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018B1 -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 Google Patents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018B1
KR102017018B1 KR1020180021987A KR20180021987A KR102017018B1 KR 102017018 B1 KR102017018 B1 KR 102017018B1 KR 1020180021987 A KR1020180021987 A KR 1020180021987A KR 20180021987 A KR20180021987 A KR 20180021987A KR 102017018 B1 KR102017018 B1 KR 10201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tube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율
Original Assignee
김만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율 filed Critical 김만율
Priority to KR102018002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6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a single propulsion pow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characterised by use of clutches
    • B63B274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 B63H2016/205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making use of standard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023/0208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 B63H2023/0216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by means of belts, or the like
    • B63H2023/0233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by means of belts, or the like of belts having a toothed contact surface, or regularly spaced bosses, or hollows for slip-less or nearly slip-less meshing with complementary profiled contact surface of a pull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4Handle-bars; Posts for supporting handle-bars, e.g. adjustable po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에 관한 것으로, 튜브본체의 타원형 테두리튜브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의 좌,우 양측으로 평행하도로 형성되는 양측 테두리부분 각각을 상측에서 감싸주는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테두리고정부와 상기 좌,우측 테두리고정부를 연결하는 바닥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튜브본체의 타원형 테두리튜브 안쪽에 위치하도록 바닥튜브 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전거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연결부에 수직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자전거를 고정 상태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좌,우측 테두리고정부 각각에 고정되도록 튜브본체의 폭 방향을 향해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채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도록 대설되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회전체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자전거의 좌,우측 페달링크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페달과 연결되는 보조페달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페달링크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보조페달축과;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 각각에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좌,우측 수직파이프 각각의 하단에서 직각상으로 연결된 좌,우측 절곡관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종동축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프로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Boating with bicycles}
본 발명은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서는 자전거를 수상보트에 실은 상태에서 저전거를 운전하듯이 양발로 페달을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수상보트를 물 위로 운전할 수 있으며, 육상에서는 수상보트를 자전거에 트레일러 연결간으로 연결하여 적재하고 이동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륙용 자전거는 자전거의 양쪽으로 튜브 또는 보드 등을 연결하여 자전거가 물에 떠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자전거의 페달을 돌려 회전력을 얻고 그 얻어진 회전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스크류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어 물 위를 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6754호는 자전거의 전,후륜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후방 부력체의 부력을 이용하여 자전거가 물 위에 떠있도록 형성하고, 자전거의 페달축에 설치되어 있는 체인기어의 회전력으로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추진력을 얻는 구성으로 수상보트장치를 수면 위에서 전진시키거나 또는 정지 및 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수상보트장치는 자전거의 페달축에 형성된 구동측 체인기어와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종동측 체인기어를 단순히 체인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구동측 체인기어와 종동축 체인기어의 같은 회전비율로 회전하거나 또는 구동측 체인기어가 1회전하게 될 때 종동측 체인기어가 2∼3회전 정도로 증속된 회전비율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의 수상보트장치는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전거의 페달축을 보다 빠르게 회전시켜야만 프로펠러가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상보트장치를 수면 위에서 전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페달축을 계속해서 빠르게 회전시켜야 하는데,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페달축을 빠르게 회전시킬 수는 있겠지만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체력의 한계로 인해 페달축을 빠르게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수상보트장치를 정상적으로 수면 위에서 전진 이동시키면서 장시간 동안 물놀이를 지속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자전거의 페달축을 빠르게 회전시키게 되더라도 수상보트장치를 수면 위에서 빠르게 전진 이동시키는 추진력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왜냐하면, 자전거의 페달축을 빠르게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상기한 페달축의 회전수에 비하여 프로펠러를 2∼3배 정도 빠르게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특혀 제10-0356754호 외에도 여러 종류의 선행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그것들 역시 자전거의 페달축 회전력을 이용하고 있지만 상기한 페달축의 회전력에 비하여 몇 배 이상의 회전력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256754호(2002. 10. 18. 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143306호(2012. 05. 11. 공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14-0054888호(2014. 05. 