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508B1 - 휴지통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지통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508B1
KR102018508B1 KR1020180007798A KR20180007798A KR102018508B1 KR 102018508 B1 KR102018508 B1 KR 102018508B1 KR 1020180007798 A KR1020180007798 A KR 1020180007798A KR 20180007798 A KR20180007798 A KR 20180007798A KR 102018508 B1 KR102018508 B1 KR 10201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frame
sliding
clo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380A (ko
Inventor
장광옥
Original Assignee
장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옥 filed Critical 장광옥
Priority to KR102018000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508B1/ko
Priority to JP2018034989A priority patent/JP6596524B2/ja
Priority to CN201810383565.0A priority patent/CN110065744B/zh
Publication of KR2019008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채 소정공간을 제공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휴지통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립되거나, 회동하여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와 단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도복되는 휴지통 개폐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는 상기 외측프레임에 고정된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외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된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의 크기 보다 작은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2 개폐부를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개폐부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동한다.

Description

휴지통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a garbage box}
본 발명은 휴지통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지통의 개구를 이중으로 폐쇄하는 휴지통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이나 세면장 기타 공공장소 등과 같은 장소에는 청결과 위생상의 목적으로 휴지통을 비취 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비취 된 휴지통은 대부분 뚜껑과 통으로 구성되거나 뚜껑이 없는 단순한 휴지통으로 구성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즉, 뚜껑과 통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휴지통 공개실용신안(20-2010-0012512)은 뚜껑에 회전방식을 이용하여 휴지를 버릴 때 뚜껑 일측 면을 누르면서 휴지를 버릴 수 있도록 형성된 것과, 뚜껑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휴지를 버릴 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으며, 때로는 뚜껑이 없는 휴지통은 단순히 휴지를 버릴 수 있도록 한 것이 일반적인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뚜껑과 통으로 형성된 휴지통 뚜껑은 화장실이나 세면장 등과 같은 곳에서 대변 등과 같은 오물이나 침과 가래 등과 같은 오물이 묻은 휴지를 버리고 난 후, 오물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가 뚜껑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각종 해충에 노출되어 미관을 흐리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휴지통의 수용공간과 외부가 단일의 뚜껑으로 형성되어 뚜껑이 휴지통의 프레임에 제대로 조립되지 않거나 뚜껑이 프레임에 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제대로 조립되거나 위치하였다고 하더라도 수용공간에 수용된 각종 오물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는 단일의 뚜껑을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일쑤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지통의 개구가 외부로부터 2중으로 차단되어 쓰레기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 등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하는 휴지통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채 소정공간을 제공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휴지통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립되거나, 회동하여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와 단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도복되는 휴지통 개폐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는 상기 외측프레임에 고정된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외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된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의 크기 보다 작은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2 개폐부를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개폐부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동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2 개폐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2 개폐부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개폐부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개폐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개폐부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 채, 상기 슬라이딩부가 이동되는 경로를 규정하는 경로부; 및 상기 경로부 중 상기 제1 개폐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경로부에 수용된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경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경로부에 비하여 큰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경로부의 길이방향 단부측에 상기 경로부에 비하여 큰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폐부의 기립 시 상기 슬라이딩부의 최대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상기 이동제한부에 인접한 위치에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분리 유도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개폐부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경로부에 수용된 채 상기 경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개폐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한 쌍으로 고정부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2 개폐부의 회동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 이동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2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은, 상기 제2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개폐부에 의해 은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지통의 개구가 외부로부터 2중으로 차단되어 쓰레기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 등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휴지통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오물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가 뚜껑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오물 등에 의한 해충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다.
또한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의 분리가 용이하여 청결 유지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지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제1 개폐부 및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개폐부 및 연결부(슬라이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및 휴지통 개폐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지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1)(이하, 개폐장치(1))는 프레임(P)에 의해 소정공간이 형성된 휴지통에 장착된다. 개폐장치(1)는 소정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프레임(P)을 기준으로 기립되거나 소정공간이 외부와 단절되도록 프레임(P)을 기준으로 도복된다. 여기서, 개폐장치(1)는 일종의 뚜껑으로 기능한다.
