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094B1 -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094B1
KR102018094B1 KR1020180068525A KR20180068525A KR102018094B1 KR 102018094 B1 KR102018094 B1 KR 102018094B1 KR 1020180068525 A KR1020180068525 A KR 1020180068525A KR 20180068525 A KR20180068525 A KR 20180068525A KR 102018094 B1 KR102018094 B1 KR 10201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processing server
call connec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혜
심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키
정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키, 정지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키
Priority to KR102018006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이와 통신하는 요청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주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요청 처리 서버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호 연결 응답을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의 호 연결을 감지한 경우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옵션 번호에 기초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DDITIONAL SELEC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CALL}
본 발명은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호가 연결된 이후 특정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그 상대방이 해당 특정 정보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거의 필수품이 되었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고, 정보 검색을 할 수도 있으며, 설문에 응답할 수도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은 기존에 컴퓨터에만 이루어지던 것들이 대부분 가능하게 되었는데, 동전의 앞뒷면과 같이 휴대성이 좋은 반면 컴퓨터에 하던 작업을 똑같이 하기에는 화면이 작고 입력 인터페이스 역시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거나 상품 구매 등과 같은 작업을 할 때 최대한 간편한 방식의 도입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현대인들의 바쁜 일상을 고려할 때 각종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의 선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줄이는 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083760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그 처리가 신속하고 최대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고, 상기 주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번호에 대응되는 요청 처리 서버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의 호 연결을 감지한 경우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옵션 번호에 기초한 처리를 수행하는 요청 처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는 번호 구분부와; 상기 주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번호에 대응되는 요청 처리 서버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호 연결 요청부와; 통신 교환망으로부터 호 연결 성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의 호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 호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옵션 번호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요청 처리 서버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신호 수신부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호 연결 응답부와; 연결된 호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옵션 번호를 수신하는 부가 정보 수신부와; 상기 옵션 번호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상기 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발신 전화번호와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고유 식별지 주소로 전송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이와 통신하는 요청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주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요청 처리 서버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호 연결 응답을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의 호 연결을 감지한 경우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옵션 번호에 기초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주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번호에 대응되는 요청 처리 서버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통신 교환망으로부터 호 연결 성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의 호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 호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요청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은,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호 연결 응답을 처리하는 단계와; 연결된 호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옵션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옵션 번호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상기 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발신 전화번호와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고유 식별지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착신 전화번호에 특정 코드(옵션 번호)를 입력한 후, send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ARS 시스템의 경우 휴대폰 이용자가 그 ARS 시스템이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면서 특정 버튼을 누르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는 안내 메시지 전송에 따른 시간이 필요하여 신속한 처리가 불가능 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휴대폰 이용자는 자신이 선택할 내용에 대응되는 일명 '옵션 번호'를 착신 전화번호에 한꺼번에 포함시켜 SEND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되므로 시간 단축은 물론이고 편의성이 상당히 증대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종래에 ARS 시스템이 전송하는 안내 음성을 들을 수 없었던 청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옵션 번호에 대한 1차적 해석을 요청 처리 서버에서 처리하므로, 각 서비스 수행 서버들이 이러한 처리 기능(예를 들어 DTMF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할 필요도 없어 통신 시스템 전체적인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청 처리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및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100), 요청 처리 서버(200), 서비스 수행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수행 서버(300)는 특정 통신 서비스를 수행 및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 대한 설문 조사를 처리하는 설문 조사 서버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일 수 있는데, 서비스 수행 서버(30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 번호와 옵션 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신 단말기(100)는 댁내에 구비된 유선 전화기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요청 감지부(150), 번호 구분부(110), 호 연결 요청부(120), 판단부(130), 옵션 번호 전송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요청 감지부(150)는 사용자의 발신 요청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착신 전화번호를 누른 후 일명 'send'와 같은 발신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통신 단말기(100) 내의 주소록을 검색하여 발신 버튼을 누르는 경우, 더 나아가 문자 메시지 등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클릭 선택 하는 경우 요청 감지부(150)는 이를 발신 요청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010-1234-5678,492'와 같이 입력한 후에 send 버튼을 누르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일반적으로 전화를 걸 때는 '010-1234-5678'과 같이 휴대폰인 경우 11자리 숫자를 입력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11자리 숫자 이후에 콤마(',')와 함께 '492'라는 숫자가 더 입력된 것이다.
