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417Y1 - 저주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저주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417Y1
KR200257417Y1 KR2020010027812U KR20010027812U KR200257417Y1 KR 200257417 Y1 KR200257417 Y1 KR 200257417Y1 KR 2020010027812 U KR2020010027812 U KR 2020010027812U KR 20010027812 U KR20010027812 U KR 20010027812U KR 200257417 Y1 KR200257417 Y1 KR 200257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low frequency
attachment portion
treatment device
frequenc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2020010027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417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저주파 치료기(2)는 어태치먼트부(10)를 제 1 어태치먼트부(40)와, 이 제 1 어태치먼트부(40)로부터 출입되도록 된 제 2 어태치먼트부(50)로 분리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저주파 치료기(2)의 어태치먼트부(10)가 사용자의 목 굵기에 따라 이의 길이가 조절되므로써 통증이 있거나 착용하고자 하는 목의 후방부에 제 2 어태치먼트부(50)에 구비된 패드(18)를 정위치로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주파 치료기{low frequency remedy device}
본 고안은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 후방에 구비되어서 이 저주파로서 목 후방의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도록 한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저주파를 이용한 물리 치료기의 효능이 입증되면서 이의 사용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는 주로 사람의 목 후방에 구비하여서 목 후방의 근육의 피로를 풀어 주도록 구비되는 바, 이와 같은 종래의 저주파 치료기를 첨부도면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치료기(2)는 사람의 목 후방에 구비되는 어태치먼트부(10)와, 이 어태치먼트부(10)에 연결되어서 접속되는 콘트롤부(2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어태치먼트부(10)는 복수개로서 양편으로 각각 구비되고, 양편의 어태치먼트부(10)는 그 상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되며, 이 힌지부(12)상에는 토션스프링(14)이 구비되어서 양 어태치먼트부(10)를 항상 인접되게 구비한다.
또한, 상기한 어태치먼트부(10)의 내측면에는 부착판(16)이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구비되고, 이 부착판(16)에는 목에 접하는 패드(18)가 부착되어 구비되는 바, 이 패드(18)는 그 후면에 돌출된 단자(20)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단자(20)를 갖는 패드(18)는 코드(22)에 의해서 후술되는 콘트롤부(28)에 접속되는 바, 상기한 코드(22)의 일단에는 패드(18)의 단자(20)에 결합되는 도자플러그(24)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콘트롤부(28)의 접속구(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잭(26)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코드(22)의 잭(26)이 결합되는 접속구(30)를 갖는 콘트롤부(28)는, 그 상단부 일측에 콘트롤부(28)의 전원을 켬과 아울러 저주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이얼로 이루어진 전원 및 세기 조절스위치(32)가 구비되고, 그 일면에는 저주파 치료기(2)로부터 발산되는 저주파의 펄스신호를 안마, 주므르기 내지는 자동으로 변환시켜서 자신에게 맞는 치료코스를 선택하도록 된 선택버튼(34)이 구비된다.
상기한 선택버튼(34)에 의해서 선택되는 치료코스는 안마코스 및 주므르기 코스가 있으며, 이 두 가지 코스를 자동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자동코스로 이루어져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선택버튼(34)에 의해서 선택된 코스를 사용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코스에 해당하는 LED(3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저주파 치료기(2)는 이의 사용시, 어태치먼트부(10)에 구비된 부착판(16)의 내측면에 패드(18)를 구비하고, 이 패드(18)의 단자(20)에 코드(22)의 일단부에 형성된 도자플러그(24)를 어태치먼트부(10)의 외측에서 부착판(16)의 구멍을 통해 결합시켜 구비한다.