프레임(P)은 외측프레임(P1)과 내측프레임(P2)으로 구성된다. 외측프레임(P1)은 휴지통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프레임(P2)은 외측프레임(P1)의 내측에 수용되어 소정공간(Q)을 제공하며 소정공간(Q)에는 사용자가 수용하고자 하는 특정 물건 일례로, 휴지 또는 쓰레기 등이 수용된다.
개폐장치(1)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폐되며 별도의 개폐보조장치에 의해 개폐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개폐장치(1)를 회동시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개폐장치(1)의 회동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1)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소정공간(Q)은 1차적으로 제2 개폐부(20)에 의해 폐쇄되고, 2차적으로 제2 개폐부(20)를 커버하는 제1 개폐부(10)에 의해 은닉된다. 이로 인해, 소정공간(Q)에 수용된 쓰레기 등은 제2 개폐부(20) 및 제1 개폐부(10)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되므로, 쓰레기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 등은 제2 개폐부(20) 및 제1 개폐부(10)에 의해 이중으로 차단되어 외부로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개폐장치(1)는 소정공간(Q)에 수용된 물질과 외부와의 단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중 뚜껑인 셈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제1 개폐부 및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개폐부 및 연결부(슬라이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개폐장치(1)는 제1 개폐부(10), 제2 개폐부(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제1 개폐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P1)에 고정된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외측프레임(P1)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H1)를 개폐한다. 외측프레임(P1)은 원기둥, 각기둥 또는 원과 각이 혼합된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과 맞닿는 면은 밀폐되어 있고, 상측면은 개방되어 제1 개구(H1)를 형성한 입체구조물이다. 제1 개폐부(10)는 제1 고정회동축(S1)에 연결된 상태로 회동되어 제1 개구(H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거나 제1 개구(H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다.
제2 개폐부(20)는 내측프레임(P2)에 고정된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내측프레임(P2)에 의해 형성된 제2 개구(H2)를 개폐한다. 여기서, 제2 개구(H2)는 제1 개구(H1)보다 작다. 내측프레임(P2)은 원기둥, 각기둥 또는 원과 각이 혼합된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프레임(P1)의 내측에 위치한 채 소정공간(Q)을 형성한다 내측프레임(P2)의 형상은 외측프레임(P1)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부(20)는 제2 고정회동축(S2)에 연결된 상태로 회동되어 제2 개구(H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거나 제2 개구(H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다.
연결부(30)는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를 연결하며 제1 개폐부(10)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제1 개폐부(10)와 연동되어 제2 개폐부(20)를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제2 개폐부(20)의 회동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제1 개폐부(10)의 회동과 동시에 구현된다.
즉, 제2 개폐부(20)는 연결부(30)를 통하여 제1 개폐부(1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개폐부(10)에 의해 제1 개구(H1)가 폐쇄되는 경우 제1 개폐부(10)와 함께 회동하게 된다. 제1 개구(H1)를 폐쇄 또는 개방하기 위한 외력은 제1 개폐부(10)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인가된 외력에 회동되는 제1 개폐부(10)에 의해 제2 개폐부(20)는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회동축(S1)과 제2 고정회동축(S2)은 이격되어 배치되되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가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양자의 회동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연결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부(10)에 장착되는 가이드부(3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부(20)에 장착되어 가이드부(3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4)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2)는 경로부(323) 및 이탈방지부(325)를 구비한다. 경로부(323)는 제1 개폐부(10)의 일측면, 일반적으로는 저면에 장착된다. 이 때 제1 개폐부(10)의 일측면은 제1 개폐부(10)가 제1 개구(H1)를 패쇄하는 경우 제1 개구(H1)와 대향하는 면이다.
경로부(323)는 제1 개폐부(10)에 고정되고 슬라이딩부(34)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 채, 슬라이딩부(34)가 이동되는 경로를 규정한다. 즉, 슬라이딩부(34)는 경로부(323)에 의해 규정된 한정된 경로를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경로부(323)는 제1 개폐부(10)의 일측단으로부터 제1 개폐부(1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 선형의 구조물이다.
이탈방지부(325)는 경로부(323)의 끝단, 즉, 제1 개폐부(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경로부(323)에 수용된 슬라이딩부(34)가 경로부(3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딩부(34)는 경로부(323) 및 이탈방지부(325)에 의해 규정된 공간에 수용된 채, 경로부(323)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부(34)는 제2 개폐부(2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부(341) 및 고정부(341)로부터 연결되며 경로부(323)에 수용된 채 경로부(323)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접촉부(343)를 구비한다.