번호 구분부(110)는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구분자가 콤마(',')라고 한다면, 번호 구분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번호를 그 콤마를 기준으로 하여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번호 구분부(110)는 콤마 앞에 있는 번호인 '010-1234-5678'을 주 번호로 설정하고, 콤마 뒤에 있는 번호인 '492'를 옵션 번호로 설정하는 것이다.
호 연결 요청부(120)는 번호 구분부(110)에 의해 구분된 번호 중 '주 번호'를 이용하여 그 '주 번호'에 대응되는 요청 처리 서버(200)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호 연결 요청부(120)는 '010-1234-5678'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것이다.
판단부(130)는 요청 처리 서버(200)와의 호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요청 처리 서버(200)로부터 직접 또는 통신 교환망으로부터 호 연결 성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요청 처리 서버(200)와의 호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 호가 연결되는 장치들 사이에는 통신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교환망(회선 교환망 또는 패킷 교환망 포함)이 존재할 수 있는데, 한쪽에서 전화를 걸로 상대방이 전화를 받은 경우(호 연결 응답 신호 전송) 통신 교환망은 전화를 건 쪽에 호 연결 성공 신호(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데이터일 수 있음)를 전송하게 되고, 판단부(130)는 이러한 호 연결 성공 신호를 기초로 요청 처리 서버(200)와의 호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처럼 호가 연결되는 장치들 간에 통신 교환망을 경유하여 호가 이루어지는 것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옵션 번호 전송부(140)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 요청 처리 서버(200)와 호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앞서 번호 구분부(110)에 의해 구분 되었던 옵션 번호를 요청 처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옵션 번호 전송부(140)는 요청 처리 서버(200)와 연결된 호를 통해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 형태로 옵션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옵션 번호가 숫자들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옵션 번호 전송부(140)는 그 숫자들에 대응되는 DTMF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예로써, 옵션 번호가 숫자들과 소정의 식별자들로 이루어진 경우 옵션 번호 전송부(140)는 그 식별자를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서 숫자들에 대응되는 DTMF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옵션 번호가 '492,381'이라고 한다면, 옵션 번호 전송부(140)는 숫자 4, 9, 2에 각각 대응되는 DTMF 신호는 1초 간격으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식별자인 쉼표에 대해서는 2초간 대기한 후, 다시 숫자 3, 8, 1에 대응되는 DTMF 신호를 1초 간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요청 처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응답을 하고, 호가 연결된 이후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옵션 번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요청 처리 서버(2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 처리 서버(200)는 요청 신호 수신부(210), 호 연결 응답부(220), 부가 정보 수신부(230), 추출부(240), 처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신호 수신부(21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요청 신호 수신부(210)가 수신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에는 통신 단말기(100)에 대응되는 발신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호 연결 응답부(220)는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호 연결 요청 신호가 감지되는 즉시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연결 응답 신호는 예를 들어 착신자가 착신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었을 때 발생되는 신호와 같은 종류의 신호로서, ARS(Automated Response System)에 의해 호가 연결된 이후에 별도로 전송하는 안내 음성 신호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즉, ARS에 의해 별도로 전송하는 안내 음성 신호는 통화 상대방 즉,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들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호 연결 응답 신호는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어서 사용자가 들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호 연결 응답 신호는 아날로그 유선 전화기인 경우에는 교환기에 의한 전압 변화의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호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호 연결 응답 메시지일 수도 있다.
부가 정보 수신부(230)는 통신 단말기(100)와 호가 연결된 이후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옵션 번호(즉, 앞서 예에서 '492')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옵션 번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된 호를 통해 수신되는 DTMF 신호일 수 있다.