0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상보트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타원형 튜브와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튜브로 형성되는 보트튜브본체와 상기 타원형 튜브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 튜브 위에 자전거를 고정되도록 설치시키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상기 수상보트에 결합 설치된 자전거의 안장에 앉아 페달축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좌,우측 프로펠러를 페달축의 회전수보다 수배 내지 수십배 이상으로 빠르게 회전시켜 수상보트를 빠르게 전진 이동시킬 수 있는 수상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수상보트를 전진 이동시 방향전환을 할 때에는 자전거와 같이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방향전환할 수 있는 수상보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수상보트를 육상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수상보트의 튜브본체를 적재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물에 싣고 이를 트레일러 이동수단과 같이 자전거에 연결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부풀게 되는 타원형 테두리튜브와,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바닥튜브로 구성되는 튜브본체와, 상기 튜브본체 위에 얹혀지는 상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튜브본체와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자전거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수상보트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의 타원형 테두리튜브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의 좌,우 양측으로 평행하도로 형성되는 양측 테두리부분 각각을 상측에서 감싸주는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테두리고정부와 상기 좌,우측 테두리고정부를 연결하는 바닥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튜브본체의 타원형 테두리튜브 안쪽에 위치하도록 바닥튜브 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전거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연결부에 수직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자전거를 고정 상태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좌,우측 테두리고정부 각각에 고정되도록 튜브본체의 폭 방향을 향해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채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도록 대설되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회전체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자전거의 좌,우측 페달링크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페달과 연결되는 보조페달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페달링크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보조페달축과;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 각각에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좌,우측 수직파이프 각각의 하단에서 직각상으로 연결된 좌,우측 절곡관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종동축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프로펠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는 자전거의 좌,우측 페달링크에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페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보조페달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보조페달링크와, 상기 보조페달링크가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보조페달축과, 상기 좌,우측 보조페달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좌,우측 회전체와, 상기 좌,우측 회전체 각각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좌,우측 구동클러치와, 상기 좌,우측 구동클러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연동클러치와, 상기 좌,우측 연동클러치 각각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프로펠러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좌,우측 회전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회전축 각각에는 대형 타이밍풀리가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대형 타이밍풀리는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소형 타이밍풀리를 증속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타이밍풀리의 증속회전축에는 대형 베벨기어가 축설되어 있고, 상기 대형 베벨기어에는 소형 베벨기어가 증속 회전하도록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베벨기어에 축설되어 있는 증속구동축은 좌,우측 고정파이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속구동축의 단부에 축설되어 있는 구동베벨기어에는 종동축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종동베벨기어가 치합되는 구조로 좌,우측 프로펠러를 증속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회전축 각각에는 대형 타이밍풀리, 소형 타이밍풀리, 소형 베벨기어, 대형 베벨기어, 타이밍벨트 각각을 감싸주는 좌,우측 보호커버가 일정각도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 각각의 좌,우측 구동클러치 외주에는 그 자체의 회전작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좌,우측 구동클러치 각각을 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측 이동용 베어링부재가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이동용 베어링부재 각각에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에서 일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좌,우측 클러치레바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클러치레버 각각에는 프레임 구조물의 연결부에 수직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수직지지대에 수평상으로 고정 연결되는 수평연결대의 끝단에 수상보트의 폭방향을 향해 일정길이를 갖는 수평이동 안내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클러치작동간의 양단이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작동간은 수평이동 안내관에는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측 클러치레버를 교대적으로 잡아당기고 밀어주기 위한 좌,우측 작동고리와, 튜브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자전거(3)의 앞바퀴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앞바퀴의 회전 이동에 따라 클러치작동간을 좌,우측 방향을 향해 교대적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전환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 각각에는 좌,우측 보호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좌,우측 커버고정돌기가 탄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보호커버의 일측 외면에는 좌,우측 커버고정돌기가 삽탈 가능하게 끼이는 구멍이 있는 복수의 스토퍼부재가 180°간격으로 서로 마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일측 테두리고정부에는 자전거의 뒷바퀴축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 연결간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 각각의 좌,우측 회전축에는 구동타이밍플리와, 상기 구동타이밍풀리에 연설되는 타이밍벨트가 연결 설치되는 