고정부(341)는 제2 개폐부(20)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이 때 제2 개폐부(20)의 일측면이란 제2 개폐부(20)가 제2 개구(H2)를 패쇄하는 경우 제2 개구(H2)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즉, 제1 개폐부(10)와 대향하는 면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상술한 각 구성요소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제1 개폐부(10)가 제1 개구(H1)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2 개폐부(20)는 제1 개폐부(10)와 프레임(P)에 의해 은닉된 상태가 된다. 물론, 제2 개구(H2) 또한 제1 개폐부(10)에 의해 은닉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2 개폐부(20)는 제1 개폐부(10)와 외측프레임(P1)의 내측 공간에서 제2 개구(H2)를 폐쇄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제1 개폐부(10)는 외측프레임(P1)과 접촉된 상태가 되며, 제2 개폐부(20)는 내측프레임(P2)과 접촉된 상태가 된다. 즉, 개폐장치(1)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내부 공간은 1차적으로 제2 개폐부(20)에 의해 폐쇄되고, 2차적으로 제2 개폐부(20)를 폐쇄하는 제1 개폐부(10)에 의해 은닉된다. 이로 인해, 내부 공간에 수용된 쓰레기 등은 제2 개폐부(20) 및 제1 개폐부(10)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되므로, 쓰레기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 등은 이중 차단구조로 인하여 외부로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외력에 의해 제1 개폐부(10)가 외측프레임(P1)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개구(H1)가 외부로 노출되는 과정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개폐부(10)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외측프레임(P1)과 이격되기 시작하면, 제1 개구(H1)가 외부로 노출되기 시작하며, 이 때, 경로부(323)에 수용된 제2 개폐부(20)의 접촉부(343)는 경로부(323)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제2 개폐부(20)는 제1 개폐부(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만약 제2 개폐부(20)가 제1 개폐부(10)의 특정위치에 고정된다면,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가 동시에 회동되는 중에 일정 각도에서 제2 개폐부(20)가 제1 개폐부(10)의 회동을 간섭 또는 제한하여 제1 개폐부(10)의 회동이 구현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폐장치(1)는 제2 개폐부(20)와 제1 개폐부(10)의 연결부(30)분이 이동되도록 하여 제2 개폐부(20)가 제1 개폐부(1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개폐부(10)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제2 개폐부(20)의 접촉부(343)는 경로부(323)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여기서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이란 경로부(323)의 경로 중, 제1 개폐부(10)의 중심을 향한 방향이다. 이로 인해,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의 연결부(30)분은 제1 개폐부(1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제1 개폐부(10)의 회동은 제2 개폐부(20)에 의해 간섭 또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 제2 개폐부(20)는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내측프레임(P2)과 이격되며 제2 개폐부(20)에 의해 폐쇄되었던 소정공간(Q)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부(10)의 프레임(P)에 대한 기립이 완료되면, 제2 개폐부(20)의 내측프레임(P2)에 대한 기립도 완료된다.
이 때, 제2 개폐부(20)의 접촉부(343)는 경로부(323)에 의해 규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이다. 즉, 접촉부(343)가 경로부(323)의 타측단까지 슬라이딩되어 더 이상 위치 이동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제2 개폐부(20) 및 제1 개폐부(10)의 회동은 완료될 수 있다.
이상 제1 개폐부(10)의 외측프레임(P1)에 대한 기립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였으며, 제1 개폐부(10)의 외측프레임(P1)에 대한 도복과정은 이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의 중심축으롭부터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슬라이딩부와 가이드부의 위치를 상호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제2 개폐부(20)의 회동과 가이드부(32) 즉, 경로부(323)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4) 접촉부(343)의 위치 이동은 동시에 구현된다.
또한,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제1 개폐부(10)와 외측프레임(P1)이 형성하는 제1 각도와 제2 개폐부(20)와 내측프레임(P2)이 형성하는 제2 각도는 상이하며, 제1 각도는 제2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제1 개폐부(10)와 외측프레임(P1)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은 제2 개폐부(20)와 내측프레임(P2)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과 상이하며, 제1 개폐부(10)와 외측프레임(P1)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이 제2 개폐부(20)와 내측프레임(P2)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보다 작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2)는, 경로부(323)의 길이방향 단부측에 경로부(323)에 비하여 큰 두께로 형성된 이동 제한부(327)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개폐부의 기립 시 슬라이딩부 중 접촉부(343)는 이동 제한부(327) 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이동 제한부(327)은 접촉부(323)의 최대 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부(343)가 이동 제한부(327)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를 용이하게 가이드부(3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분리 유도부(3251)를 형성할 수 있다.
