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837B1 -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837B1
KR102017837B1 KR1020180136883A KR20180136883A KR102017837B1 KR 102017837 B1 KR102017837 B1 KR 102017837B1 KR 1020180136883 A KR1020180136883 A KR 1020180136883A KR 20180136883 A KR20180136883 A KR 20180136883A KR 102017837 B1 KR102017837 B1 KR 102017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harging
destination
char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는 운전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가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소모되는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 및 전기차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비교하여 출발지의 충전소에서 전기차가 충전할 제 1 충전량을 결정하고, 도착지의 충전소에서 전기차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을 결정하는 충전량 결정부 및 도착지의 충전소로 제 2 충전량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에 대한 충전 예약을 수행하는 충전 예약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ARGE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를 충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충전 수요가 집중되는 출퇴근 시간대에 전기차의 충전요구량을 모두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기차의 운전자는 충전소에 방문하여 배터리를 충전시켜야 하는데 충전소에서 충전 중이거나 충전 대기중인 전기차가 많은 경우, 배터리 충전을 위해 많은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04336호 (2017.02.0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차의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의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배터리 소모량을 통해 출발지의 충전소 및 도착지의 충전소 각각에서 전기차가 충전할 충전량을 결정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착지의 충전소로 결정된 충전량을 포함하는 전기차에 대한 충전 예약을 수행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는 운전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가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소모되는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출발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제 1 충전량을 결정하고,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을 결정하는 충전량 결정부 및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로 상기 제 2 충전량 및 상기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충전 예약을 수행하는 충전 예약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에 의해 전기차를 충전 관리하는 방법은 운전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가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소모되는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출발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제 1 충전량을 결정하고,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로 상기 제 2 충전량 및 상기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충전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기차의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의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배터리 소모량을 통해 출발지의 충전소 및 도착지의 충전소 각각에서 전기차가 충전할 충전량을 결정하고, 도착지의 충전소로 결정된 충전량을 포함하는 전기차에 대한 충전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차의 충전 일정에 대한 안정적인 확보가 가능하고, 전기차 충전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충전소의 공급능력 범위 내에서 전기차의 충전 스케줄을 조절할 수 있고, 각 충전소의 전력 피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110), 전기차(120), 복수의 충전소(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전기차(120)를 충전하는 복수의 충전소(130, 140)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충전소(130, 140)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각 충전소에 설치된 복수의 충전기 각각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예컨대, 예약 유무, 예약 내역이 있는 경우의 예약 시간, 충전가능시간 등), 충전 가격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전기차(120)의 운전자에 대한 정보 및 전기차(120)에 대한 운행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기존에 일별로 누적된 전기차(120)의 운행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20)의 운전자의 운행 일정을 관리 및 예측하고, 전기차(120)의 운전자가 자주 찾는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전기차(120)를 충전한 충전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및 운전자가 자주 찾는 충전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전기차(120)의 운행 이력 정보 및 전기차(120)를 충전하는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전기차(120)의 운전자 정보와 운전자가 자주 설정하는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 이력 정보, 전기차(120)의 평균 주행 거리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소모되는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전기차(120)에 장착된 차량 통신 장치로부터 전기차(120)의 배터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전기차(120)의 배터리 정보로부터 전기차(120)의 배터리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전기차(120)의 배터리 잔량 및 전기차(120)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비교하여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1 충전량을 결정하고,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120)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은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 및 기설정된 비상 충전량(전기차(120)의 긴급 이송시 필요한 비상 충전량)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전기차(120)가 제 1 충전량만큼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충전하도록 제 1 충전 예약 정보를 출발지의 충전소(130)로 전송하고, 제 2 충전량만큼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 충전하도록 제 2 충전 예약 정보를 도착지의 충전소(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에 따라 출발지 및 도착지의 충전소(130, 140)에서 충전하는 충전량을 분산하여 결정함으로써 각 충전소(130, 140)의 충전부하를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전기차(120)가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기존의 