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462B1 -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462B1
KR101076462B1 KR1020110049453A KR20110049453A KR101076462B1 KR 101076462 B1 KR101076462 B1 KR 101076462B1 KR 1020110049453 A KR1020110049453 A KR 1020110049453A KR 20110049453 A KR20110049453 A KR 20110049453A KR 101076462 B1 KR101076462 B1 KR 10107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mall
small lid
hol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근
Original Assignee
박윤근
(주)지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근, (주)지앤티 filed Critical 박윤근
Priority to KR102011004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15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locking, fastening or permanently clos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큰뚜껑과, 이 큰 뚜껑에 설치되는 작은 뚜껑의 개방을 제어하는 제어 편이 더 구비되어 고양이 등이 작은 뚜껑을 개방하지 못하게 함과 더불어 큰 뚜껑의 회전 갱방 시 작은 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은 상면이 개방되고, 수용공간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큰 뚜껑; 상기 큰 뚜껑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공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작은 뚜껑;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은 뚜껑이 관통공을 폐쇄할 때 절곡부가 작은 뚜껑 상부에 위치하여 작은 뚜껑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편은 큰 뚜껑이 회전하여 작은 뚜껑이 뒤집어 질 때 작은 뚜껑이 열리지 아니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당김 조작 시 작은 뚜껑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a big dustbin having a dual lid}
본 발명은 큰 뚜껑과 작은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에 있어서 닫힌 작은 뚜껑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편이 구비된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나 집단 주거지에서 나오는 쓰레기는 배출량이 많아 다소 큰 용량의 쓰레기통으로 수거한다. 이러한 대형 쓰레기통은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며, 거주자에 의하여 그 내부로 쓰레기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대형 쓰레기통은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이 직육면체의 저부, 측벽들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에 쓰레기를 수납하게 되고 수납 개구에는 뚜껑이 덮혀져 있다. 상기 뚜껑은 통상적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나, 쓰레기통이 대형이기 때문에 뚜껑 역시 대형으로 이루어져 그 중량이 적지 아니하다.
따라서, 쓰레기를 주로 버리는 여성과, 노약자, 어린이 등은 쓰레기를 버리기가 용이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큰 뚜껑에 작은 뚜껑을 더 구비한 쓰레기통이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상기한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대형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할 때 큰 뚜껑을 회전 개방하면 작은 뚜껑이 고정되지 아니하여 흔들리는 문제점과, 고양이 등이 쉽게 작은 뚜껑을 개방하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닫힌 작은 뚜껑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편이 구비되어 작은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아니하도록 한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은 상면이 개방되고, 수용공간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큰 뚜껑; 상기 큰 뚜껑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공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작은 뚜껑;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은 뚜껑이 관통공을 폐쇄할 때 절곡부가 작은 뚜껑 상부에 위치하여 작은 뚜껑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편은 큰 뚜껑이 회전하여 작은 뚜껑이 뒤집어 질 때 작은 뚜껑이 열리지 아니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당김 조작 시 작은 뚜껑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축과, 이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일측면에 걸림돌기가 구비된 스톱퍼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 시 걸림돌기가 작은 뚜껑의 상부에 위치하여 작은 뚜껑을 잠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편은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이 플레이트는 스크류, 볼트, 양면 테이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큰 뚜껑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축이 돌출 형성되고, 이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일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일측이 절곡되어 "┏"자형으로 형성되고, 이 "┏"자형 수평부 저면에 회전 축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일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은 작은 뚜껑의 열림을 제어하는 제어 편이 구비되어 있어 큰 뚜껑을 뒤집어 본체에 담긴 쓰레기를 비울 때 작은 뚜껑이 개방되지 아니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 편 일측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이 회전축에 걸림돌기가 구비된 스톱퍼가 더 설치되어 작은 뚜껑을 잠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 편에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이 플레이트는 스크류, 볼트,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큰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편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제어편의 탄성이 떨어질 때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축이 플레이트에 형성됨으로써 스톱퍼의 손상 또는 파손 시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제어 편에 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회전축과,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회전축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일 실시 예이고,
도 7은 회전축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다른 실시 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제어 편에 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회전축과,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회전축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일 실시 예이고, 도 7은 회전축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다른 실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큰 뚜껑(20)과, 작은 뚜껑(30) 및 제어 편(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사각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수용공간(11)에 쓰레기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바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큰 뚜껑(20)은 상기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면이 개방되도록 관통공(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은 후술할 작은 뚜껑(3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며,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관통공(21)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은 뚜껑(30)은 상기 큰 뚜껑(2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큰 뚜껑(20)에 형성된 관통공(21)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1)이 복 수개 형성되면, 작은 뚜껑(30) 역시 동일한 갯 수만큼 큰 뚜껑(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선단 상부에 손잡이(31)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 편(4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절곡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은 뚜껑(30)이 관통공(21)을 폐쇄할 때 절곡부(41)가 작은 뚜껑(30) 상부에 위치하여 작은 뚜껑(30)의 회전을 제어한다.
