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255B1 - 테이프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255B1
KR102017255B1 KR1020177029795A KR20177029795A KR102017255B1 KR 102017255 B1 KR102017255 B1 KR 102017255B1 KR 1020177029795 A KR1020177029795 A KR 1020177029795A KR 20177029795 A KR20177029795 A KR 20177029795A KR 102017255 B1 KR102017255 B1 KR 102017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apparatus
tape printing
tape
grip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547A (ko
Inventor
토모유키 구보타
아키히로 신타니
타이시 사사키
하루키 스가와라
나오야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핸드헬드(handheld) 조작시 및 운반시에 들기 쉬운 구조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핸드헬드 조작 가능한 세로로 긴 테이프 인쇄 장치(1)로서, 핸드헬드 부분이 되는 핸들링부(5)와, 핸들링부(5)의 선단측에 연속해 있고, 인쇄 기구부(49)를 내장한 주기구부(3)와, 핸들링부(5)의 기단측에 연속해 있고, 운반시에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7)를 구비하고, 외각의 전체 폭과 외각의 전체 길이의 비율이, 대략 1:2가 되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인쇄 장치{TAPE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핸드헬드(handheld) 조작 가능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테이프 인쇄 장치로서, 핸드헬드식 열 전사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핸드헬드식 열 전사 프린터는, 라벨 재료 및 열 전사 리본을 탑재한 카세트와, 카세트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이것에 인쇄를 행하여 라벨을 작성하는 프린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 본체의 표면에는, 선단측(tip end side)으로부터 순서대로, 카세트가 장착되는 카세트 베이와, 디스플레이와, 키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베이에는, 프린트 헤드, 구동 롤러 및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베이 근방에는, 커터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의 우측면에는, 인터페이스 포트가, 앞쪽측면에는 전력선 어댑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터 본체 내에는, 충전 가능한 전지가 설치되어 있다.
유저는, 키패드의 이측에 손을 대어 프린터 본체를 손에 잡아들고,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키패드에 의해 입력 및 편집을 행한다. 입력·편집 후, 인쇄가 지령되면, 구동 롤러 및 프린트 헤드가 구동하고, 카세트로부터 조출된 라벨 재료에 인쇄가 행해진다. 그리고, 커터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라벨 재료의 인쇄된 부분이 잘려 떼어내어져 라벨이 작성된다.
일본특허공보 제4908493호
이러한, 종래의 핸드헬드식 열 전사 프린터에서는, 핸드헬드 조작이 전제가 되기 때문에, 키패드의 크기를 고려하면서, 핸들링(취급)이 쉽도록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핸드헬드 조작에 있어서는, 프린터 본체의 키패드측의 부위를 파지한다. 한편으로, 이 핸드헬드식 열 전사 프린터를 운반할 때에도, 핸드헬드 조작과 동일하게 이를 파지할 수밖에 없는데, 운반시에는 들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핸드헬드 조작시 및 운반시에 들기 쉬운 구조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인쇄 장치는, 핸드헬드 조작 가능한 세로로 긴 테이프 인쇄 장치로서, 핸드헬드 부분이 되는 핸드헬드 지지부와, 핸드헬드 지지부에 연속해 있는 선단측에 설치된 인쇄부를 내장한 주기구부(main mechanism portion)와, 핸드헬드 지지부에 연속해 있는 상기 선단측과 반대측이 되는 기단측에 설치된 운반시에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외각(outer shell)의 전체 폭과 외각의 전체 길이의 비율이, 대략 1:2가 되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각의 전체 폭과 외각의 전체 길이의 비율이, 대략 1:2가 되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드헬드 조작시에, 핸드헬드 지지부를 파지함으로써, 테이프 인쇄 장치를 안정적으로 핸드헬드할 수 있다. 또한, 핸드헬드 지지부의 기단측에 연속해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시에, 손잡이부를 잡고 늘어뜨림으로써, 테이프 인쇄 장치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이프 인쇄 장치를 왼손으로 핸드헬드하도록 지지하고(핸드헬드 지지부), 오른손으로 손잡이부를 잡음으로써, 취급으로부터 운반으로 자세를 변경할 때도, 확실하게 테이프 인쇄 장치를 보유지지할 수 있어, 테이프 인쇄 장치를 잘못하여 낙하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는,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 간극을 갖고, 핸드헬드 지지부에 대치하는 그립부와, 그립부의 양단에서 핸드헬드 지지부의 기단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그립 지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간극에 손가락을 넣고, 그립부를 잡음으로써, 잡기 쉬운 자연스러운 상태로, 테이프 인쇄 장치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핸드헬드 지지부를 아래로 하여 평평 놓기 상태에서 설치면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립부는, 평평 놓기 상태에서 설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그립부를 파지할 때에, 설치면과의 간극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립부의 그립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설치면에 올려 놓여진 테이프 인쇄 장치를 들어올리도록 그립부를 파지할 수 있어, 테이프 인쇄 장치가 잘 잡히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드헬드 지지부의 표면 및 주기구부의 표면에 걸쳐 설치된 조작부 및 표시부와, 평평 놓기 상태에서, 조작부 및 표시부가 선(tip)부가 올라가게 경사지도록 설치면에 착좌되는 평평 놓기 착좌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평평 놓기 착좌부에 의해, 평평 놓기 상태에서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평평 놓기 상태에서, 조작부 및 표시부가 선부가 올라가게 경사지기 때문에, 평평 놓기 상태에서의 조작성도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그립부는, 손가락의 접촉하는 부위가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그립부를 통하여, 늘어뜨리도록 테이프 인쇄 장치를 들었을 때에, 손가락에 가해지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하중이 분산된다. 