연동타이밍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좌,우측 보조 보호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보조 보호커버 각각에는 좌,우측 회전축과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면서 상기 좌,우측 회전축을 회전기점으로하여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우측 회전수차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상보트를 물 위에서 운행하고자 할 때에는 보트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자전거의 안장에 올라 타고 좌,우측 페달을 회전시키게 되면, 좌,우측 페달링크가 1회전할 때 좌,우측 프로펠러를 10배 이상으로 빠르게 회전하게 되므로 수상보트를 빠르게 전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자전거의 핸들을 좌,우로 회전 조절함에 따라 좌,우측 프로펠러가 교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전진 이동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평상시 자전거를 타는 방법으로 수상보트를 물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운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상보트를 육상으로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수상보트에서 자전거를 분리하여 보트본체에서 공기를 빼낸 다음 트레일러 연결간을 이용하여 자전거에 프레임 구조물을 연결하고 공기뺀 보트본체를 접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실고 운반할 수 있으므로 자전거를 이용하여 수상보트를 트레일러 이동수단으로 육상에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상보트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을 수상보트로 사용할 때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수상보트로 사용할 때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을 수상보트로 사용할 때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발명의 수상보트를 동력전달장치와 방향전환 조향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수상보트를 동력전달장치와 방향전환 조향장치의 작동상태 평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X, Y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Z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수상보트를 자전거에 연결되는 트레일러 이동수단으로 운반할 때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수상보트를 자전거에 연결되는 트레일러 이동수단으로 운반할 때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수상보트를 자전거에 연결되는 트레일러 이동수단으로 운반할 때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수상보트에 회전수차를 결합시킨 상태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을 수상보트에 결합되는 회전수차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수상보트를 나타내는것으로, 상기 수상보트(1)는 튜브본체(2)와, 상기 튜브본체(2)의 내부에 자전거(3)가 얹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본체(2)는 공기가 주입되면 원형단면으로 팽창되어 타원형을 이루게 되는 타원형 테두리튜브(21)와, 공기 주입시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21)의 내측 바닥을 연결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는 바닥튜브(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튜브본체(2)에는 자전거(3)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구조물(4)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은 타원형 테두리튜브(21)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상태가 될 때에는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21)를 감싸준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와 상기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를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튜브(2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바닥연결부(43)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의 바닥연결부(43)에는 자전거(3)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지지대(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지지대(44)는 바닥연결부(43)에 부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겠지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닥연결부(43)에서 수평상으로 접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직상으로 기립시킬 수 있는 구조 즉, 절첩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44)는 그 상단이 자전거(3)의 페달축(30)이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메인프레임(31)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메인프레임(31)에서 분리시킬 수도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의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 각각에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다.(도 1,2,3 참조)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는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방향전환 조향장치(6)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의 좌,우측 커버케이스(50a)(50b) 각각에는 자전거(3)의 페달축(30) 양단에 연결되는 좌,우측 페달링크(32)(33)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페달(34)(35) 각각에 연결되는 보조페달(51a)(51b)과, 상기 보조페달(51a)(51b)에 연결되는 보조페달링크(52a)(52b)와, 상기 보조페달링크(52a)(52b)가 각각 연결되는 좌,우측 보조페달축(53a)(53b)과, 상기 좌,우측 보조페달축(53a)(53b)으로 회전적을 전달받는 좌,우측 회전체(54a)(54b)와, 상기 좌,우측 회전체(54a)(54b) 각각의 끝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좌,우측 구동클러치(55a)(55b)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의 좌,우측 커버케이스(50a)(50b) 각각의 내측 끝단에는 좌,우측 구동클러치(55a)(55b)가 접속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좌,우측 연동클러치(56a)(56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연동클러치(56a)(56b) 각각은 좌,우측 커버케이스(50a)(50b)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좌,우측 회전축(57a)(57b)의 끝단에 연결 부착되어 상기 좌,우측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의 좌,우측 구동클러치(55a)(55b) 각각은 좌,우측 회전체(54a)(54b)의 끝단에서 축방향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좌,우측 회전체(54a)(54b) 각각의 끝단 외경과 이에 조립되는 좌,우측 구동클러치(55a)(55b) 각각의 내경을 스플라인 구조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작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회전체(54a)(54b)에는 각각 돌출키(54)를 하나씩 형성하는 한편, 상기 좌,우측 구동클러치(55a)(55b) 각각의 내경에는 상기한 돌출키(54)를 따라 이동하는 키홈(미도시)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의 좌,우측 구동클러치(55a)(55b) 각각의 외주에는 좌,우측 이동용 베어링부재(58a)(58b)의 내측링(부호 생략)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이동용 베어링부재(58a)(58b) 각각의 외측링(부호 생략)에는 좌,우측 커버케이스(50a)(50b) 각각의 끝단에 형성된 이동장공(58)을 통해 일정길이로 돌출하는 좌,우측 