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810A -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810A
KR19990070810A KR1019980005857A KR19980005857A KR19990070810A KR 19990070810 A KR19990070810 A KR 19990070810A KR 1019980005857 A KR1019980005857 A KR 1019980005857A KR 19980005857 A KR19980005857 A KR 19980005857A KR 19990070810 A KR19990070810 A KR 19990070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medical device
disease
home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KR101998000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0810A/ko
Publication of KR1999007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810A/ko

Links

Landscapes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와, 손의 수지침 자극점에 대응하여 저주파가 출력되는 다수의 자극돌기가 형성된 저주파작용부와, 원하는 자극점에 저주파가 출력되도록 상기 자극돌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이 간편하고 시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지침이나 뜸을 사용할 때 지출되는 소모품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본 발명은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주파를 이용하여 손과 몸의 자극점을 자극하여 각종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가정에서 비상시 응급처치를 하거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급약품이나 혈압측정기, 혈당측정기, 수지침, 뜸 등의 가정용 의료기들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가정용 의료기 중 수지침은, 손바닥과 손등 및 손가락의 자극점에 침을 꽂아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기구로서, 3cm정도의 침을 질환에 따라 적절한 자극점에 1~3mm정도 꽂아 자극한다. 그리고, 뜸은 쑥 등의 재료로 만든 뜸을 이용하여 손의 자극점에 온열자극을 줌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질병을 치료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수지침이나 뜸은 단시일내에 시술법을 익힐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동안 노력을 해야만 시술법을 익힐 수 있다. 또한, 수지침이나 뜸에 사용되는 침이나 뜸의 재료 등은 한번 사용하면 폐기해야 하는 소모품이며, 따라서, 시술시 소모품의 구입비용이 적지 않게 지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침대신 저주파를 이용하여 손쉽게 자극점을 자극해주는 저주파발생장치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저주파발생장치는 특정한 자극점을 자극해주는 것이 아니라 손바닥이나 손등을 전체적으로 자극해 줌으로써, 시술효과가 별로 뛰어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지침이나 뜸의 시술시 필요한 소모품의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질환에 따라 부분적으로 저주파를 발생시켜 특정한 자극점을 자극함으로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분적으로 저주파를 발생시켜 질환에 따라 특정 자극점을 자극하여 시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모품의 구입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작판 영역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작용판 영역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작용판
12 : 강약조절노브 13 : 타이머
14 : 모드선택노브 15 : 저주파발생부
20 : 저주파작용부 21 : 자극돌기
25 : 자극봉 26 : 저주파돌기
30 : 조작판 35 : 질환선택부
36 : 질환선택버튼 40 : 자극점선택부
41 : 자극점선택버튼 45 : 상응도
46 : L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에 있어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와, 손의 수지침 자극점에 대응하여 저주파가 출력되는 다수의 자극돌기가 형성된 저주파작용부와, 원하는 자극점에 저주파가 출력되도록 상기 자극돌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부는 질환에 따라 특정의 자극돌기로 저주파를 출력시키도록 선택하는 질환선택부와, 원하는 자극점에 저주파를 출력되도록 선택하는 자극점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말단부에 저주파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돌기를 가진 자극봉을 더 포함하여 인체의 타부위도 저주파로 자극을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를 발생시켜 인체를 자극하는 작용판(10)과, 저주파의 출력부위를 선택하는 스위치들이 형성된 조작판(30)을 포함하는 본체(1)를 갖는다. 