이에 따라, 테이프 인쇄 장치가 무거워도, 손가락으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 간극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그립부측을 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폭 방향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 간극에 여유를 갖고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립부의 그립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를 들었을 때의 손가락으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핸드헬드 지지부에는, 그립부측으로부터 착탈되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손가락 삽입 간극은, 착탈시에 배터리를 파지하는 손가락의, 삽입 간극을 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 간극을 이용함으로써, 배터리의 빼고 넣음(착탈)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을 아래로 한 세로 놓기 상태에서 설치면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중심(gravity center)이,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주기구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기구부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세로 놓기 상태에서 설치면에 착좌되는 한 쌍의 세로 놓기 착좌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인쇄 장치를 세로 놓기 상태에 있어서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테이프 인쇄 장치를 좁은 공간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좌측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우측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좌측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우측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주기구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마그넷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테이프 인쇄 장치를 하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마그넷 어태치먼트의 구조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인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는, 예를 들면 단자대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계통을 표시하기 위한 라벨을 작성하는 것이고, 작업 현장에 있어서 핸드헬드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소형이고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에는, 인쇄 테이프를 탑재한 테이프 카트리지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테이프 인쇄 장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테이프를 조출하면서 인쇄를 행함과 함께, 인쇄 테이프의 인쇄된 부분을 잘라 떼어내어 라벨을 작성한다.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좌측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우측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좌측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우측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따라서, 테이프 인쇄 장치의 길이 방향의 앞쪽측을 「앞쪽」측 혹은 「기단(base end)」측으로 호칭하고, 선방(tip)측을 「선방」측 혹은 「선단」측으로 호칭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도 1 상에서 테이프 인쇄 장치의 종횡의 긴 쪽이 길이 방향이고, 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지면의 하측이 「앞쪽」측 혹은 「기단」측이고, 지면의 상측이 「선방」측 혹은 「선단」측이다. 또한,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호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후육(thick thickness) 광폭으로 형성되며,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주기구부(3)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주기구부(3)의 선단측과 반대측의 기단측에 연속해 있고, 주기구부(3)보다 두께가 얇고 폭이 좁게 형성된 핸들링부(5)(핸드헬드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핸들링부(5)의 기단측에 연속해 있는 손잡이부(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기구부(3), 핸들링부(5) 및 손잡이부(7)는, 세로로 길게 그리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기구부(3)로부터 핸들링부(5)에 걸친 테이프 인쇄 장치(1)의 표면 전역에는, 조작 패널(9)(표시부 및 조작부)이 설치되어 있다. 즉, 테이프 인쇄 장치(1)는, 길이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주기구부(3)와, 중간에 위치하는 핸들링부(5)와, 기단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7)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인쇄 장치(1)의 표면 전역이 조작 패널(9)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테이프 인쇄 장치(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주기구부(3)이고,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손잡이부(7)이고, 그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핸들링부(5)이다.
한편,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외각은, 그 전체 폭과 전체 길이의 비율이, 대략 1:2가 되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중심은,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주기구부(3)측에 가까운 위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핸들링부(5)에서, 이측으로부터 한 손 혹은 양손으로 감싸도록 손에 잡아들고, 이 상태에서 조작 패널(9)에 의해, 입력, 편집, 인쇄 등의 조작이 행해진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손잡이부(7)의 부분을 손에 잡아들어, 운반된다.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전체는, 표면(21)(장치 표면), 이면(23)(장치 이면) 및 측면(장치 측면)을 포함하는 둘레면(25)에 더하여, 표면(21)과 둘레면(25) 사이의 표측 경사 둘레면(27) 및 이면(23)과 둘레면(25) 사이의 이측 경사 둘레면(29)에 의해, 그 외각이 형성되어 있다. 즉,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외각은, 네모진 디자인과 둥그스름한 디자인의 중간적인 디자인이 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외각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핸들링부(5)가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 중간적인 디자인 및 잘록한 형상은, 핸들링부(5)에 있어서, 잡기 쉬움과 미끄러지기 어려움을 겸비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외각은, 주로 장치 케이스(31)와, 후술하는 개폐 덮개(47) 및 전지 덮개(77)로 구성되어 있다. 장치 케이스(31)는, 덮개 케이스와 같은 상 케이스(33)와, 본체 케이스와 같은 하 케이스(35)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 케이스(33)에 의해, 상기의 표면(21) 및 표측 경사 둘레면(27)이 형성되고, 하 케이스(35)에 의해, 상기의 이면(23), 이측 경사 둘레면(29) 및 둘레면(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관을 나타내는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이면(23)측을 아래로 하여 설치면, 예를 들면 탁상(D)에 놓는 평평 놓기와, 주기구부(3)의 선단을 아래로 하여 탁상(D)에 놓는 세로 놓기의 2가지의 설치 형태를 갖고 있다(도 5 참조). 탁상(D)에 평평 놓기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조작 패널(9)이 선부가 올라가게 경사져, 탁상(D)에서의 조작이 고려되어 있다. 