제1 워킹코일 또는 상기 제1 인버터부의 동작 상태가 정상인지를 표시하는 응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합제어 마이컴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제어 마이컴은, 상기 응답들에 따라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 의하면, 하나의 통합제어 마이컴과 복수의 DSP(신호 처리부)를 최소한의 선로를 필요로 하는 직렬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호 통신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통신 선로를 구성하기 용이하며 통합제어 마이컴을 설계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에서 내부 통신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의 내부 통신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의 내부 통신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먼저,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의 내외부 구성 및 내부 통신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전기 레인지는 대상물을 유도가열하기 위한 화구(11, 12, 13, 14)와, 화구에 유도가열을 수행하기 위한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는 인버터부(21, 22, 23, 24)와, 인버터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DSP(이하, 신호 처리부)(31, 32, 33, 34)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전기 레인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조작 및 표시부(4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DSP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제어 마이컴(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부의 좀 더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을 후술한다.
전기 레인지의 상판(105)은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화구가 배치된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영역(111, 121, 131, 14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표시영역(111, 121, 131, 141)의 아래에는 대응하는 워킹코일(11, 12, 13, 14)이 배치되어 각 표시영역 중 임의의 영역에 놓여진 대상물을 유도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상판(105)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 수단(401)과,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402)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작 수단(401)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조작 및 표시부(40)에서 식별되어 조작 신호로써 통합제어 마이컴(5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및 표시부(40)는 통합제어 마이컴(50)에서 제공하는 표시 신호를 시청각적으로 표시 수단(402)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판(105)에 표시된 임의의 표시영역 내에 조리용기와 같은 대상물을 올려놓고 그 표시영역에 해당하는 화구를 동작시키도록 조작 수단(401)을 조작한다. 이로써 선택된 화구의 워킹코일이 동작하게 되고, 표시 수단(402)에는 선택된 화구의 동작 상태가 시청각적으로 표시된다.
각 인버터부(21, 22, 23, 24)는, 직류전력을 입력받아 고주파 스위칭한 고주파 전력을 연결된 워킹코일에 인가한다. 인버터부(21, 22, 23, 24)는, 예를 들면, 상위 스위칭 소자와 하위 스위칭 소자가 직렬 연결된 하프브리지 방식 또는 풀브리지 방식의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따라서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가 필요하다.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된 4개의 워킹코일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각자의 워킹코일에 대응하는 4개의 인버터부(21, 22, 23, 24)가 필요할 것이다.
각 인버터부(21, 22, 23, 24)에 제공되는 스위칭 신호는 신호 처리부(31, 32, 33, 34)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1, 32, 33, 34)는 통합제어 마이컴(50)에서 제공되는 출력량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칭 신호의 주파수 또는 각 주기당 온타임의 듀티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신호 처리부(31, 32, 33, 34)는, 워킹코일(11, 12, 13, 14)의 동작 상태 또는 인버터부(21, 22, 23, 24)의 동작 상태를 피드백받아서 현재 정상 동작중인지 오류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상태 신호를 통합제어 마이컴(50)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합제어 마이컴(50)은, 조작 및 표시부(40)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으면, 요청된 화구의 유도가열 출력을 요청된 레벨로 제어하기 위하여 해당 신호 처리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해당 신호 처리부로부터 유도가열 동작 상태에 관한 신호를 통보받으면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조작 및 표시부(40)로 전송한다.
이때,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에서 통합제어 마이컴(50)과 각 신호 처리부(31, 32, 33, 34)와의 통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통신 단자를 직접 연결한 1:1 통신 방식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각 신호 처리부와 통합제어 마이컴(50)이 각각 4개의 신호 단자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신호 처리부가 4개가 구비된다면, 통합제어 마이컴(50)은 16개의 신호 단자를 구비해야 할 것이며, 총 16개의 통신 선로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는, 통합제어 마이컴(50)과 신호 처리부(31) 사이의 통신, 또는 통합제어 마이컴(50)으로부터 인버터부(21)에 이르는 통신을 버스를 이용한 1:N 통신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통신 선로의 구현이 쉽고 간단하고, 화구가 증설되더라도 통합제어 마이컴에 필요한 통신 단자의 개수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력"의 용어는, "전류"와 "전압"을 모두 포함하기 위한 용어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직류전력이라는 것은, 직류 전압 및/또는 직류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전력이라는 것은, 고주파 스위칭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의 내부 통신 방식을 설명한다. 도 2에서는 통합제어 마이컴이 2개의 신호 처리부를 동시에 제어하는 구성을 보여주는데, 특히, 통신 선로의 적어도 일부가 직접 연결 통신 방식이 아닌 직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구성을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기 위해서 4개의 신호가 필요하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통합제어 마이컴(50)에서는 제1 신호 처리부(31)를 위한 4개의 신호 단자로부터 각각의 선로가 연장되고 있다.
