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798B1 -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798B1
KR102018798B1 KR1020180113492A KR20180113492A KR102018798B1 KR 102018798 B1 KR102018798 B1 KR 102018798B1 KR 1020180113492 A KR1020180113492 A KR 1020180113492A KR 20180113492 A KR20180113492 A KR 20180113492A KR 102018798 B1 KR102018798 B1 KR 10201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analysis
primer set
composition
ge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윤태호
강혜은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51Quantitative ampl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5/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assay type for determining the identity of a nucleotide base or a sequence of oligonucleotides
    • C12Q2535/122Massive parallel sequen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40COMBINATORIAL TECHNOLOGY
    • C40BCOMBINATORIAL CHEMISTRY; LIBRARIES, e.g. CHEMICAL LIBRARIES
    • C40B50/00Methods of creating libraries, e.g. combinatorial synthesis
    • C40B50/06Biochemical methods, e.g. using enzymes or whole viable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40Monitoring or fighting invasive spe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 또는 분석을 위한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용 조성물, 상기 어류 분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키트,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어류 분석 방법,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 방법,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구축용 제작용 조성물 및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류 분석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 시, 기존의 시퀀싱 시스템에 비하여 어류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경제적이고 신속하게 대량으로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어류상, 어류의 산란장 및 성육장 조사 및 해양 생태계 조사, 먹이 생물 분석, 생태계 교란 및 외래 유입종에 대한 분석 등과 가공식품의 원재료 분석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대규모 수산생물의 유통의 원산지 및 동정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구축함으로 좀 더 정확한 어류의 종 동정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 방법{The primer set for identification of fish and methods for thei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 또는 분석을 위한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용 조성물, 상기 어류 분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키트,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어류 분석 방법,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 방법,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용 조성물 및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저류지와 하천이 발달되어 총 1,186종의 자생어류가 서식하고 있다(국립생물자원관, 2011). 특히, 어류는 매우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 중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으며, 2014년 10월 '나고야 의정서'가 발표됨에 따라 자국 생물자원의 중요성 및 가치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생명자원의 확보 및 보전에 대한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통합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의‘해양생태계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2007)’에 따르면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해양생물 종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등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조사, 관찰 및 관리하는 기본계획 등을 규정한 바 있다. 수산자원 생물의 관리를 위해서는 우리나라 연근해 전역에 대한 어류 종 조성 및 어종별 산란장 및 산란기 추정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해양보호구역과 같은 정책 수립의 일환으로, 산란 및 성육장 파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과학적인 난, 자치어 종조성 파악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해산 어류는 연안 가까이 산란하며 부화된 어린 개체들은 언근해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생산성 및 생물 종 다양성이 높은 연근해의 과학적인 자원보호와 자원 조성을 위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특히 난, 자치어기는 어류의 초기 생활사 단계에 속하여 종의 번성에 있어 아주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산란, 부화된 난, 자치어가 성체로의 가입되는 기작 연구나, 아열대성 어종의 국내 유입 및 정착에 대한 연구가 빈약하다. 난, 자치어가 현미경을 통해 종 확인을 하기에 매우 작은 크기이기도 하지만 성어와 달리 성장 단계별로 형태 변화가 아주 크기 때문에 종 확인하는 데에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과거 형태학적인 분류 특징을 이용한 종 분석이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DNA 마커를 이용한 종 검정이 본격화되고 있다. 분자학적 기법의 발달로 그 중에서도 Sanger sequencing을 이용한 분석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 분석법은 특정 어류 분류군에 한정되어 모든 어류 분류군에 대한 분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어류를 분류하기 위해서 과거 형태에 기초한 종동정, 특히 어란이나 자어의 경우 종 동정의 key가 불명확하여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와 같은 분자동정기법이 개발됨에 따라 그러한 어려움이 상당 해소되었다.
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생물 분류 체계에도 변화가 뒤따랐으며, DNA 염기서열을 중심으로 한 분자 형질을 이용하여 생물의 계통을 연구하는 분야를 분자계통학(molecular systematics)라고 하며 이는 전체 생물의 분류체계와 동정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 DNA 기반 종 분석은 노동 또는 시간 소비 형태분석법과 비교하여 볼 때 유용하고 유망한 도구이다. 어류의 경우 mitochondrial genome 염기서열의 데이터 베이스화가 잘 되어있으며, 그 중 Ribosomal DNA 유전자 영역을 종 분석에 많이 사용한다.
종래에는 기본적으로 모든 시퀀서(sequencer)는 Sanger의 dideoxyribonucleotide analog를 이용한 방식이었는데, 최근 새로운 기법의 시퀀싱 기술이 급속도로 보급되었으며, 그 중 Sanger 방식과 달리 대량의 병렬 데이터 생산이 가능한 차세대 또는 제2세대 시퀀서(Next Generation Sequencer, 2nd Generation Sequencer)가 개발되었다. 상기 NGS 기술은 종 분석을 위한 바코드의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양의 바코드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현재 NGS 시퀀싱 시스템을 사용한 종 분석은 454 파이로시퀀싱(454 pyrosequencing) 전략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Roche). 상기 454 파이로시퀀싱 전략은 더 긴 서열을 판독할 수 있지만(700 bp), 유사한 시퀀스 데이터 양을 얻기 위해 상대적으로 고비용이 들며, 현재 454 파이로시퀀싱은 단종이 되어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다는 점 역시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의 Illumina사의 Hiseq이나 Miseq을 이용한 유전자 분석방법이 나왔으나 454 파이로시퀀싱의 700bp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평균적 분석 서열(~ 300 bp) 때문에 바코드 분석에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Illumina사의 NGS 플랫폼들이 End-paired sequencing이 가능해짐에 따라 최대 (2 x 300 bp)분석 서열의 길이가 늘어났다.
따라서, 개선된 시퀀서 시스템을 적용하여 긴 서열을 분석하는 공정을 통해 생물분류 및 분석, 특히 다양한 어류의 분류 및 분석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차세대 시퀀서(NGS)를 이용하여 어류를 분류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Illumina Miseq sequencer로 분석이 가능한 최적화된 길이(~ 500 bp)의 접합서열 (pair-end contig)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신규한 어류 분류용 범용 프라이머 세트를 디자인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증폭된 DNA 서열을 Illumina Miseq sequencer로 분석한 결과, 기존의 시퀀싱 시스템에 비하여 어류를 경제적이고 신속하며 대량으로 분류(classification)하며 정성적 분석뿐 아니라 정량적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 또는 분석을 위한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용 조성물, 상기 어류 분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키트,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어류 분석 방법,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 방법,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용 조성물 및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어류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b) 상기 (a)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b)의 증폭 산물에 대한 서열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어류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a)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어류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a)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류 분석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 시, 기존의 시퀀싱 시스템에 비하여 어류에 대한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경제적이고 신속하게 대량으로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어류, 어류의 산란장 및 성육장 조사 및 해양 생태계 조사, 먹이 생물 분석, 생태계 교란 및 외래 유입종에 대한 분석 등과 가공식품의 원재료 분석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대규모 수산생물의 유통의 원산지 및 동정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구축함으로 좀 더 정확한 어류의 종 동정에 이용된다.
도 1은 어류의 샘플링 영역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12S와 16S 사이의 ITS 영역중 354-598bp 가변 영역 증폭을 위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영역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어류 1808종을 대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영역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end-pairing을 이용한 ITS 조립 서열(contiguous sequences)을 모식화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어류 분류군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분석된 대량 동물 플랑크톤 샘플 대 어류(어류 플랑크톤 - 난자치어(Eggs and Larvae))비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어류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유사 어종의 분포 지역 및 유전자형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는 카피하려는 핵산 가닥에 상보적인 단일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하며, 프라이머 연장 산물의 합성을 위한 개시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길이 및 서열은 연장 산물의 합성을 시작하도록 허용해야 한다.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길이 및 서열은 요구되는 DNA 또는 RNA 표적의 복합도(complexity)뿐만 아니라 온도 및 이온 강도와 같은 프라이머 이용 조건에 의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어류 종간 유전자 보존 영역을 증폭하여 다양한 어류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부위를 타깃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어류의 분류학적 위치 및 종을 분류하기에 충분한 가변적인 어류의 12S rDNA 및 16S rDNA을 포함한 ITS 조립 서열(contiguous sequences) 영역을 포함하여 증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증폭된 PCR 산물이 차세대 시퀀서(NGS)를 이용하여 어류를 분류하기 위해 최적 크기의 비교 서열을 얻을 수 있도록 서열을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0bp 내지 600bp의 PCR 산물을 증폭할 수 있다. 300bp 내지 600bp의 유전자를 증폭하는 경우, 기존의 증폭 방법 대비 더 긴 서열의 분석이 가능하여 종 분석의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시료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의 어류의 유전자를 공통적으로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증폭될 수 있는 어류 종은 1000 내지 2500종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0종 내지 2000종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8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증폭대상 어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하기 표 1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Cyprinus carpio Myctophum affine Melanocetus murrayi Pagrus auriga Oncorhynchus clarkii henshawi Cranoglanis bouderius
