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587Y1 -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 Google Patents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587Y1
KR200305587Y1 KR20-2002-0035126U KR20020035126U KR200305587Y1 KR 200305587 Y1 KR200305587 Y1 KR 200305587Y1 KR 20020035126 U KR20020035126 U KR 20020035126U KR 200305587 Y1 KR200305587 Y1 KR 200305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achilles tendon
ring gear
achilles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식
Original Assignee
이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식 filed Critical 이호식
Priority to KR20-2002-0035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5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아킬레스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킬레스건 및 아킬레스건과 연결된 종아리 근육을 스트레칭 시켜줌으로서 근육의 뭉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발 스트레칭기는 구상의 지지대위로 형성된 발판이 사방으로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아서 사용할 경우에는 무게중심이 둔부에 있게되어 부상의 우려가 적으나 서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임의로 동작하는 발판의 각도에 적응하지 못하여 떨어지거나 발목의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체의 상면에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판을 형성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아킬레스건과 종아리 근육의 뭉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스트레칭 보드.

Description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The stretching board for Achilles` tendon}
본 고안은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아킬레스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킬레스건 및 아킬레스건과 연결된 종아리 근육을 스트레칭 시켜줌으로서 근육의 뭉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킬레스건은 비복근이나 가자미근으로 이루어진 종아리근육에서 연속된 부위로서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라서 발목관절의 움직임이 일어나도록 하여 의도한 대로 보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킬레스건은 과도한 동작에 따른 종아리의 근육의 뭉침이나 급작스런 충격등에 의해 쉽게 손상을 입을 수 있는 것이고, 특히, 마라톤 등과 같은 심한 운동을 한 후에는 반드시 종아리 근육과 함께 아킬레스건의 뭉침을 해소시켜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미 피로해져 굳어진 아킬레스건과 종아리근육의 긴장을 풀어줄 수 있도록 된 발 스트레칭기(출원번호 20-2002-21427호)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발 스트레칭기는 구상의 지지대위로 형성된 발판이 사방으로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아서 사용할 경우에는 무게중심이 둔부에 있게 되어 부상의 우려가 적으나 서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임의로 동작하는 발판의 각도에 적응하지 못하여 떨어지거나 발목의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발판의 상면으로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된 지압판이 형성된 것이나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소비심리를 만족시켜줄 특별한 효과나 기능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의 상면에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판을 형성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아킬레스건과 종아리 근육의 뭉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사판에 저주파전류가 발생되는 통전패드를 더 형성함으로서 발바닥으로 저주파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경혈이 원활하게 순환토록 함으로서 통증의 완화를 이루도록 된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판의 상면에 다수의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발바닥에 형성된 신경 반사점을 효과적으로 압박 자극하여 지압효과를 높이도록 된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측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본체 11: 수용부
2: 경사판 3: 힌지축
31: 링기어 32: 고정부재
33: 탄력부재 34: 고정홈
35: 작동돌기 5: 통전패드
6: 저주파전류발생장치 7: 지압판
71: 지압돌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은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개방된 상면을 갖는 수용부(11)가 형성된 지지 본체(1)와 상기 수용부(11)에 내입되어지며 내측 단부가 힌지축(3)에 관통되어 본체(1)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진 경사판(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힌지축(3)에는 외주 면으로 소정의 피치를 갖는 다수의 기어치(齒)가 형성된 링기어(31)가 장착되고 상기 링기어(31)의 일측에는 선단부가 힌지축(3)의 외주 면에 고착 형성된 링기어(31)를 향하도록 기울어진 채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고정핀(32)의 상단이 링기어(31)의 기어치 사이로 몰입되어짐에 따라 경사판(2)의 경사조절 및 고정을 이루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32)의 하단부는 하방으로 장착 고정된 탄력부재(33)에 탄력지지되어 탄동되어짐으로서 경사판(2)에 연동하는 링기어(31)의 회전에 따라 이탈됨이 없이 기어치 사이에서 물림이 유지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고, 탄력부재(33)의 상면에는 파형의 고정홈(34)을 형성하여 고정부재(32)가 이탈됨이 없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탄력부재(33)는 판스프링 등과 같은 판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일단 또는 양단을 고정하여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사판(2)은 일정한 범위로 이루어지는 경사각도의 변위를 가지며 회동토록 되는 것이고, 연동하는 링기어(31)의 외주 면에 형성되는 기어치는 링기어(31)의 외주면 전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변위 각도에 대응하는 원호 길이만큼 형성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링기어(31)의 회전 변위 하한점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작동돌기(35a)가 형성되고 경사판(2)의 배면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복원돌기(35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작동돌기(35a)는 링기어(31)의 회전에 따라 고정부재(32)의 양단부에 밀착되어 강제적으로 링기어(31) 기어치 사이의 물림을 해제하거나 탄력부재(33)의 고정홈(34)으로부터 고정부재(32)가 이탈하도록 작용한다.