즉, 작은 뚜껑(30)이 닫힐 때 작은 뚜껑(30)의 일부와 절곡부(41) 일부가 접촉을 하게 되고, 이때,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어 편(40)은 일측으로 밀리게 되어 작은 뚜껑(30)이 관통공(21)을 폐쇄하게 하며, 밀린 제어 편(40)은 원 상태로 복원하게 되어 절곡부(41) 일부가 작은 뚜껑(30)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작은 뚜껑(30)의 개방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편(40)은 큰 뚜껑(20)이 뒤집어 질 때 작은 뚜껑(30)이 자중에 의해 개방되지 아니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 시 작은 뚜껑(30)이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 편(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수평으로 플레이트(42)가 더 구비되며, 이 플레이트(42)는 스크류(43), 볼트(미도시함), 양면테이프(미도시함)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해 큰 뚜껑(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어 편(40)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편(40)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축(45)과, 이 회전 축(4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일측면에 걸림돌기(46)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스톱퍼(47)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 시 걸림돌기(46)가 작은 뚜껑(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작은 뚜껑(30)을 잠금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45)은 상기한 바와 같이, 큰 뚜껑(45)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편(40) 하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4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42)는 일측이 절곡되어 "┏"자형(42a)으로 형성되고, 이 "┏"자형(42a) 수평부 저면에 회전 축(45)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 축(4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일측면에 걸림돌기(46)가 형성된 스톱퍼(47)가 더 구비되어 작은 뚜껑(30)을 잠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쓰레기를 버리고자 할 때에는 작은 뚜껑(30)을 회전 개방한다.
이때, 작은 뚜껑(30)의 상면 일부가 제어 편(40)의 절곡부(41) 일부와 접촉을 하게 되며, 작은 뚜껑(30)이 계속 회전하게 되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어 편(40) 즉, 절곡부(41)가 일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작은 뚜껑(30)과의 접촉이 끝나면 제어 편(40)은 원상태로 복귀한다.
작은 뚜껑(30)이 개방되면 큰 뚜껑(20)에 형성된 관통공(21)이 드러나며, 이 관통공(21)에 쓰레기를 투입한다.
그러면, 관통공(21)을 통과한 쓰레기는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저장된다.
그 후, 작은 뚜껑(30)을 역회전하여 닫으면, 작은 뚜껑(30) 일부분이 절곡부(41)와 접촉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절곡부(41)는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은 뚜껑(30)이 관통공(21)을 폐쇄하면 제어 편(40)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절곡부(41) 일부가 작은 뚜껑(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작은 뚜껑(30)이 열리는 것을 제어한다.
일정시간 경과 후,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쓰레기가 다 차면, 수거자가 큰 뚜껑(20)을 열고 쓰레기를 수거한다.