Petromyzon marinus Diaphus splendidus Eutaeniophorus sp . 033-Miya Notacanthus chemnitzii Chirocentrus dorab Solea senegalensis
Protopterus dolloi Zu cristatus Monocentris japonicus Huso huso Jenkinsia lamprotaenia Biwia zezera
Formosania lacustris Polymixia lowei Ostichthys japonicus Carpiodes carpio Salanx ariakensis Thunnus orientalis
Polypterus ornatipinnis Percopsis transmontana Sargocentron rubrum Erpetoichthys calabaricus Sundasalanx mekongensis Galaxiella nigrostriata
Latimeria chalumnae Coelorinchus kishinouyei Parazen pacificus Saccopharynx lavenbergi Scleropages formosus Plectropomus leopardus
Scyliorhinus canicula Exocoetus volitans Zenion japonicum Eurypharynx pelecanoides Tetraodon nigroviridis Verasper moseri
Salmo salar Scopelogadus mizolepis Allocyttus niger Katsuwonus pelamis Okamejei kenojei Oncorhynchus nerka
Squalus acanthias Poromitra oscitans Neocyttus rhomboidalis Thunnus alalunga Oreochromis mossambicus Parargyrops edita
Carassius auratus Danacetichthys galathenus Indostomus paradoxus Auxis thazard Cobitis sinensis Catostomus commersonii
Gadus morhua Hoplostethus japonicus Dactyloptena tiltoni Auxis rochei Synodus variegatus Gobio gobio
Salvelinus fontinalis Antigonia capros Scalicus amiscus Sebastes schlegelii Plesiobatis daviesi Tinca tinca
Salvelinus alpinus Mastacembelus favus Carangoides armatus Acipenser dabryanus Melanogrammus aeglefinus Cyprinella lutrensis
Mustelus manazo Dactyloptena peterseni Caranx melampygus Acipenser stellatus Merlangius merlangus Notemigonus crysoleucas
Amblyraja radiata Helicolenus hilgendorfi Emmelichthys struhsakeri Elops saurus Cypselurus hiraii Opsariichthys uncirostris
Lampetra fluviatilis Kareius bicoloratus Pterocaesio tile Megalops atlanticus Lates calcarifer Barbus barbus
Paralichthys olivaceus Stephanolepis cirrhifer Lycodes toyamensis Megalops cyprinoides Phractolaemus ansorgii Alburnus alburnus
Sigmops gracilis Pagrus major Pholis crassispina Synaphobranchus kaupii Ranzania laevis Hypentelium nigricans
Sardinops melanostictus Trachipterus trachypterus Salarias fasciatus Ophisurus macrorhynchos Cromeria occidentalis Xenocypris argentea
Coregonus lavaretus Kryptolebias marmoratus Arcos sp . KU 149 Albula glossodonta Denticeps clupeoides Gymnocypris przewalskii
Polymixia japonica Lepidosiren paradoxa Sufflamen fraenatum Aldrovandia affinis Grasseichthys gabonensis Acheilognathus typus
Diplophos taenia Ictalurus punctatus Gadus chalcogrammus Elops hawaiensis Kneria sp . SL-2004 Hemibarbus barbus
Hime japonica Takifugu rubripes Euthynnus alletteratus Pterothrissus gissu Parakneria cameronensis Rhodeus ocellatus kurumeus
Trachurus japonicus Polyodon spathula Esox lucius Psephurus gladius Rhodeus uyekii Pseudorasbora pumila
Arctoscopus japonicus Lophius americanus Galaxias maculatus Mola mola Verasper variegatus Pungtungia herzi
Oncorhynchus tshawytscha Oryzias latipes Dallia pectoralis Masturus lanceolatus Cyprinella spiloptera Barbus trimaculatus
Danio rerio Gambusia affinis Lipolagus ochotensis Etheostoma radiosum Scomberomorus cavalla Aphyocypris chinensis
Pantodon buchholzi Petroscirtes breviceps Glossanodon semifasciatus Acanthogobius hasta Micropterus salmoides Chromobotia macracanthus
Engraulis japonicus Lota lota Nansenia ardesiaca Carassius carassius Notropis stramineus Cycleptus elongatus
Osteoglossum bicirrhosum Rhyacichthys aspro Platytroctes apus Chlorurus sordidus Lepisosteus osseus Gyrinocheilus aymonieri
Neoceratodus forsteri Eleotris acanthopoma Salangichthys microdon Pangasianodon gigas Campostoma anomalum Moxostoma poecilurum
Heterodontus francisci Anoplogaster cornuta Alepocephalus tenebrosus Scomber scombrus Gila robusta Ischikauia steenackeri
Chimaera monstrosa Cetostoma regani Retropinna retropinna Myxocyprinus asiaticus Phenacobius mirabilis Chanodichthys mongolicus
Monopterus albus Aphredoderus sayanus Opisthoproctus soleatus Anguilla anguilla Iberochondrostoma lemmingii Labeo senegalensis
Myripristis berndti Beryx decadactylus Chanos chanos Anguilla marmorata Minytrema melanops Pethia ticto
Mugil cephalus Melanotaenia lacustris Apteronotus albifrons Anguilla celebesensis Percina macrolepida Pseudaspius leptocephalus
Zeus faber Hypoatherina tsurugae Eigenmannia sp. CBM-ZF-10620 Anguilla mossambica Dorosoma cepedianum Tribolodon nakamurai
Chauliodus sloani Cottus reinii Phenacogrammus interruptus Anguilla reinhardtii Atractosteus spatula Pelecus cultratus
Elassoma evergladei Gymnothorax kidako Chalceus macrolepidotus Anguilla bicolor bicolor Lophiomus setigerus Nipponocypris sieboldii
Lampris guttatus Hypoptychus dybowskii Pseudobagrus tokiensis Anguilla dieffenbachii Diretmus argenteus Gnathopogon elongatus
Beryx splendens Polypterus senegalus senegalus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microoculus Anguilla australis australis Sirembo imberbis Labeo batesii
Rondeletia loricata Scaphirhynchus cf. albus Cobitis striata Anguilla australis schmidti Bregmaceros nectabanus Esomus metallicus
Zenopsis nebulosus Carapus bermudensis Lefua echigonia Anguilla megastoma Diretmoides veriginae Acantopsis choirorhynchos
Cololabis saira Bassozetus zenkevitchi Corydoras rabauti Anguilla obscura Anomalops katoptron Barbatula toni
Ateleopus japonicus Cataetyx rubrirostris Gonorynchus greyi Anguilla nebulosa nebulosa Aptocyclus ventricosus Pseudohomaloptera leonardi
Ijimaia dofleini Diplacanthopoma brachysoma Acipenser transmontanus Anguilla interioris Trachyrincus murrayi Pangio anguillaris
Chlorophthalmus agassizi Physiculus japonicus Lepisosteus oculatus Anguilla malgumora Bathygadus antrodes Leptobotia mantschurica
Harpadon microchir Lamprogrammus niger Amia calva Anguilla bengalensis labiata Squalogadus modificatus Misgurnus nikolskyi
Saurida undosquamis Chaunax abei Thunnus thynnus thynnus Carassius auratus auratus Ventrifossa garmani Schistura balteata
Neoscopelus microchir Chaunax tosaensis Hiodon alosoides Trachurus trachurus Liobagrus obesus Vaillantella maassi
Leptoderma lubricum Scomber colias Lycengraulis grossidens Channa argus Labichthys carinatus Synodontis schoutedeni
Leptoderma retropinna Scomber australasicus Callorhinchus callorynchus Labeo bata Stemonidium hypomelas Auchenoglanis occidentalis
Narcetes stomias Oreochromis aureus Callorhinchus capensis Paralaubuca typus Danio dangila Bunocephalus coracoideus
Talismania bifurcata Larimichthys polyactis Callorhinchus milii Pennahia argentata Rasbora daniconius Hydrolycus scomberoides
Alepocephalus agassizii Pseudogobio esocinus Chimaera fulva Nibea albiflora Leptobarbus hoevenii Siniperca scherzeri
Alepocephalus australis Gila conspersa Hydrolagus lemures Anguilla japonica Rasbora vaterifloris Hemiodopsis gracilis
Alepocephalus bairdii Mylocheilus caurinus Harriotta raleighana Anguilla rostrata Psilorhynchus sucatio Hepsetus odoe
Alepocephalus productus Raiamas senegalensis Rhinochimaera pacifica Latimeria menadoensis Barilius bendelisis Siniperca chuatsi
Alepocephalus umbriceps Sebastiscus marmoratus Collichthys lucidus Galaxias gollumoides Sewellia lineolata Diplomystes nahuelbutaensis
Bathytroctes breviceps Epinephelus bruneus Miichthys miiuy Galaxias sp . 'southern' Trigonostigma espei Heteropneustes fossilis
Bathytroctes macrolepis Clinocottus analis Morone saxatilis Hypomesus nipponensis Cabdio morar Malapterurus electricus
Bajacalifornia megalops Hyporthodus septemfasciatus Hapalogenys nigripinnis Osmerus mordax Nicholsicypris normalis Apareiodon affinis
Bathytroctes michaelsarsi Hypoplectrus gemma Gnathonemus petersii Cobitis takatsuensis Tanichthys albonubes Distichodus sexfasciatus
Conocara macropterum Cheilinus undulatus Leiocassis longirostris Niwaella delicata Yaoshanicus arcus Pareutropius debauwi
Conocara murrayi Beryx mollis Micropterus salmoides salmoides Torquigener hypselogeneion Luciosoma bleekeri Pangasius larnaudii
Pythonichthys microphthalmus Rhynchactis macrothrix Micropterus floridanus Arothron hispidus Nannoperca australis Pygocentrus nattereri
Moringua microchir Neoceratias spinifer Alosa sapidissima Canthigaster valentini Horadandia atukorali Tachysurus fulvidraco
Simenchelys parasitica Haplophryne mollis Cottus poecilopus Polyspina piosae Nannoperca obscura Siniperca knerii
Coloconger cadenati Melanocetus johnsonii Tachysurus nitidus Lagocephalus sceleratus Microdevario nana Tridentiger bifasciatus
Kaupichthys hyoproroides Himantolophus albinares Tachysurus vachellii Sphoeroides parvus Raiamas guttatus Hucho bleekeri
Nessorhamphus ingolfianus Himantolophus groenlandicus Silurus meridionalis Lagocephalus lagocephalus Hemigrammocypris rasborella Caulophryne pelagica
Rhinomuraena quaesita Bufoceratias thele Gobiobotia macrocephala Sphoeroides annulatus Salmophasia bacaila Lepomis macrochirus