세로 놓기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PC와의 접속을 전제로 한, 좁은 탁상(D)에서의 설치·보관이 고려되어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테이프 인쇄 장치(1)에는, 마그넷 어태치먼트(11)(마그넷부)가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마그넷 어태치먼트(11)를 장착한 테이프 인쇄 장치(1)(인쇄 장치 본체)는, 자성체의 대상물에 대하여 흡착에 의한 설치 형태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설치 형태에 있어서, 안정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중심은, 후술하는 전지(221)를 탑재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주기구부(3) 측, 즉 주기구부(3)와 핸들링부(5)의 경계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주기구부(3)의 표면(21)에는, 조작 패널(9)의 일부로서, 디스플레이부(41)(표시부)가 넓게 설치됨과 함께, 디스플레이부(41)에 인접하여 부(副)키보드부(43)(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기구부(3)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3)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45)가, 패여 형성됨과 함께, 카트리지 장착부(45)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47)가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부(41) 및 부키보드부(43)가, 이 개폐 덮개(47)의 표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45) 주변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3)로부터 인쇄 테이프(83)를 조출함과 함께, 이것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기구부(49)(인쇄부)가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주기구부(3)의 이면(23)측에, 카트리지 장착부(45) 및 개폐 덮개(47)를 설치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주기구부(3)의 좌측의 둘레면(25)(좌측면)에는, 인쇄 완료된 인쇄 테이프(83)가 배출되는 테이프 배출구(51)가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또한, 테이프 배출구(51)와 카트리지 장착부(45)의 사이에는, 인쇄 테이프(83)의 인쇄된 부분을 잘라 떼어내는 커터(53)가 내장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테이프 배출구(51)의 근방에는, 카트리지 장착부(45)에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13)를 시인하기 위한, 관측창(55)이 설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한편, 주기구부(3)의 우측의 둘레면(25)(우측면)에는, 전원 커넥터(57)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한편, 핸들링부(5)의 표면(21)에는, 문자 키(215a)나 커서 키(217b) 등을 배치한 주키보드부(71)(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핸들링부(5)에는, 전지 수용부(75)를 포함하는 전원부 어셈블리(73)가 내장되어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핸들링부(5)의 이면(23)에는, 전지 수용부(75)를 개폐하는 전지 덮개(77)가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핸들링부(5)의 우측의 둘레면(25)(우측면)에는, PC와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USB 커넥터(79)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테이프 카트리지의 구성]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13)는, 카트리지 케이스(81) 내에, 인쇄 테이프(83), 잉크 리본(85) 및 플래튼 롤러(87)를 탑재하여,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3)를 카트리지 장착부(45)에 장착하면, 플래튼 롤러(87) 및 잉크 리본(85)의 권취 코어(91)가 인쇄 기구부(49)에 걸어맞춰져, 인쇄 기구부(49)로부터의 동력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13)에는, 인쇄 테이프(83)의 폭, 재질, 테이프색 등이 상이한 복수종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 케이스(81)에는, 그 정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 인쇄 테이프(83)의 종별을 나타낸 띠 형상의 식별 라벨(93)이 접착되어 있다.
[주기구부의 구성]
주기구부(3)는, 테이프 카트리지(13)가 장착되는 부위이고, 주기구부(3)에는, 인쇄 테이프(83)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기구부(49) 등의 각종의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주기구부(3)의 표면에는, 상기의 조작 패널(9)의 일부가 되는 디스플레이부(41)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13)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45) 주변에는, 상기의 인쇄 기구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인쇄 기구부(49)는, 서멀 형식의 인쇄 헤드(101)(도시의 것은 커버로 덮여 있음)와, 플래튼 롤러(87)에 걸어맞추는 플래튼 구동축(103)과, 권취 코어(91)에 걸어맞추는 권취 구동축(105)을 갖고, 이들은 카트리지 장착부(45)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쇄 기구부(49)는, 플래튼 구동축(103)이나 권취 구동축(105)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07) 및 기어열(109) 등을 갖고 있고, 이들은, 카트리지 장착부(45)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45) 주변에는, 개폐 덮개(47)의 개폐에 연동하여, 인쇄 헤드(101)를 인쇄 위치와 비인쇄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回動)시키는 헤드 릴리스 기구(도시 생략)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3)를 카트리지 장착부(45)에 장착하면, 플래튼 구동축(103)에 플래튼 롤러(87)가 걸어맞춰지고, 권취 구동축(105)에 권취 코어(91)가 걸어맞춰진다. 이어서, 개폐 덮개(47)를 폐색하면, 인쇄 헤드(101)가, 플래튼 롤러(87)와의 사이에 인쇄 테이프(83) 및 잉크 리본(85)을 사이에 끼우도록 회동한다(인쇄 위치). 이에 따라,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인쇄 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45)와 상기의 테이프 배출구(51)의 사이에는, 슬릿 형상의 테이프 배출 경로(6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프 배출 경로(61)의 부분에는, 상기의 커터(53)가 내장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테이프 배출구(51)로부터 송출되는 인쇄 테이프(83)의 인쇄된 부분은, 카트리지 장착부(45)에 있어서의 테이프 카트리지(13)와 인쇄 헤드(101)의 위치 관계로부터, 앞쪽측으로 인쇄면(83a)이 향한 상태에서 송출된다(도 1 참조). 즉, 핸들링부(5)를 잡고 조작할 때에, 이용자가 인쇄 결과를 확인하기 쉽도록 인쇄면(83a)이 손잡이부(7)측이 되도록 배출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45)에는, 이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47)가 설치되고, 개폐 덮개(47)는, 안쪽측을 중심으로 개폐된다. 개폐 덮개(47)는, 카트리지 장착부(45)를 포함하여 주기구부(3)의 상부 공간을 덮는 덮개 본체(121)와, 덮개 본체(121)를 내포하도록 덮는 덮개 커버(123)와, 덮개 커버(123)의 앞쪽측 단부에 형성된 손가락 걸이부(125)와, 손가락 걸이부(125)의 근방에 위치하여 덮개 본체(121)에 형성된 폐지 후크(closing hook; 127)를 갖고 있다. 또한, 개폐 덮개(47)는, 덮개 본체(121)로부터 안쪽측으로 만곡하도록 연장되는 덮개 지지부(131)와, 덮개 지지부(131)의 선단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힌지 수용부(133)를 갖고 있다. 한편, 힌지 수용부(133)에 대응하여, 상 케이스(33)에는 힌지 샤프트(135)가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손가락 걸이부(125)는, 주기구부(3)와 핸들링부(5)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재(延在)됨과 함께, 비스듬히 기단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이 손가락 걸이부(125)에 대응하여, 핸들링부(5)의 선단부 표면에는, 패임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유저는, 이 패임부(137)와 손가락 걸이부(125)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고, 손가락 걸이부(125)를 끌어올리도록 하여 개폐 덮개(47)를 개방한다. 한편, 개폐 덮개(47)의 개폐시에, 폐지 후크(127)는 적절히 휘어, 핸들링부(5)측의 상 케이스(33)에 대하여 걸림 이탈된다. 또한, 손가락 걸이부(125)는, 디스플레이부(41)나 부키보드부(43)의 높이를 넘어 돌출되어 있어서(도 5 참조), 상세는 후술하지만, 디스플레이부(41)나 부키보드부(43)의 프로텍터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덮개 지지부(131) 및 힌지 수용부(133)는, 덮개 본체(121)에 대하여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덮개 지지부(131)는, 선단측의 둘레면(25)의 위치까지 「L」자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연장되어 있다(도 5 참조). 