분리 유도부(3251)는 이동제한부(327)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이탈방지부(325)에 비하여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 중 접촉부(323)가 이탈될 수 있는 일종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분리 유도부(3251)는 접촉부(323)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슬라이딩부가 가이드부(32)와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이탈 방지부(325) 및 접촉부(343)의 형상을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분리 유도부(3251)를 형성하지 않고도 약간의 힘을 더 가하여 상호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위와 같이 분리 유도부(3251)를 형성하여 분리가 더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T: 휴지통
P: 프레임
P1: 외측프레임
P2: 내측프레임
H1: 제1 개구
H2: 제2 개구
1: 휴지통 개폐장치
S1: 제1 고정회동축
S2: 제2 고정회동축
10: 제1 개폐부
20: 제2 개폐부
30: 연결부

Claims (14)

  1.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채 소정공간을 제공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휴지통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립되거나, 회동하여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와 단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도복되는 휴지통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에 고정된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외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된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의 크기 보다 작은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2 개폐부를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개폐부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동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2 개폐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2 개폐부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개폐부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개폐부에 구비되는 휴지통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개폐부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 채, 상기 슬라이딩부가 이동되는 경로를 규정하는 경로부; 및
    상기 경로부 중 상기 제1 개폐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경로부에 수용된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경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경로부에 비하여 큰 두께로 형성되는 휴지통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휴지통 개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경로부의 길이방향 단부측에 상기 경로부에 비하여 큰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폐부의 기립 시 상기 슬라이딩부의 최대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상기 이동제한부와 인접한 위치에,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분리 유도부;가 더 형성되는 휴지통 개폐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개폐부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경로부에 수용된 채 상기 경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개폐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한 쌍으로 고정부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는 휴지통 개폐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2 개폐부의 회동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 이동은 동시에 구현되는 휴지통 개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2 각도는 상이한 휴지통 개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은, 상기 제2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과 상이한 휴지통 개폐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개폐부에 의해 은닉되는 휴지통 개폐장치.
KR1020180007798A 2018-01-22 2018-01-22 휴지통 개폐장치 KR10201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798A KR102018508B1 (ko) 2018-01-22 2018-01-22 휴지통 개폐장치
JP2018034989A JP6596524B2 (ja) 2018-01-22 2018-02-28 ゴミ箱開閉装置
CN201810383565.0A CN110065744B (zh) 2018-01-22 2018-04-26 用于垃圾箱的双重型盖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798A KR102018508B1 (ko) 2018-01-22 2018-01-22 휴지통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380A KR20190089380A (ko) 2019-07-31
KR102018508B1 true KR102018508B1 (ko) 2019-09-05

Family

ID=6736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798A KR102018508B1 (ko) 2018-01-22 2018-01-22 휴지통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96524B2 (ko)
KR (1) KR102018508B1 (ko)
CN (1) CN1100657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4841B2 (en) 2020-12-18 2022-12-13 San Jamar, Inc. Collapsible trash bin assembl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4807A (en) 1995-08-18 1997-03-26 Archibald Morrison Wheeled refuse bin : lid support