Derichthys serpentinus Diceratias pileatus Gobiobotia brevibarba Lagocephalus laevigatus Macrochirichthys macrochirus Oxuderces dentatus
Anarchias sp . Ansp Oneirodes thompsoni Microphysogobio koreensis Sphoeroides testudineus Sarotherodon melanotheron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Muraenesox bagio Lophiodes caulinaris Cynoglossus abbreviatus Tetractenos glaber Pseudorasbora parva Scomberomorus niphonius
Leptocephalus sp. 'type II larva' (Smith, 1989) Sladenia gardineri Pungitius kaibarae Auriglobus modestus Pseudobagrus brevicorpus Hucho taimen
Culter alburnus Thaumatichthys pagidostomus Pseudopungtungia tenuicorpus Omegophora armilla Anguilla bicolor pacifica Leucoraja erinacea
Cynoponticus ferox Tetrabrachium ocellatum Pungitius sinensis Carinotetraodon lorteti Silurus lanzhouensis Lutjanus argentimaculatus
Thalassenchelys sp . Tht2 Cryptopsaras couesii Acheilognathus somjinensis Marilyna darwinii Pleuragramma antarctica Sundasalanx sp. Chao Phraya
Nemichthys scolopaceus Ceratias uranoscopus Cottus hangiongensis Carinotetraodon salivator Notothenia coriiceps Glossogobius olivaceus
Facciolella oxyrhyncha Chaunax pictus Jenkinsia sp . CL54 Pelagocephalus marki Chaenocephalus aceratus Harengula jaguana
Moringua edwardsi Gigantactis vanhoeffeni Brachyhypopomus occidentalis Rhynchocypris lagowskii Tetranematichthys quadrifilis Sprattus muelleri
Hoplunnis punctata Coelophrys brevicaudata Heterotis niloticus Tetraodon palembangensis Amblydoras gonzalezi Hyperlophus vittatus
Nettastoma parviceps Thunnus thynnus Hiodon tergisus Tylerius spinosissimus Amphilius sp. NM-2010 Sillago sihama
Serrivomer beanii Thunnus obesus Genyomyrus donnyi Phoxinus steindachneri Pterygoplichthys disjunctivus Sprattus antipodum
Heteroconger hassi Oreochromis sp . 'red tilapia' Myomyrus macrops Tetraodon biocellatus Centromochlus perugiae Potamalosa richmondia
Paraconger notialis Thunnus albacares Marcusenius senegalensis Rhynchocypris percnurus Clarias sp . NM-2010 Odaxothrissa losera
Myroconger compressus Thunnus maccoyii Petrocephalus soudanensis Tetraodon miurus Lebiasina astrigata Tenualosa ilisha
Ariosoma shiroanago Carassius gibelio Pollachius virens Rhynchocypris percnurus sachalinensis Myleus sp . NM-2010 Microthrissa royauxi
Robinsia catherinae Silurus glanis Pollachius pollachius Tetraodon mbu Ichthyborus sp. NM-2010 Chiloscyllium punctatum
Ilyophis brunneus Collichthys niveatus Petrocephalus microphthalmus Chrosomus eos Micralestes sp. NM-2010 Potamothrissa acutirostris
Myrichthys maculosus Thryssa baelama Leptoderma macrophthalmum Leiodon cutcutia Gymnorhamphichthys sp . NM-2010 Trypauchen vagina
Oreochromis niloticus Amazonsprattus scintilla Micromesistius poutassou Monotrete cochinchinensis Acestrorhynchus sp . NM-2010 Konosirus punctatus
Acheilognathus signifer Brevoortia tyrannus Cyphomyrus discorhynchus Torquigener pleurogramma Histiopterus typus Microthrissa congica
Tanakia koreensis Pellona flavipinnis Paramormyrops gabonensis Colomesus asellus Arripis trutta Potamothrissa obtusirostris
Acheilognathus intermedia Anchoviella sp . LBP 2297 Clupeonella cultriventris Chelonodon pleurospilus Pimelodus pictus Tenualosa toli
Rhodeus suigensis Lethenteron reissneri Merluccius merluccius Colomesus psittacus Koreocobitis naktongensis Amphiprion bicinctus
Acheilognathus macropterus Coilia lindmani Carassius auratus ssp . 'Pingxiang' Arothron manilensis Chilodus punctatus Clupeichthys aesarnensis
Acheilognathus yamatsutae Coilia reynaldi Parajulis poecilepterus Canthigaster jactator Citharinus congicus Clupeichthys perakensis
Scomber japonicus Lycothrissa crocodilus Protopterus aethiopicus Avocettina infans Silurus asotus Escualosa thoracata
Sphyraena barracuda Chlamydoselachus anguineus Acanthorhodeus chankaensis Schizothorax plagiostomus Cephalopholis sexmaculata Ptychobarbus dipogon
Eumegistus illustris Heptranchias perlo Zacco platypus Coilia grayii Isurus paucus Rhinogobio cylindricus
Taractes asper Notorynchus cepedianus Mystacoleucus marginatus Liachirus melanospilos Gymnura poecilura Sebastes oblongus
Pteraclis aesticola Hexanchus griseus Potamotrygon motoro Achirus lineatus Grammistes sexlineatus Decapterus maruadsi
Kali indica Hexanchus nakamurai Pleurogrammus azonus Trinectes maculatus Protosalanx hyalocranius Squalidus gracilis
Sphyraena japonica Somniosus pacificus Hemibagrus spilopterus Abbottina rivularis Pristiophorus japonicus Oxyeleotris marmorata
Nesiarchus nasutus Pseudotriakis microdon Mystus rhegma Parazacco spilurus Platysmacheilus exiguus Tanakia lanceolata
Promethichthys prometheus Odontobutis sinensis Cynoglossus sinicus Gymnodiptychus pachycheilus Atractosteus tropicus Pteroplatytrygon violacea
Thyrsitoides marleyi Prionace glauca Zebrias quagga Metzia mesembrinum Cultrichthys compressocorpus Lutjanus johnii
Ruvettus pretiosus Pristis clavata Cynoglossus bilineatus Onychostoma macrolepis Trachinotus carolinus Protonibea diacanthus
Assurger anzac Alopias pelagicus Paraplagusia bilineata Phoxinus ujmonensis Draconetta xenica Xenophysogobio boulengeri
Evoxymetopon poeyi Scleropages jardinii Paraplagusia blochii Paramisgurnus dabryanus Solenostomus paradoxus Discogobio tetrabarbatus
Gymnosarda unicolor Aetobatus flagellum Cynoglossus puncticeps Thamnaconus tessellatus Doryrhamphus japonicus Platax teira
Ariomma lurida Sicyopterus lagocephalus Cynoglossus lineolatus Maccullochella peelii Mulloidichthys vanicolensis Salvelinus curilus
Ariomma indicum Rhinobatos hynnicephalus Cyclocheilichthys enoplos Pastinachus atrus Dactyloptena orientalis Plectorhinchus cinctus
Tetragonurus cuvieri Salvelinus leucomaenis Tor tambroides Nematalosa nasus Fistularia petimba Pseudogyrinocheilus prochilus
Tetragonurus atlanticus Saurogobio dabryi Pampus echinogaster Amphiprion polymnus Phycodurus eques Carcharhinus plumbeus
Pampus punctatissimus Epinephelus bleekeri Sebastes koreanus Amphilophus citrinellus Parupeneus multifasciatus Triplophysa anterodorsalis
Peprilus triacanthus Leptobotia rubrilabris Cetorhinus maximus Lophius litulon Neosynchiropus moyeri Jinshaia sinensis
Rexea nakamurai Pseudobrama simoni Plesiomyzon baotingensis Schizothorax prenanti Callionymus enneactis Pavoraja nitida
Benthodesmus tenuis Misgurnus bipartitus Esox reichertii Huso dauricus Synchiropus splendidus Jinshaia abbreviata
Epinnula magistralis Aspiorhynchus laticeps Paracheirodon axelrodi Clarias fuscus Syngnathus schlegeli Lepturichthys fimbriata
Aphanopus carbo Pethia conchonius Polypterus palmas buettikoferi Zearaja chilensis Takifugu flavidus Solea ovata
Pomatomus saltatrix Barbatula nuda Squalidus argentatus Cobitis elongatoides Microdevario kubotai Triplophysa siluroides
Echeneis naucrates Schizopyge niger Mugilogobius abei Carcharhinus amblyrhynchoides Sparus aurata Schizothorax chongi
Epinephelus merra Schizothorax esocinus Glyphis garricki Rhinobatos schlegelii Poecilia reticulata Ladislavia taczanowskii
Apogon semilineatus Onychostoma rara Schizothorax labiatus Rexea solandri Samariscus latus Glyptothorax sinensis
Pterapogon kauderni Liobagrus marginatus Schizothorax progastus Coreoperca whiteheadi Lamna ditropis Brachymystax tumensis
Paracirrhites arcatus Thymallus grubii Rita rita Amphiprion percula Hemibagrus nemurus Metzia longinasus
Parabramis pekinensis Hemiculter leucisculus Acrossocheilus fasciatus Amphiprion clarkii Barbonymus schwanenfeldii Cottus dzungaricus
Sphyrna lewini Romanogobio tenuicorpus Macquaria australasica Carangoides malabaricus Squatina japonica Pterois miles
Rhodeus shitaiensis Gobiobotia intermedia Symphurus plagiusa Nemipterus japonicus Culter recurviceps Culter erythropterus
Isurus oxyrinchus Caranx ignobilis Cynoglossus itinus Pseudaesopia japonica Hemibagrus wyckioides Anabas testudineus
Rhinogobius giurinus Sarcocheilichthys lacustris Colistium nudipinnis Belligobio nummifer Pseudobagrus emarginatus Macropodus ocellatus
Tor sinensis Monotrete leiurus Peltorhamphus novaezeelandiae Hemibagrus guttatus Carcharhinus melanopterus Schizothorax pseudoaksaiensis
Microphysogobio brevirostris Garra rufa Rhincodon typus Mastacembelus armatus Aseraggodes kobensis Elopichthys bambusa
Pseudobagrus trilineatus Labeo chrysophekadion Sebastes inermis Schizothorax dolichonema Ptychidio jordani Petenia splendida
Odontobutis potamophila Labeo pierrei Decapterus macrosoma Saurida microlepis Megalobrama skolkovii Saurida umeyoshii
Trachinotus ovatus Garra spilota Microphysogobio tafangensis Clarias batrachus Rhinogobio typus Gnathopogon polytaenia
Plagiognathops microlepis Labeo angra Pampus argenteus Pangasius pangasius Paracanthobrama guichenoti Amphiprion frenatus
Misgurnus mohoity Osteochilus nashii Boleophthalmus boddarti Selar crumenophthalmus Coreoperca loona Amphiprion perideraion
Channa marulius Labiobarbus ocellatus Heterotilapia buttikoferi Trachinotus blochii Siniperca roulei Premnas biaculeatus
Cobitis lutheri Schismatorhynchos nukta Sinocyclocheilus anophthalmus Salmo trutta Siniperca undulata Acrossocheilus kreyenbergii
Oxygymnocypris stewartii Labeo cyclorhynchus Cobitis melanoleuca granoei Epinephelus tukula Pareuchiloglanis sinensis Percilia irwini
Rhinogobio ventralis Henicorhynchus lineatus Pleurogrammus monopterygius Pampus chinensis Gadopsis marmoratus Bostockia porosa