클러치레버(59a)(59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 각각은 방향전환 조향장치(6)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전환 조향장치(6)는 프레임 구조물(4)의 바닥연결부(43)에서 수직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직지지대(44)에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대(61)와 상기 수평연결대(61)와는 직각을 이루도록 수평연결대(61)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이동안내관(62)과, 상기 수평이동안내관(62)에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클러치작동간(6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작동간(63)의 양단 각각에는 스프링수용관(64)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수용관(64)의 양단은 클러치작동간(63)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걸림플렌지(65)와 좌,우측 클러치레버(58a)(58b)를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작동고리(66a)(66b)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걸림플렌지(66)를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어 클러치작동간(6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환형걸림플렌지(65)(66) 각각에 걸림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작동간(63)의 양단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양측 스프링수용관(64) 각각에는 환형걸림플렌치(65)와 좌,우측 작동고리(66a)(66b)의 환형걸림플렌지(66) 사이에는 코일스프링(69)이 탄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작동간(63)에는 자전거(3)의 앞바퀴(36)를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앞바퀴(36)가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클러치작동간(63)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U"자형으로 형성되는 방향전환부재(6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전환부재(67)는 수평이동안내관(62)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장공(62a)을 통해 돌출하는 돌봉(68)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 각각의 끝단으로 돌출하는 좌,우측 회전축(57a)(57b)에는 좌,우측 보호커버(7a)(7b)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보호커버(7a)(7b)는 베어링(부호 생략)에 의해 상기 좌,우측 회전축(57a)(57b)을 회전 가능하게 붙잡아주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보호커버(7a)(7b)에는 좌,우측 회전축(57a)(57b) 각각에 축설되는 대형 타이밍풀리(71)와, 상기 대형 타이밍풀리(71) 각각에 연결되는 타이밍벨트(72)와, 상기 타이밍벨트(72)가 연결되는 소형 타이밍플리(73)와, 상기 소형 타이밍풀리(73)가 축설되는 증속회전축(74)과, 상기 증속회전축(74)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 베벨기어(75)와, 상기 대형 베벨기어(75)에 치합되는 소형 베벨기어(76) 등이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보호커버(7a)(7b) 각각에는 타이밍벨트(72)를 대형 타이밍플리(71)와 소형 타이밍풀리(73)에 긴장된 상태로 연결되게 하는 텐션조절기(77)가 장착되어 있으며(도 8, 도 9 참조), 상기 좌,우측 보호커버(7a)(7b)의 일측으로서,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와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좌,우측 보호커버(5a)(5b)가 좌,우측 회전축(57a)(57b)을 회전기점으로 해서 180°각도로 회전 이동한 후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스토퍼부재(78a)(78b)가 180°각도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보호커버(7a)(7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 각각에는 복수의 스토퍼부재(78a)(78b)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78)에 삽입 및 이완되는 작동으로 좌,우측 보호커버(7a)(7b)를 정지시키기 위한 좌,우측 커버고정돌기(501)(5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커버고정돌기(501)(502) 각각은 압축스프링(503)(504)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커버고정돌기(501)(502)에는 압축스프링(503)(504)을 탄력적으로 압축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손잡이돌기(505)(506)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보호커버(7a)(7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증속회전축(74)의 하측으로는 대형 베벨기어(75)에 치합되는 소형 베벨기어(76)에는 증속구동축(79)이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속회전축(79)의 끝단에는 구동베벨기어(7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속회전축(79)은 좌,우측 보호커버(7a)(7b)에서 수직상으로 돌출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좌,우측 수직파이프(81a)(81b)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수직파이프(81a)(81b) 각각의 끝단에는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좌,우측 절곡관(82a)(8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절곡관(82a)(82b) 각각의 내측에는 구동베벨기어(79a)에 치합되는 종동베벨기어(83)가 형성되어 있는 종동축(8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수직파이프(81a)(81b) 각각의 끝단에 직각상으로 연결되는 좌,우측 절곡관(82a)(82b) 각각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종동축(84) 각각의 끝단에는 좌,우측 프로펠러(8a)(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프로펠러(8a)(8b) 각각에 일정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날개들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대칭하는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만약에 상기 좌,우측 프로펠러(8a)(8b)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들이 같은 방향을 향해 휘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상보트(1)의 전진 이동시 전방을 향해 똑바르게 전진 이동하지 못하고 한 쪽으로 휘어진 방향을 향해 전진 이동하는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측 프로펠러(8a)(8b)각각에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들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대칭상으로 휘어진 각도로 형성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수상보트(1)의 전진 이동시 전방을 향해 똑바르게 전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상보트(1)는 튜브본체(2)에서 공기를 빼내게 되면 타원형 테두리튜브(21)와 바닥튜브(22)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공기가 빠진 튜브본체(2)에서 프레임 구조물(4)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분리된 프레임 구조물(4)의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 중 도 11의 도시와 같이 일측 테두리고정부(41)에 트레일러 연결간(45)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트레일러 연결간(45)의 타단은 자전거(3)의 뒷바퀴축(39)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의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 중 트레일러 연결간(45)이 연결되지 아니한 타측 테두리고정부(42)에는 보조바퀴(46)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47)을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부착시킨다.(도 12 참조)