CN2695409Y (zh) 2004-04-14 2005-04-27 李子银 双层互动密封式果皮箱
WO2007038393A1 (en) 2005-09-26 2007-04-05 Covidien Ag Multiple container cart with individual foot pedal/lid actuation
KR101036602B1 (ko) 2009-11-25 2011-05-24 오병주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076462B1 (ko) 2011-05-25 2011-10-25 박윤근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KR101362932B1 (ko) 2009-09-01 2014-03-04 주식회사 미랜 악취유출 방지와 결로 현상을 예방하는 음식물 처리기 뚜껑의 구조
KR101422997B1 (ko) 2013-04-10 2014-08-13 김은주 종량제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1766A (en) * 1928-11-28 1931-02-10 Scharf Morris Garbage-can container
KR900003137Y1 (ko) * 1987-11-02 1990-04-14 이상철 쓰레기통
JPH07136627A (ja) * 1993-11-19 1995-05-30 Hitachi Ltd 生ごみ処理機
DE29901643U1 (de) * 1999-02-02 2000-06-29 Winkens Andreas Behälter zum Sammeln von Müll o.dgl. vorzugsweise Biomüll
KR100698884B1 (ko) * 2006-08-19 2007-03-26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악취 유출 방지구조를 갖는 생활환경 쓰레기 수거함
KR20060133509A (ko) * 2006-11-24 2006-12-26 최덕호 이중커버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49681Y1 (ko) * 2008-08-01 2010-07-30 중재기업(주) 분리수거용 쓰레기함
KR20100006760U (ko) * 2008-12-24 2010-07-02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US8716969B2 (en) * 2010-03-13 2014-05-06 Simplehuman, Llc Trash can with power operated lid
KR200462972Y1 (ko) * 2011-08-30 2012-10-16 변고은 다기능 쓰레기통
KR20130044804A (ko) * 2011-10-25 2013-05-03 (주)에스디시스템 악취제거 및 살균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KR20140002455U (ko) * 2012-10-18 2014-04-29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쓰레기통
US8978917B2 (en) * 2013-06-30 2015-03-17 1908 Brands, Inc. Waste containment receptacle
KR20150117420A (ko) * 2014-04-10 2015-10-20 코웨이 주식회사 이중 덮개 구조를 가진 투입장치
CN205739000U (zh) * 2016-07-04 2016-11-30 陈政 脚踏式卫生垃圾桶
KR101875276B1 (ko) * 2016-07-25 2018-07-05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CN107472749A (zh) * 2017-06-14 2017-12-15 张雨淳 医用垃圾桶
CN107128626A (zh) * 2017-06-16 2017-09-05 李泉山 垃圾收集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4807A (en) 1995-08-18 1997-03-26 Archibald Morrison Wheeled refuse bin : lid support
CN2695409Y (zh) 2004-04-14 2005-04-27 李子银 双层互动密封式果皮箱
WO2007038393A1 (en) 2005-09-26 2007-04-05 Covidien Ag Multiple container cart with individual foot pedal/lid actuation
KR101362932B1 (ko) 2009-09-01 2014-03-04 주식회사 미랜 악취유출 방지와 결로 현상을 예방하는 음식물 처리기 뚜껑의 구조
KR101036602B1 (ko) 2009-11-25 2011-05-24 오병주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076462B1 (ko) 2011-05-25 2011-10-25 박윤근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KR101422997B1 (ko) 2013-04-10 2014-08-13 김은주 종량제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96524B2 (ja) 2019-10-23
CN110065744B (zh) 2022-04-08
KR20190089380A (ko) 2019-07-31
CN110065744A (zh) 2019-07-30
JP2019127393A (ja)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276B1 (ko) 휴지통 개폐장치
KR102018508B1 (ko) 휴지통 개폐장치
KR101615322B1 (ko) 압축 쓰레기통
KR101076462B1 (ko)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CN210654710U (zh) 一种可存放垃圾袋的垃圾桶
CA2762645A1 (en) Step trash can
KR200460648Y1 (ko) 쓰레기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통
KR200417407Y1 (ko) 쓰레기통
USD602221S1 (en) Trash can receptacle
KR101999223B1 (ko) 음식물 쓰레기통 커버
JP6851071B2 (ja) ペダル開閉式ごみ箱
CN210709007U (zh) 废卫生巾收纳盒
GB2471914A (en) Chewing gum dispenser and disposal container
US7832587B2 (en) Bin having a reversible flap
KR102394045B1 (ko) 개폐 메커니즘 및 이를 구비하는 쓰레기통
JP2896981B2 (ja) 足踏みペダル付きゴミ箱
KR200333697Y1 (ko) 발로 개/폐 동작되는 쓰레기통
KR101339038B1 (ko) 확장 전개구조를 갖는 쓰레기 투입커버
KR102306224B1 (ko) 쓰레기통
JP3082667U (ja) ごみ収集箱
KR20110087693A (ko) 쓰레기 압축하는 휴지통 뚜껑
KR1008281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101625142B1 (ko) 자동개폐 휴지통
JPH08268501A (ja) ゴミ箱装置
EP0716029B1 (en) Closure device for container with a hinged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