한편, 통합제어 마이컴(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레인지의 일측에 배치된 조작 수단(401) 또는 표시 수단(402)을 포함하는, 제어 보드(PCB)에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워킹코일(11)과 제2 워킹코일(12)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인버터부(21)와 제2 인버터부(22), 그리고 제1 신호 처리부(31)는 또하나의 회로기판인 인버터 보드1에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워킹코일(13)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3 인버터부(23)와 제2 신호 처리부(32)는 다른 회로기판인 인버터 보드2에 탑재될 수 있다.
제어 보드와 인버터 보드1과의 통신 연결은 통신용 IC(COM1, COM2)(71, 7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통합제어 마이컴(50)에서 제1 신호 처리부(31)를 위하여 4개의 신호 단자들 각각에서 신호를 발송하면, 제2 통신용 IC(72)는 인버터 보드1에 탑재된 제1 통신용 IC(71)와 직렬 통신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한다.
제1 통신용 IC(71)는 직렬 통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다시 제1 신호 처리부(31)의 각 신호 단자에 입력할 신호 형태(통합제어 마이컴의 각 신호 단자에서 출력한 신호와 동일할 수 있음)로 역변환한다.
제1 신호 처리부(31)는 제1 인버터부(21)와 제2 인버터부(22)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31)의 허용가능한 성능의 한도 내에서 2이상의 복수의 인버터부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화구를 구비한 전기 레인지에서 필요한 신호 처리부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제2 신호 처리부(32)는 단지 하나의 인버터부(23)만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통신용 IC(71, 72)는, MAX232, UART 통신 지원 IC 등을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갖는 집적회로일 수 있다.
또한, 직렬 통신 방식은, RS 232C, RS 423, RS 422, RS485, USB, SATA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일 수 있다.
이렇게, 직렬 통신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통합제어 마이컴(50)으로부터 각 신호 처리부(31, 32, 33, 34)에 이르는 통신 선로를 줄일 수 있으며, 회로 설계도 간단해진다.
한편, 도면에서, 제어 보드와 인버터 보드2는 동일한 전압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인버터 보드1은 다른 전압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조작 및 표시부(40), 통합제어 마이컴(50), 제2 및 제4 통신용 IC(72, 74)를 탑재한 제어 보드와, 제3 화구(13)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인버터부(23), 제2 신호 처리부(32), 제3 통신용 IC(73)를 탑재한 인버터 보드2는 5V 직류 전압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버터부(21), 제2 인버터부(22), 제1 신호 처리부(31)는 3.3V의 직류 전압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각 회로 보드의 부품들이 서로 다른 전압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된 경우, 전압 영역을 가로질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절연 수단이 필요하다. 통신 절연부(ISO1)(61)는 이렇게 서로 다른 전압 영역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절연부(61)는 예를 들면, 전송할 신호에 대응하여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을 다시 전송할 신호로 역변환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광통신 소자쌍일 수 있다. 물론 그외 다른 절연 방식의 부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의 내부 통신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보드와 인버터 보드1, 2 사이에 통신용 버스(80)를 구성하고, 이 버스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구성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통합제어 마이컴(50)은 하나의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단자 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신호 단자가 필요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제2 통신용 IC(72)는 4개의 신호 단자로부터의 각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직렬 신호를 버스(80)에 싣는다. 버스(80)에는 인버터 보드1로의 제1 통신용 IC(71)와 인버터 보드2의 제3 통신용 IC(73)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인버터 보드2의 제3 신호 처리부(33)는 별도의 통신용 IC를 통하지 않고 직접 버스(80)에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제1 통신용 IC(71)는 버스에 실린 직렬 신호가 자신 또는 제1 신호 처리부(31)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 상기 직렬 신호를 수신하고, 직렬 신호를 제1 신호 처리부(31)에서 필요로 하는 신호 형태로 역변환한다.
여기서, 제1 통신용 IC(71)와 제1 신호 처리부(31)의 사이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통신용 IC(72)와 제1 통신용 IC(71)의 사이에, 전압 영역이 달라지는 것에 의한 영향을 감쇠시키기 위한 통신 절연부(61)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제1 신호 처리부(31)는 제1 인버터부(21)와 제2 인버터부(22)를 동시에 또는 교대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통신용 IC(73)는 버스(80)에 실린 직렬 신호가 자신 또는 제2 신호 처리부(32)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상기 직렬 신호를 수신한다. 제3 통신용 IC(73)는 수신한 직렬 신호를 제2 신호 처리부(32)에서 요구하는 신호 형태로 역변환한다.