이후, 상기한 코드(22)의 타단부에 형성된 잭(26)을 콘트롤부(28)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속구(30)에 삽입시켜서 구비한 후, 상기한 패드(18)의 일면에 구비된 필름지(미도시)를 패드(18)로부터 떼어내어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한 양편의 어태치먼트부(10)를 서로 벌리면서 치료하고자 하는 목의 후방부에 구비하되, 이때 상기한 패드(18)가 피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어태치먼트부(10)를 통해 패드(18)를 목의 후방에 구비한 후에는, 콘트롤부(28)의 전원 및 세기 조절스위치(32)를 작동시켜 전원을 켬과 동시에 패드(18)를 통해 발산되는 저주파 펄스의 세기를 조절한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버튼(28)을 통해서 패드(18)로부터 발산되는 저주파의펄스신호를 자동 내지는 안마, 주므르기 기능 중의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선택하여 목의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통증을 완하시켜 피로를 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저주파 치료기(2)는 목의 후방에 구비되는 어태치먼트부(10)가 길이조절이 불가능한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한 일정한 크기의 목에만 구비할 수 있고, 목의 두께가 굵은 경우에는 상기한 어태치먼트부(10)를 구비할 수 없어 저주파 치료기(2)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주파 치료기의 어태치먼트부를 분리시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목의 굵기에 관계없이 저주파 치료기의 어태치먼트부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주파 치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의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의 길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저주파 치료기 10 : 어태치먼트부
12 : 힌지부 14 : 토션스프링
16 : 부착판 18 : 패드
20 : 단자 22 : 코드
24 : 도자플러그 26 : 잭
28 : 콘트롤부 30 : 접속구
32 : 전원 및 세기 조절스위치 34 : 선택버튼
36 : LED 40 : 제 1 어태치먼트부
42 : 걸림홈 44 : 안내홈
50 : 제 2 어태치먼트부 50a : 안내돌부
52 : 장착공 54 : 힌지공
56 : 힌지핀 60 : 레버부재
62 : 누름부 64 : 걸림부
66 : 토션스프링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트롤부에 도자플러그와 잭을 갖는 코드로서 접속되는 패드가 구비되는 부착판이 양편으로 힌지되어 구비된 어태치먼트부를 갖는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치료기의 어태치먼트부를 제 1 어태치먼트부와, 이 제 1 어태치먼트부를 그 내부로 내장하여서 제 1 어태치먼트부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된 제 2 어태치먼트부로 분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제 2 어태치먼트부의 상면에는 힌지핀이 구비되는 장착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의 힌지핀상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됨과 아울러 그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돌출된 걸림부와 누름부를 갖는 레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부재와 장착공 사이에는 회동된 레버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그 양단부가 각각 레버부재와 제 2 어태치먼트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지지되도록 된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어태치먼트부에 내장되어서 구비된 제 1 어태치먼트부의 상면에는 레버부재의 걸림부가 삽입되어서 걸림되도록 된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어태치먼트부의 양측단부에는 단차진 안내홈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에 대응한 제 2 어태치먼트부의 하단부에는 안내홈에 삽입되어서 안내되도록 수직하게 내향절곡된 안내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2)는 어태치먼트부(10)가 제 1 어태치먼트부(40)와 제 2 어태치먼트부(50)로 분리되어서 제 2 어태치먼트부(50)가 제 1 어태치먼트부(40)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되되, 상기한 제 2 어태치먼트부(50)는 그 내부로 제 1 어태치먼트부(40)를 삽입하여서 이 제 1 어태치먼트부(40)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제 2 어태치먼트부(50)는 그 상면에 제 2 어태치먼트부(50)를 관통하는 장착공(52)이 형성되고, 이 장착공(52)의 일측에는 제 2 어태치먼트부(50) 및 장착공(5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힌지공(54)이 관통.형성되며, 이 힌지공(54)에는 힌지핀(56)이 삽입되어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장착공(52)에 위치된 힌지핀(56)상에는 레버부재(60)가 구비되는 바, 이 레버부재(60)는 그 선단부에 하향 돌출된 걸림부(64)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상향 돌출된 누름부(62)가 형성되어서, 누름부(62)를 누름으로서 레버부재(60)의 걸림부(64)가 지렛대와 같이 작용하여 회동된다.
또한, 상기한 레버부재(60)와 장착공(52) 사이의 힌지핀(56)상에는 회동된 레버부재(6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된 토션스프링(66)이 구비되는 바, 이 토션스프링(66)의 일단은 레버부재(60)의 누름부(62)측의 하면에 걸림되어 지지되고, 타단은 누름부(62)측과 동일선상의 제 2 어태치먼트부(50) 하면에 걸림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한 토션스프링(66)의 탄발력에 의해서 레버부재(60)는 그 선단부의 걸림부(64)가 누름부(62)측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항상 하향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제 2 어태치먼트부(50)에 내장된 제 1 어태치먼트부(40)의 상면에는 레버부재(60)의 걸림부(64)가 삽입되어서 걸림되도록 된 다수의 걸림홈(42)이 제 1 어태치먼트부(40)의 외주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제 1 어태치먼트부(40)와 제 2 어태치먼트부(50)는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인 슬라이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한 제 1 어태치먼트부(40)의 양측단부에는 제 1 어태치먼트부(40)의 종방향에 대응하게 단차진 안내홈(44)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44)에 대응한 제 2 어태치먼트부(50)의 하단부에는 안내홈(44)에 삽입되어서 안내되도록 수직하게 내향절곡된 안내돌부(50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저주파 치료기(2)는 제 1 어태치먼트부(40)와 제 2 어태치먼트부(50)에 의해서 목의 굵기에 관계없이 모든 목에 착용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2)의 기본적인 사용은 종래와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이의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저주파 치료기(2)의 