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679B1 - 저주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저주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679B1
KR102016679B1 KR1020190008217A KR20190008217A KR102016679B1 KR 102016679 B1 KR102016679 B1 KR 102016679B1 KR 1020190008217 A KR1020190008217 A KR 1020190008217A KR 20190008217 A KR20190008217 A KR 20190008217A KR 102016679 B1 KR102016679 B1 KR 102016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low frequency
treatment module
low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남수
Original Assignee
주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수 filed Critical 주남수
Priority to KR1020190008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트나 밴드의 착용이 어려운 인체의 굴곡진 넓은 환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저주파를 외부로 발생시키는 접촉돌기가 구비되는 치료모듈이 복수 개 마련되되, 복수 개의 치료모듈은 각각 평탄한 판 형태를 이루며 접촉돌기가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면서 측부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몸체를 구성하여, 휴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몸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치료모듈은 각각 인접한 치료모듈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몸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자극이 필요한 지점에 몸체 양단의 치료모듈이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주파 치료기{low-frequency therapeutic apparatus}
본 발명은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의 굴곡진 환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치료기는 생체에 저주파 펄스를 통전하여 신경이나 근육 등의 치료에 이용하는 장치를 말하며, 이때 사용되는 펄스는 폭 0.01~1ms, 주파수 1~500Hz의 구형파로, 통증을 진정하는 경우에는 양극을 쓰고, 마비를 자극하는 경우에는 음극을 쓴다.
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저주파 치료기는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연장되는 두 가닥의 전선에 각각 전도성 접촉패드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의 전도성 접촉패드는 대체로 작은 조각편 형태를 이루어 넓은 환부를 치료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넓은 환부를 치료하고자 벨트나 밴드 형태를 이루는 저주파 치료기도 있기는 하나, 이는 허리나 다리 또는 팔 등을 감싸도록 착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바 감싸는 형태로 착용이 어려운 머리나 어깨 등에 자극을 주기 위해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005호 '저주파 물리치료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벨트나 밴드의 착용이 어려운 인체의 굴곡진 넓은 환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저주파 치료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저주파 치료기는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저주파를 외부로 발생시키는 접촉돌기가 구비되는 치료모듈이 복수 개 마련되되, 복수 개의 치료모듈은 각각 평탄한 판 형태를 이루며 접촉돌기가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면서 측부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몸체를 구성하여, 휴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몸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치료모듈은 각각 인접한 치료모듈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몸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자극이 필요한 지점에 몸체 양단의 치료모듈이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치료모듈이 인접한 치료모듈과 힌지결합되어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몸체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바, 특히 벨트나 밴드의 착용이 불가능한 머리, 어깨에 대한 저주파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경직되고 굳어있는 근육을 풀어줌은 물론, 통증이 완화되고 신경을 풀어주며 혈액순환을 원활히 할 수 있어 면역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머리에 대한 저주파 치료시 신경세포, 신경전달물질, 뇌혈관, 뇌세포 등이 강화되어 몸 기능 전체가 건강해지고 중추신경계, 척추신경 등이 활성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시신경을 자극하여 시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뇌질환에 의한 언어장애 완화, 정서장애(우울증, 두려움, 강박장애) 등이 호전되고, 안구, 눈물샘, 각막, 코 점막, 입술, 잇몸, 혀, 얼굴 근육 등의 감각기관과 감정조절기능 및 지적 기능이 향상된다.