상기와 같이 자전거(3)의 뒷바퀴축(39)에 매달린 상태로 연결되는 프레임 구조물(4)은 보조바퀴(46)에 의해 지면에서 구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의 바닥연결부(43) 위에는 공기가 빠진 튜브본체(2)의 부피가 줄어들게 접어준 상태로 싣게 되면 수상보트(1)를 자전거(3)에 싣고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상보트(1)는 물살이 빠른 계곡 등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스포츠의 하나인 래프팅(rafting)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상보트(1)를 이용하여 래프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보호커버(7a)(7b)를 분리한 다음,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에서 돌출되어 있는 좌,우측 회전축(57a)(57b) 각각에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구동타이밍풀리(71a)와 연동타이밍풀리(73a)가 같은 규격으로 형성되어 타이밍벨트(72a)에 의해 같은 비율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조보호커버(7c)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보호커버(7c)의 일측으로서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와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좌,우측 커버고정돌기(501)(502)가 걸림되는 역 U자형의 걸림구(50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보호커버(7c)에는 연동타이밍플리(73a)의 연동축(74a)에는 회전수차(9)가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수차(9)의 외주에는 일정각도를 유지하는 복수의 회전노(9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차(9)는 좌,우측 회전축(57a)(57b)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래프팅 도중에 계곡의 수심이 얇기 때문에 회전수차(9)가 바닥에 닿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 때에는 상기 회전수차(9)는 복수의 회전노(91)가 바닥에 닿으면서 회전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수차(9)가 보조보호커버(7c)와 같이 좌,우측 회전축(57a)(57b)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수상보트(1)로 사용할 때와, 육상으로 이동 및 운반할 때, 그리고 래프팅할 때에 의한 각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상보트(1)로 사용할 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상보트(1)로 사용할 때에는 튜브본체(2)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이때에는 타원형 테두리튜브(21)에 공기가 적당히 주입되어 어느 정도 부풀게 되면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21)의 폭 방향 양측에 프레임 구조물(4)의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를 위치시킨 다음, 다시 공기를 주입시켜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21)가 완전히 부풀도록 공기를 충분히 주입시키게 되면, 타원형 테두리튜브(21)는 원형단면을 이루는 상태가 되도록 팽팽하게 부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21)가 원형단면을 이루도록 팽팽하게 부푼 상태가 되면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의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가 타원형 테두리튜브(21)를 감싸준 상태로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21)에 결합되는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의 바닥연결부(43)는 공기가 충분히 주입된 바닥튜브(22)의 상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의 바닥연결부(43)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44)의 상단에 자전거(3)의 메인프레임(32)이 얹혀진 상태가 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자전거(3)의 좌,우측 페달(34)(35) 각각에 좌,우측 보조페달(51a)(51b)을 연결하게 되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튜브본체(2)의 바닥튜브(22) 위에 자전거(3)가 결합된 상태가 되며, 상기 수상보트(1)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수상보트(1)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는 자전거(3)의 체인기어(부호 생략)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부호 생략)을 이완시켜서 메인프레임(3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인걸이(38a)에 걸어놓은 다음, 이어서 상기 자전거(3)의 안장(37)에 올라타고 양손으로 핸들(37)을 붙잡고 양발로는 좌,우측 페달(34)(35)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수상보트(1)를 운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자전거(3)의 좌,우측 페달(34)(35) 각각에는 보조페달(51a)(51b)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우측 페달(34)(35)은 보조페달(51a)(51b)에 의해 폭이 넓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상보트(1)에 설치되어 있는 자전거(3)의 좌,우측 페달(34)(35)을 양발로 밟고 회전시키는 동작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전거(3)의 좌,우측 페달(34)(35)를 회전시키게 되면 보조페달(51a)(51b)과 보조페달링크(52a)(52b)가 같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좌,우측 보조페달축(53a)(53b)도 좌,우측 페달(34)(35)과 같이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좌,우측 보조페달축(53a)(53b)은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의 좌,우측 회전체(54a)(54b)와 같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회전체(54a)(54b)의 회전력은 좌,우측 구동커플링(55a)(55b)과 좌,우측 연동커플링(56a)(56b) 및 좌,우측 회전축(57a)(57b)에 전달되는데, 상기 좌,우측 회전축(57a)(57b) 각각은 좌,우측 보호커버(7a)(7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대형 타이밍풀리(71)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측 보호커버(7a)(7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대형 타이밍풀리(71)가 회전하게 되면 타이밍벨트(72)에 의해 상기 대형 타이밍풀리(7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소형 타이밍풀리(73)도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소형 타이밍풀리(73)는 대형 타이밍풀리(71)에 비하여 수배 이상(구체적으로는 5∼10배 정도)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대형 타이밍풀리(71)가 1회전할 때마다 소형 타이밍풀리(73)는 수배 이상(구체적으로 5∼10회 정도)으로 회전하게 되며, 또한 상기 소형 타이밍풀리(73)가 축설되어 있는 증속회전축(74)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 베벨기어(75)는 그 보다 수배 이상(구체적으로는 5∼10배 정도)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소형 베벨기어(76)를 빠르게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소형 베벨기어(76)이 설치되어 있는 증속구동축(79)과, 상기 증속구동축(79)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베벨기어(79a)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79a)에 치합된 종동베벨기어(83)와, 상기 종동베벨기어(83)가 설치되어 있는 종동축(84)과, 상기 종동축(84)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프로펠러(8a)(8b) 각각은 상기 자전거(3)의 좌,우측 페달(34)(35)을 1회전시킬 때마다 수십배 이상(구체적으로는 50∼100배 정도)의 회전수로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상보트(1)를 