추출부(240)는 옵션 번호(즉, '492')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저장부(미 도시함)에 각 옵션 번호와 고유 식별지 주소가 매칭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추출부(240)는 그 저장부를 검색하여 옵션 번호에 매칭된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고유 식별지 주소에 대한 정보는 별도의 외부 서버(미 도시함)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추출부(240)는 옵션 번호를 해당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그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지 주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청 처리 서버(200)가 연결을 요청하는 별도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인터넷 상에서 이용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옵션 번호가 하나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옵션 번호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1차 옵션 번호로써 492가, 2차 옵션 번호로써 381이 수신되었다면, 추출부(240)는 그 중 1차 옵션 번호인 492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1차 옵션 번호와 2차 옵션 번호는 구분자를 기준으로 소정의 대기 상태를 포함하여 통신 단말기(100)상에서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 즉, 통신 단말기(100)가 1차 옵션 번호를 1초 간격으로 전송하다가 '쉼표'를 기준으로 소정의 대기 시간(2초 등)을 둔 후 2차 옵션 번호를 전송한 경우, 추출부(240)는 그 대기 시간(2초)을 기초로 1차 옵션 번호와 2차 옵션 번호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추출부는 1차 옵션 번호와 2차 옵션 번호를 자릿수에 기초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처리부(25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옵션 번호에 기초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호 연결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통신 단말기(100)에 대응되는 발신 전화번호와 옵션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앞서 추출부(240)에서 추출한 고유 식별지 주소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처리부(250)는 발신 전화번호와 옵션 번호를 하나의 쌍 데이터로 생성한 후, 그 쌍 데이터를 고유 식별지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에 전송하여 처리를 요청할 수 있고, 발신 전화번호만을 고유 식별지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에 전송하여 처리를 요청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옵션 번호가 복수 개인 경우 그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하고, 다른 옵션 번호는 해당 고유 식별지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1차 옵션 번호로써 492가, 2차 옵션 번호로써 381이 수신되었고, 추출부(240)가 그 중 1차 옵션 번호인 492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한 경우, 처리부(250)는 추출부(240)에서 추출한 고유 식별지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에 발신 전화번호와 2차 옵션 번호를 전송하여 처리를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 및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발신 요청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1) 그 사용자의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착신 전화번호를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한다(단계 S3).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구분자가 콤마라고 하고, 사용자가 '010-1234-5678,492'와 같이 입력한 후에 send 버튼을 눌렀다고 한다면, 통신 단말기(100)는 이를 발신 요청으로 판단하고 그 입력된 착신 전화번호를 콤마를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기(100)는 콤마를 기준으로 앞쪽에 있는 숫자'010-1234-5678'을 '주 번호'로 구분 설정하고, 콤마 뒤쪽에 있는 숫자 '492'를 '옵션 번호'로 구분 설정된 것을 일 예로 한다.
이후, 통신 단말기(100)는 주 번호인 '010-1234-5678'을 이용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5). 이러한 호 연결 요청 신호에는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 번호 즉, 통신 단말기(100)의 발신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는 '010-5555-6543'이라고 가정한다.
요청 처리 서버(200)는 이러한 통신 단말기(100)의 호 연결 요청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단계 S7) 자동으로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9). 이러한 호 연결 응답 신호는 교환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 단말기(100)에 전달될 수도 있고, 또는 교환 통신망에서 호 연결 성공 신호로 변환되어 통신 단말기(100)에 전달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교환 통신망의 기능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요청 처리 서버(200)의 호 연결 응답 신호 등을 기초로 요청 처리 서버(200)와의 호 연결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11), 옵션 번호(즉, '492')를 추출하여(단계 S13) 요청 처리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15).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는 옵션 번호(즉, '492')에 대응되는 DTMF 신호를 생성하여 요청 처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100)는 호 연결 응답 신호가 감지되자마자 옵션 번호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처리 안정성을 위해 기 설정된 시간(일 예로 2초)이 경과한 시점에 옵션 번호를 요청 처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요청 처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옵션 번호(즉, '492')에 대응되는 URL을 추출한다(단계 S17).
본 실시예에서 추출한 URL은 '?'라고 가정한다.
이어서 요청 처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의 발신 전화번호와 옵션 번호를 추출한 URL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는데(단계 S19), 예를 들어 'http://www.servicesrv.com/var.php?010-5555-6543_492'와 같은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 수행 서버(300)는 URL 뒷단에 포함된 '010-5555-6543_492'를 추출하여 기 설정된 특정 서비스를 수행한다(단계 S21).
