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813B1 -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813B1
KR102016813B1 KR1020170162417A KR20170162417A KR102016813B1 KR 102016813 B1 KR102016813 B1 KR 102016813B1 KR 1020170162417 A KR1020170162417 A KR 1020170162417A KR 20170162417 A KR20170162417 A KR 20170162417A KR 102016813 B1 KR102016813 B1 KR 10201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unit
product
vis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542A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17016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8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 G01N2021/0118Apparatus with remote processing
    • G01N2021/0137Apparatus with remote processing with PC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6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using microprocessors for control of a sequence of operations, e.g. test, powering, switching,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비전 검사장치를 구동시켜 화면정보를 활성화하고, 비전 검사를 할 제품에 대한 모델링 파일을 상기 화면정보에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제품을 지그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품의 기본 크기를 비전검사부에 입력하고, 비전 검사를 할 상기 제품에 대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 X축, Y축 및 Z축 이송부를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고,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 (d) 상기 제품에 대한 자동 비전 검사를 위해 카메라 및 이송부들의 위치, 조명의 밝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의 크기, 색상분포, 각도, 상기 카메라의 촬영 속도 및 이송부들의 이송 속도에 대한 조건값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설정 데이터를 상기 비전 검사부에 등록하는 단계; (e) 상기 설정 데이터에 대한 시험 검사를 실시하여 상기 조건값에 대한 오류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설정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제품의 비전 검사를 상기 설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Automatic Vision Inspection System for Vehicle Electrical Equipment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전 검사 실행 전 카메라의, 위치, 밝기, 조명 상태, 이미지 및 비전 검사 속도 등에 대한 사전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설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비전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다양한 전기장치들이 내장된 각종 전장품이 있으며, 그 중에서 내부에 각종 버튼이 장착된 터치패널, 라디오버튼, 에어컨버튼, 등 여러 가지의 버튼이 구비된다. 특히, 차량에 전자제어기기가 더욱 다양화되는 추세에서, 핸들과 대쉬보드, 및 도어트림에 여러 가지 전자기기 제어버튼이 구비되고 있으며, 차량 제작시 이 버튼들이 제대로 작동되는 것을 검사하는 공정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버튼들의 작동불량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검사자가 차량의 도어를 열고,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대쉬보드와 도어트림 자체를 작업자의 손으로 일일이 각 버튼을 조작하여 작동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수작업 검사를 하게 되면, 검사항목이 누락되는 경우가 있고, 작업자의 조작강도에 따라 검사가 불균일하게 진행되는 등 전장품 버튼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반복되는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검사 결과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과 데이터 관리가 어렵고, 이를 자동적으로 업데이트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3588호에는, 검사유닛의 비전 카메라는 검사할 전방시야를 확보하고, 초음파 조사기는 전방의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감지하며, 조명은 전방의 시야를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으며, 또한, 버튼 조작핑거와 터치스크린 조작핑거를 움직여서 스위치 또는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로드셀을 통해서 조작력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전장품 검사유닛 및 검사방법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단순히 비전 카메라의 제어만 이루어지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전장품의 비전 검사를 위해서는 전장품의 종류에 따라 매 번 수작업으로 카메라 및 조명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비전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또한 동일한 품목의 차량 전장품을 비전 검사한다 하더라도 카메라와 조명에 대한 조작을 또 다시 해야하기 때문에 비전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3588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비전 검사 실행 전 카메라의, 위치, 밝기, 조명 상태, 이미지 및 비전 검사 속도 등에 대한 사전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설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비전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품목에 대한 차량 전장품의 크기에 대한 치수 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조작이 없어도 상기 차량 전장품에 대한 비전 검사를 계속적으로 자동 검사가 가능함에 따라 비전 검사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다 정밀한 비전 검사가 가능한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데이터의 조건값들을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의 노출을 방지하는 개폐커버로 구성된 조작 검사부; 상기 조건값과, 비전 검사를 진행할 제품의 모델링 파일 정보가 표시되고, 비전 검사 결과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검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설정 데이터의 시험 검사를 실시하여 상기 설정 데이터 상에 오류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후 제품에 대한 자동 비전 검사를 실시하는 비전 검사부; 및 상기 조작 검사부에서 입력한 조건값이 수신되며, 조건값으로 이루어지는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등록 