상세는 후술하지만, 주기구부(3)의 선단에는, 세로 놓기를 위한 좌우 한 쌍의 세로 놓기 착좌부(18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덮개 지지부(131) 및 힌지 수용부(133)는, 이 한 쌍의 세로 놓기 착좌부(181)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개폐 덮개(47)가, 좌우의 세로 놓기 착좌부(181)에 간섭하는 일 없이, 크게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힌지 샤프트(135)는, 힌지 수용부(133)에 삽입 통과하고, 이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 케이스(33)에 고정되어 있다(도 6 참조). 힌지 샤프트(135)와 힌지 수용부(133)는, 적당한 회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끼워맞춤으로 되어 있고, 개폐 덮개(47)는, 개폐 동작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커버(123)는, 덮개 본체(121)를 크게 덮고 있고,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외각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덮개 커버(123)는, 테이프 인쇄 장치(1)의 표면(21)의 일부인 덮개 표면(123a) 및, 표측 경사 둘레면(27)의 일부인 덮개 경사면(123b)을 갖고 있다. 그리고, 좌측의 덮개 경사면(123b)에는, 상기의 관측창(55)이 형성되어 있다. 관측창(55)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광성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관측창(55) 너머로 카트리지 장착부(45)를 들여다 봄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3)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3)의 식별 라벨(93)을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측창(55)의 앞쪽측 근방에 위치하여, 덮개 커버(123)에는, 「U」자 형상의 절결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주기구부(3)의 좌측의 둘레면(25)(좌측면)에는, 「U」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테이프 배출구(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프 배출구(51)에 따르도록 절결부(141)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술과 같이, 인쇄 테이프(83)는, 앞쪽측으로 인쇄면(83a)이 향한 상태에서, 테이프 배출구(51)로부터 송출된다. 그러나, 테이프 배출구(51)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 결과를 확인하기 어려워지지만, 절결부(141)에 의해, 인쇄 결과를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디스플레이부(41)는, 기판을 포함하는 주요부(41a)가, 덮개 본체(121)와 덮개 커버(123) 사이의 덮개 내 공간(151)에 설치되는 한편, 본체 표면부(153)가, 덮개 커버(123)에 형성된 표시 개구부(155)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디스플레이부(41)의 본체 표면부(153)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표시 개구부(155)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커버(123)에 있어서의 표시 개구부(155)의 개구연부(157)(표시프레임부)는, 액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 표면부(153)의 표면에 대하여 근소하게 돌출되어 있다(도 1 참조).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 개구연부(157)는, 디스플레이부(41)(본체 표면부(153))의 프로텍터로서 기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부키보드부(43)는, 기판을 포함하는 주요부(43a)가, 덮개 본체(121)와 덮개 커버(123) 사이의 덮개 내 공간(151)에 설치되는 한편, 각 키가, 덮개 커버(123)에 형성된 복수의 키 개구부(161)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부키보드부(43)에 설치된 복수의 키는, 우측 안쪽의 전원 키(163), 좌측 안쪽의 커터 키(165) 외에, 각종의 선택 키(167)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배출구(51)는, 주기구부(3)의 좌측의 둘레면(25)(좌측면)에 「U」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배출구(51)는, 상기의 테이프 배출 경로(61)에 연속해 있는 슬릿 형상의 배출 개구부(171)와, 배출 개구부(171)를 테두리를 두르는 테두름부(edging portion; 173)를 갖고 있다. 배출 개구부(171)는, 테이프 배출 경로(61)에 따라서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테두름부(173)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두름부(173)는, 테이프 배출구(51)가 눈에 띄도록 형광색(실시 형태의 것은, 황록의 형광색)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배출구(51)가 장애물에 접하는 바와 같은 설치 형태가 되지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는, 평평 놓기 및 세로 놓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선단측인 주기구부(3)의 선단측의 둘레면(25)에는, 세로 놓기용의 한 쌍의 세로 놓기 착좌부(181)가 돌출 형성되고, 이면(23)에는, 평평 놓기용의 한 쌍의 평평 놓기 착좌부(18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세로 놓기 착좌부(181)는, 상기한 개폐 덮개(47)의 덮개 지지부(131)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주기구부(3)의 선단부는, 귀 형상으로 디자인되어 있고, 한 쌍의 세로 놓기 착좌부(181)는, 이 귀 형상의 부분으로서 디자인에 도입되어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세로 놓기로 하면, 한 쌍의 세로 놓기 착좌부(181)가 탁상(D)에 착좌되고,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손잡이부(7)를 위로 하여 기립한 상태에서 설치된다(도 5 참조).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중심이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로 놓기 상태라도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평 놓기 착좌부(183)는, 주기구부(3)의 이면(23) 선단 측에 있어서, 좌우로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의 평평 놓기에서는, 이 한 쌍의 평평 놓기 착좌부(183)와, 후술하는 핸들링부(5)의 한 쌍의 서브 착좌부(225)가 탁상(D)에 착좌된다(도 5 참조). 각 평평 놓기 착좌부(183)는, 측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평 놓기한 탁상(D)의 면에 따라서, 경사진 착좌면(183a)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를 평평 놓기한 상태에서는, 조작 패널(9)이 선부가 올라가게 경사짐과 함께, 하면측이 약간 떠올라, 손잡이를 들어올릴 때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평평 놓기 착좌부(183)는, 테이프 인쇄 장치(1)를 평평 놓기로 한 경우에, 탁상(D)과 디스플레이부(41)(조작 패널(9))가 이루는 각도가, 8° 정도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인쇄 장치(1)를 평평 놓기했을 때의 디스플레이부(41) 등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주기구부(3)의 이면(23)에는, 한 쌍의 평평 놓기 착좌부(183)의 앞쪽측 근방에 위치하여, 한 쌍의 제6 미끄러짐 방지부(187)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6 미끄러짐 방지부(187)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3개의 돌조(projection; 187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6 미끄러짐 방지부(187)는, 전체적으로 「ハ」자 형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연재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3개의 돌조(187a)는,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손에 집어들었을 때의, 집게 손가락이 접하는 부분이고, 집게 손가락의 미끄러짐 방지로서 기능한다.