운전자의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전기차(120)를 운행하는 일정을 예측하고, 운전자가 자주 찾는 도착지의 충전소(140)로 전기차(120)의 충전을 예약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에서 예측한 일정에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도착지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전기차(120)의 운행 정보에 대한 변경 정보를 수신한 경우, 도착지의 충전소(140)로의 충전 예약을 취소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도착지 주변에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기차(120)가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스케줄링을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발지 및 도착지 각각의 충전소(130, 140)에서 전기차(120)의 충전을 진행하게 되더라도 인프라 부족, 충전 가능 시간 및 충전 가능 전력량 등의 부족, 전기차(120)의 주행 거리가 장거리인 경우 등으로 인해, 전기차(120)의 배터리 충전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가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충전소로 전기차(120)의 충전 예약을 수행하고, 예약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기차(120)가 출발지 및 도착지의 충전소(130, 140)에서 목표 충전량만큼을 충전하지 못하고 주행하는 경우에도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에서는 별도의 다른 충전소들과 전기차(120)의 부족 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기차(120)가 목표 충전량만큼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 예약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10)은 전기차(120)에 장착된 차량 통신 장치로부터 전기차(120)의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차(120)의 배터리 정보와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20)의 현재 배터리 잔량으로 도착지의 충전소(140)까지 운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배터리 잔량으로 도착지의 충전소(140)까지 운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 기등록된 운전자 정보(예컨대, 운전자 식별 정보), 전기차 정보(예컨대, 전기차 식별 정보), 도착지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도착지의 충전소(140)로 발송함으로써 도착지의 도착 예정 시간에 전기차(120)가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차(120)에 대한 충전 예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정보 수신부(200), 산출부(210), 충전량 결정부(220) 및 충전 예약 수행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정보 수신부(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수신부(200)는 전기차의 출발지 및 도착지 각각의 위치 정보, 출발지에서의 출발 시간 정보, 도착지로의 도착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120)의 운행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산출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20)가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소모되는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210)는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전기차(120)의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주행 거리 및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운행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지역의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현재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동일한 운행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과거 출발지에서 과거 도착지로 이동할 때 소모된 전기차(120)의 과거 배터리 소모량 및 과거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의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전기차(120)의 배터리 사용량은 외부 환경 요인(예컨대, 날씨 및 교통 정체 등), 전기차(120)의 탑승자수, 냉난방 장치의 온도, 전기차(120)에 적재된 수화물의 무게, 타이어 및 노면 상태, 운전자의 운전 습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차(120)의 냉난방 장치를 가동하거나, 탑승자의 수가 늘어나거나, 교통 체증이 지속되거나 타이어 및 노면 상태가 나쁘거나 수화물이 많아지면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게 되어 전기차(120)의 효율이 나빠질 수 있다. 이러한 영향들을 모두 고려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산출부(210)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별 전기차의 운행 이력 정보, 배터리 소모 이력 정보, 날씨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된 배터리 소모량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기설정된 예비 배터리 소모량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고, 긴급 이동시 사용해야 하는 비상 충전량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산출부(21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예측된 배터리 소모량, 예비 배터리 소모량 및 비상 충전량의 합산으로 전기차(120)의 총 배터리 소모 예측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210)는 산출된 배터리 소모량 및 기설정된 비상 충전량에 기초하여 전기차(120)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충전량 결정부(220)는 전기차(120)의 배터리 잔량 및 전기차(120)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비교하여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1 충전량을 결정하고,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량 결정부(220)는 전기차(120)의 배터리 잔량이 전기차(120)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에 미달한 경우, 배터리 목표 충전량과 배터리 잔량 간 차이량만큼을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1 충전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충전량 결정부(220)는 전기차(120)의 배터리 잔량이 전기차(120)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초과한 경우, 전기차(120)가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소모되는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만큼을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량 결정부(220)는 전기차(120)가 도착하는 도착지 주변에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산출된 배터리 목표 충전량만큼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될 수 있도록 제 1 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충전량 결정부(220)는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전기차(120)의 충전 가능 시간, 충전 가능 충전량, 충전 요금, 피크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1 충전량을 결정하고,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 전기차(120)의 충전 가능 시간, 충전 가능 충전량, 충전 요금, 피크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량 결정부(220)는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의 