및 저장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의 오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전 검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검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전 검사부는, 비전 검사가 이루어질 제품의 안착 및 고정되는 지그부; 상기 검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그부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송부; 카메라를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카메라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Z축 이송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전 검사가 이루어질 제품의 영역 부분에 카메라를 위치시키는 X축 이송부; 제품의 각 영역별로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검사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및 상기 검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빛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품측으로 소정의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비전 검사장치를 구동시켜 화면정보를 활성화하고, 비전 검사를 할 제품에 대한 모델링 파일을 상기 화면정보에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제품을 지그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품의 기본 크기를 비전검사부에 입력하고, 비전 검사를 할 상기 제품에 대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 X축, Y축 및 Z축 이송부를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고,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 (d) 상기 제품에 대한 자동 비전 검사를 위해 카메라 및 이송부들의 위치, 조명의 밝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의 크기, 색상분포, 각도, 상기 카메라의 촬영 속도 및 이송부들의 이송 속도에 대한 조건값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설정 데이터를 상기 비전 검사부에 등록하는 단계; (e) 상기 설정 데이터에 대한 시험 검사를 실시하여 상기 조건값에 대한 오류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설정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제품의 비전 검사를 상기 설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품목에 대한 차량 전장품의 크기에 대한 치수 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조작이 없어도 상기 차량 전장품에 대한 비전 검사를 계속적으로 자동 검사가 가능함에 따라 비전 검사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 품목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비전 검사가 가능함에 따라 비전검사에 대한 검사 결과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의 비전 검사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의 비전 검사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전 자동 검사장치(100)는 프레임부(110), 조작 검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출력부(140), 전원 공급부(150), 검사 제어부(160) 및 비전 검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110)는 비전 자동 검사장치(10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하부에 구성되며, 제어 프레임(112) 및 검사 프레임(114)으로 구성된다.
제어 프레임(112)은 프레임부(110)의 하부를 이루며, 내부에 검사 제어부(160)가 내장 설치된다.
여기서, 검사 제어부(160)는 조작 검사부(120)에서 입력한 조건값과 같은 각종 데이터들의 수신이 이루어지고, 수신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하는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후술할 비전 검사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검사 제어부(160)는 조작 검사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조건값들을 수신 받으며, 수신된 조건값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류값이 없는 경우에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건값들 중에서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오류가 발생한 조건에 대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속한 오류의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제어부(160)는 오류값이 존재하지 않은 설정 데이터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전장품의 비전 검사가 이루어질 때, 저장된 설정 데이터를 불러오기 등을 통해 검사 설정 영역에 재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제품의 비전 검사가 이루어질 때 마다 다시 조건값의 설정 및 등록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프레임(112)의 상부에는 비건 검사부(200)를 이루는 지그부(210) 및 Y축 이송부(230)가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18)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18)에는 Y축 이송부(230)를 통해 지그부(210)가 이송이 이루어질 때, 지그부(210)의 진동을 저감시켜 상기 지그부(210)에 안착된 제품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 방지패널(116)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검사 프레임(114)은 프레임부(110)의 상부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비전 검사부(200)가 장착되고, 외부 일측으로 완료된 비전 검사에 대한 정보를 프린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출력부(1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그부(210) 및 Y축 이송부(230)는 지지 프레임(118)에 결합되므로, 상기 지그부(210) 및 Y축 이송부(2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상기 검사 프레임(114)의 내부에 내장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검사 프레임(114)은 지지 프레임(118)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18)에 결합되는 지그부(2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차량의 각종 전장품과 같은 제품의 비전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검사 프레임(114)에는 그 전방으로 상기 설정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조건값들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조작 검사부(120)가 장착되고, 이 조작 검사부(120)의 상부에는 조건값의 입력, 비전 검사를 위한 각종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가 결합된다.