운전하는 사용자가 자전거(3)의 안장(37)에 앉아 양발을 이용하여 좌,우측 페달(34)(35)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게 되더라도 좌,우측 프로펠러(8a)(8b)는 좌,우측 페달(34)(35)의 회전속도보다 수십배로 증속된 회전속도로 빠르게 회전하게 되므로 수상보트(1)를 빠른 속도로 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상보트(1)를 빠르게 전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운전하다가 수상보트(1)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할 때에는 자전거(3)의 안장(37)에 앉아 있는 사용자는 지상에서 자전거(3)를 운전할 때와 마찬가지로 핸들(38)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들 들어, 수상보트(1)를 똑바르게 전진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자전거(3)의 핸들(38)을 똑바르게 위치시키고 운전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자전거(3)의 핸들(38)을 타원형 테두리고정부(2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똑바르게 위치시키게 되면 앞바퀴(36)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전진 이동방향을 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향전환 조향장치(6)의 클러치작동간(63)은 중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클러치작동간(63)의 중립상태는 그 양단에 탄력 설치되어 있는 양측 코일스프링(69)이 좌,우측 작동고리(66a)(66b)를 탄력적으로 밀어낸 상태가 되며, 이때에는 좌,우측 구동클러치(55a)(55b)가 좌,우측 연동클러치(56a)(56b)에 접속 연결된 상태되며 좌,우측 페달(34)(35)의 회전력은 증속되는 상태로 좌,우측 프로펠러(8a)(8b)에 전달되므로 수상보트(1)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상보트(1)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방환전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자전거(3)의 핸들(38)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수상보트(1)의 이동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상보트(1)를 좌측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자전거(3)의 핸들(38)을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앞바퀴(36)가 좌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앞바퀴(38)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방향전환부재(67)가 도면(도 6의 실선부분 참조)과 같이 중심점(S)을 기준으로 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방향전환부재(67)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67)가 도면상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는 클러치작동간(63)의 도면상 상단(도 6 참조)이 스프링수용관(64)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환형걸림플렌지(65)로 하여금 코일스프링(69)의 일단을 탄력적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상태가 되지만, 상기한 코일스프링(69)의 타단을 지지하고 있는 우측 작동고리(66b)가 연결되어 있는 우측 클러치레버(58b)는 우측 구동클러치(55b)가 우측 연동클러치(56b)에 접속 연결시킨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작동간(63)의 도면상 상단은 코일스프링(69)을 탄력적으로 압축(도 6의 X부분 및 도 7의 X부분 확대도 참조)시키게 되는 한편, 상기 클러치작동간(63)의 도면상 하단(도 6 참조)은 스프링수용관(64)을 잡아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수용관(64)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좌측 작동고리(66a)가 좌측 클러치레버(58a)를 잡아당기게 되므로 상기 좌측 구동클러치(55a)는 좌측 연동클러치(56a)에서 분리 이완(도 6의 Y부분 및 도 7의 Y부분 확대도 참조)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자전거(3)의 핸들(38)을 좌회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좌,우측 페달(34)(35)의 회전력은 클러치작동간(63)에 의해 좌측 구동클러치(55a)와 좌측 연동클러치(56a)가 분리 이완된 좌측 프로펠러(8a)에는 전달되지 않는 반면에, 우측 구동클러치(55b)와 우측 연동클러치(56b)가 접속 연결된 우측 프로펠러(8b)만 빠르게 회전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수상보트(1)는 빠르게 회전하는 우측 프로펠러(8b)의 추진력에 의해 우측 방향을 향해 방향전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상보트(1)는 자전거(3)에 올라탄 사용자가 좌,우측 페달(34)(35)을 회전시키는 속도보다 수십배 빠르게 증속된 속도로 좌,우측 프로펠러(8a)(8b)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수상보트(1)를 마치 모터보트와 같은 속도로 운전할 수 있으며, 또한 자전거(3)의 핸들(38)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수상보트(1)를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방향을 바꿔가면서 운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상보트(1)는 자전거(3)를 이용하여 육상으로 편리하게 이송 및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수상보트(1)를 자전거(3)로 이송 및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도 11 내지 도 13의 도시와 같이 자전거(3) 뒤에 프레임 구조물(4)을 트레일러 연결간(45)으로 연결하여 이송 및 운반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상보트(1)를 자전거(3)로 이송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수상보트(1)에서 자전거(3)를 분리한 다음, 튜브본체(2)에서 공기를 빼내게 되면 프레임 구조물(4)을 분리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을 튜브본체(2)에서 분리시킨 다음에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 각각의 끝단에 압축스프링(503)(504)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는 좌,우측 커버고정돌기(501)(502)의 작동손잡이돌기(505)(506)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측 커버고정돌기(501)(502)를 스토퍼부재(78a)의 구멍(78)에서 이완시킨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 보호커버(7a)(7b)를 대략 180°각도 회전시켜서 좌,우측 프로펠러(8a)(8b)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좌,우측 커버고정돌기(501)(502)가 180°각도 회전한 스토퍼부재(78b)의 구멍(78)에 끼이도록 조절하게 되면 상기 좌,우측 프로펠러(8a)(8b)는 도면(도 11 및 도 12 참조)과 같이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의 상방을 향해 수직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자전거(3)에 프레임 구조물(4)을 연결하는데, 이때에는 미리 준비되어 있는 트레일러 연결간(45)의 일단(도면상 좌측부분 참조)을 자전거(3)의 뒷바퀴축(39)에 연결하고, 상기 트레일러 연결간(45)의 타단(도면상 우측부분 참조)은 프레임 구조물(4)의 일측인 좌측 테두리고정부(41)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의 타측인 우측 테두리고정부(42)에는 보조바퀴(46)의 브라켓(47)을 도 12와 같이 부착시키게 되면 자전거(3)의 뒤바퀴축(39)에 프레임 구조물(4)을 매달고 자전거(3)를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전거(3)에 트레일러 연결간(45)으로 매달린 프레임 구조물(4)의 바닥연결부(43)에는 공기를 뺀 튜브본체(2)를 일정 크기로 접어서 싣어주게 되면 상기 수상보트(1)를 자전거(3)에 싣고 편리하게 이송 및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보트(1)는 물살이 빠른 계곡 등의 하천에서 래프팅을 즐기고자 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상보트(1)를 이용하여 래프팅을 할 때에는 튜브본체(2)의 타원형 테두리고정부(21)에 일직선을 이루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보호커버(7a)(7b)를 