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276B1 -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276B1
KR102604276B1 KR1020210165569A KR20210165569A KR102604276B1 KR 102604276 B1 KR102604276 B1 KR 102604276B1 KR 1020210165569 A KR1020210165569 A KR 1020210165569A KR 20210165569 A KR20210165569 A KR 20210165569A KR 102604276 B1 KR102604276 B1 KR 102604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timulation
stimulation
ears
frequency
vagus ne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8120A (ko
Inventor
송재준
김국한
정용호
최혁
홍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라이브
Priority to KR102021016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276B1/ko
Priority to PCT/KR2022/018654 priority patent/WO2023096360A1/ko
Publication of KR2023007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귀에 접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와 음파를 이용하여 청각을 자극하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한 복합 자극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양쪽 귀에 주파수가 다른 음파를 발생시키며,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를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귀에 접촉된 전극을 통해 미주신경을 자극함에 있어서 음향자극을 함께 부가함으로써, 2가지 자극으로 뇌를 자극하여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CONTROL METHOD OF COMPLEX STIMULATION AND COMPLEX STIMULATION DEVICE}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자극을 동시에 부가하는 복합 자극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과 귀에 대한 청각 자극을 함께 부가하는 복합 자극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주신경은 뇌신경들 중의 하나로서 10번째 뇌신경에 해당된다. 미주신경은 뇌로부터 나와서 얼굴, 흉부, 복부에 걸쳐서 분포하고, 부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하는 혼합신경으로서 심장, 폐, 소화관 등에 작용하는 부교감신경의 조절에 관여한다. 12쌍의 뇌신경 중에서 가장 길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감각신경섬유와 운동신경섬유를 모두 포함한다.
간질 치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미주신경자극 장치가 미국식품의약국(FDA)의 공인을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목에 위치하는 경부 가지를 자극 대상으로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미주신경의 경부가지 전기자극술은 피부에 직접 절개를 가하고 미주신경 경부 가지를 노출하여 그 외부에 전기소체인 코일을 감고 마이크로칩을 장착하는 시술을 수행하여 일반인에 의한 자가 치료의 영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간질 치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미주신경자극 장치는 뇌로 들어가는 신경 신호를 제어하여 뇌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뉴로모듈레이션(Neuromodulation)에 기반을 둔 장치이다. 뉴로모듈레이션은 주어진 뉴런이 하나 이상의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다양한 뉴런 집단을 조절하는 생리적 과정이며, 하나의 특정 파트너 뉴런의 빠른 작용 수용체를 겨냥하여 축삭 말단에서 신경 전달 물질을 분비하는 시냅스 전달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뉴로모듈레이션을 이용하여 신경계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만성적인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신경계에 전기자극 또는 화학적인 자극을 가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앞서 살펴본 미주신경자극 장치와 심부뇌자극 장치는 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장치를 인체 내부의 신경에 직접 부착하기 때문에 그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인체의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뇌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으로는 머리 외부에서 인가된 자기장이 뇌를 활성화하는 자기 자극법과 경두개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서 흘려보낸 전기가 대뇌 피질을 활성화하는 경두개 전기자극법이 있다. 경두개 자기 자극법과 경두개 전기자극법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지만, 자극되는 뇌의 영역이 두개골 근처로 한정되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9654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8830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전기자극을 제어함에 있어서, 뇌에 영향을 미치는 음향자극을 함께 부가함으로써 미주신경 자극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은, 인체의 귀에 접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와 음파를 이용하여 청각을 자극하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한 복합 자극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양쪽 귀에 주파수가 다른 음파를 발생시키며,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를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쪽 귀에 동일한 주파수의 전기자극 또는 양쪽 귀 중 한쪽에만 전기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와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동일하도록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를 제어한다.
양쪽 귀의 전극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기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각각의 미주신경에 접촉하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와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동일하도록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를 제어한다.