조작 검사부(120)는 검사 프레임(114)에 구성되고, 자동으로 비전 검사를 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의 조건값들을 입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조작 검사부(120)는 통상의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면으로 비전 검사가 실시될 때, 상기 입력장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작커버(122)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 검사부(120)는 후술할 비전 검사부(200)의 Z축 이송부(210), Y축 이송부(230) 및 X축 이송부(240)의 축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동 신호를 검사 제어부(160)로 전송하는 조작부재(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조건값의 입력이 이루어질 때에는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검사 제어부(160)로부터 제어가 이루어지며, 상기 조건값의 입력이 완료된 이후에만 조작이 가능하게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조건값이 임의적으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입력되는 조건값으로는 자동으로 비전 검사를 실시할 때 소요되는 비전 검사 소요 시간, 비전 검사시 제품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250)의 노출시간, 조명부(260)에서 발산하는 빛의 세기, 카메라(250)를 통해 촬영된 제품 이미지의 크기, 색상분포도, 카메라(250)의 촬영 각도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조작 검사부(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조작 검사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조건값 정보와, 비전 검사를 진행할 제품의 모델링 파일 정보 등이 표시되고, 비전 검사 결과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50)에서 촬영된 제품(차량 전장품)의 이미지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상태에 따른 카메라(250)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전 설정 영역(131), 비전검사를 할 제품의 비전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검사 영역(132), 상기 제품의 비전 검사에 대한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대한 조건값을 입력하는 검사 조건 설정 영역(133), 상기 조건값에 대한 설정 데이터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검사 설정 영역(134) 및 상기 설정 데이터의 오류 여부에 대한 신호를 표시하고, 자동 비전 검사에 의한 검사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검사 결과 처리 영역(135)으로 이루어진다.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되는 검사 결과 데이터를 문서 등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통상의 프린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비전 자동 검사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각 구성요소들의 전원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전원 공급부(150)는 별도의 전원 공급 확인 램프를 구성하고, 이 전원 공급 확인 램프의 색상 변경에 따라 전원 공급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비전 검사부(200)는 검사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설정 데이터의 시험 검사를 실시하여 상기 설정 데이터 상에 오류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후 제품에 대한 자동 비전 검사를 실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비전 검사부(200)는 지그부(210), Z축 이송부(220), Y축 이송부(230), X축 이송부(240), 카메라(250) 및 조명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그부(210)는 지지 프레임(118)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비전 검사가 이루어질 제품(차량용 전장품 등)의 안착 및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지그부(210)는 하측 양단부가 Y축 이송부(2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제품을 카메라(250)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Y축 이송부(230)는 지그부(2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통상의 레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Z축 이송부(220)는 카메라(250)를 Z축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카메라(250)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X축 이송부(240)는 카메라(250)의 위치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전 검사가 이루어질 제품의 영역 부분에 카메라(250)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X축 이송부(240)는 설정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제품의 영역으로 카메라(250)를 이동시켜 해당 영역에 대한 비전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Z축 및 X축 이송부(220, 240)는 구동모터 등을 통해 상,하 방향(Z축 방향) 및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카메라(250)를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실린더 부재, 벨트부재 등을 통해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Z축, Y축 및 X축 이송부(220, 230, 240)는 검사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설정 데이터의 오류값을 검출하기 위해 검사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최초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본 위치로 이송이 이루어진 이후에 검사 시험을 실시하도록 한다.
이는, 검사 시험시 Z축, Y축 및 X축 이송부(220, 230, 240)의 위치 변화량을 감지하여 제품의 영역에 카메라(250)가 정확하게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카메라(250)의 초점을 최초의 상태로부터 조절하면서 조건값에 대한 오류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카메라(250)는 제품의 비전 검사를 위해 이미지 촬영을 하는 것으로, 구분이 이루어진 제품의 각 영역별로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검사 제어부(160)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카메라(250)는 상기 각 영역별 초점에 대한 각기 다른 조건값에 따라 초점에 대한 설정값 역시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각기 다른 설정값에 의해 상기 Z축 및 X축 이송부(220, 240)의 이송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면서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조명부(260)는 주간이나 야간 등과 같은 주변 환경에 따라 빛의 세기를 조절하여 제품측으로 상기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 조작 검사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조건값에 대응하는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비전 자동 검사장치(1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품의 비전 검사를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비전 자동 검사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비전 자동 검사장치(100)를 구동시켜 검사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정보를 활성화하고, 비전 검사를 할 제품에 대한 모델링 파일을 상기 화면정보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10)
상기 S310 단계는, 검사 제어부(160)에서 디스플레이부(130)로 화면정보 활성화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화면정보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미리 저장된 비전 자동 검사를 실시할 제품에 대한 모델링 파일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송신하여 상기 화면정보 상에 상기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모델링 파일 정보는 상기 화면정보의 검사 영역(132) 부분에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비전 자동 검사를 실시할 때, 카메라(250)에서 촬영한 제품의 이미지와 상기 제품에 해당하는 모델링 파일 정보를 비교하여 제품의 양호, 또는 불량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제품을 지그부(210)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품의 기본 크기를 비전 검사부(200)에 입력하고, 비전 검사를 할 상기 제품에 대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20)
상기 S320 단계는, 상기 모델링 파일과 동일한 품목의 제품을 지그부(210)에 안착 및 고정시키고, 상기 제품의 치수에 대한 정보를 조작 검사부(120)를 통해 입력한다.