분리한 다음,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72a)에 의해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구동타이밍풀리(71a)와 연동타이밍풀리(73a)가 장착되어 있는 보조보호커버(7c)를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에 연결하되, 상기 구동타이밍풀리(71a)는 좌,우측 회전축(57a)(57b)에 설치하고, 상기 연동타이밍풀리(73a)가 설치되는 연동축(74a)에는 회전수차(9)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보호커버(7c)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타이밍풀리(71a)는 자전거(3)의 좌,우측 페달(34)(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데, 상기 구동타이밍풀리(71a)는 좌,우측 페달(34)(35)의 회전수와 같은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며, 또 연동타이밍풀리(73a) 역시 구동타이밍풀리(71a)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타이밍풀리(73a)의 연동축(74a)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수차(9) 역시 좌,우측 페달(34)(35)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수차(9)의 일부는 수면에 떠 있는 튜브본체(2)의 바닥튜브(43)를 기준하여 수면에 잠긴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또한 상기 회전수차(9)의 외주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노(91)가 물살을 잡아당기면서 회전하는 작동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수상보트(1)를 물살이 빠른 수면에서도 전진 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향전환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차(9)는 수심이 얇은 수면을 통과하게 될 때 수심 바닥에 닿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회전수차(9)가 수심 바닥을 닿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하게 될 뿐 아니라 좌,우측 회전축(57a)(57b)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도 1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하로 회전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얇은 수심바닥에 부딪쳐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상보트(1)는 수심이 얇은 곳에서도 래프팅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상보트(1)는 수면에 떠 있는 상태에서 전진 이동할 때에는 마치 모터보트와 같이 수면 위를 빠르게 전진 이동하도록 운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전거(3)와 같이 방향전환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수상보트(1)를 자전거(3)에 매단 상태로 지상으로 이송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상보트(1)는 물살이 빠른 계곡 등에서 래프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수상보트 2 : 튜브본체
21 : 타원형 테두리튜브 22 : 바닥튜브
3 : 자전거 30 : 페달축
31 : 메인프레임 32,33 : 좌,우측 페달링크
34,35 : 좌,우측 페달 36 : 앞바퀴
37 : 안장 38 : 핸들
38a : 체인걸이 39 : 뒷바퀴축
4 : 프레임 구조물 41,42 : 좌우측 테두리고정부
43 : 바닥연결부 44 : 수직지지대
45 : 트레일러 연결간 46 : 보조바퀴
5a,5b : 좌,우측 동력전달장치 50a,50b : 좌,우측 커버케이스
51a,51b : 보조페달 52a,52b : 보조페달링크
53a,53b : 좌,우측 보조페달축 54a,54b : 좌,우측 회전체
55a,55b : 좌,우측 구동클러치 56a,56b : 좌,우측 연동클러치
57a,57b : 좌,우측 회전축 59a,59b : 좌,우측 클러치레버
6 : 방향전환 조향장치 61 : 수평연결대
62 : 수평이동안내관 63 : 클러치작동간
64 : 스프링수용관 65,66 : 환형걸림플렌지
66a,66b : 좌,우측 작동고리 67 : 방향전환부재
7a,7b : 좌,우측 보호커버 7c : 보조보호커버
71 : 대형 타이밍풀리 72 : 타이밍벨트
73 : 소형 타이밍풀리 74 : 증속회전축
75 : 대형베벨기어 76 : 소형베벨기어
77 : 텐션조절기 78a,78b : 스토퍼부재
79 : 증속구동축 79a : 구동베벨기어
8a,8b : 좌,우측 프로펠러 81a,81b : 좌,우측 수직파이프
82a,82b : 좌,우측 절곡관 83 : 종동베벨기어
84 : 종동축 9 : 회전수차
91 : 회전노

Claims (9)

  1.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부풀게 되는 타원형 테두리튜브(21)와,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바닥튜브(22)로 구성되는 튜브본체(2)와, 상기 튜브본체 위에 얹혀지는 상태로 바닥튜브 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전거(3)와, 상기 튜브본체(2)의 타원형 테두리튜브(21)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타원형 테두리튜브의 좌,우 양측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양측 테두리부분 각각을 상측에서 감싸주는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1)와 상기 좌,우측 테두리고정부를 연결하는 바닥연결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물(4)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바닥연결부(43)에 수직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자전거(3)를 고정 상태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수직지지대(44)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좌,우측 테두리고정부(41)(42) 각각에 고정되도록 튜브본체(2)의 폭 방향을 향해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채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도록 대설되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와,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회전체(54a)(54b)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자전거의 좌,우측 페달링크(32)(33)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페달(34)(35)과 연결되는 보조페달(51a)(51b)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페달링크(52a)(52b)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보조페달축(53a)(53b)과, 상기 자전거의 앞바퀴(3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자전거의 핸들(38)을 조정함에 따라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의 구동클러치(55a)(55b)와 연동클러치(56a)(56b)를 접속 및 이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방향전환 조향장치(6)와,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 각각에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좌,우측 수직파이프(81a)(81b) 각각의 하단에서 직각상으로 연결된 좌,우측 절곡관(82a)(82b)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종동축(84)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프로펠러(8a)(8b)를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되는 수상보트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는 자전거(3)의 좌,우측 페달링크(32)(33)에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페달(34)(3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보조페달(51a)(5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보조페달링크(52a)(52b)와, 상기 보조페달링크가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보조페달축(53a)(53b)과, 상기 좌,우측 보조페달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좌,우측 회전체(54a)(54b)와, 상기 좌,우측 회전체 각각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좌,우측 