작용판(10)과 조작판(30)은 일측 모서리의 힌지(3)를 중심으로 대향되어 절첩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3)가 부착된 모서리에 대향되는 모서리에는 본체(1)의 운반을 위한 손잡이(5)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5)에 인접한 영역에는 로크장치(7)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작용판(10)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작용판(10)상에는 저주파발생부(15)로부터의 저주파가 출력되는 손형상의 저주파작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저주파작용부(20)는 손바닥과 손등을 저주파로 자극할 수 있도록 한 쌍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저주파작용부(20)에는 손바닥과 손등의 자극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저주파발생부(15)로부터의 저주파가 출력되는 자극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주파작용부(20)의 중앙영역에는 판면을 완만하게 돌출시킨 기준면(22)을 형성시키고, 기준면(22)에는 자극돌기(21)를 다수개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술하고자 할 때, 기준면(22)을 중심으로 손을 배치하여 적절한 자극점에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자극돌기(21)에는 자극돌기(21)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A1, A2 등의 자극점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힌지(3)에 인접한 작용판(10)의 일측영역에는 말단부에 저주파의 출력을 위한 저주파돌기(26)가 형성된 자극봉(25)이 장착되어 있으며, 작용판(10)면에는 자극봉(25)을 수용하는 자극봉수용부(23)가 함몰형성되어 있다. 자극봉(25)은 파지를 위한 막대형상의 손잡이부(27)와, 저주파돌기(26)가 형성된 자극부(29)를 가지며, 손잡이부(27)에는 전원리드선(28)이 연결되어 저주파발생부(15)로부터의 저주파를 자극봉(25)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저주파작용부(20)와 자극봉(25)을 포함하는 작용판(10)의 일측 영역에는, 저주파발생부(15)로부터의 저주파의 강약을 조절하는 강약조절노브(12)와, 저주파의 출력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자극봉(25)과 저주파작용부(20)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거나, 자극봉(25)과 저주파작용부(20)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노브(14)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조작판(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불량, 요통, 치통 등과 같이, 질환의 증상이나 질병의 이름이 인쇄된 다수의 질환선택버튼(36)을 갖는 질환선택부(35)와, 자극점의 부호가 인쇄된 다수의 자극점선택버튼(41)을 갖는 자극점선택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만약, 환자가 예방을 원하거나 앓고 있는 질환을 질환선택버튼(36)에서 선택하면, 저주파가 저주파작용부(20)의 특정 자극돌기(21)로 출력되어 자극점을 자극하게 된다.
여기서, 질환선택버튼(36)을 선택했을 때, 각 질환에 따라 자극해야 하는 적절한 자극점, 즉 자극돌기(21)로 저주파가 출력되도록 미리 메모리에 정보를 입력시킨다. 예를 들면, 변비라고 적혀 있는 질환선택버튼(36)을 선택할 경우, A8, A12, A16 등의 위치에 있는 자극돌기(21)로 저주파가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환자나 시술자가 자극점선택부(40)에서 원하는 자극점의 부호가 적힌 자극점선택버튼(41)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극점의 자극돌기(21)에 저주파가 출력된다.
이러한 조작판(30)의 일측 영역에는, 인체의 정면도 및 배면도와, 인체의 각 부위에 대응되는 자극점이 나타난 손바닥 및 손등이 그려진 상응도(45)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인체의 정면은 손바닥에 대응되고, 인체의 배면은 손등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상응도(45)에는 인체의 정면 및 배면의 각 부위와, 각 부위에 대응하는 손바닥 및 손등의 자극점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손등과 손바닥의 각 자극점에는 LED(46)가 설치되어 있으며, LED(46)는 질환선택버튼(36)이나 자극점선택버튼(41)을 선택하여 특정 자극돌기(21)로 저주파가 출력될 경우, 저주파가 출력되는 자극돌기(21)에 해당하는 LED(46)가 점등되게 된다.
이러한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질환선택부(25) 및 자극점선택부(40) 등의 입력부(53)에서 버튼을 선택하면, 마이컴(50)에서는 입력된 신호에 파악한다. 그런 다음, 메모리(51)에 미리 저장된 정보에 따라 저주파발생부(15)를 구동시키고, 디스플레이부(55)인 상응도(45)로 신호를 보내어 LED(46)를 발광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질환을 예방하거나 질병에 걸렸을 경우, 먼저 모드선택노브(14)를 사용하여 자극봉(25)을 사용할 것인지 저주파작용부(20)를 사용할 것인지, 또는, 자극봉(25)과 저주파작용부(20)를 모두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강약조절노브(12)를 조작하여 저주파의 강도를 선택한다.
저주파작용부(20)의 사용을 선택한 경우에는 조작판(30)의 질환선택부(35)나 자극점선택부(40)에서 원하는 버튼을 선택해야 한다. 이 때, 특정 질환에 대해 자극해야 할 자극점을 잘 모르는 경우에는, 질환선택부(35)의 질환선택버튼(36)을 이용하여 질환명을 선택한다. 그리고, 자극해야 할 자극점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자극점선택부(40)의 자극점선택버튼(41)으로 적절한 자극점에 대응하는 자극돌기(21)를 선택한다. 그러면, 선택된 버튼에 따라 특정 자극점에 해당하는 상응도(45)의 LED(46)가 점등되며, 타이머(13)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면 저주파발생부(15)가 작동하여 저주파작용부(20)의 특정 자극돌기(21)로부터 저주파가 출력되게 된다.