길이조절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저주파 치료기(2)의 사용시는 사용자가 자신의 목 굵기에 맞게 저주파 치료기(2)의 제 1 어태치먼트부(40)로부터 제 2 어태치먼트부(5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어태치먼트부(1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이의 조절은 제 2 어태치먼트부(50)의 장착공(52)에 힌지핀(56)을 매개로 힌지된 레버부재(60)의 누름부(62)를 누르면, 이 레버부재(60)의 누름부(62)가 그 하면의 토션스프링(66) 일단을 눌러 압축시키면서 레버부재(60)가 지렛대와 같이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되는 레버부재(60)에 의해서 레버부재(60) 선단의 걸림부(64)가 제 1 어태치먼트부(40)의 걸림홈(42)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면서 제 2 어태치먼트부(50)가 제 1 어태치먼트부(40)상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 2 어태치먼트부(50)를 제 1 어태치먼트부(40)상에서 아랫방향으로 당기면, 제 2 어태치먼트부(50)의 하부에 내향절곡된 안내돌부(50a)가 제 1 어태치먼트부(40)의 안내홈(44)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안내되어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 어태치먼트부(50)를 자신의 목의 굵기에 맞게 제 1 어태치먼트부(40)로부터 인출시킨 후에는, 누르고 있던 레버부재(60)의 누름부(62)에서 누름을 해제시키면, 이 레버부재(60)는 그 하면에 구비된 토션스프링(66)의 탄발력에 의해서 원상태로 복원되어 레버부재(60) 선단의 걸림부(64)가 제 1 어태치먼트부(40)의 외주면상에 접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어태치먼트부(50)를 제 1 어태치먼트부(40)상에서 상방향 내지는 하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키면, 제 2 어태치먼트부(50)에 구비된 레버부재(60)의 걸림부(64)가 이와 인접한 걸림홈(42)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므로써 저주파 치료기(2)의 길이조절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길이조절된 저주파 치료기(2)를 사용자가 자신의 목 후방부에 착용한 후, 종래와 같이 저주파 치료기(2)를 작동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저주파 치료기는 사용자의 목의 굵기에 맞게 저주파 치료기의 길이를 조절하여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증이 있거나 착용하고자 하는 목의 후방부에 제 2 어태치먼트부에 구비된 패드를 정위치로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콘트롤부(28)에 도자플러그(24)와 잭(26)을 갖는 코드(22)로서 접속되는 패드(18)가 구비되는 부착판(16)이 양편으로 힌지되어 구비된 어태치먼트부(10)를 갖는 저주파 치료기(2)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치료기(2)의 어태치먼트부(10)를 제 1 어태치먼트부(40)와, 이 제 1 어태치먼트부(40)를 그 내부로 내장하여서 제 1 어태치먼트부(40)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된 제 2 어태치먼트부(50)로 분리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2 어태치먼트부(50)의 상면에는 힌지핀(56)이 구비되는 장착공(5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장착공(52)의 힌지핀(56)상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됨과 아울러 그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돌출된 걸림부(64)와 누름부(62)를 갖는 레버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부재(60)와 장착공(52) 사이에는 회동된 레버부재(6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그 양단부가 각각 레버부재(60)와 제 2 어태치먼트부(50)의 일측에 걸림되어 지지되도록 된 토션스프링(66)이 구비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어태치먼트부(50)에 내장되어서 구비된 제 1 어태치먼트부(40)의 상면에는 레버부재(60)의 걸림부(64)가 삽입되어서 걸림되도록 된 다수의 걸림홈(42)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태치먼트부(40)의 양측단부에는 단차진 안내홈(44)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44)에 대응한 제 2 어태치먼트부(50)의 하단부에는 안내홈(44)에 삽입되어서 안내되도록 수직하게 내향절곡된 안내돌부(5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KR2020010027812U 2001-09-11 2001-09-11 저주파 치료기 KR200257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812U KR200257417Y1 (ko) 2001-09-11 2001-09-11 저주파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812U KR200257417Y1 (ko) 2001-09-11 2001-09-11 저주파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417Y1 true KR200257417Y1 (ko) 2001-12-24

Family

ID=7310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812U KR200257417Y1 (ko) 2001-09-11 2001-09-11 저주파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4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79B1 (ko) * 2019-01-22 2019-08-30 주남수 저주파 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79B1 (ko) * 2019-01-22 2019-08-30 주남수 저주파 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581B2 (en) Multi-functional massager
JP4536305B2 (ja) 脱毛装置
EP0491695A1 (en) ELECTRICALLY DRIVEN MASSAGE DEVICE.
GB2382030A (en) Head massaging device
KR20020091566A (ko) 마사지 장치
JP3196442U (ja) 理学療法用エネルギー発生装置
KR200257417Y1 (ko) 저주파 치료기
US7381193B2 (en) Tunning fork type therapeutic utensil
KR100787926B1 (ko) 휴대용 안마기
US20060192756A1 (en) Computer mouse with capability to control an electronic therapy device
USD459816S1 (en) Electronic muscle stimulator glove
KR200338397Y1 (ko) 패드형 안마기
KR200173290Y1 (ko) 컴퓨터용 마우스에 장착하는 저주파 안마기
KR102295849B1 (ko) 손가락 마사지기
KR101498567B1 (ko) 지압겸용 심신안정장치
KR200305587Y1 (ko)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KR200257416Y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50095018A (ko) 다용도 마사지기
KR200161338Y1 (ko) 저주파 치료기 겸용 안마기
KR200292059Y1 (ko) 휴대용 저주파 마사지기
KR102366245B1 (ko) 전기자극 제공장치
CN217286903U (zh) 拼接式电腕踝针
CN111904828B (zh) 按摩头调节结构及按摩装置
KR200350589Y1 (ko) 마사지용 조깅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