다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경사판(2)의 전단을 들어올림에 따라 링기어(31)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고정부재(32)의 상단에 몰입되는 기어치가 변경됨에 따라 경사판(2)의 경사각도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함으로서 체형에 맞도록 조절을 한 뒤 경사판(2)의 선단으로 발가락부위가 향하도록 올라서면 자연스럽게 발목이 접혀지면서 종아리근육과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고,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운동 시간과 경사정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운동이 끝난 뒤에는 경사판(2)을 동일 한 방향으로 들어올림에 따라 링기어(31)의 변위 하한점에 형성된 작동돌기(35a)가 기어치 사이로 물림을 이루고 있는 고정부재(32)의 상단부 내측 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부재(32)의 상단부가 기어치 사이에서 빠져나옴과 동시에 하단부가 탄력부재(33)의 고정홈(34)으로부터 이탈하게 됨으로서 고정수단이 상실된 경사판(2)은 최초의 상태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고, 경사판(2)의 하향 이동이 종료될 즈음에 경사판(2)의 배면에 형성된 복원돌기(35b)가 고정부재(32)의 상단부에 외측 면에 밀착 가압되면서 고정부재(32)의 하단을 탄력부재(33)의 고정홈(34) 사이로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단은 링기어(31)의 기어치 사이로 몰입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경사판(2)의 하면으로 쇼바 등의 완충장치(미도시)를 더 형성하여 경사판(2)의 상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판(2)으로는 저주파전류가 통전되어지는 통전패드(5)가 더 매설되어질 수 있다.
저주파전류는 체내의 신경전류와 유사한 주파수를 갖는 전류로서 인체의 경혈을 풀어주고 몸의 변조를 정상으로 되돌려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통전패드(5)는 저주파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버튼과 콘넥터들이 형성된 저주파전류발생장치(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저주파전류발생장치(6)는 압박터치의 강도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버튼과 함께 경사판(2)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여 형성토록 함으로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나 취급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어버튼은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무선송수신에 의한 리모트컨트롤이 가능토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하여 기능별로 목시가 가능한 엘씨디(LCD) 표시창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맛사지, 두드림, 주므름, 압박, 흡입느낌기능동작 등 다양한 동작 모드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콘넥터를 형성하여 케이블 통전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발뿐만이 아니라 신체 전 부위에 적용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경사판(2)의 상면으로 다수의 지압돌기(71)가 형성된 지압판(7)을 더 구비하여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를 사용하는 동안에 지압효과가 더해져 치료 효과의 향상을 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사판의 경사 정도를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안정된 상태로 경사판의 유지가 가능하여 안전한 자세에서 근육의 이완을 꾀하도록 하는 효과와 동시에 저주파전류 및 지압돌기의 작용으로 인체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아킬레스건의 손상을 입어 재활 치료중에 있는 환자의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른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기구를 사용함으로서 재활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개방된 상면을 갖는 수용부(11)가 형성된 지지 본체(1)와 상기 수용부(11)에 내입되어지며 내측 단부가 힌지축(3)에 관통되어 본체(1)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경사판(2)으로 구성하되, 상기 경사판(2)은 선단부가 힌지축(3)의 외주 면에 고착 형성된 링기어(31)를 향하도록 기울어진 