한편, 자극봉(25)의 사용을 선택한 경우에는 질환선택버튼(36)이나 자극점선택버튼(41)을 선택할 필요가 없으며, 타이머(13)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면 자극봉(25)의 저주파돌기(26)로 저주파가 출력된다. 이 때, 원하는 신체의 부위에 저주파돌기(26)를 접촉시켜 자극을 하면 된다.
이에 따라, 수지침을 사용할 때처럼 기구의 사용방법이나, 질환에 따라 자극해야 하는 자극점을 모르더라도 질환선택버튼(36)을 선택하여 원하는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자극점을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이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질환에 따라 적정한 자극점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높은 시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지침이나 뜸처럼 일회용이 아니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지침이나 뜸의 사용할 때 소모품의 구입을 위해 지출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이 간편하고 시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지침이나 뜸을 사용할 때 지출되는 소모품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에 있어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와,
    손의 수지침 자극점에 대응하여 저주파가 출력되는 다수의 자극돌기가 형성된 저주파작용부와,
    원하는 자극점에 저주파가 출력되도록 상기 자극돌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질환에 따라 특정의 자극돌기로 저주파를 출력시키도록 선택하는 질환선택부와, 원하는 자극점에 저주파를 출력되도록 선택하는 자극점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말단부에 저주파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돌기를 가진 자극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KR1019980005857A 1998-02-24 1998-02-24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KR19990070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857A KR19990070810A (ko) 1998-02-24 1998-02-24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857A KR19990070810A (ko) 1998-02-24 1998-02-24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810A true KR19990070810A (ko) 1999-09-15

Family

ID=6589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857A KR19990070810A (ko) 1998-02-24 1998-02-24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08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04A (ko) * 2002-11-16 2004-05-27 이상성 휴대용 전자 수지침
KR101521704B1 (ko) * 2013-08-06 2015-05-19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손을 위한 저주파 온열 치료기
KR102016679B1 (ko) * 2019-01-22 2019-08-30 주남수 저주파 치료기
KR20220027588A (ko) 2020-08-27 2022-03-08 백진 저주파 뜸기 세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04A (ko) * 2002-11-16 2004-05-27 이상성 휴대용 전자 수지침
KR101521704B1 (ko) * 2013-08-06 2015-05-19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손을 위한 저주파 온열 치료기
KR102016679B1 (ko) * 2019-01-22 2019-08-30 주남수 저주파 치료기
KR20220027588A (ko) 2020-08-27 2022-03-08 백진 저주파 뜸기 세트
KR20230022205A (ko) 2020-08-27 2023-02-14 백진 저주파 뜸기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395B2 (en) Bone-activity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60224217A1 (en) Phototherapy device
US6285905B1 (en) Two-way medical treatment apparatus
US20080214973A1 (en) Therapeutic Treatment Device
KR19990070810A (ko)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CN211273226U (zh) 一种手持美容瘦身仪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50102615A (ko) 저주파, 초음파, 칼라테라피 일체형 프로브
KR20040052970A (ko) 다기능 통합 물리치료기
KR200283782Y1 (ko) 저주파 및 온열치료기
CN210331141U (zh) 一种针灸用电热针诊疗仪
JPH09173413A (ja) ツボ治療器
KR200164706Y1 (ko) 온열효과를갖는저주파치료기
KR200359450Y1 (ko) 다기능 통합 물리치료기
KR100978414B1 (ko) 마사지용 건강 지압기
RU95259U1 (ru) Двунаправленный прибор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и терапии
KR200384814Y1 (ko) 피부측정장치 및 레이저 조사기가 장착된 마사지기
JP3065692U (ja) 電子診察治療装置
CN211723979U (zh) 手持式穴道敲击装置
CN215350659U (zh) 艾灸刮痧仪
CN218979659U (zh) 一种刮痧板
KR200411409Y1 (ko) 저주파, 초음파, 칼라테라피 일체형 피부 관리기기
US20070073283A1 (en) Medical energy manipulation device and method
CN217854188U (zh) 一种砭石理疗腰部按摩仪
KR102536710B1 (ko) 피부 미용 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