이때, 양쪽 귀에 접촉한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가 5Hz 이상일 수 있다.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는 10 ~ 120 Hz 범위인 것이 좋다.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강도는 3 ~ 80 V 범위인 것이 좋다.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펄스폭은 10 ~ 250 μs 범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복합 자극 장치는, 양쪽 귀에 위치하는 미주신경에 각각 접하는 2개의 전극; 양쪽 귀의 청각을 각각 자극하는 2개의 음향출력부; 및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 및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음향출력부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되,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를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가 양쪽 귀에 동일한 주파수의 전기자극 또는 양쪽 귀 중 한쪽에만 전기자극이 가해지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와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동일하도록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가 양쪽 귀의 전극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기자극이 가해지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미주신경에 접촉하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와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동일하도록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귀에 접촉된 전극을 통해 미주신경을 자극함에 있어서 음향자극을 함께 부가함으로써, 2가지 자극으로 뇌를 자극하여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미주신경에 대하여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제어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신경 자극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미주신경에 대하여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제어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미주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전기자극은 펄스파 형태로 제어되며 강도(V)와 펄스 폭(PW) 및 주파수(F)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자극에 대하여, 일반적인 주파수라는 용어 및 단위인 Hz는 교류에 대해서만 사용하고, 펄스 전류는 구분하여 펄스 주파수(pulse frequency)라는 용어와 단위로서 pps(pulses per second)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펄스파에 대해서도 주파수와 Hz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도 주파수와 Hz를 사용하였다.
전기자극을 이용한 자극 치료에서는 강도(V)와 펄스 폭(PW) 및 주파수(F)를 제어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료 파형으로 자극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기자극의 제어는 사용자가 느끼는 자극의 강도가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기도 하며, 일정한 자극을 계속 가하는 것보다 변화를 통해서 자극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조절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뇌기능 활성화를 위한 신경조절(neuromodulation)기술을 개발함에 있어 경두개 자기자극법이나 경두개 전기 자극법과는 달리 미주신경을 이용한 신경조절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외이 미주신경을 비침습적으로 자극하여 구심성 감각신경을 자극함으로써 다수의 중추신경핵을 거쳐 변연계(Limbic system) 및 대뇌피질(ceberbal cortex)을 활성화 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경두개 자기자극술이나 경두개 전기자극술의 경우 대뇌 피질을 외부에서 자극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미주신경자극의 경우 10번째 뇌신경인 미주신경을 거쳐 뇌의 심부를 자극함으로 뇌간 및 대뇌심부를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편, 음향자극을 통해서 대뇌피질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대뇌가소성(neural plasticity)에 기반하여 퇴행성 뇌질환과 관련된 신경 시냅스에 영향을 미쳐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침습적 미주신경 자극은 고립핵(Nucleus tractus solitarius)과 청반(Locus Cceruleus), 기저핵(Nucleus basalis)를 거쳐 대뇌피질을 자극하여 대뇌의 신경가소성(Neural plasticity)를 향상시킬 수 있어, 새로운 시냅스의 형성을 촉진하여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음향자극에 의한 대뇌 시냅스의 변화는 본 발명의 비침습적 미주신경 자극에 의한 대뇌 가소성의 향상과 시너지를 유발하여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귀의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가하는 것과 함께 청각 신경에 대하여 음향자극을 가하는 경우, 일부 조건에 뇌의 활성화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후, 뇌의 활성화가 유도되는 구체적인 조건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을 실험한 결과, 전기자극의 주파수와 음향자극의 주파수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귀의 미주신경에 가해질 수 있는 전기자극의 제어 범위는 강도(V)가 3~80V 범위이고, 주파수(F)가 10~120Hz 범위이며, 펄스 폭(PW)은 10~250μs 범위이다. 전기자극의 제어 범위는 사람의 신경에 가해질 수 있는 전기자극의 범위 및 비전문가에 의해서 다루어 질 수 있는 범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상기한 범위의 전기자극에 대한 주파수를 기준으로, 미주신경 자극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가해지는 음향자극의 주파수를 다르게 구성하되 음향자극의 주파수 차이를 귀의 미주신경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주파수에 연계하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미주신경은 인체의 다양한 장기와 뇌의 사이에서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로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은 신경 섬유를 따라서 뇌에 전달되며,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이 뇌의 광범위한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때 귀의 미주신경에 가해진 전기자극의 주파수와 청각신경에 가해진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면, 전기자극이 뇌에 미치는 영향과 음향신호가 뇌에 미치는 영향이 상호 작용을 일으켜서 미주신경에 가해진 전기자극에 의한 효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가해지는 음향자극의 주파수를 다르게 구성하되 음향자극의 주파수 차이를 귀의 미주신경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주파수에 연계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은 양쪽 귀에 동일한 주파수의 전기자극 또는 양쪽 귀 중 한쪽에만 전기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이때, 양쪽 귀에 동일한 전기자극을 가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완벽한 동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전극에 동일한 조건을 인가하여 