제2 신호 처리부(32)는 역변환된 신호에 따라서 제3 인버터부(23)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제3 신호 처리부(33)는 자체적으로 제2 통신용 IC(72)가 생성한 직렬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직렬 통신 처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3 신호 처리부(33)는 별도의 통신용 IC를 통하지 않고서도 버스(80)에 직접 결합되어 직렬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부(32) 및 제3 신호 처리부(33) 역시 2이상의 복수의 인버터부를 동시에 또는 교대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용 IC(71, 72)는, MAX232, UART 통신 지원 IC 등을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갖는 집적회로일 수 있다.
또한, 직렬 통신 방식은, RS 232C, RS 423, RS 422, RS485, USB, SATA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일 수 있다.
첨부의 도면 및 상술한 설명에서, 각 통신 선로의 개수와 연결 방식은 단지 예시로써 제공되는 것으로서, 더 많은 개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선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합제어 마이컴과 신호 처리부에 이르는 통신 방식 또는 신호 처리부와 인버터부에 이르는 통신 방식을 버스를 통한 통신 방식으로 변경하고, 이로써 그에 필요한 통신 선로를 줄이는 것을 요지로 하며 권리범위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통합제어 마이컴과 각 신호 처리부 사이의 통신을 직렬 통신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개시하였지만, 각 신호를 시간 또는 주파수 다중화하여 병렬 전송함으로써, 신호 전송을 위한 선로를 줄이는 방식 또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입력되는 제1 고주파 전력에 의해 대상물을 유도가열하는 제1 워킹코일;
    입력되는 제1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고주파 전력을 생성하는 제1 인버터부;
    입력되는 제2 고주파 전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유도가열하는 제2 워킹코일;
    입력되는 제2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고주파 전력을 생성하는 제2 인버터부;
    입력되는 제1 조작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워킹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통합제어 마이컴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는 직렬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조작 신호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에 따라 단지 제1 스위칭 신호만 생성하고,
    상기 통합제어 마이컴은, 상기 제1 워킹코일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 조작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워킹코일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조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방식은, RS 232C, RS 423, RS 422, RS485, USB, SATA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부에서 요구하는 입력전압과 상기 통합제어 마이컴이 전송하는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의 전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전압 차이를 상쇄시켜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가 상기 입력전압으로 상기 제1 신호 처리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절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통신부는, 전송할 신호에 대응하여 광을 방출하고 상기 광을 상기 신호로 역변환하는 광통신소자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를 정상수신하였음을 표시하는 응답, 현재의 스위칭 신호 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응답, 상기 제1 워킹코일 또는 상기 제1 인버터부의 동작 상태가 정상인지를 표시하는 응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합제어 마이컴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제어 마이컴은, 상기 응답들에 따라 상기 제1 조작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KR1020160061356A 2016-05-19 2016-05-19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KR102019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356A KR102019246B1 (ko) 2016-05-19 2016-05-19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356A KR102019246B1 (ko) 2016-05-19 2016-05-19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762A KR20170130762A (ko) 2017-11-29
KR102019246B1 true KR102019246B1 (ko) 2019-09-06

Family

ID=6081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356A KR102019246B1 (ko) 2016-05-19 2016-05-19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227B1 (ko) 2018-05-29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873A (ja) 2008-08-27 2010-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4225366A (ja) 2013-05-16 2014-12-04 三井造船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誘導加熱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020B1 (ko) * 2010-02-08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873A (ja) 2008-08-27 2010-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4225366A (ja) 2013-05-16 2014-12-04 三井造船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誘導加熱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762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12148A (zh) 用于烹饪器具的电路以及烹饪器具
JP6413094B2 (ja) 誘導加熱装置
EP283688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slave modules
JP48545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110178442B (zh) 感应加热烹饪设备
US9532407B2 (en) Induction cooking hob with a number of heating zones
US11035575B2 (en) Power module and cooking appliance
CN102257877A (zh) 具有多个加热元件和至少一个功率电子组件的灶台
JP2017112101A (ja) 加熱回路及び誘導調理ホブ
KR102019246B1 (ko) 버스 통신 방식의 전기 레인지
US20180217958A1 (en) Intelligent Connector Module and Bus Control System
US20090101638A1 (en) Induction module, arrangement of several induction modules and method for installing such an induction module
US11382184B2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06528A (ko) 유도 가열 조리 장치
EP3942901A1 (en) Kitchen appliance
JP3788197B2 (ja) 加熱調理器
KR20150027901A (ko) 착탈형 구조를 갖는 조리 기기
CN202190417U (zh) 一种电热电器的驱动控制系统
EP4170241A1 (en) Control device for a hob and hob with a control device
KR100281701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이중절연구조
KR100347099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전원분리형 인버터구동회로
JP2009270767A (ja) 加熱調理器
CN100573421C (zh) 键输入系统
US20190014621A1 (en) Induction module and induction hob
KR200390391Y1 (ko) 정밀 기계 신호 제어를 위한 신호 변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