Rhodeus sinensis Osteochilus schlegelii Carcharias taurus Rasbora borapetensis Glyphis glyphis Gadopsis bispinosus
Hippocampus erectus Thynnichthys polylepis Carcharhinus sorrah Dipturus kwangtungensis Hemibarbus medius Macquaria ambigua
Silurus soldatovi Garra flavatra Carcharhinus leucas Leptobotia microphthalma Leuciscus baicalensis Percalates novemaculeata
Hasemania nana Labiobarbus leptocheilus Alepes kleinii Carcharhinus acronotus Hippocampus ingens Nannoperca variegata
Pseudobagrus ondon Labiobarbus lineatus Himantura granulata Mogurnda adspersa Liza haematocheila Howella brodiei
Pseudobagrus albomarginatus Labeo lineatus Paraneetroplus synspilus Siganus puellus Sinogastromyzon sichangensis Tilodon sexfasciatum
Helostoma temminkii Campylomormyrus compressirostris Mustelus griseus Siganus guttatus Hippocampus barbouri Bidyanus bidyanus
Rhynchocypris percnurus mantschuricus Luvarus imperialis Cobitis choii Lutjanus bengalensis Scobinichthys granulatus Chitala blanci
Barbonymus gonionotus Zanclus cornutus Oncorhynchus gorbuscha Aluterus scriptus Scarus forsteni Chitala lopis
Oncorhynchus masou ishikawae Spicara maena Acanthopagrus latus Lactoria diaphana Paraluteres prionurus Chitala ornata
Oncorhynchus masou masou Centropyge loricula Oplegnathus fasciatus Thamnaconus modestus Paramonacanthus choirocephalus Papyrocranus congoensis
Opsariichthys bidens Zebrasoma flavescens Platichthys stellatus Xenobalistes tumidipectoris Pervagor janthinosoma Notopterus notopterus
Oncorhynchus masou formosanus Lethrinus obsoletus Capros aper Cantherhines pardalis Pseudomonacanthus peroni Xenomystus nigri
Gymnogobius petschiliensis Coreoperca kawamebari Sphoeroides pachygaster Anoplocapros lenticularis Balistoides conspicillum Lutjanus malabaricus
Tropheus duboisi Lutjanus rivulatus Lutjanus russellii Chilomycterus reticulatus Canthidermis maculata Lutjanus sebae
Neolamprologus brichardi Chaetodon auripes Arothron firmamentum Scarus rubroviolaceus Scarus schlegeli Cynoglossus semilaevis
Astronotus ocellatus Heniochus diphreutes Canthigaster coronata Micropterus dolomieu Melichthys vidua Branchiostegus japonicus
Cymatogaster aggregata Chaetodontoplus septentrionalis Canthigaster rivulata Xiphophorus maculatus Odonus niger Branchiostegus albus
Amphiprion ocellaris Doederleinia berycoides Monotaxis grandoculis Xenotoca eiseni Pseudobalistes flavimarginatus Gillichthys mirabilis
Ditrema temminckii Diodon holocanthus Gonorynchus abbreviatus Fundulus olivaceus Brachaluteres ulvarum Branchiostegus argentatus
Pseudolabrus sieboldi Naso lopezi Sagamichthys abei Jordanella floridae Rhinecanthus aculeatus Gillichthys seta
Abudefduf vaigiensis Diagramma picta Alepocephalus bicolor Elassoma zonatum Abalistes stellaris Thymallus thymallus
Halichoeres melanurus Triacanthodes anomalus Bathyprion danae Aulichthys japonicus Xanthichthys auromarginatus Thymallus arcticus
Olisthops cyanomelas Trixiphichthys weberi Bathytroctes microlepis Gasterosteus wheatlandi Balistapus undulatus natural gynogenetic Carassius auratus red var.
Labracinus cyclophthalmus Triodon macropterus Leptochilichthys agassizii Pungitius pungitius Acanthaluteres brownii Oryzias minutillus
Oreochromis sp. KM-2006 Monodactylus argenteus Maulisia mauli Anguilla luzonensis Balistes vetula Oryzias dancena
Conger myriaster Parapristipoma trilineatum Narcetes erimelas Culaea inconstans Acreichthys tomentosus Oryzias luzonensis
Plecoglossus altivelis Macrorhamphosodes uradoi Normichthys operosus Lutjanus kasmira Amanses scopas Oryzias javanicus
Cyprinodon rubrofluviatilis Triacanthus biaculeatus Hemibarbus labeo Apeltes quadracus Eubalichthys mosaicus Erimyzon oblongus
Oncorhynchus kisutch Kentrocapros aculeatus Hemibarbus mylodon Spinachia spinachia Meuschenia hippocrepis Ictiobus bubalus
Oncorhynchus masou ' Biwa ' Ostracion immaculatus Hemibarbus longirostris Scarus ghobban Sinogastromyzon puliensis Xenocypris davidi
Pagellus bogaraveo Stylephorus chordatus Coreoleuciscus splendidus Takifugu poecilonotus Chaetodermis penicilligerus Moxostoma congestum
Clupea harengus Salmo trutta trutta Epinephelus coioides Takifugu exascurus Eutaeniophorus festivus Takifugu fasciatus
Sardina pilchardus Puntigrus tetrazona Epinephelus akaara Chelonodon patoca Parataeniophorus gulosus Xiphophorus hellerii
Clupea pallasii Acanthurus lineatus Mylopharyngodon piceus Takifugu chrysops Ataxolepis apus Platax orbicularis
Alosa pseudoharengus Boreogadus saida Pseudopungtungia nigra Takifugu niphobles Barbourisia rufa Girella punctata
Engraulis encrasicolus Arctogadus glacialis Tylochromis polylepis Takifugu obscurus Procetichthys kreffti Kyphosus cinerascens
Sardinella maderensis Hypophthalmichthys molitrix Etroplus maculatus Takifugu pardalis Cetomimus sp. AMS I34481001 Labracoglossa argentiventris
Sprattus sprattus Hypophthalmichthys nobilis Aplocheilus panchax Takifugu porphyreus Gyrinomimus sp. UW 113191 Scorpis lineolata
Dorosoma petenense Odontobutis platycephala Paratilapia polleni Takifugu stictonotus Gyrinomimus myersi Rhynchopelates oxyrhynchus
Etrumeus teres Xyrauchen texanus Oryzias sarasinorum Takifugu snyderi Pseudolabrus eoethinus Kuhlia mugil
Siganus fuscescens Hippocampus kuda Ablennes hians Takifugu vermicularis Fundulus heteroclitus Oplegnathus punctatus
Alosa alosa Aulostomus chinensis Hypselecara temporalis Takifugu xanthopterus Gadus ogac Psenes cyanophrys
Ethmalosa fimbriata Oostethus brachyurus Ptychochromoides katria Takifugu chinensis Fundulus grandis Siganus unimaculatus
Spratelloides gracilis Macroramphosus scolopax Paretroplus maculatus Takifugu oblongus Fundulus diaphanus Hyperoglyphe japonica
Ilisha elongata Eurypegasus draconis Menidia menidia Takifugu ocellatus Chiloscyllium plagiosum Cubiceps pauciradiatus
Coilia nasus Pegasus volitans Hyporhamphus sajori Torquigener brevipinnis Acipenser gueldenstaedtii Toxotes chatareus
Ilisha africana Fistularia commersonii Odontesthes sp. Odsp -001 Lagocephalus wheeleri Acipenser sinensis Enoplosus armatus
Nematalosa japonica Aulorhynchus flavidus Iso hawaiiensis Pampus sp . LY-2009 Istiompax indica Microcanthus strigatus
Spratelloides delicatulus Solenostomus cyanopterus Halichoeres trimaculatus Larimichthys crocea Istiophorus platypterus Scophthalmus maximus
Odaxothrissa vittata Aeoliscus strigatus Halichoeres tenuispinis Epinephelus lanceolatus Xiphias gladius Sinocyclocheilus altishoulderus
Pellonula leonensis Ctenopharyngodon idella Procypris rabaudi Trichiurus japonicus Kajikia audax Sinocyclocheilus grahami
Hippoglossus hippoglossus Pteragogus flagellifer Distoechodon tumirostris Nothobranchius furzeri Tetrapturus angustirostris Lagocephalus lunaris
Reinhardtius hippoglossoides Megalobrama amblycephala Psilorhynchus homaloptera Mitsukurina owstoni Makaira mazara Oryzias sinensis
Hippoglossus stenolepis Arapaima gigas Misgurnus anguillicaudatus Nelusetta ayraudi Brienomyrus niger Serrivomer sector
Anarhichas lupus Chionodraco myersi Rhodeus ocellatus Rudarius ercodes Gymnarchus niloticus Rastrelliger brachysoma
Acanthurus leucosternon Carassius cuvieri Rachycentron canadum Monacanthus chinensis Anyperodon leucogrammicus Herwigia kreffti
Clupeoides borneensis Dissostichus eleginoides Gymnocypris eckloni Phoxinus phoxinus Pseudobagrus crassilabris Epinephelus sexfasciatus
Ethmidium maculatum Champsocephalus gunnari Phoxinus keumkang Lepomis cyanellus Pseudobagrus truncatus Neotrygon kuhlii
Clupeoides sp . Chao Phraya Brachymystax lenok Aphyocypris kikuchii Schizothorax wangchiachii Plectropomus areolatus Pseudorasbora elongata
Gudusia chapra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Pararasbora moltrechti Pseudohemiculter dispar Liobagrus nigricauda Garra orientalis
Ehirava fluviatilis Bahaba taipingensis Rastrelliger kanagurta Paedocypris progenetica Schizopygopsis younghusbandi Hongeo koreana
Tenualosa thibaudeaui Cyprinus carpio 'color' Coilia ectenes Dasyatis bennetti Ancherythroculter nigrocauda Raja rhina
Clupeichthys goniognathus Hemibarbus maculatus Neosalanx taihuensis Moolgarda cunnesius Chanodichthys dabryi Scatophagus argus
Sundasalanx praecox Oryzias melastigma Onychostoma barbatum Ammodytes hexapterus Gymnocypris dobula Aesopia cornuta
Sardinella albella Acanthopagrus schlegelii Taeniura meyeni Pseudolaubuca engraulis Gymnocypris namensis Onychostoma simum
Sciaenops ocellatus Trematocranus placodon Dasyatis zugei Gobiobotia naktongensis Schizopygopsis thermalis Sahyadria denisonii
Seriola quinqueradiata Diplotaxodon limnothrissa Coilia mystus Lethenteron camtschaticum Megachasma pelagios Variola louti
Seriola lalandi Petrotilapia nigra Harpadon nehereus Setipinna taty Sander canadensis Variola albimarginata
Seriola dumerili Nimbochromis linni Hapalogenys analis Schizothorax waltoni Anodontostoma chacunda Triso dermopterus
Catla catla Pseudotropheus crabro Odontamblyopus rubicundus 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Nematalosa come Aethaloperca rogaa
Chrysochir aureus Astatotilapia calliptera Squaliobarbus curriculus Carcharhinus obscurus Schizothorax richardsonii Cephalopholis argus
Acipenser baerii Dimidiochromis compressiceps Perca flavescens Polypterus ansorgii Epinephelus quoyanus Cephalopholis sonnerati
Dendrophysa russelii Genyochromis mento Alburnus istanbulensis Polypterus retropinnis Microphysogobio alticorpus Acrossocheilus monticola