이때, 검사 제어부(160)에서는 상기 제품의 치수 정보를 상기 모델링 파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화면정보 상에 자동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320 단계는, 제품의 크기에 따라 비전 자동 검사를 할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상기 조작 검사부(120)를 통해 화면정보에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검사 제어부(160)는 상기 제품의 영역 정보를 조작 검사부(120)로부터 송신받아 상기 제품의 치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카메라(250)의 축 방향 이동 거리값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320 단계 이후에는 비전 검사부(200)에 구성된 X축, Y축 및 Z축 이송부(220, 230, 240)를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고, 이후 상기 카메라(250)를 이동시켜 카메라(25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판독하면서 상기 카메라(250)의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30)
S330 단계는, 검사 제어부(160)가 초기 위치로 이송이 이루어진 상태의 X축, Y축 및 Z축 이송부(220, 230, 240)를 구동하여 상기 S320 단계를 통해 설정된 영역 정보에 의해 가상으로 분할되게 구분된 제품의 어느 한 면으로 상기 카메라(250)를 이동시켜 해당하는 영역 정보에 대한 제품의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촬영한 이미지의 해상도 및 크기 등을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250)의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S330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에 의해 가상으로 분할 구성되는 제품의 면 중에서 비전 자동 검사가 이루어져야 할 면에 대하여 카메라(250)의 초점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품에 대한 자동 비전 검사를 위해 카메라(250) 및 이송부(220, 230, 240)들의 위치, 조명의 밝기, 상기 카메라(250)에서 촬영한 이미지의 크기, 색상분포, 각도, 상기 카메라(250)의 촬영 속도 및 이송부(220, 230, 240)들의 이송 속도에 대한 조건값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설정 데이터를 상기 검사 제어부(160)에 저장 및 등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40)
즉, 설정 데이터는 조작 검사부(1200를 통해 비전 자동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들을 검사 제어부(160)에서 수신받아 화면정보 상으로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마스터로 설정하여 저장함으로써, 이후 동일한 품목에 해당하는 제품의 비전 검사 실행시 별도의 조건값들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비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설정 데이터에 대한 시험 검사를 실시하여 상기 조건값에 대한 오류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50)
S350 단계는, 상기 조건값들로 이루어진 상기 설정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검사 제어부(160)에서는 상기 설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품에 대한 시험 검사를 수행하고, 시험 검사 결과, 오류값이 존재하게 되면, 상기 S340 단계를 재 수행하여 오류값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검사 제어부(160)는 화면정보에 오류가 발생한 조건값에 강조, 색상 변경 등과 같은 이벤트를 더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험 검사 결과, 오류값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품의 비전 검사를 상기 설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실시하고, 검사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화면정보의 검사 결과 처리 영역(135)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60)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비전 자동 검사장치 110: 프레임부
120: 조작 검사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출력부 150: 전원 공급부
160: 검사 제어부 200: 비전 검사부
210: 지그부 220: Z축 이송부
230: Y축 이송부 240: X축 이송부
250: 카메라 260: 조명부

Claims (3)

  1. 설정 데이터의 조건값들을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의 노출을 방지하는 조작커버로 구성된 조작 검사부;
    상기 조건값과, 비전 검사를 진행할 제품의 모델링 파일 정보가 표시되고, 비전 검사 결과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검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설정 데이터의 시험 검사를 실시하여 상기 설정 데이터 상에 오류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후 제품에 대한 자동 비전 검사를 실시하는 비전 검사부;
    상기 조작 검사부에 구성되고, 상기 비전 검사부의 축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동 신호를 검사 제어부로 전송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 검사부에서 입력한 조건값이 수신되며, 수신된 조건값의 오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오류값이 없는 경우에만 상기 조건값으로 이루어지는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등록 및 저장하고, 오류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오류값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비전 검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설정 데이터를 검사 설정 영역에 재등록시켜 동일한 제품의 비전 검사가 이루어질 때 마다 다시 조건값의 설정 및 등록을 하지 안하도 상기 비전 검사부의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검사 제어부;