[마그넷 어태치먼트의 구성]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한 쌍의 평평 놓기 착좌부(183)에는, 마그넷 어태치먼트(11)(마그넷부)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즉, 한 쌍의 평평 놓기 착좌부(183)는, 마그넷 어태치먼트(11)를 부착하기 위한 대좌(pedestal)를 겸하고 있다. 마그넷 어태치먼트(11)는, 한 쌍의 평평 놓기 착좌부(183)에 대응하여, 한 쌍의 마그넷(19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중심은,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주기구부(3) 측에 위치하고 있고, 한 쌍의 마그넷(191)도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주기구부(3)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인쇄 장치(1)의 흡착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각 마그넷(191)은, 페라이트 자석 등으로 구성된 원판 형상의 마그넷 본체(193)와, 마그넷 본체(193)가 수용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요크(195)와, 요크(195)의 하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수나사(197)를 갖고 있다.
한편, 평평 놓기 착좌부(183)에는, 그 착좌면(183a)의 중심부에, 상기의 수나사(197)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201)가 매입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수나사(197)는, 스텝나사(stepped screw)로 구성되고, 암나사(201)는, 육각의 가이드공(203)의 안쪽에 매입되어 있다. 마그넷(191)을 파지하고, 그 수나사(197)를 착좌면(183a)의 암나사(201)에 나사삽입 하면, 수나사(197)의 기부가 가이드공(203)에 끼워맞춰져 간다. 또한, 나사삽입을 진행시키면, 요크(195)의 하면이 착좌면(183a)에 압접되도록 하여, 마그넷(191)의 평평 놓기 착좌부(183)로의 장착이 완료된다. 또한, 요크(195)의 외주면에는, 미끄러짐 방지 가공으로서 널링(knurling)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넷 어태치먼트(11)를 장착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예를 들면 스틸제 제어판의 케이스에 흡착된다. 즉, 마그넷 어태치먼트(11)를 통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자성체인 설치 대상물에 자유도를 갖고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흡착된 마그넷(191)에 의해, 설치 대상물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마그넷(191)을 캡 등의 막체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 생략). 이에 따라, 마그넷(191)(막체)의 표면에 자성체를 포함하는 먼지 등이 부착되어도, 이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핸들링부의 구성]
핸들링부(5)는, 핸드헬드 조작되는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있어서, 이를 핸드헬드하는 부위임과 함께, 입력 등의 조작을 행하는 부위이다. 핸드헬드했을 때의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여, 이 부분에 전지(221)를 내장하고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링부(5)의 표면(21)에는, 그 전역에 조작 패널(9)의 일부를 구성하는 주키보드부(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링부(5)의 기단부의 표면(21)에는, 좌우 한 쌍의 돌출편(211)(돌출부)이 형성되어 있다. 각 돌편(21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재됨과 함께, 주키보드부(71)의 높이를 넘어 산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손가락 걸이부(125)와 동일하게, 주키보드부(71)의 프로텍터로서 기능하고 있다.
즉, 손가락 걸이부(125)와 한 쌍의 돌출편(211)은, 핸들링부(5)의 선단 위치 및 기단 위치에 있어서, 조작 패널(9)에 있어서의 2개소의 돌출 부위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인쇄 장치(1)를 표리 반전하여 탁상(D)에 놓은 경우, 손가락 걸이부(125) 및 한 쌍의 돌출편(211)이 탁상(D)에 착지하고, 조작 패널(9)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41), 부키보드부(43) 및 주키보드부(71)가 직접, 탁상(D)에 접하지 않도록 이를 보호한다. 마찬가지로, 개폐 덮개(47)의 개구연부(157)는, 디스플레이부(41)를 개별적으로 보호한다. 또한, 이러한 돌출 부위는, 주기구부(3)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있어도 좋다.