단위 시간당 충전 요금이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의 단위 시간당 충전 요금보다 낮은 경우,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의 제 1 충전량의 비율을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의 제 2 충전량의 비율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충전량 결정부(220)는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의 피크 전력 시간대 충전부하량과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의 현재 충전부하량을 비교하여 제 1 충전량 및 제 2 충전량 간의 충전량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량 결정부(220)는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의 피크 전력 시간대 충전부하량이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의 현재 충전부하량이 보다 높은 경우,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1 충전량의 비율을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의 비율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충전 예약 수행부(230)는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1 충전량 및 출발지에 대한 정보(예컨대, 출발지로의 도착 예정 시간)를 출발지의 충전소(130)로 전송함으로써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예약 수행부(230)는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2 충전량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예컨대, 도착지로의 도착 예정 시간)를 도착지의 충전소(140)로 전송함으로써 도착지의 충전소(14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전기차(120)의 주행 동안 소모되는 전기차(120)의 배터리 소모량을 운전자가 직접 지정하지 않더라도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에서 배터리 소모량을 예측하여 도착지의 충전소(140)로 전기차(120)의 충전을 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차(120)가 도착지의 충전소(140)에 도착할 시점에 전기차(120)의 충전을 위해 대기할 필요없이 전기차(120)의 배터리를 바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발지 및 도착지 각각의 충전소에서 충전하고 있거나 대기 중인 다른 전기차의 충전 예약 시간을 고려하여 출발지의 충전소(130) 및 도착지의 충전소(140)의 충전 부하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정보 수신부(200), 산출부(210), 충전량 결정부(220) 및 충전 예약 수행부(23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방법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110), 전기차(120) 및 복수의 충전소(130, 14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의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110), 전기차(120) 및 복수의 충전소(130, 14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20)가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소모되는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305에서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전기차(120)의 배터리 잔량 및 전기차(120)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비교하여 출발지의 충전소(130)에서 전기차(120)가 충전할 제 1 충전량을 결정하고, 도착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을 결정
단계 S307에서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도착지의 충전소로 제 2 충전량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120)에 대한 충전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110: 사용자 단말
120: 전기차
130: 출발지의 충전소
140: 도착지의 충전소

Claims (6)

  1.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에 있어서,
    운전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가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소모되는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출발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제 1 충전량 및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을 분산하여 결정하는 충전량 결정부 및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로 상기 제 2 충전량 및 상기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충전 예약을 수행하는 충전 예약 수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예약 수행부는 상기 제 1 충전량 및 상기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발지의 충전소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충전량 및 상기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로 전송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산출된 배터리 소모량 및 기설정된 비상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산출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량 결정부는
    상기 출발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의 충전 가능 시간, 충전 가능 충전량, 충전 요금, 피크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상기 제 1 충전량을 결정하고,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의 충전 가능 시간, 충전 가능 충전량, 충전 요금, 피크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상기 제 2 충전량을 결정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거리 및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량 결정부는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에서의 피크 전력 시간대 충전부하량과 상기 출발지의 충전소에서의 현재 충전부하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충전량 및 상기 제 2 충전량 간의 충전량 비율을 조절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6.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에 의해 전기차를 충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전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가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소모되는 배터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목표 충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출발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제 1 충전량 및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할 제 2 충전량을 분산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로 상기 제 2 충전량 및 상기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충전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충전량 및 상기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발지의 충전소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충전량 및 상기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도착지의 충전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방법.