    지그부 및 Y축 이송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그부의 진동을 저감시켜 제품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 방지패널이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검사 제어부가 내장되고, 상부로 상기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는 제어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제품의 비전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그 전방으로 상기 조작 검사부가 장착되고, 상기 조작 검사부의 상부로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검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비전 검사부는, 비전 검사가 이루어질 제품의 안착 및 고정되는 지그부와, 상기 검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그부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송부와, 카메라를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카메라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Z축 이송부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전 검사가 이루어질 제품의 영역 부분에 카메라를 위치시키는 X축 이송부와, 제품의 각 영역별로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검사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와, 상기 검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빛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품측으로 소정의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상태에 따른 상기 카메라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전 설정 영역과, 비전검사를 할 제품의 비전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검사 영역과, 상기 제품의 비전 검사에 대한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대한 조건값을 입력하는 검사 조건 설정 영역과, 상기 조건값에 대한 설정 데이터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검사 설정 영역과, 상기 설정 데이터의 오류 여부에 대한 신호를 표시하고, 자동 비전 검사에 의한 검사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검사 결과 처리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62417A 2017-11-30 2017-11-30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2016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17A KR102016813B1 (ko) 2017-11-30 2017-11-30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17A KR102016813B1 (ko) 2017-11-30 2017-11-30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542A KR20190063542A (ko) 2019-06-10
KR102016813B1 true KR102016813B1 (ko) 2019-08-30

Family

ID=6684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417A KR102016813B1 (ko) 2017-11-30 2017-11-30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4043A (zh) * 2019-09-27 2019-12-10 东莞市尚弘博实业有限公司 一种混料视觉检测设备
CN110554042A (zh) * 2019-09-27 2019-12-10 东莞市尚弘博实业有限公司 一种混料视觉检测设备及混料视觉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968B1 (ko) * 2009-02-16 2011-12-15 유근홍 휘도값을 이용한 글래스 기판 상의 이물 감지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456289B1 (ko) * 2012-10-15 2014-11-03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비전검사장치 및 방법
KR101703588B1 (ko) 2015-03-20 2017-0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전장품 검사유닛 및 검사방법
KR20160118722A (ko) * 2015-04-03 2016-10-12 유종재 3d 비전검사 시스템
KR101772673B1 (ko) * 2017-05-13 2017-08-29 주식회사 에이피에스 멀티 광학 모듈 비전 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542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813B1 (ko) 차량 전장품용 비전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CN101971722B (zh) 基板检查设备与基板检查方法
US9962838B2 (en)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of vehicle
JP7060790B2 (ja) カメラおよび乗員検知システム
EP34986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elevator car operating panel condition
US8302291B2 (en) Component mounting system
KR101916448B1 (ko) 자동차 리어램프용 자동 검사 시스템
US6580971B2 (en) Multipoint inspection system
US20150156389A1 (en) Strobe device, photography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JP2010117285A (ja) 基板の欠陥検査装置
KR20170019596A (ko) 차량 하부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0428768Y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의 조립시스템
KR100613896B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US10818034B1 (en) Concealed fiducial markers for vehicle camera calibration
JP6057755B2 (ja) ジェスチャ操作装置及びジェスチャ操作プログラム
KR101136388B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 검사장치
DE102019109218A1 (de) Zugangssystem und -verfahren für Fahrzeugtüren
US11057978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DE102013003661B4 (de) Vorrichtung zur automatisierten optischen Montageüberprüfung von vormontierten Baugruppen für Kraftfahrzeuge
KR200347781Y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CN115589482A (zh) 用于评估车辆的内置视频记录装置的系统
CN103895651B (zh) 使用光学扫描提供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JP2008051783A (ja) 基板の検査装置
KR101440083B1 (ko) 크러쉬 패드의 비전 검사기
WO2008026559A1 (fr) Appareil d'inspection d'un substr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