주키보드부(71)에는, 복수의 키군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키군은, 선단측의 절반의 부분에 설치된 문자 키군(215)과, 기단측의 절반의 부분에 설치된 커서/실행 키군(217) 및 기능 키군(219)으로 구성되어 있다. 말할 것도 없지만, 문자 키군(215)은, 커서/실행 키군(217) 및 기능 키군(219)에 비해, 그 조작 빈도가 높다. 그래서, 핸드헬드 상태에서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조작 빈도가 높은 문자 키군(215)을,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조작 빈도가 낮은 커서/실행 키군(217) 및 기능 키군(219)을,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주키보드부(71)의 핸드헬드 조작에서는, 한쪽의 손으로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지지하도록 파지하고, 다른 한쪽의 손으로 키 조작을 행하는 경우와, 양손으로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지지하고, 양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키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상정되어 있다. 그래서, 이 양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키 조작을 행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특히 문자 키군(215)에 있어서는, 대략 좌우 대칭성을 갖는 키 배치가 이루어져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문자 키군(215), 커서/실행 키군(217) 및 기능 키군(219)을, 색채적으로 구별 가능해지도록, 각 키의 표면에 형성한 문자 표시가, 키군별로 상이한 배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문자 키군(215), 커서/실행 키군(217) 및 기능 키군(219)의 키 톱에는, 각각의 키의 주기능 및 부기능에 관련지어진 문자나 도면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모두 도시 생략). 각각의 키에 있어서, 키 톱의 배색과, 주기능에 관련지어진 문자나 도면 기호의 배색의 명도차는, 최대가 되도록 배색되어 있다. 또한, 주기능에 관련지어진 문자나 도면 기호의 배색과, 부기능에 관련지어진 문자나 도면 기호의 배색의 명도차는, 최소와 최대의 명도차를 백분율로 나타낸 경우에는, 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키가 작아도, 그 키가 갖는 주기능 및 부기능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문자 키군(215)은, 서로 간격을 갖고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한 복수의 문자 키(215a)와, 왼쪽 앞쪽의 시프트 키(215b)를 갖고 있다. 이 경우, 문자 키(215a)는, 오조작을 억제하고 또한 문자 키군(215) 전체의 폭을 억제하기 위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커서/실행 키군(217)은, 실행 키(217a)와, 실행 키(217a)를 둘러싸도록 설치한 4개의 커서 키(217b)를 갖고 있다. 또한, 기능 키군(219)은, 커서/실행 키군(217)의 3방향을 둘러싸도록 설치한 복수의 기능 키(219a)를 갖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링부(5)의 이면(23)측에는, 전지(221)를 수용하는 전지 수용부(75)와, 전지 수용부(75)를 개폐하는 전지 덮개(77)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 수용부(75)에는, 충전 가능한 전지(221)(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지 수용부(75)의 기단측은, 장치 케이스(31)(하 케이스(35))에서 크게 잘라내어져 있고, 유저는, 이 앞쪽측의 개방 부분으로부터 전지(221)를 착탈한다. 그리고, 전지 덮개(77)는, 이 앞쪽측의 개방 부분을 포함하여 전지 수용부(75)의 개방 부분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외각은, 표면(21), 이면(23), 둘레면(25), 표측 경사 둘레면(27) 및 이측 경사 둘레면(29)으로 구성되고, 핸들링부(5)에 있어서도, 그 주위가, 핸들링부 표면(21A), 핸들링부 이면(23A), 좌우의 핸들링부 측면(25A), 좌우의 핸들링부 표측 경사면(27A) 및 좌우의 핸들링부 이측 경사면(29A)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핸들링부 표면(21A)은, 상기의 주키보드부(71)로 구성되고, 핸들링부 이면(23A) 및 핸들링부 이측 경사면(29A)의 일부는, 전지 덮개(7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링부 이면(23A)의 기단부에 있어서, 전지 덮개(77)의 양측에는, 한 쌍의 서브 착좌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착좌부(225)는, 전지 덮개(77)보다 근소하게 돌출되어 있다. 전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를 평평 놓기하면, 이 한 쌍의 서브 착좌부(225)와, 상기 한 쌍의 평평 놓기 착좌부(183)가 탁상(D)에 착좌된다(도 5 참조).
핸들링부(5)의 외각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링부(5)에 있어서 문자 키군(215)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장 협폭으로 잘록해져 있고, 이 부분으로부터 주기구부(3)를 향하여 급격한 각도로 확장하는 한편, 손잡이부(7)를 향하여 완만한 각도로 확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손에 잡아들었을 때에, 피트감을 갖고 이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링부(5)의 주위를 구성하는, 핸들링부 표면(21A), 핸들링부 이면(23A), 좌우의 핸들링부 측면(25A), 좌우의 핸들링부 표측 경사면(27A) 및 좌우의 핸들링부 이측 경사면(29A)은, 서로의 교회(intersection) 부분이 둔각의 정부(top portion)를 구성하고 있고, 테이프 인쇄 장치(1)를 핸드헬드했을 때에, 둘레 방향의 미끄러짐 방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핸들링부(5)는, 잡기 쉬움과 미끄러지기 어려움을 겸비하는 외각을 갖고 있다.
덧붙여, 핸들링부(5)의 주위에는, 핸드헬드했을 때의 손가락의 위치 등을 고려한 복수의 미끄러짐 방지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링부(5)의 핸들링부 이면(23A)에는, 제1 미끄러짐 방지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미끄러짐 방지부(231)는, 전지 덮개(77)에 형성된 얕은 홈부(231a)로 구성되고, 핸들링부(5)를 양손으로 파지했을 때의 새끼 손가락 혹은 약 손가락의 위치가 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즉, 새끼 손가락 혹은 약 손가락이, 홈부(231a)의 가장자리(단부)에 걸림으로써 미끄러짐 방지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양손의 집게 손가락이 상기 한 쌍의 제6 미끄러짐 방지부(187)에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좌우의 핸들링부 이측 경사면(29A)에는, 각각 제2 미끄러짐 방지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미끄러짐 방지부(233)는, 가늘고 길며 또한 낮은 돌조(233a)로 구성되고, 전지 덮개(77)를 따라 연재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제2 미끄러짐 방지부(233)는, 핸들링부(5)를 한 손으로 파지했을 때의 새끼 손가락 및 약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이 접촉한다. 이 경우도, 집게 손가락은 제6 미끄러짐 방지부(187)에 접촉한다.
좌우의 핸들링부 측면(25A)에는, 각각 제3 미끄러짐 방지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제3 미끄러짐 방지부(235)는, 얕은 홈부(235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핸들링부 측면(25A)의 선단측에는, 각각 제3 미끄러짐 방지부(235)에 인접하여 제4 미끄러짐 방지부(237)가 형성되어 있다(모두 도 1 내지 도 4 참조). 이 경우도, 제4 미끄러짐 방지부(237)는, 얕은 홈부(237a)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링부(5)를 한 손으로 파지했을 때에, 한쪽의 제3 미끄러짐 방지부(235)에 엄지 손가락이 접촉하고, 다른 한쪽의 제3 미끄러짐 방지부(235)에 새끼 손가락 및 약 손가락이, 그리고, 제4 미끄러짐 방지부(237)에 가운뎃손가락이 접촉한다.