KR1020180136883A 2018-11-08 2018-11-08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KR102017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883A KR102017837B1 (ko) 2018-11-08 2018-11-08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883A KR102017837B1 (ko) 2018-11-08 2018-11-08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837B1 true KR102017837B1 (ko) 2019-09-03

Family

ID=6795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883A KR102017837B1 (ko) 2018-11-08 2018-11-08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8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3713A (zh) * 2020-08-27 2022-03-01 均联智行有限公司 用于预测针对车辆的充电站的可用性的方法和驾驶员辅助系统
WO2022186446A1 (ko) * 2021-03-02 2022-09-09 주식회사 티비유 충전소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충전소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CN116826815A (zh) * 2023-08-28 2023-09-29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基于电池模组的充电管理方法、能源管理器及相关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002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방법
JP2012123637A (ja) * 2010-12-08 2012-06-28 Sharp Corp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装置の制御方法、充放電制御装置、充放電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04336B1 (ko) 2016-01-26 2017-02-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전기차 충전기 예약 및 로밍 시스템
KR101854871B1 (ko) * 2018-02-22 2018-05-04 주식회사 에드원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002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방법
JP2012123637A (ja) * 2010-12-08 2012-06-28 Sharp Corp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装置の制御方法、充放電制御装置、充放電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04336B1 (ko) 2016-01-26 2017-02-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전기차 충전기 예약 및 로밍 시스템
KR101854871B1 (ko) * 2018-02-22 2018-05-04 주식회사 에드원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3713A (zh) * 2020-08-27 2022-03-01 均联智行有限公司 用于预测针对车辆的充电站的可用性的方法和驾驶员辅助系统
CN114103713B (zh) * 2020-08-27 2024-05-28 均联智行有限公司 用于预测针对车辆的充电站的可用性的方法和驾驶员辅助系统
WO2022186446A1 (ko) * 2021-03-02 2022-09-09 주식회사 티비유 충전소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충전소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CN116826815A (zh) * 2023-08-28 2023-09-29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基于电池模组的充电管理方法、能源管理器及相关介质
CN116826815B (zh) * 2023-08-28 2023-12-26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基于电池模组的充电管理方法、能源管理器及相关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6888B (zh) 配车系统以及配车方法
US20190275893A1 (en) Intelligent charging network
JP5370585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12566810B (zh) 车辆电源系统以及车辆调配系统
CN102916462B (zh) 电池充电系统和方法
US20170036560A1 (en) Method for load balancing of charging stations for mobile loads within a charging stations network and a charging stations network
KR102017837B1 (ko)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CN106447129B (zh) 一种基于快速充电桩的高效率的充电站推荐方法
JP7462512B2 (ja) 電動車両のモバイル充電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308052B (zh) 充电点通知系统和车载装置
US11485247B2 (en) Dispatch-based charging for electric vehicle fleet
JP5776017B2 (ja) 蓄電池充電計画支援システム
JP7008802B2 (ja) 配車管理装置及び配車管理方法
US114008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7230705B2 (ja) 配車管理方法、配車管理プログラム及び配車管理装置
CN110677445A (zh) 动态分配电池模组的方法和相应的服务器
JP2016143246A (ja) 消費電力量予測装置、消費電力量予測方法、サーバ装置
JP2020184878A (ja) 充電ステ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内で移動負荷に対し複数の充電ステーションの負荷分散を行う方法および充電ステ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
Cao et al. Applying DTN routing for reservation-driven EV Charging management in smart cities
JP7230704B2 (ja) エネルギマネージメント方法、及びエネルギマネージメント装置
WO2022052043A1 (zh) 一种车辆充电的方法和装置
JP2020038707A (ja) 充電量算出装置
JP2013192412A (ja) 走行条件提示システム
KR20180012605A (ko)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기를 제어하는 충전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22011804A (ja) 充電管理装置、充電管理システム及び充電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