예를 들어 서비스 수행 서버(300)에는 '010-5555-6543'에 매칭되어 사용자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데, 가령 '492'에 대응되는 서비스가 특정 상품의 구매에 해당하는 것이라면, 서비스 수행 서버(300)는 '010-5555-6543'에 매칭된 고객 즉,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492'에 대응되는 상품의 판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서비스 수행 서버(300)가 설문 조사를 수행하는 서버이고, '492'라는 옵션 번호가 특정 정당의 지지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서비스 수행 서버(300)는 그에 따른 설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요청 처리 서버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통신 단말기 200 : 요청 처리 서버
300 : 서비스 수행 서버 110 : 번호 구분부
120 : 호 연결 요청부 130 : 판단부
140 : 옵션 번호 전송부 150 : 요청 감지부
210 : 요청 신호 수신부 220 : 호 연결 응답부
230 : 부가 정보 수신부 240 : 추출부
250 : 처리부

Claims (12)

  1. 통신 단말기 및 이와 통신하는 요청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는 단계와;
    (b)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주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요청 처리 서버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의 호 연결을 감지한 경우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옵션 번호에 기초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옵션 번호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상기 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발신 전화번호와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고유 식별지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요청 처리 서버에 의한 호 연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4. (a)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는 단계와;
    (b) 상기 주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번호에 대응되는 요청 처리 서버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요청 처리 서버에 의한 호 연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의 호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 호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a)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b) 연결된 호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옵션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옵션 번호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와;
    (d)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상기 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발신 전화번호와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고유 식별지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8.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고, 상기 주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번호에 대응되는 요청 처리 서버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의 호 연결을 감지한 경우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옵션 번호에 기초한 처리를 수행하는 요청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처리 서버는 상기 옵션 번호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상기 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발신 전화번호와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고유 식별지 주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요청 처리 서버에 의한 호 연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구분자를 기초로 주 번호와 옵션 번호로 구분하는 번호 구분부와;
    상기 주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번호에 대응되는 요청 처리 서버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호 연결 요청부와;
    상기 요청 처리 서버에 의한 호 연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의 호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요청 처리 서버와 호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요청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옵션 번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신호 수신부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호 연결 응답부와;
    연결된 호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옵션 번호를 수신하는 부가 정보 수신부와;
    상기 옵션 번호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지 주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상기 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발신 전화번호와 상기 옵션 번호를 상기 고유 식별지 주소로 전송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처리 서버.
KR1020180068525A 2018-06-15 2018-06-15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525A KR102018094B1 (ko) 2018-06-15 2018-06-15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525A KR102018094B1 (ko) 2018-06-15 2018-06-15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094B1 true KR102018094B1 (ko) 2019-09-04

Family

ID=6795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525A KR102018094B1 (ko) 2018-06-15 2018-06-15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0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04B1 (ko) 2005-12-06 2008-06-13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Ars 안내를 이용한 홈쇼핑 방송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20593A (ko) * 2012-08-10 2014-02-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60064680A (ko) * 2014-11-28 2016-06-08 인포뱅크 주식회사 바로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04B1 (ko) 2005-12-06 2008-06-13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Ars 안내를 이용한 홈쇼핑 방송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20593A (ko) * 2012-08-10 2014-02-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60064680A (ko) * 2014-11-28 2016-06-08 인포뱅크 주식회사 바로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3844A1 (en) Proximity facilitate device pairing
CN107360332B (zh) 通话状态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983843A (zh) 通信方法和设备
CN103369506A (zh) 多卡终端的选卡提示方法及多卡移动终端
CN106304030B (zh) 一种基于虚拟身份信息的通讯方法、装置及系统
KR102018095B1 (ko) 통신 호를 통해 전송한 정보를 기초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001788B1 (ko)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7155200B2 (en) Radio apparatus and link loss recovery method
KR102018094B1 (ko)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399581B1 (ko) 텔러 참여에 의한 자동 응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0012057B (zh) 动态指定网络交换机的通话联机系统与方法
CN108881633B (zh) 一种网络电话与本地电话相互通信方法、系统及电话网关
CN112954103B (zh) 一种呼叫通话方法、装置、存储介质及固定电话
US86664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a sounder device
JP2008527796A5 (ko)
KR101885129B1 (ko) 통합형 다이얼러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한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050055683A (ko) 단말기의 단문 메세지를 이용한 변경전화번호 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1774441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호 발신 연동 동작 제어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CN106465087B (zh) 一种通信消息转移的方法及相关装置
KR102393653B1 (ko) 호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32995B1 (ko)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호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16707B1 (ko) 통화에 따른 자신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16680B1 (ko) 통화 상대방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59421B1 (ko) 스팸 처리를 위한 장치, 방법과, 응용 프로그램
KR101106326B1 (ko)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에 매칭된 서브 착신 단말기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