Labeo rohita Rhamphochromis esox Alburnus tarichi Polypterus teugelsi Pseudopentaceros wheeleri Enophrys diceraus
Argyrosomus japonicus Cynotilapia afra Luciogobius platycephalus Gasterochisma melampus Hippocampus histrix Orectolobus japonicus
Cirrhinus mrigala Sahyadria chalakkudiensis Sinocyclocheilus furcodorsalis Cheilochromis euchilus Hexagrammos agrammus Spinibarbus caldwelli
Oncorhynchus keta Repomucenus curvicornis Rasbora steineri Thunnus tonggol Psenopsis anomala Pristipomoides multidens
Schizothorax biddulphi Clupanodon thrissa Channa maculata Coregonus nasus Epinephelus epistictus Mesocottus haitej
Agonostomus monticola Percocypris pingi Sinibrama macrops Stenodus leucichthys Onychostoma alticorpus Cirrhinus molitorella
Aldrichetta forsteri Koreocobitis rotundicaudata Pseudopentaceros richardsoni Coregonus clupeaformis Gagata dolichonema Acrossocheilus hemispinus
Bostrychus sinensis Leptobotia elongata Psettodes erumei Prosopium williamsoni Glyptosternon maculatum Acrossocheilus barbodon
Chaenomugil proboscideus Tachysurus eupogon Coreius guichenoti Prosopium cylindraceum Euchiloglanis kishinouyei Pseudogobius javanicus
Chiloscyllium griseum Glyptothorax fokiensis fokiensis Coreius heterodon Coregonus oxyrinchus Creteuchiloglanis kamengensis Saurogobio dumerili
Chelon labrosus Trachidermus fasciatus Epinephelus fuscoguttatus Synechogobius ommaturus Glaridoglanis andersonii Biwia springeri
Crenimugil crenilabis Epinephelus awoara Hyporthodus octofasciatus Polypterus delhezi Exostoma labiatum Gnathopogon strigatus
Liza affinis Triplophysa bleekeri Homatula variegata Polypterus weeksii Liobagrus anguillicauda Squalidus wolterstorffi
Scartelaos histophorus Mobula japanica Puntius semifasciolatus Epinephelus fasciatomaculosus Pareuchiloglanis gracilicaudata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Mugil curema Sarcocheilichthys parvus Puntius snyderi Lophiogobius ocellicauda Pseudexostoma yunnanensis Hemibarbus umbrifer
Triplophysa stoliczkai Scaphiodonichthys acanthopterus Acrossocheilus wenchowensis Epinephelus latifasciatus Pseudecheneis sulcata Galeocerdo cuvier
Epinephelus moara Trichiurus lepturus nanhaiensis Scopelengys tristis Epinephelus areolatus Bagarius yarrelli Carcharodon carcharias
Myxus capensis Petrochromis trewavasae Neoscopelus macrolepidotus Chaeturichthys stigmatias Oreoglanis macropterus Pleuronichthys cornutus
Oedalechilus labeo Tropheus moorii Lampadena atlantica Polypterus endlicherii Glyptothorax trilineatus Crossorhombus azureus
Opistognathus jacksoniensis Megalobrama terminalis Sinibotia superciliaris Schizothorax oconnori Epinephelus trimaculatus Pseudorhombus cinnamoneus
Rhinomugil nasutus Oreoleuciscus potanini Hippocampus comes Hippocampus trimaculatus Cromileptes altivelis Acipenser ruthenus
Sicamugil cascasia Phoxinus oxycephalus jouyi Liobagrus kingi Liobagrus marginatoides Heterodontus zebra Novumbra hubbsi
Trachinops taeniatus Tribolodon brandtii Luciobarbus capito Dasyatis akajei Spinibarbus denticulatus Umbra pygmaea
Cyprinus carpio carpio Tribolodon hakonensis Schizothorax macropogon Epinephelus stictus Psenes pellucidus Metzia formosae
Cyprinus carpio 'xingguonensis' Tribolodon sachalinensis Pseudobagrus ussuriensis Cephalopholis boenak Eleutheronema tetradactylum Spinibarbus sinensis
Cyprinus carpio haematopterus Protopterus annectens Oxyurichthys formosanus Siniperca obscura Onychostoma barbatulum Sarcocheilichthys sinensis
Cyprinus carpio 'wuyuanensis' Tridentiger barbatus Acentrogobius chlorostigmatoides Ammodytes personatus Parahucho perryi Kurtus gulliveri
Onychostoma lini Glossogobius circumspectus Amoya chusanensis Paraplagusia japonica Pangasianodon hypophthalmus Istiophorus albicans
Lateolabrax maculatus Leuciscus waleckii Helicolenus avius Zebrias zebra Tor putitora Colisa lalia
Stiphodon alcedo Sicyopterus japonicus Perccottus glenii Osteochilus salsburyi Acipenser schrenckii Parachanna insignis
Acentrogobius pflaumii Triplophysa rosa Blicca bjoerkna Scomberomorus munroi Pentaceros japonicus Platycephalus indicus
Gobiocypris rarus Hemibagrus macropterus Abramis brama Scomberomorus semifasciatus Schedophilus velaini Dysalotus alcocki
Anoplopoma fimbria Gymnocypris przewalskii ganzihonensis Leucaspius delineatus Pseudobagrus brevicaudatus Micropercops swinhonis Champsodon cf. snyderi CBM-ZF 10876
Cirrhitichthys aprinus Coregonus peled Schizopygopsis pylzovi Decapterus macarellus Lagocephalus spadiceus Chlorophthalmus nigromarginatus
Cheilodactylus zonatus Squatina nebulosa Schizopygopsis kialingensis Acheilognathus imberbis Trichogaster microlepis Symphurus orientalis
Carcharhinus macloti Eudontomyzon morii Himantura gerrardi Trichogaster leerii Liza macrolepis Clarias gariepinus
Schizopygopsis malacanthus Lampetra appendix Taeniura lymma Epinephelus corallicola Gnathopogon imberbis Lefua nikkonis
Siganus canaliculatus Hypostomus plecostomus Sorubim cuspicaudus Hemitriakis japanica Gnathopogon taeniellus Cobitis biwae
Chirostoma humboldtianum Platydoras armatulus Vanmanenia pingchowensis Drepane longimana Phoxinus oxycephalus Nipponocypris temminckii
Rhodeus lighti Siganus vulpinus Pseudocarcharias kamoharai Colisa fasciata Coregonus autumnalis Tanakia tanago
Heteromycteris japonicus Hucho hucho Labeo fimbriatus Carcharhinus tjutjot Terapon jarbua Cirrhigaleus australis
Microphysogobio fukiensis Platysmacheilus nudiventris Bangana decora Chaetodontoplus conspicillatus Beaufortia szechuanensis Schizothorax kozlovi
Acrossocheilus stenotaeniatus Triplophysa robusta Atule mate Oxyeleotris lineolata Enchelynassa canina Trichopodus leerii
Zapteryx exasperata Drepane punctata Lagocephalus suezensis Ophiodon elongatus Gymnomuraena zebra Danio nigrofasciatus
Brycon orbignyanus Ponticola kessleri Gazza minuta Hexagrammos lagocephalus Aluterus monoceros Prochilodus argenteus
Prochilodus lineatus Carangoides equula Lobotes surinamensis Erilepis zonifer Haplochromis burtoni Prochilodus costatus
Salminus brasiliensis Ochetobius elongatus Gerres oyena Cheilodactylus variegatus Thymallus pallasii Ephippus orbis
Arnoglossus polyspilus Coregonus ussuriensis Polydactylus plebeius Abbottina obtusirostris Thymallus tugarinae Nemipterus virgatus
Bothus pantherinus Diptychus maculatus Polynemus paradiseus Melanotaenia parkinsoni Thymallus yaluensis Scorpaenopsis cirrosa
Crossorhombus kobensis Seriolella porosa Pempheris schwenkii Lampetra aepyptera Thymallus burejensis Plotosus japonicus
Cyclopsetta fimbriata Andinoacara rivulatus Pelotretis flavilatus Parachromis managuensis Thymallus brevirostris Ancherythroculter lini
Laeops lanceolata Leporinus piavussu Himantura microphthalma Selenotoca multifasciata Acipenser sturio Perca schrenkii
Lepidoblepharon ophthalmolepis Procypris mera Triaenodon obesus Lophiosilurus alexandri Rhodeus fangi Oncorhynchus mykiss
Neoachiropsetta milfordi Choerodon schoenleinii Schizothorax lantsangensis Acheilognathus barbatus Sebastes vulpes Aspasma minima
Piaractus mesopotamicus Sphyrna zygaena Pomacanthus xanthometopon Brycon henni Sebastes taczanowskii Porichthys myriaster
Zebrias zebrinus Gymnocephalus cernua Pomacanthus imperator Diploprion bifasciatum Sebastes hubbsi Oxymonacanthus longirostris
Channa asiatica Samaris cristatus Anoxypristis cuspidata Eleotris oxycephala Sebastes minor Pseudalutarius nasicornis
Cottus czerskii Macropodus opercularis Perca fluviatilis Coilia brachygnathus Sebastes steindachneri Cyema atrum
Nipponocypris koreanus Euthynnus affinis Centropyge interrupta Acrossocheilus parallens Sebastes trivittatus Monognathus jesperseni
Pterois volitans Sillago aeolus Holacanthus clarionensis Synanceia verrucosa Sebastes thompsoni Mallotus villosus
Metahomaloptera omeiensis Argyrosomus amoyensis Neosalanx tangkahkeii Scombrops boops Botia lohachata Labeo calbasu
Sillago indica Saurida wanieso Megalobrama pellegrini Strongylura anastomella Himantura hortlei Scoliodon macrorhynchos
Xenophysogobio nudicorpa Oedalechilus labiosus Hyporhamphus intermedius Luciogobius pallidus Tor tor Johnius belangerii
Rhabdosargus sarba Atlantoraja castelnaui Colossoma macropomum Bangana tungting Triplophysa yarkandensis Pardachirus pavoninus
Ptychobarbus kaznakovi Parasinilabeo assimilis Mugilogobius chulae Thamnaconus hypargyreus Dipturus trachyderma Hoplolatilus cuniculus
Nibea coibor Ichthyoelephas longirostris Apolemichthys kingi Carcharhinus brevipinna Macrognathus aculeatus Citharoides macrolepidotus
Piaractus brachypomus Curimata mivartii Chaetodontoplus mesoleucus Plectorhinchus orientalis Cetonurus globiceps Cynoglossus trigrammus
Discogobio yunnanensis Chelmon rostratus Pseudoplatystoma magdaleniatum Plectorhinchus vittatus Orestias ascotanensis Tanakia himantegus
Homatula potanini Mobula eregoodootenkee Ictiobus cyprinellus Pterocryptis cochinchinensis Odontobutis interrupta Polydactylus sextarius
Rhodeus sericeus Dicentrarchus labrax Sander lucioperca Odontobutis yaluensis Holacanthus africanus
Squatina formosa Dicentrarchus punctatus Pterophyllum scalare Schizothorax lissolabiatus Holacanthus tricolor
Rasbora trilineata Brachirus orientalis Pygoplites diacanthus Coreoperca herzi Icelus spatula
Sillago asiatica Sebastes longispinis Onychostoma gerlachi Microphysogobio yaluensis Leptoclinus maculatus