구동클러치(55a)(55b)와, 상기 좌,우측 구동클러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연동클러치(56a)(56b)와, 상기 좌,우측 연동클러치 각각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프로펠러(8a)(8b)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좌,우측 회전축(57a)(57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회전축(57a)(57b) 각각에는 대형 타이밍풀리(71)가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대형 타이밍풀리(71)는 타이밍벨트(72)에 의해 연결되는 소형 타이밍풀리(73)를 증속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타이밍풀리의 증속회전축(74)에는 대형 베벨기어(75)가 축설되어 있고, 상기 대형 베벨기어에는 소형 베벨기어(76)가 증속 회전하도록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베벨기어에 축설되어 있는 증속구동축(79)은 좌,우측 수직파이프(81a)(81b)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속구동축(79)의 단부에 축설되어 있는 구동베벨기어(79a)에는 종동축(84)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종동베벨기어(83)가 치합되는 구조로 좌,우측 프로펠러(8a)(8b)를 증속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회전축(57a)(57b) 각각에는 대형 타이밍풀리(71), 소형 타이밍풀리(73), 소형 베벨기어(76), 대형 베벨기어(75), 타이밍벨트(72)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감싸도록 설치되는 좌,우측 보호커버(7a)(7b)가 일정각도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측 구동클러치(55a)(55b) 외주에는 좌,우측 구동클러치를 회전 가능하게 하면서 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측 이동용 베어링부재(58a)(58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이동용 베어링부재 각각에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의 일측으로 좌,우측 클러치레바(59a)(59b)가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조향장치(6)에는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에 돌출되어 있는 좌,우측 클러치레버(59a)(59b) 각각을 교대적으로 잡아당기고 밀어주기 위한 클러치작동간(63)과, 상기 클러치작동간의 이동 작동을 안내하는 수평이동 안내관(62)과, 수직지지대(44)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이동 안내관(62)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평연결대(61)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 각각에는 좌,우측 보호커버(7a)(7b)를 고정시키기 위한 좌,우측 커버고정돌기(501)(502)가 탄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보호커버의 일측 외면에는 좌,우측 커버고정돌기가 삽탈 가능하게 끼이는 구멍이 있는 복수의 스토퍼부재(78a)(78b)가 180°간격으로 서로 마주하게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4)의 일측 테두리고정부(41)에는 자전거(3)의 뒷바퀴축(39)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 연결간(45)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동력전달장치(5a)(5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회전축(57a)(57b)에는 구동타이밍풀리(71a)와, 상기 구동타이밍풀리(71a)에 연설되는 타이밍벨트(72a)가 연결 설치되는 연동타이밍풀리(73a)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좌,우측 보조보호커버(7c)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보조보호커버(7c) 각각에는 좌,우측 회전축(57a)(57b)과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연동축(74a)을 회전기점으로하여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수차(9)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KR1020180021987A 2018-02-23 2018-02-23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KR10201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87A KR102017018B1 (ko) 2018-02-23 2018-02-23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87A KR102017018B1 (ko) 2018-02-23 2018-02-23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018B1 true KR102017018B1 (ko) 2019-10-21

Family

ID=6846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987A KR102017018B1 (ko) 2018-02-23 2018-02-23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0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754B1 (ko) 1996-12-13 2000-08-01 정몽규 자동변속기용 파워 트레인
US6165030A (en) * 2000-04-25 2000-12-26 Lewis; Robert M. Pedal driven propulsion device
KR20050098738A (ko) * 2004-04-08 2005-10-12 김기환 무동력 보트의 추진장치
KR20090126989A (ko) * 2008-06-05 2009-12-09 김종이 수륙양용자전거
KR101143306B1 (ko) 2005-07-21 2012-05-11 김경달 수륙용 자전거
KR20140054888A (ko) 2012-10-30 2014-05-09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물놀이용 자전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754B1 (ko) 1996-12-13 2000-08-01 정몽규 자동변속기용 파워 트레인
US6165030A (en) * 2000-04-25 2000-12-26 Lewis; Robert M. Pedal driven propulsion device
KR20050098738A (ko) * 2004-04-08 2005-10-12 김기환 무동력 보트의 추진장치
KR101143306B1 (ko) 2005-07-21 2012-05-11 김경달 수륙용 자전거
KR20090126989A (ko) * 2008-06-05 2009-12-09 김종이 수륙양용자전거
KR100972940B1 (ko) * 2008-06-05 2010-07-28 김종이 수륙양용자전거
KR20140054888A (ko) 2012-10-30 2014-05-09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물놀이용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4241B1 (en) Hand-driven vehicle
JP5887687B2 (ja) 自転車
US7445530B2 (en) Amphibious wheel, vehicle and method
CA2971710C (en) Hand propelled wheeled vehicle
KR20050090227A (ko) 차륜 가변형 스쿠터
CN107249979A (zh) 水上自行车
KR101499416B1 (ko) 수륙양용 조정배
KR102017018B1 (ko)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트
WO2017053836A1 (en) Rack-driven seated handcycle
KR101727680B1 (ko) 수상 자전거
KR200384084Y1 (ko) 자전거
KR100918262B1 (ko) 전륜 구동과 후륜 방향 조종 자전거
KR101059394B1 (ko) 수동 킥보드
EP1185452B1 (fr) Cycle de propulsion humaine a mecanisme de rameur
KR200418333Y1 (ko) 전륜구동장치가 구비되는 자전거
KR100968689B1 (ko) 인력 구동형 동력전달장치
KR100927202B1 (ko) 전륜의 구동력을 손잡이에 의해 운행되도록 하는 퀵보드
KR101485761B1 (ko)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KR200343402Y1 (ko) 페달식 물놀이기구의 구동장치
KR100779301B1 (ko) 다기능 자전거
AU2007202123A1 (en) The Swing Powered Scooter
JP2005047458A (ja) 手動式自転車
KR101698962B1 (ko) 페달 및 안장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변속 자전거
KR101705295B1 (ko) 2인승 자전거
KR101449346B1 (ko) 회전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