채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고정부재(32)의 상단이 링기어(31)의 기어치 사이로 몰입되어짐에 따라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2)의 하단부는 적어도 일단이 장착 고정된 탄력부재(33)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34)으로 몰입되어 탄력 지지되고, 링기어(31)의 외주 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35a)와 경사판(2)의 배면에 형성된 복원돌기(35b)의 동작에 따라 링기어(31) 기어치 사이의 몰입과 이탈 및 고정홈(34)에서의 이탈과 안착이 이루어져 경사판(2)의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2)으로는 저주파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버튼과 콘넥터 들이 형성된 저주파전류발생장치(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패드(5)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2)의 상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71)가 형성된 지압판(7)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KR20-2002-0035126U 2002-11-25 2002-11-25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KR200305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26U KR200305587Y1 (ko) 2002-11-25 2002-11-25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26U KR200305587Y1 (ko) 2002-11-25 2002-11-25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587Y1 true KR200305587Y1 (ko) 2003-02-26

Family

ID=4933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126U KR200305587Y1 (ko) 2002-11-25 2002-11-25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58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95B1 (ko) 2006-06-30 2007-06-18 김광일 하반신 전용 운동기구
KR100807361B1 (ko) 2007-05-04 2008-02-28 오국진 하체 근력 강화기
KR101384223B1 (ko) 2012-07-17 2014-04-10 박준용 다리 운동 기구
KR20190000438U (ko) 2017-08-08 2019-02-18 이성연 각도 조절이 용이한 스트레칭 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95B1 (ko) 2006-06-30 2007-06-18 김광일 하반신 전용 운동기구
KR100807361B1 (ko) 2007-05-04 2008-02-28 오국진 하체 근력 강화기
KR101384223B1 (ko) 2012-07-17 2014-04-10 박준용 다리 운동 기구
KR20190000438U (ko) 2017-08-08 2019-02-18 이성연 각도 조절이 용이한 스트레칭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581B2 (en) Multi-functional massager
JP4216725B2 (ja) 筋肉刺激装置
KR100962515B1 (ko) 왕복식 족부 안마장치
JP4093912B2 (ja) 歩行補助装置
CN108938371A (zh) 一种神经内科护士用多功能康复辅助治疗仪
JP6276439B1 (ja) 膝関節刺激装置
WO2009043236A1 (fr) Dispositif de massage par pression des parties inférieures et supérieures du pied
CN105853041A (zh) 腿部正畸矫形装置
KR101542463B1 (ko) 무릎관절 운동기구
WO2015053202A1 (ja) マッサージ機
JP2002200193A (ja) 足腰の屈伸トレーニングする際の補助装置。
KR101189364B1 (ko) 손과 팔의 전체부위를 동시에 지압시켜주는 마사지 에어백이 구비된 안마의자
KR200305587Y1 (ko)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
KR20050041787A (ko) 다리 마사지기
JP2876204B1 (ja) 足首運動器
KR102043436B1 (ko) 다리 안마기
JP4549750B2 (ja) 閉鎖性運動連鎖訓練装置
JP2013215417A (ja) 足指用マッサージ機
KR101878126B1 (ko) 벨트 진동마사지장치
WO20020983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deep vein thrombosis
JP2004344434A (ja) 履物
CN219848012U (zh) 一种用于预防下肢深静脉血栓的装置
KR101178958B1 (ko) 손과 팔의 전체부위를 동시에 지압시켜주는 마사지 에어백이 구비된 안마의자
CN219127306U (zh) 脚后跟按摩装置
CN210963760U (zh) 一种预防卧床患者下肢静脉血栓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