Raja pulchra Neolissochilus hexagonolepis Hypomesus olidus Kichulchoia multifasciata Apolemichthys griffisi
Narcine entemedor Oreochromis variabilis Parachaenichthys charcoti Liobagrus mediadiposalis Holacanthus passer
Tanakia limbata Coptodon zillii Poecilia sphenops Sinocyclocheilus rhinocerous Holacanthus ciliaris
Plectorhinchus lineatus Sinibrama taeniatus Trichogaster trichopterus Sinocyclocheilus anshuiensis Genicanthus semifasciatus
Thunnus atlanticus Devario laoensis Betta splendens Scortum barcoo Genicanthus bellus
Carcharhinus longimanus Parabotia banarescui Symphysodon discus Ambastaia sidthimunki Centropyge venusta
Ichthyomyzon fossor Parabotia fasciata Hemiculterella sauvagei Pristis pectinata Paracentropyge multifasciata
Ichthyomyzon unicuspis Spinibarbus hollandi Carcharhinus amboinensis Seriola rivoliana Ulcina olrikii
Oreochromis esculentus Leptobotia taeniops Sinobdella sinensis Conger japonicus Tor khudree
Garra imberba Sebastes owstoni Pseudolaubuca sinensis Tarimichthys bombifrons Himantura dalyensis
Megalaspis cordyla Grundulus bogotensis Triplophysa strauchii Barbatula barbatula Centropyge multicolor
Alectis ciliaris Schizothorax davidi Ageneiosus pardalis Chaenogobius gulosus Centropyge joculator
상기 "분석"은 "정량적 분석" 및 "정성적 분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정량적 분석"은 혼합된 샘플상에서 특정 분류군이 어떤 비율을 차지하는지를 알아내는 것을 말한다. "정성적 분석"은 혼합된 샘플상에서 어떠한 생물종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을 뜻한다. 상기 "분석"은 어류의 종류 분석, 어류의 비율 분석, 및 어류 분포지역 분석을 말한다. 어류 종류 분석은 채집한 샘플 시료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분포하는 어류의 종류에 관해 어떤 어류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어류 비율 분석은 동물 플랑크톤 대비 어류의 비율을 말하며, 예컨대 시료에 존재하는 어류종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또한, 어류 분포지역 분석은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각 지역에서 수집된 시료를 증폭하여 어종의 비율을 분석함으로써 어종의 분포지역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어류를 분석하기 위한 샘플은 어란(fish egg), 치어(the young of fishes), 유생(larva) 및 어류의 비늘 등과 같은 분비물에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류 분석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고, 상기 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어류의 DNA를 증폭한 후 DNA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그 후, Illumina Miseq sequencer를 이용하여 어류의 DNA 서열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그 후 상기 데이터로 생성된 조립서열(354bp 내지 598bp)를 사용하여 Mitochondria DNA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BLASTn search(상동성 = 97%)를 수행하여 어류의 종을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어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 시, 기존의 시퀀싱 시스템에 비하여 어류를 경제적이고 신속하며 대량으로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열성 DNA 중합효소, dNTPs,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PCR 완충액 제조 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어류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b) 상기 (a)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b)의 증폭 산물에 대한 서열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단계의 증폭은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다중 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ultiplex PCR), 경쟁적 중합효소연쇄반응(competi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DNA 칩(DNA chip), 등온증폭법(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의 증폭은 PCR을 이용하여 15 내지 25회를 반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총 20회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초기 변성은 94℃에서 3분; 변성은 94℃에서 30초, 48℃에서 30초, 72 ℃에서 30초씩 20회 반복 수행하였고, 최종 연장은 72℃에서 3분간 수행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c) 단계에서 증폭 산물에 대한 서열을 분석하는 것은 차세대 시퀀서(NGS)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Illumina Miseq sequencer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llumina Miseq sequencer"는 기존의 Sanger 방식과 달리 대량의 병렬 데이터 생산이 가능한 차세대 또는 제2세대 시퀀서(Next Generation Sequencer, 2nd Generation Sequencer) 기법을 이용하는 것 중 하나이다. 상기 NGS는 DNA 서열에 대한 증폭을 하고 그 후 형광 표식 등을 카메라로 찍어 이미지 처리를 하는 과정을 거쳐 염기를 읽어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Illumina Miseq sequencer는 고체상 증폭(solid-phase amplification)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Illumina Miseq sequencer는 대용량 시퀀서인 HiSeq의 기법 (chemistry)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장비의 가격이 낮고 다양한 응용성을 가지고 있어 경제적이다. 기존의 454 sequencer를 이용했을 때 하나의 COI 서열을 읽는데 드는 비용이 1센트 정도라면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Illumina Miseq sequencer는 2 x 300bp 에서 0.02 센트로 약 50배 정도의 가격 경쟁력을 가지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어류 분석을 위한 어류 DNA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전자 라이브러리'는 염색체의 전체 DNA를 제한효소 등으로 절단하여 얻게된 단편을 벡터에 도입한 집합 및 다양성을 지닌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균주의 집합체로서 다양성은 한개 또는 다수의 유전자의 무작위적 변이 유도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유전체(genome)로부터 유래된 유전자의 집합체로부터 생성된 것을 말한다. 유전자 라이브러리는 유전자 은행과 동일하게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염색체상의 모든 DNA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검색하고자 하는 어류 유전자의 클론을 라이브러리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이때, 검색 대상인 유전자에서 변이 유전자의 존재 비율은 묻지 않는다. 예를 들어, 100%가 야생형 유전자일수 있고, 50%가 야생형 유전자이고 나머지 50%가 변이 유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1500 내지 2000종의 어종의 유전자를 공통적으로 증폭함으로써, 어류 분석을 위한 어류 DNA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이를 이후 차세대 시퀀서를 이용한 분석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어류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MiSeq 플랫폼에 최적화된 사이즈를 증폭시켜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기존에 등록되어있지 않은 어류 종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새로운 어류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는 유전자의 총합을 모은 뒤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한 정보의 집합을 말하며, 유전체 정보은행인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CBI)등에서 제공하는 유전자 정보를 말한다. 특히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기존의 차세대 시퀀서보다 시퀀싱 길이가 더 긴 서열을 효과적으로 종폭할 수 있어, 종래유전자 데이터 베이스상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어류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a)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약 670 내지 680bp의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어,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MiSeq 플랫폼보다 더 긴 서열을 증폭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종래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어란의 채집과 DNA 추출
산란, 부화된 난자치어(Eggs and Larvae)를 분류 또는 분석하기 위하여, 어란등이 포함된 플랑크톤 샘플을 채집하고, DNA를 추출하였다.
남부해역을 선정하고(도 1), CTD(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를 통하여 정점의 수온, 염분 등 해수의 특징을 관측하였다. 그 후, 봉고 네트(330㎛)를 이용하여 어란이 혼재되어있는 플랑크톤을 채집한 후 알코올로 고정하였다. 상기 채집된 샘플은 육안 관찰용과 DNA 분석용으로 나눈 뒤, 생물체량(g)을 측정하였다. 그 후, DNA 분석용 샘플을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뒤, DNA를 추출하였다.
실시예 2.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 제작
어류의 종을 분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였다.
2-1. 어류분석용 프라이머 제작
비교하는 서열이 길면 길수록 더 많은 종, 혹은 개체군의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에 본 프라이머의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첫번째 요소는 Illumina Miseq sequencer를 이용한 최대의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다. Miseq 분석 시스템의 최대 판독 서열은 600 bp (300 + 300)이기 때문에, 약 300~600 bp로 증폭하는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보존 영역을 찾았다. 구체적으로, 전장 12S rDNA와 16S rDNA 유전자의 1,808개 핵산 시퀀스를 범용 프라이머로 디자인하기 위해 배열하였다. 상기 시퀀스 데이터를 이용한 어류 1,808 종에 디자인된 범용 프라이머는 어류의 분류학적 위치 및 종을 분류하기에 충분한 매우 가변적인 12S rDNA와 16S rDNA 증폭하도록 디자인하였으며(도 2), 어류 1,808 종을 대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영역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디자인된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서열번호 1 내지 3)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1 및 2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350 내지 600bp를 증폭할 수 있어, Miseq 플랫폼에 최적화된 사이즈로 증폭시키며, 서열번호 2 및 3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특히 670 내지 680bp의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어 Miseq 플랫폼보다 더 긴 서열의 유전자 증폭이 가능하다.
Primer Name 서열번호 Sequences 5'-3'
정방향 서열번호 1 ACAYACCGCCCGTCACYCTC
역방향 서열번호 2 CATGATGCAAAAGGTACRRG
정방향 서열번호 3 CCMYCTAGAGGAGCCTGTYCTRDAA
실시예 3.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DNA 증폭 및 어류 분석을 위한 라이브러리 및 어류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어류의 DNA를 증폭한 후 각 DNA 라이브러리 및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를 제작하였다.
3-1.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어류의 DNA 증폭
증폭은 서열번호 1, 2로 각각 표시되는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CR 반응액은 1μg의 채취한 어류의 DNA 샘플, 2μl의 F1(서열번호 1) 및 R1(서열번호 2) 프라이머(200pM), 4μl의 dNTPs (10 mM), 0.4μl의 Ex Taq Hot Start Version (2U)(Takara Bio Inc. Japan) 및 4μl의 10X buffer를 혼합하여 총 40μl으로 맞추어 이용하였다. PCR은 총 20회 반복하고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초기 변성(initial denaturation)은 94℃에서 3분; 변성은 94℃에서 30초, 48℃에서 30초, 72℃에서 30초씩 20회 반복 수행; 최종 연장은 72℃에서 3분간 수행. PCR 산물은 AccuPrep® Gel Purification Kit(Bioneer, Republic of Korea)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20μl의 용해 버퍼로 용해하였다.
그 후, 전기영동 장치를 이용하여 PCR 산물의 사이즈를 선별하여 PCR 과정 중 변성 단계에서 생긴 비 표적 유전자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예상되는 사이즈(약 350-600 bp)를 포함하는 증폭 산물(Amplicons)을 an AccuPrep® Gel Purification Kit(Bioneer, Republic of Korea)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그 후 정제된 증폭 산물은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USA)을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하였다.