또한, 좌우의 핸들링부 이측 경사면(29A)의 선단측에는, 각각 제5 미끄러짐 방지부(239)가 형성되어 있다. 제5 미끄러짐 방지부(239)는, 제2 미끄러짐 방지부(233)와 동일하게, 가늘고 길며 또한 낮은 돌조(239a)로 구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제5 미끄러짐 방지부(239)는, 손이 작은 사람이 핸들링부(5)를 한 손 혹은 양손으로 파지했을 때에, 그 집게 손가락이 접촉한다. 즉, 손이 큰 사람은, 집게 손가락이 제6 미끄러짐 방지부(187)에 접촉하고, 손이 작은 사람은, 집게 손가락이 제5 미끄러짐 방지부(239)에 접촉한다.
[손잡이부의 구성]
손잡이부(7)는, 테이프 인쇄 장치(1)를 늘어뜨리도록 파지하는 부위이고,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운반시에 사용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7)는, 손가락을 삽입하는 손가락 삽입 간극(241)을 사이에 두고, 핸들링부(5)의 기단에 대치하는 그립부(243)와, 그립부(243)의 양단에서 핸들링부(5)의 기단까지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그립 지지부(245)를 갖고 있다. 한 쌍의 그립 지지부(245)는, 앞쪽측을 향하여 역 「ハ」자 형상으로 연재되어 있고, 한 쌍의 그립 지지부(245), 핸들링부(5) 및 그립부(24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243)는, 외측으로 주어진 엄지 손가락과, 손가락 삽입 간극(241)측으로 주어진 엄지 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으로 잡도록하여 파지된다. 그립부(243)의 이면측은,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4개의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잡기 쉬운 그립부(24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 간극(241)은, 그립부(243)를 파지할 때에, 4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공간이고, 핸들링부(5)와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 치수를 가짐과 함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즉, 그립부(243)측을 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립부(243)를 무리 없이 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과 같이, 손가락 삽입 간극(241)은, 전지(221)를 전지 수용부(75)에 대하여 착탈할 때의 손가락의 삽입 간극도 겸하고 있다.
또한, 그립부(243)는, 평평 놓기한 상태에서, 탁상(D)과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발생하도록, 표측에 가까이 대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립부(243)를 파지하는 손가락 혹은 파지한 손가락이 탁상(D)에 접하기 어려워져, 평평 놓기시에, 그립부(243)를 파지하기 쉽거나 혹은 그립부(243)로부터 손을 떼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의하면, 주기구부(3) 및 핸들링부(5)에 더하여 손잡이부(7)를 갖고, 한편 외각의 전체 폭과 외각의 전체 길이의 비율이, 대략 1:2가 되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드헬드 조작시에, 핸들링부(5)를 파지함으로써,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안정적으로 핸드헬드할 수 있다. 또한, 핸들링부(5)의 기단측에 연속해 있는 손잡이부(7)에 의해, 테이프 인쇄 장치(1) 전체를 늘어뜨리도록 하여 핸드헬드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7)에 의해,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평평 놓기 착좌부(183), 서브 착좌부(225) 및 세로 놓기 착좌부(181)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는, 평평 놓기 및 세로 놓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평평 놓기에서는, 조작 패널(9)이 선부가 올라가게 경사지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심이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로 놓기 상태라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1 : 테이프 인쇄 장치
3 : 주기구부
5 : 핸들링부
7 : 손잡이부
9 : 조작 패널
11 : 마그넷 어태치먼트
13 : 테이프 카트리지
21 : 표면
21A : 핸들링부 표면
23 : 이면
23A : 핸들링부 이면
25 : 둘레면
25A : 핸들링부 측면
27 : 표측 경사 둘레면
27A : 핸들링부 표측 경사면
29 : 이측 경사 둘레면
29A : 핸들링부 이측 경사면
41 : 디스플레이부
43 : 부키보드부
45 : 카트리지 장착부
47 : 개폐 덮개
49 : 인쇄 기구부
51 : 테이프 배출구
55 : 관측창
57 : 전원 커넥터
71 : 주키보드부
75 : 전지 수용부
77 : 전지 덮개
79 : USB 커넥터
83 : 인쇄 테이프
83a : 인쇄면
101 : 인쇄 헤드
121 : 덮개 본체
123 : 덮개 커버
125 : 손가락 걸이부
133 : 힌지 수용부
135 : 힌지 샤프트
141 : 절결부
157 : 개구연부
173 : 테두름부
181 : 세로 놓기 착좌부
183 : 평평 놓기 착좌부
183a : 착좌면
187 : 제6 미끄러짐 방지부
191 : 마그넷
193 : 마그넷 본체
195 : 요크
197 : 수나사
201 : 암나사
211 : 돌출편
215 : 문자 키군
215a : 문자 키
217 : 커서/실행 키군
219 : 기능 키군
211 : 전지
231 : 제1 미끄러짐 방지부
233 : 제2 미끄러짐 방지부
235 : 제3 미끄러짐 방지부
237 : 제4 미끄러짐 방지부
239 : 제5 미끄러짐 방지부
241 : 손가락 삽입 간극
243 : 그립부
245 : 그립 지지부
D : 탁상

Claims (9)

  1. 핸드헬드 조작 가능한 세로로 긴 테이프 인쇄 장치로서,
    핸드헬드 부분이 되는 핸드헬드 지지부와,
    상기 핸드헬드 지지부에 연속해 있는 선단측(tip end side)에 설치된 인쇄부를 내장한 주기구부(main mechanism portion)와,
    상기 핸드헬드 지지부에 연속해 있는 상기 선단측과 반대측이 되는 기단측(base end side)에 설치된 운반시에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외각(outer shell)의 전체 폭과 상기 외각의 전체 길이의 비율이, 대략 1:2가 되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는,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 간극을 갖고, 상기 핸드헬드 지지부에 대치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양단에서 상기 핸드헬드 지지부의 기단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그립 지지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핸드헬드 지지부를 아래로 한 평평 놓기 상태로 설치면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평평 놓기 상태에서 상기 설치면과의 사이에 손가락 두께의 간극이 생기며,
    상기 핸드헬드 지지부에는, 상기 그립부측으로부터 착탈되는 배터리가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의 세로 방향으로 내장되고,
    상기 핸드헬드 지지부의 기단측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에 대향하는 측벽의 일부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가 상기 평평 놓기 상태에 있을 때 당해 절결부의 상부의 위치는 상기 그립부의 하단의 위치보다 높으며,
    당해 절결부는 배터리 덮개로 덮여 있으며,
    상기 배터리 덮개를 열고 상기 배터리를 착탈하는 경우에, 상기 손가락 삽입 간극은, 상기 착탈시에 상기 배터리를 파지하는 손가락의, 삽입 간극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지지부의 표면 및 상기 주기구부의 표면에 걸쳐 설치된 조작부 및 표시부와,