이처럼, 뇌와 심혈관 계통이 강화됨`으로써 뇌전증, 파킨슨, 알츠하이머 치매 등이 호전될 수 있으며, 몸의 경락을 풀어줌으로써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건강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에 적용되는 치료모듈 간에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를 환부에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의 길이가 변화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에 적용되는 접촉돌기가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에 적용되는 몸체에 자극봉이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벨트나 밴드의 착용이 어려운 인체의 굴곡진 넓은 환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저주파를 외부로 발생시키는 접촉돌기가 구비되는 치료모듈이 복수 개 마련되되, 복수 개의 치료모듈은 각각 평탄한 판 형태를 이루며 접촉돌기가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면서 측부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몸체를 구성하여, 휴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몸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치료모듈은 각각 인접한 치료모듈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몸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자극이 필요한 지점에 몸체 양단의 치료모듈이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저주파 치료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저주파 치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평탄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 치료모듈(100)이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치료모듈(100)에는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저주파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전달하는 접촉돌기(110)가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저주파 발생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폭 0.01~1ms, 주파수 1~500Hz의 구형파에 해당되는 저주파를 발생시킴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저주파의 파형 형태, 폭, 주파수 대역은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환부), 접촉돌기(110)의 소재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 개의 치료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면서 일렬로 배열되어 하나의 몸체(A)를 구성하며, 이때 복수 개의 치료모듈(100)은 모두 접촉돌기(110)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몸체(A)를 구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치료모듈(100)은 인접한 치료모듈(100)과 측부가 힌지결합되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치료모듈(100)이 인접한 치료모듈(10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A)를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C)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변화시켜 저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모듈(100) 간의 각도를 조절하여 머리에 헤드셋과 같은 형태로 착용하여 안정적으로 저주파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매나 뇌졸증 등의 완화 및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모듈(100) 간의 각도를 조절하여 어깨를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하여 저주파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직된 근육을 풀어줌은 물론, 통증이 완료되고 근육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면역력 향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위의 예로 언급한 머리나 어깨의 경우 벨트나 밴드 형태를 가지는 저주파 치료기를 이용하여 저주파 치료를 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저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위 사용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 사용예 이외의 인체(C) 부위에도 몸체(A)를 변화시켜 저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복수 개의 치료모듈(100)이 힌지결합된 몸체(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이 가능하여 휴대성이 좋으며, 치료모듈(100)의 개수, 힌지결합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접힘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치료모듈(100)은 독립적으로 외부로의 저주파 발생을 제어할 수 있어, 본 발명을 착용한 후 자극이 필요한 부분의 외측에 존재하는 치료모듈(100)에만 저주파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저주파 치료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치료모듈(100) 중 적어도 하나가 인접한 치료모듈(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몸체(A)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위치하는 치료모듈(100)이 관자놀이를 자극할 수 있도록 몸체(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A)가 어깨를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어깨 전체에 대한 저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C)의 형태나 치료 범위에 따라 몸체(A)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치료모듈(100) 간의 간격이 이격되면서 접힘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결합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아래와 같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치료모듈(100a)과 이에 인접한 타 치료모듈(100b)을 힌지결합하는 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0)는 봉 형태를 이루며 일 치료모듈(100a)의 측부에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 연결부(210)와, 막대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 연결부(2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10)는 양단에 회전축(211)이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2 연결부(220)는 일단이 회전축(211)에 결합되고,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타 치료모듈(100b)의 가장자리 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치료모듈(100a)과 타 치료모듈(100b)은 힌지결합되어 접힘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타 치료모듈(100b)에는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2 연결부(210)의 두께와 길이에 대응하는 홈(1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연결부(210)가 안착된 채 일 치료모듈(100a) 과 타 치료모듈(100b)이 서로 맞닿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치료모듈(100)에 구비된 접촉돌기(11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접촉돌기(110)는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돌기(110)의 하방에 스프링(120)이 구비되어 접촉돌기(110)가 인체(C)의 형태에 따라 독립적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인체(C)와 맞닿는 접촉돌기(110)는 인체(C)의 굴곡진 형태에 따라 돌출되는 정도를 달리하며 인체(C)와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어, 효과적인 저주파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인 저주파 치료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로 이루어져 저주파를 외부로 발생시킬 수 있는 자극봉(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봉(B)은 저주파 발생기와 별도로 연결되어 저주파를 전달받을 수 있음은 물론, 몸체(A)의 일단에 결합되어 몸체(A)로 전달된 저주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자극봉(B)는 몸체(A)와 결합됨에 있어, 일단이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에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어 몸체(A)와 결합될 수도 있다.