장치의 구성에 따른 약간의 오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양쪽 귀 또는 한쪽 귀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가해지는 음향자극의 주파수를 다르게 구성하되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향자극 사이의 주파수 차이를 전기자극의 주파수와 같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의 효과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양쪽 귀 또는 한쪽 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이 20Hz이면,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가해지는 음향자극의 주파수의 차이가 20Hz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음향자극의 주파수 범위는 전기자극의 주파수와 동일한 차이를 얻을 수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동안 연구되어온 음향자극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반영하여 바람직한 음향 주파수 범위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두 번째 방법은 양쪽 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전기자극을 이용한 자극 치료에서는 강도(V)와 펄스 폭(PW) 및 주파수(F)를 제어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료 파형으로 자극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기자극의 제어는 사용자가 느끼는 자극의 강도가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기도 하며, 일정한 자극을 계속 가하는 것보다 변화를 통해서 자극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조절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귀의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가함에 있어서, 뉴로모듈레이션(Neuromodulation)에 의한 뇌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경두개 자기 자극법이나 경두개 전기자극법과 달리 간접적으로 뇌를 자극하여 뇌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 방법 중에 하나로서, 양쪽 귀의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과정에서 양쪽 귀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기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 뇌의 활성화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가해지는 음향자극의 주파수를 다르게 구성하되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향자극 사이의 주파수 차이를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와 같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양쪽 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가 5Hz 이상인 경우에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에 의한 뇌 활성화 유도 효과가 나탄다.
예를 들면,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주파수가 각각 30Hz와 40Hz인 경우,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가해지는 음향자극의 주파수의 차이가 10Hz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음향자극의 주파수 범위는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와 동일한 차이를 얻을 수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동안 연구되어온 음향자극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반영하여 바람직한 음향 주파수 범위를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신경 자극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미주신경 자극 장치(10)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착용되는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귀에 착용되는 우측 착용부(200)를 포함하며,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 각각에는 귀의 미주신경에 전기자극을 가하기 위한 전극(110, 210)과 음향 출력부(120, 220)가 형성된다.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의 구체적인 구조는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착용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귀에 착용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도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이도에 삽입되는 구조물에 의해서 귀에 고정될 수도 있고, 귀 걸이부와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서 귀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고정 수단의 형태도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의 구조는 머리 쪽에 위치하는 경우와 뒷목 쪽에 위치하는 경우 등 종래의 형태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연결부의 탄성에 의해서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가 착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서 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에 형성된 전극(110, 210)의 구체적인 구조도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미주신경을 자극하기 위하여 귀에 접촉하는 위치와 형태도 기존의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귀의 이갑개정(Cymba concha)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외이도에 삽입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에 형성된 음향 출력부(120, 220)의 구체적인 구조도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헤드폰과 이어폰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전극(110, 210)이 외이도에 삽입되는 형태인 경우에는 전극(110, 210)의 내측으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제어부(300)는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에 형성된 전극(110, 210)을 통해서 미주신경에 가해지는 전기자극 및 음향 출력부(120, 220)에서 출력되는 음향자극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제어부는 좌측 착용부(100)의 전극(110)과 우측 착용부(200)의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을 함께 제어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에서는 전기자극의 강도(V)와 펄스 폭(PW) 및 주파수(F)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에서 제어되는 전기자극의 제어 범위는 강도(V)가 3~80V 범위이고, 주파수(F)가 10~120Hz 범위이며, 펄스 폭(PW)은 10~250μs 범위이다. 