    상기 평평 놓기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표시부가 선(tip)부가 올라가게 경사지도록 상기 설치면에 착좌되는 평평 놓기 착좌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하는 부위가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삽입 간극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측을 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7. 삭제
  8.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을 아래로 한 세로 놓기 상태로 설치면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중심(gravity center)이,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상기 주기구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구부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세로 놓기 상태에서 상기 설치면에 착좌되는 한 쌍의 세로 놓기 착좌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KR1020177029795A 2015-03-23 2016-02-15 테이프 인쇄 장치 KR102017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9217 2015-03-23
JP2015059217A JP6561524B2 (ja) 2015-03-23 2015-03-23 テープ印刷装置
PCT/JP2016/000764 WO2016152004A1 (ja) 2015-03-23 2016-02-15 テープ印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547A KR20170128547A (ko) 2017-11-22
KR102017255B1 true KR102017255B1 (ko) 2019-09-02

Family

ID=5697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795A KR102017255B1 (ko) 2015-03-23 2016-02-15 테이프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80079226A1 (ko)
EP (1) EP3275672B1 (ko)
JP (1) JP6561524B2 (ko)
KR (1) KR102017255B1 (ko)
CN (1) CN107531058B (ko)
WO (1) WO2016152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9844B2 (ja) 2020-01-31 2024-01-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978B1 (ko) 1994-12-02 1999-07-15 야스카와 히데아키 인쇄장치의 헤드 해제기구
JP2000177181A (ja) * 1998-12-18 2000-06-27 King Jim Co Ltd 文字情報処理装置
JP2002019228A (ja) * 2000-07-03 2002-01-23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印刷装置
JP2005088239A (ja) * 2003-09-12 2005-04-07 Brother Ind Ltd 電子機器
JP2010274638A (ja) * 2009-06-01 2010-12-09 Brother Ind Ltd ハンディ型印字ラベル作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8493B1 (ko) 1970-04-08 1974-02-26
US3801700A (en) 1972-03-28 1974-04-02 Energy Commission Preparation of 238pu16o2
JPS5660271A (en) * 1979-10-22 1981-05-25 Seiko Epson Corp Typewriter
DE3468374D1 (en) * 1983-09-12 1988-02-11 Tokyo Electric Co Ltd Printer
JPS60184061U (ja) * 1984-05-16 1985-12-06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5218884A (ja) * 1992-01-31 1993-08-27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機器のストラップ構造
JPH10173352A (ja) * 1996-12-11 1998-06-26 Canon Inc 電子機器
DE19832093A1 (de) * 1997-08-22 1999-02-25 Esselte Nv Banddruckgerät
JPH11277817A (ja) * 1998-03-31 1999-10-12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JP4456258B2 (ja) * 2000-11-27 2010-04-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JP3722117B2 (ja) * 2002-12-20 2005-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JP4441674B2 (ja) * 2004-04-02 2010-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点字ラベル作成システム、点字ラベル作成方法、及び、点字ラベル作成プログラム
JP2006053312A (ja) * 2004-08-11 2006-02-23 Seiko Epson Corp 文字情報処理方法、文字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7326222A (ja) * 2004-09-07 2007-12-20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US8092104B2 (en) * 2007-04-05 2012-01-10 Dymo Tape printing apparatus
GB0706785D0 (en) * 2007-04-05 2007-05-16 Dymo Nv Tape printing apparatus
JP2009220417A (ja) * 2008-03-17 2009-10-01 Brother Ind Ltd テープ印字装置
JP5320874B2 (ja) * 2008-07-15 2013-10-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
JP2010076168A (ja) * 2008-09-25 2010-04-08 Seiko Epson Corp テープ印刷装置
JP5440018B2 (ja) * 2009-08-18 2014-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5920271B2 (ja) * 2013-03-28 2016-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978B1 (ko) 1994-12-02 1999-07-15 야스카와 히데아키 인쇄장치의 헤드 해제기구
JP2000177181A (ja) * 1998-12-18 2000-06-27 King Jim Co Ltd 文字情報処理装置
JP2002019228A (ja) * 2000-07-03 2002-01-23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印刷装置
JP2005088239A (ja) * 2003-09-12 2005-04-07 Brother Ind Ltd 電子機器
JP2010274638A (ja) * 2009-06-01 2010-12-09 Brother Ind Ltd ハンディ型印字ラベル作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1844A1 (en) 2020-06-04
CN107531058B (zh) 2019-12-13
US10899141B2 (en) 2021-01-26
KR20170128547A (ko) 2017-11-22
JP6561524B2 (ja) 2019-08-21
CN107531058A (zh) 2018-01-02
EP3275672A4 (en) 2018-12-05
US20180079226A1 (en) 2018-03-22
WO2016152004A1 (ja) 2016-09-29
EP3275672B1 (en) 2021-03-17
EP3275672A1 (en) 2018-01-31
JP2016175382A (ja)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7404B2 (en) Tape printing device
KR102017255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KR102016431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KR102020556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WO2016152003A1 (ja) テープ印刷装置
JP6721080B2 (ja) テープ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