A : 몸체 B : 자극봉
C : 인체
100(100a, 100b) : 치료모듈
110 : 접촉돌기 120 : 스프링
200 : 연결부 210 : 제1 연결부
211 : 회전축 220 : 제2 연결부

Claims (5)

  1.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저주파를 외부로 발생시키는 접촉돌기(110)가 구비되는 치료모듈(100)이 복수 개 마련되되,
    복수 개의 치료모듈(100)은 각각 평탄한 판 형태를 이루며 접촉돌기(110)가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면서 측부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몸체(A)를 구성하여, 휴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몸체(A)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A)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치료모듈(100)은 각각 인접한 치료모듈(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몸체(A)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 치료모듈(100a)과 이에 인접한 타 치료모듈(100b)을 힌지결합하는 연결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200)는 봉 형태를 이루며 일 치료모듈(100a)의 측부에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양단에 회전축(211)이 돌출형성된 제1 연결부(210)와, 막대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회전축(211)에 결합되고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타 치료모듈(100b)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타 치료모듈(100b)에는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2 연결부(220)의 두께와 길이에 대응하는 홈(1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연결부가 안착된 채 일 치료모듈(100a) 과 타 치료모듈(100b)이 서로 맞닿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110)는 치료모듈(100)에 복수 개가 구비되되,
    복수 개의 접촉돌기(110)는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접촉되는 인체의 형태에 따라 독립적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3. 제1항에 있어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저주파를 외부로 발생시킬 수 있는 자극봉(B)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극봉(B)은 몸체(A)의 일단에 결합되어 몸체(A)로 전달된 저주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8217A 2019-01-22 2019-01-22 저주파 치료기 KR102016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17A KR102016679B1 (ko) 2019-01-22 2019-01-22 저주파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17A KR102016679B1 (ko) 2019-01-22 2019-01-22 저주파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679B1 true KR102016679B1 (ko) 2019-08-30

Family

ID=6777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217A KR102016679B1 (ko) 2019-01-22 2019-01-22 저주파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17B1 (ko) * 2019-10-10 2020-06-05 문상호 저주파 불면증 치료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810A (ko) * 1998-02-24 1999-09-15 이영재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KR200257417Y1 (ko) * 2001-09-11 2001-12-24 김미경 저주파 치료기
KR101169721B1 (ko) * 2010-09-01 2012-07-30 김태형 레이저 탈모 치료기
KR200464005Y1 (ko) 2010-05-31 2012-12-07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저주파 물리치료기
KR101578032B1 (ko) * 2015-05-26 2015-12-16 트라이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저주파 복부자극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810A (ko) * 1998-02-24 1999-09-15 이영재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KR200257417Y1 (ko) * 2001-09-11 2001-12-24 김미경 저주파 치료기
KR200464005Y1 (ko) 2010-05-31 2012-12-07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저주파 물리치료기
KR101169721B1 (ko) * 2010-09-01 2012-07-30 김태형 레이저 탈모 치료기
KR101578032B1 (ko) * 2015-05-26 2015-12-16 트라이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저주파 복부자극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17B1 (ko) * 2019-10-10 2020-06-05 문상호 저주파 불면증 치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796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nerve stimulation
US8874205B2 (en) Device and methods for non-invasive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ir use for vagal nerve stimulation
US8914123B2 (en) Apparatus for electro-inhibition of facial muscles
EP1501588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neurophysiologic performance
JP2021528173A (ja) 患者のニューロンを刺激してその病的同期活動を抑制するための治療装置及び方法
US20200238097A1 (en) Head-Worn Mobile Neurostimulation Device
KR102170281B1 (ko) 저주파 자극 마스크
KR102016679B1 (ko) 저주파 치료기
KR102008393B1 (ko) 생체신호 피드백 기반의 마이크로 전류 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마사지 장치
JP2015231511A (ja) 電気治療器
KR102604276B1 (ko)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WO2017208168A2 (en) Strap arrangement for a nerve stimulator
KR100577734B1 (ko) 두피 자극수단이 구비된 가발
CN108434597B (zh) 三叉神经及枕神经分布区穴联合电刺激头痛治疗仪
KR20180055272A (ko) 머리띠형 졸음 방지 장치
US10556108B1 (en) Multichannel apparatus for Vagus nerve stimulation
KR102604287B1 (ko) 미주신경 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400246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99687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anial suture release
Bouafif et al. Electronic implementation of a PWM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system for medical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pains
TWM479747U (zh) 頭部按摩儀
AU2021201132A1 (en) Device for Treating Musculoskeletal System Conditions by Means of Stimulation Current Therapy
KR20200075481A (ko) 분할된 면을 갖는 저주파 자극 마스크
KR20210062979A (ko) 저주파 진동 패치가 부착되는 자석 마스크팩
DE102011016522A1 (de) Multifunktionsmas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