큰 뚜껑(20)이 회전 개방되어 뒤집어 질 때 작은 뚜껑(30)은 제어 편(40)에 의해 회전 개방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회전축(45)과 스톱퍼(47)가 더 구비되어 있을 경우, 수거자는 스톱퍼(47)를 회전하여 걸림돌기(46)가 작은 뚜껑(30)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작은 뚜껑(30)을 잠금한 후 큰 뚜껑(20)을 회전 개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수용공간, 20 : 큰 뚜껑, 21 : 관통공, 30 : 작은 뚜껑, 31 : 손잡이, 40 : 제어 편, 41 : 절곡부, 42 : 플레이트, 42a : "┏"자형, 43 : 스크류, 45 : 회전 축, 46 : 걸림돌기, 47 : 스톱퍼

Claims (6)

  1. 상면이 개방되고, 수용공간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큰 뚜껑;
    상기 큰 뚜껑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공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작은 뚜껑;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은 뚜껑이 관통공을 폐쇄할 때 절곡부가 작은 뚜껑 상부에 위치하여 작은 뚜껑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편은 큰 뚜껑이 회전하여 작은 뚜껑이 뒤집어 질 때 작은 뚜껑이 열리지 아니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당김 조작 시 작은 뚜껑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축과, 이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일측면에 걸림돌기가 구비된 스톱퍼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 시 걸림돌기가 작은 뚜껑의 상부에 위치하여 작은 뚜껑을 잠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편은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이 플레이트는 스크류, 볼트, 양면 테이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큰 뚜껑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축이 돌출 형성되고, 이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일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일측이 절곡되어 "┏"자형으로 형성되고, 이 "┏"자형 수평부 저면에 회전 축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일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KR1020110049453A 2011-05-25 2011-05-25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KR101076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453A KR101076462B1 (ko) 2011-05-25 2011-05-25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453A KR101076462B1 (ko) 2011-05-25 2011-05-25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462B1 true KR101076462B1 (ko) 2011-10-25

Family

ID=4503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453A KR101076462B1 (ko) 2011-05-25 2011-05-25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4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87Y1 (ko) 2012-01-18 2012-06-04 일월정밀 주식회사 쓰레기통의 잠금장치
KR101875276B1 (ko) 2016-07-25 2018-07-05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KR200487348Y1 (ko) * 2017-11-21 2018-09-05 주식회사 엔플라스틱 재활용 가능한 생활쓰레기 수거용 쓰레기통
KR20190089380A (ko) * 2018-01-22 2019-07-31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EP3772476B1 (en) * 2019-08-05 2023-03-08 Michael Shek Lid of garbage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193Y1 (ko) 2004-06-18 2004-09-16 (주)오토코리아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잠금장치
KR200443879Y1 (ko) 2007-05-23 2009-03-23 이경형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193Y1 (ko) 2004-06-18 2004-09-16 (주)오토코리아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잠금장치
KR200443879Y1 (ko) 2007-05-23 2009-03-23 이경형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87Y1 (ko) 2012-01-18 2012-06-04 일월정밀 주식회사 쓰레기통의 잠금장치
KR101875276B1 (ko) 2016-07-25 2018-07-05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KR200487348Y1 (ko) * 2017-11-21 2018-09-05 주식회사 엔플라스틱 재활용 가능한 생활쓰레기 수거용 쓰레기통
KR20190089380A (ko) * 2018-01-22 2019-07-31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KR102018508B1 (ko) 2018-01-22 2019-09-05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EP3772476B1 (en) * 2019-08-05 2023-03-08 Michael Shek Lid of garb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462B1 (ko)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US9580243B2 (en) Locking device for waste container
US11396763B2 (en) Gravity-actuated latch mechanism
US11452429B2 (en) Innovative upright dustpan
KR200456329Y1 (ko) 쓰레기통 뚜껑 잠금장치
KR101255988B1 (ko) 쓰레기 배출기능이 부설된 자동 개폐형 쓰레받이
JP2020203789A (ja) 生ゴミによる汚染を防止する装置
KR101131124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43879Y1 (ko)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CN211392483U (zh) 一种园林垃圾箱
JPH08133409A (ja) 分別収集ごみ箱
KR101225747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102018508B1 (ko) 휴지통 개폐장치
CN207827094U (zh) 一种多功能垃圾桶
CN210762458U (zh) 一种垃圾桶
JPH089044Y2 (ja) ごみ容器
CN216402629U (zh) 一种翻盖自动闭合式垃圾箱
CN214846958U (zh) 一种快递柜用快递储存装置
CN216425601U (zh) 一种家用多功能垃圾桶
CN215157841U (zh) 一种可快速识别垃圾储量的垃圾桶
JP3187565U (ja) ゴミ箱
CN214421396U (zh) 一种可旋转带脚踏式分类垃圾桶
CN214058737U (zh) 一种带开盖手投口的垃圾桶
KR20140101555A (ko) 음식물 쓰레기통
CN217707268U (zh) 一种收集存放固体核废料的废物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