3-2. DNA 라이브러리 구축 및 Illumina Miseq seruencer를 이용한 서열 분석
DNA 라이브러리는 Nextera XT index kit (Illumina, USA)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1의 어류 DNA(약 350-600bp)를 포함하는 증폭 산물(Amplicons)을 주형으로 하여 Nextera XT indexing primer(N7XX 1ul, S5XX 1ul)를 사용하였다. 이후,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라이브러리 정량을 확인하였고, 시퀀싱은 Illumina Miseq (2 * 300 bp pair-ends)을 이용하여 어류의 DNA 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3-3. DNA 데이터 베이스 제작 및 서열 분석
DNA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증폭은 서열번호 2 및 3으로 각각 표시되는 역방향 및 정방향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CR 반응액은 1μg의 채취한 어류의 DNA 샘플 및 2μl의 F2(서열번호 3) 및 R1(서열번호 2)을 이용하여 실시예 3-1과 동일한 조건으로 어류의 DNA를 증폭하고, 정제된 증폭 산물을 분석하였고, 라이브러리 제작용 프라이머로 구축한 표 1의 1808 종 외에 서열번호 2 및 3으로 각각 표시되는 역방향 및 정방향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확보한 어류 데이터베이스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연번 종명 연번 종명
1 Apogon lineatus 31 Muraenesox cinereus
2 Foetorepus altivelis 32 Bembras japonica
3 Gymnocanthus herzensteini 33 Neoditrema ransonnetii
4 Hemilepidotus gilberti 34 Setipinna tenuifilis
5 Lagocephalus wheeleri 35 Coelorinchus multispinulosus
6 Sarda orientalis 36 Hoplobrotula armata
7 Uraspis helvola 37 Maurolicus muelleri
8 Zoarces elongatus 38 Parascolopsis inermis
9 Acanthogobius flavimanus 39 Inimicus japonicus
10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40 Narke dipterygia
11 Chelidonichthys kumu 41 Chaetodon modestus
12 Cleisthenes herzensteini 42 Uranoscopus japonicus
13 Dexistes rikuzenius 43 Cociella crocodila
14 Hapalogenys mucronatus 44 Erisphex pottii
15 Lepidotrigla alata 45 Scorpaena onaria
16 Pennahia argentata 46 Cynoglossus robustus
17 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 47 Paratrypauchen microcephalus
18 Pterois lunulata 48 Sphyraena pinguis
19 Saurida wanieso 49 Urolophus aurantiacus
20 Scyliorhinus torazame 50 Neobythites sivicola
21 Anisarchus medius 51 Uranoscopus bicinctus
22 Dasycottus setiger
23 Stichaeus nozawae
24 Hemitripterus villosus
25 Glyptocephalus stelleri
26 Lutjanus ophuysenii
27 Tanakius kitaharae
28 Blepsias cirrhosus
29 Platycephalus indicus
30 Niphon spinosus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열번호 2 및 3으로 각각 표시되는 역방향 및 정방향 프라이머을 이용하면 종래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았던 어류 30종을 추가로 염기서열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서열번호 2 및 3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새로운 어류 종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어류분석 결과
4-1. 데이터 분석을 통한 어류의 분류
상기 실시예 3에서 Illumina Miseq sequencer를 이용하여 얻은 데이터 중 어댑터/인덱스 및 QV = 20 서열은 CLC Genomics Workbench v8.0(CLC Bio, USA)를 이용하여 잘라내었다(도 4). Mothur software package v1.35.0(Schloss, Westcott et al. 2009)을 이용하여 6 bp를 초과하는 오버랩핑(overlapping) 서열 및 2 bp 미만의 미스매치가 있을 시에만 정방향 및 역방향을 조립하였다. 조립된 콘디그(contig)는 pdiffs=0 옵션 조건으로 Mothur software package v1.35.0을 이용하여 잘라내었다. 본 연구에 의해 생성된 콘디그 간의 오버랩핑 서열은 약 350-600 bp이기 때문에, 현재의 데이터 프로세스에 대한 영역을 사용하였다. 그 후 프라이머 영역 부분을 제거하고 잘려진 서열에 대한 어류의 종 배열은 NCBI(GenBank)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BLASTn search (상동성 = 97%) 결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동성이 90% 미만인 BLASTn 검색 결과가 나타나면, 그 서열은 "unknown"로, 상동성이 90% 인 서열은 "-류"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를 도 5 내지 8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남부해역의 어류를 분석한 결과 상동성 97% 이상인 서열이 약 82여 종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샘플에서 동물플랑크톤 대비 어류(어류의 난자치어(Eggs and Larvae)를 포함하는 플랑크톤의 샘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은 hot spot 지역을 확인하였고, 이를 이용해 어류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효율적으로 샘플을 채집하여 어류를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샘플링 지역1에서 나타난 종 수는 unknown을 제외하고 총 17 종으로 멸치(Engraulis japonicas)- 21.18 %, 멸치류(Engraulis sp.)- 11.27 %, 꽁치류(Cololabis sp.)- 9.66 %, 샛멸(Glossanodon semifasciatus)- 7.53 %,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6.14 %, 볼락류(Sebastiscus sp.)- 4.84 %, 망치고등어(Scomber australasicus)- 4.04 %, 눈퉁멸(Etrumeus micropus)- 3.42 %, 넙치류(Microstomus sp.)-3.15 %,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2.83 %, 동가리류(Parapercis sp.)- 2.43 %, 황매퉁이류(Trachinocephalus sp.)- 2.43 %, 황아귀(Lophius litulon)- 1.93 %, 꼬리투라치(Trachipterus trachipterus)- 1.22 %, 정어리(Sardinops melanostictus)- 1.22 %, 까나리류(Ammodytes sp.)- 1.22 %, 용가자미(Hippoglossoides pinetorum)- 1.22 %로 확인하였다.
샘플링지역 2에서는 멸치(Engraulis japonicas)-14.29 %,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 10.76 %,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 9.37 %, 볼락류(Sebastiscus sp.)- 9.04 %, 도화망둑(Amblychaeturichthys hexanema)- 8.21 %, 멸치류(Engraulis sp.)- 7.80 %, 용서대(Cynoglossus abbreviates)- 6.11 %, 성대류(Lepidotrigla sp.)- 3.87 %,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3.37 %,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3.05 %, 황매퉁이류(Trachinocephalus sp.)- 2.31 %, 얼룩통구멍(Uranoscopus japonicas)- 2.31 %, 물가자미류(Eopsetta sp.)- 1.91 %, Leptoclinus sp. - 1.31 %, 망치고등어(Scomber japonicas)- 0.82 %, 방어류(Seriola sp.)- 0.82 %, 망둑류(Amblychaeturichthys sp.)- 2.47 %, Diaphus sp. - 0.82 %,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0.82 %, 줄비늘치류(Coelorinchus sp.)- 0.82 %, 도루묵(Arctoscopus japonicas)- 0.82 %, 까나리류(Ammodytes sp.)- 0.82 % 로 확인하였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류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형태적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유사종인 방어(Seriola lalandi)와 부시리(Seriola quinqueradiata)의 유전자형를 분석한 결과, 유전자 형은 총 4개로 부시리의 유전자형 1개와 방어의 유전자형 3개를 확인하였다. 또한, 부시리의 경우 샘플링 지역 중 3, 5 지역에 분포하며 방어는 1~9 모든 샘플링 지역에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지역에서의 방어 및 부시리의 비중을 확인하였다.
Speices /Group 1 2 3 4 5 6 7 8 9
Alcichthys alcicornis 0.95 0.50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8.21 3.33 12.59 1.64 15.00 3.38
Amblychaeturichthys sp . 2.47 3.61 7.01
Ammodytes personatus 6.14 3.37 4.46
Ammodytes sp . 1.22 0.82
Arctoscopus japonicus 0.82
Aulopus japonicus 3.48 6.22 2.45 1.63 5.31
Auxis rochei 0.79
Benthosema sp . 4.67 0.95 5.36 6.08
Callanthias japonicas 6.45 4.91 1.03
Callionymus enneactis 1.12
Choerodon azurio 1.15
Cociella crocodile 0.59
Coelorinchus sp . 0.82 5.62
Cololabis sp . 9.66
Coryphaena hippurus 1.53 0.50
Cynoglossus abbreviatus 6.11 0.90 9.09
Cynoglossus robustus 3.01
Cypselurus sp . 4.48
Dasycottus setiger 1.50
Dasycottus sp . 1.80
Dexistes rikuzenius 2.67
Diaphus sp . 0.82 5.55 1.90 8.15 1.98
Engraulis japonicus 21.18 14.29 15.83 16.38 7.81 16.55 9.88 16.16 9.01
Engraulis sp . 11.27 7.80 8.55 7.19 1.96 6.36 4.65 16.62 5.00
Eopsetta grigorjewi 9.37 0.50
Eopsetta sp . 1.91
Erisphex pottii 0.50
Etrumeus micropus 3.42 2.78 1.99 2.96
Glossanodon semifasciatus 7.53
Gymnocanthus herzensteini 2.53 1.63
Hexagrammos sp . 2.33
Hippoglossoides pinetorum 1.22
Hoplobrotula armata 0.59 2.20 2.72
Istiophorus sp . 2.05
Lagocephalus gloveri 0.99
Lepidotrigla guentheri 0.59
Lepidotrigla sp . 3.87 4.30 0.71
Leptoclinus sp . 1.31
Liparis tanakae 2.85
Lophius litulon 1.93 4.46
Microstomus sp . 3.15
Muraenesox cinereus                 1.39
Myctophum asperum 2.99 2.26 8.54 9.04 0.71 4.18
Myctophum sp . 2.25
Niphon spinosus 0.95 2.66
Pagrus sp . 3.25 5.82
Pampus argenteus 3.28
Paralichthys olivaceus 3.05
Parapercis multifasciata 1.54 1.53
Parapercis sp . 2.43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3.08
Sardinops melanostictus 1.22
Saurida elongate 1.50
Scomber australasicus 4.04 10.34 2.45 6.75 3.82
Scomber japonicus 0.82 4.13 3.60
Scopelosaurus sp . 4.77
Scyliorhinus torazame 0.95
Sebastes inermis 0.50
Sebastes sp . 1.80 5.81 9.90
Sebastes steindachneri 0.90
Sebastes thompsoni 11.38 8.54 2.45
Sebastes trivittatus 3.91 1.94
Sebastiscus marmoratus 10.76 3.33 12.26 4.67 1.50
Sebastiscus sp . 4.87 9.04 2.33 11.61
Seriola lalandi 8.86 4.07
Seriola quinqueradiata 2.83 0.82 3.33 0.97 8.93 2.20 7.25 1.03 7.48
Seriola sp . 0.82 3.69 1.42 3.19
Trachinocephalus sp . 2.43 2.31 4.02 2.73 1.37 5.78 11.15 2.66 0.79
Trachipterus trachipterus 1.22
Trachurus japonicus 2.45 8.94 5.28
Trachurus sp . 0.99
Trichiurus sp . 5.72 6.69 5.97
Unknown 14.26 8.05 3.60 6.69 8.54 5.91 10.41 12.76 6.86
Upeneus japonicus 1.43 7.17
Upeneus sp . 3.47
Uranoscopus bicinctus 0.50
Uranoscopus japonicas 2.31 1.80
Uraspis helvola 0.50
Urolophus aurantiacus 1.90
Ventrifossa garmani 4.40
Zoarces gillii 0.5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OTU수 18 23 22 16 24 26 19 15 33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바다에 존재하는 매우 다양한 종의 어류를 한꺼번에 효과적으로 증폭할 수 있으므로, 증폭산물분석을 통해 특정 해역에 존재하는 어종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이를 분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심대상 지역의 어종 분포까지 확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0>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120> The primer set for identification of fish and methods for thei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130> 1-46P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ward primer sequence <400> 1 acayaccgcc cgtcacyct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400> 2 catgatgcaa aaggtacrrg 20 <210> 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for making gene data base <400> 3 ccmyctagag gagcctgtyc trdaa 25