또한, 제어부(300)는 좌측 착용부(100)의 음향 출력부(120)에서 출력되는 음향자극과 우측 착용부(200)의 음향 출력부(220)에서 출력되는 음향자극의 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가해지는 음향자극의 주파수 차이를 전극(110, 210)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에 형성된 전극(110, 210)에 동일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0)가 좌측 착용부(100)의 음향 출력부(120)에서 출력되는 음향자극과 우측 착용부(200)의 음향 출력부(220)에서 출력되는 음향자극의 주파수 차이를 전기자극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에 형성된 전극(110, 210) 중에 하나에만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0)가 좌측 착용부(100)의 음향 출력부(120)에서 출력되는 음향자극과 우측 착용부(200)의 음향 출력부(220)에서 출력되는 음향자극의 주파수 차이를 전기자극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좌측 착용부(100)와 우측 착용부(200)에 형성된 전극(110, 210)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0)가 좌측 착용부(100)의 음향 출력부(120)에서 출력되는 음향자극과 우측 착용부(200)의 음향 출력부(220)에서 출력되는 음향자극의 주파수 차이를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와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가 양쪽 귀의 미주신경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에 대한 주파수(F)를 다르게 제어하는 경우에는, 주파수의 차이가 5Hz 이상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미주신경 자극 장치 100: 좌측 착용부
110: 전극 120: 음향 출력부
200: 우측 착용부 210: 전극
220: 음향 출력부 300: 제어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인체의 귀에 접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와 음파를 이용하여 청각을 자극하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한 복합 자극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자극부는 양쪽 귀의 전극에 주파수 차이가 5Hz 이상인 서로 다른 전기자극을 가하며,
    상기 음향출력부는 양쪽 귀에 주파수가 다른 음파를 발생시키되,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와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동일하도록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는 10 ~ 120 Hz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강도는 3 ~ 80 V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펄스폭은 10 ~ 250 μs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양쪽 귀에 위치하는 미주신경에 각각 접하는 2개의 전극;
    양쪽 귀의 청각을 각각 자극하는 2개의 음향출력부; 및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 및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양쪽 귀의 전극에 주파수 차이가 5Hz 이상인 서로 다른 전기자극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미주신경에 접촉하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주파수 차이와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동일하도록 양쪽 귀에 가해지는 음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극 장치.
KR1020210165569A 2021-11-26 2021-11-26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KR102604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69A KR102604276B1 (ko) 2021-11-26 2021-11-26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PCT/KR2022/018654 WO2023096360A1 (ko) 2021-11-26 2022-11-23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69A KR102604276B1 (ko) 2021-11-26 2021-11-26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120A KR20230078120A (ko) 2023-06-02
KR102604276B1 true KR102604276B1 (ko) 2023-11-23

Family

ID=8654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569A KR102604276B1 (ko) 2021-11-26 2021-11-26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4276B1 (ko)
WO (1) WO2023096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1994A (zh) * 2023-11-14 2023-12-26 北京理工大学 基于声音刺激导航的闭环时间干扰声电调控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7504A1 (en) * 2005-07-27 2007-02-01 Cyberonics, Inc. Cranial nerve stimulation to treat a hearing disorder
KR101468355B1 (ko) * 2014-01-03 2014-1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음향 및 전기 복합 자극을 이용한 이명치료장치
KR102029914B1 (ko) 2018-02-13 2019-10-08 (주) 비비비 두뇌 자극 장치
WO2020068830A1 (en) * 2018-09-24 2020-04-02 Vivek Sharma Auricular nerve stimulation to address patient disord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69A (ja) * 1993-06-24 1995-01-27 Mac Rand:Kk α波増強誘導装置
KR100596540B1 (ko) 2004-11-03 2006-07-06 정종필 미주신경 전기자극기
KR102152084B1 (ko) 2018-01-18 2020-09-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자극기
KR102185043B1 (ko) * 2019-03-14 2020-12-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치료를 위한 최적의 복합 자극 결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7504A1 (en) * 2005-07-27 2007-02-01 Cyberonics, Inc. Cranial nerve stimulation to treat a hearing disorder
KR101468355B1 (ko) * 2014-01-03 2014-1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음향 및 전기 복합 자극을 이용한 이명치료장치
KR102029914B1 (ko) 2018-02-13 2019-10-08 (주) 비비비 두뇌 자극 장치
WO2020068830A1 (en) * 2018-09-24 2020-04-02 Vivek Sharma Auricular nerve stimulation to address patient disord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360A1 (ko) 2023-06-01
KR20230078120A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217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nerve stimulation
US10322283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US2022016099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dulation of integrated neural networks to influence composite sensory processes
US9186505B2 (en) Transcranial electro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ES2758365T3 (es) Dispositivo para la neuroestimulación no invasiva por medio de ráfagas multicanal
De Ridder et al. Tinnitus and brain stimulation
KR102604276B1 (ko)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KR102604287B1 (ko) 미주신경 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
US10556108B1 (en) Multichannel apparatus for Vagus nerve stimulation
KR102649949B1 (ko) 미주신경 자극장치
AU201526487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