Claims (13)

  1.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조성물로, 상기 어류 분석은 어류의 종류, 어류의 비율, 및 어류의 분포지역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어류 분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어류의 12S rDNA 및 16S rDNA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분석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300 내지 600bp의 PCR 산물을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분석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1500 내지 2000종 어류의 유전자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분석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하기 표 1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분석용 조성물.
    [표 1]
    Figure 112018094456810-pat00001

    Figure 112018094456810-pat00002

    Figure 112018094456810-pat00003

    Figure 112018094456810-pat00004

    Figure 112018094456810-pat00005

    Figure 112018094456810-pat00006

    Figure 112018094456810-pat00007

    Figure 112018094456810-pat00008

    Figure 112018094456810-pat00009

    Figure 112018094456810-pat00010

    Figure 112018094456810-pat00011

    Figure 112018094456810-pat00012

    Figure 112018094456810-pat00013

    Figure 112018094456810-pat00014

    Figure 112018094456810-pat00015

    Figure 112018094456810-pat00016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키트로, 상기 어류 분석은 어류의 종류, 어류의 비율, 및 어류의 분포지역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어류 분석용 키트.
  8. (a) 어류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b)의 증폭 산물에 대한 서열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어류의 종류, 어류의 비율, 및 어류의 분포지역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분석하는 어류 분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분석은 차세대 시퀀서(Next Generation Sequencer, NGS)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분석 방법.
  10.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용 조성물로, 상기 어류 분석은 어류의 종류, 어류의 비율, 및 어류의 분포지역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용 조성물.
  11. (a) 어류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a)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 방법으로, 상기 어류 분석은 어류의 종류, 어류의 비율, 및 어류의 분포지역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어류 분석용 유전자 라이브러리 제작 방법.
  12.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어류의 종류, 어류의 비율, 및 어류의 분포지역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분석하는 어류 분석을 위한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용 조성물.
  13. (a) 어류의 DNA를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a)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분석용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 방법으로, 상기 어류 분석은 어류의 종류, 어류의 비율, 및 어류의 분포지역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어류 분석용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 제작 방법.
KR1020180113492A 2018-09-21 2018-09-21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 방법 KR102018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492A KR102018798B1 (ko) 2018-09-21 2018-09-21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492A KR102018798B1 (ko) 2018-09-21 2018-09-21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798B1 true KR102018798B1 (ko) 2019-09-05

Family

ID=6794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492A KR102018798B1 (ko) 2018-09-21 2018-09-21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79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2239A (zh) * 2019-10-22 2019-12-20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基于Cyt b基因鉴别犬牙南极鱼的引物和探针以及方法
CN110607377A (zh) * 2019-10-22 2019-12-24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基于16S rRNA基因鉴别犬牙南极鱼的引物和探针以及方法
KR102168820B1 (ko) * 2020-04-06 2020-10-22 대한민국 참복속 어종 판별용 유전자 마커 및 판별방법
CN112029843A (zh) * 2020-09-18 2020-12-04 广东海洋大学 一种鉴定金钱鱼遗传性别的特异性分子标记及其引物和应用
KR20210155712A (ko) * 2020-06-16 2021-12-23 아쿠아진텍주식회사 어류의 dna 바코딩과 메타바코딩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16s 리보솜 rna 유전자의 pcr 증폭반응을 수행하고 dna 염기서열을 해독하기 위한 신규 프라이머 세트 및 어댑터
CN113981107A (zh) * 2021-11-16 2022-01-28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用于检测黄鳍棘鲷环境dna的引物组合及其应用
CN114058713A (zh) * 2021-11-30 2022-02-18 淮阴师范学院 乌苏里拟鲿y染色体序列的获取方法
KR20220064205A (ko) 2020-11-11 2022-05-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경 dna 조사방법을 이용한 도시 생물종 검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240055235A (ko) 2022-10-19 2024-04-29 국립생태원 꾸구리 종 식별용 pcr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pcr 방법
KR20240055233A (ko) 2022-10-19 2024-04-29 국립생태원 모래주사 종 식별용 pcr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pcr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624A (ko) * 2006-08-04 2008-02-12 (주)지노첵 홍어과 또는 가오리류에 속하는 어류의 분류체계 결정 방법과 이와 관련된 폴리뉴클레오티드 프로브, dna 칩 및 키트
KR20090069898A (ko) * 2007-12-26 2009-07-01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넙치 미세위성마커를 이용한 개체식별 및 친자확인 방법
KR20110092892A (ko) * 2010-02-10 2011-08-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담수어류 종 판별용 프로브 및 디엔에이 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624A (ko) * 2006-08-04 2008-02-12 (주)지노첵 홍어과 또는 가오리류에 속하는 어류의 분류체계 결정 방법과 이와 관련된 폴리뉴클레오티드 프로브, dna 칩 및 키트
KR20090069898A (ko) * 2007-12-26 2009-07-01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넙치 미세위성마커를 이용한 개체식별 및 친자확인 방법
KR20110092892A (ko) * 2010-02-10 2011-08-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담수어류 종 판별용 프로브 및 디엔에이 칩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2239A (zh) * 2019-10-22 2019-12-20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基于Cyt b基因鉴别犬牙南极鱼的引物和探针以及方法
CN110607377A (zh) * 2019-10-22 2019-12-24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基于16S rRNA基因鉴别犬牙南极鱼的引物和探针以及方法
KR102168820B1 (ko) * 2020-04-06 2020-10-22 대한민국 참복속 어종 판별용 유전자 마커 및 판별방법
KR20210155712A (ko) * 2020-06-16 2021-12-23 아쿠아진텍주식회사 어류의 dna 바코딩과 메타바코딩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16s 리보솜 rna 유전자의 pcr 증폭반응을 수행하고 dna 염기서열을 해독하기 위한 신규 프라이머 세트 및 어댑터
KR102367357B1 (ko) 2020-06-16 2022-02-24 아쿠아진텍주식회사 어류의 dna 바코딩과 메타바코딩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16s 리보솜 rna 유전자의 pcr 증폭반응을 수행하고 dna 염기서열을 해독하기 위한 신규 프라이머 세트 및 어댑터
CN112029843A (zh) * 2020-09-18 2020-12-04 广东海洋大学 一种鉴定金钱鱼遗传性别的特异性分子标记及其引物和应用
KR20220064205A (ko) 2020-11-11 2022-05-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경 dna 조사방법을 이용한 도시 생물종 검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N113981107A (zh) * 2021-11-16 2022-01-28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用于检测黄鳍棘鲷环境dna的引物组合及其应用
CN114058713A (zh) * 2021-11-30 2022-02-18 淮阴师范学院 乌苏里拟鲿y染色体序列的获取方法
CN114058713B (zh) * 2021-11-30 2023-09-01 淮阴师范学院 乌苏里拟鲿y染色体序列的获取方法
KR20240055235A (ko) 2022-10-19 2024-04-29 국립생태원 꾸구리 종 식별용 pcr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pcr 방법
KR20240055233A (ko) 2022-10-19 2024-04-29 국립생태원 모래주사 종 식별용 pcr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pcr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798B1 (ko) 어류 분류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 방법
Yamanoue et al. The mitochondrial genome of spotted green pufferfish Tetraodon nigroviridis (Teleostei: Tetraodontiformes) and divergence time estimation among model organisms in fishes
Zardoya et al. Evolutionary conservation of microsatellite flanking regions and their use in resolving the phylogeny of cichlid fishes (Pisces: Perciformes)
Kocher et al. Dynamics of mitochondrial DNA evolution in animals: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with conserved primers.
Martin et al. The enigmatic Marmorkrebs (marbled crayfish) is the parthenogenetic form of Procambarus fallax (Hagen, 1870)
Adamkewicz et al.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bivalve mollusks.
Saunders et al. Methods for DNA barcoding photosynthetic protists emphasizing the macroalgae and diatoms
Reimer et al. Reconsidering Zoanthus spp. diversity: molecular evidence of conspecifity within four previously presumed species
Diop et al. Genetic characterization of Moniezia species in Senegal and Ethiopia
Litaker et al.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Pfiesteria piscicida, Cryptoperidiniopsoid sp. Amyloodinoum ocellatum and a Pfiesteria‐like dinoflagellate to other dinoflagellates and apicomplexans
Harasewych et al. Phylogeny and relationships of pleurotomariid gastropods (Mollusca: Gastropoda): an assessment based on partial 18S rDNA and cytochrome c oxidase I sequences
Liu et al. Identification of Bactrocera invadens (Diptera: Tephritidae) from Burundi,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barcode
Huston et al. Molecular characterisation of acanthocephalans from Australian marine teleosts: proposal of a new family, synonymy of another and transfer of taxa between orders
Kutty et al. Next-Generation identification tools for Nee Soon freshwater swamp forest, Singapore
Ishikura et al. Isolation of new Symbiodinium strains from tridacnid giant clam (Tridacna crocea) and sea slug (Pteraeolidia ianthina) using culture medium containing giant clam tissue homogenate
Øines et al. Identification of sea louse species of the genus Caligus using mtDNA
Abdigoudarzi et al. rDNA-ITS2 Identification of Hyalomma, Rhipicephalus, Dermacentor and Boophilus spp.(Acari: Ixodidae) collected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of Iran
Guo et al. Identification of the forensically important sarcophagid flies Boerttcherisca peregrina, Parasarcophaga albiceps and Parasarcophaga dux (Diptera: Sarcophagidae) based on COII gene in China.
Atkinson et al. Genotyping of individual Ceratonova shasta (Cnidaria: Myxosporea) myxospores reveals intra-spore ITS-1 variation and invalidates the distinction of genotypes II and III
Kunihiro et al. Phylogenetic analyses of Symbiodinium isolated from Waminoa and their anthozoan hosts in the Ryukyu Archipelago, southern Japan
Yang et al. A blind testing design for authenticating ancient DNA sequences
Nylund et al. Parvicapsula pseudobranchicola (Myxosporea) in farmed Atlantic salmon Salmo salar: tissue distribution, diagnosis and phylogeny
KR101849993B1 (ko) 동물성 플랑크톤 분류군 분석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분석 방법
Chullasorn et al. Description of Tisbe alaskensis sp. nov.(Crustacea: Copepoda) combining structural and molecular traits
Hornok et al. Phylogenetic analyses of Ixodes rugicollis with notes on its morphology in comparison with Ixodes cornu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