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458B1 -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458B1
KR102016458B1 KR1020170159403A KR20170159403A KR102016458B1 KR 102016458 B1 KR102016458 B1 KR 102016458B1 KR 1020170159403 A KR1020170159403 A KR 1020170159403A KR 20170159403 A KR20170159403 A KR 20170159403A KR 102016458 B1 KR102016458 B1 KR 102016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at
prefabricated
assembly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246A (ko
Inventor
김동건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4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어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조립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조립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Assembly Type Apparatus For Suppressing Pest Emergence and Spawning}
본 발명은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가 가변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되며, 해충, 특히 모기 유충 및 번데기의 성충으로의 우화 및 성충의 산란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기는 알·유충·번데기·성충의 순으로 일생을 보내는 완전변태성 곤충이다. 모기는 하수구 등의 고인 물에 한번에 300~500개의 알을 낳는다.
모기의 알은 물 위에서 약 3일 만에 부화되어 유충인 장구벌레가 된다. 유충은 물 속에서 살지만 대기 중의 산소를 호흡해야 하므로, 물속에 거꾸로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배 끝에 있는 원통 모양의 호흡관을 수면 위로 내놓고 대기호흡을 한다.
유충은 4~10일에 4번의 허물을 벗고(탈피) 번데기가 되는데, 주로 고여 있는 물 속에서 썩은 부식성 물질을 먹고 자란다.
번데기는 먹이는 먹지 않지만, 자유롭게 헤엄치며 번데기 역시 유충과 마찬가지로 호흡관을 통하여 대기호흡을 한다.
번데기는 2~3일 후에 껍질을 벗고 성충이 되어 하수구 밖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기는 유충 및 번데기 상태에서 모두 수면 위로 호흡관을 내놓고 대기호흡을 해야 한다. 즉, 유충 및 번데기가 대기호흡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오픈된 상태의 수면인 개방수면이 존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면, 유충 및 번데기의 호흡이 방해되어 죽게 되므로, 유충 및 번데기가 모기 성충이 되는 우화(emergence, 羽化)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성충인 암컷 모기가 산란을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오픈된 상태의 개방수면이 존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면, 성충인 모기가 수면에 산란(spawn, 産卵)하는 행위 자체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791027호는 구체 형태의 부유체를 유체의 표면에 부유시켜 해충의 우화 및 산란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구체 형태의 부유체와 인접하는 구체 형태의 부유체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서, 위 공극 부분의 유체의 표면이 개방되어 해충의 우화 및 산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은 하우징의 형태가 일정한 규격으로만 형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규격의 집수정 내부에 배치하는 경우 집수정의 규격에 맞게 하우징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하우징의 외면이 집수정의 내벽에 의한 횡압력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의 외면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하우징 외부로 유체가 누설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조립유닛의 내부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를 구비하여, 상기 부유체로 유체의 표면을 덮어 개방수면을 최소화하여, 해충, 특히 모기의 유충 및 번데기가 대기호흡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유충 및 번데기가 우화하여 성충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성충인 모기가 수면 위에 알을 낳는 산란 행위를 방지하고자 한다.
조립유닛을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어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규격의 집수정 내부에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조립유닛을 배치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어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조립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조립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유닛은 집수정의 수평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그 크기가 가변되도록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여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면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메인측판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및 상기 메인측판의 내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서브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는 상면 가장자리 중 일부를 따라 복수개의 삽입홈이 간격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재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재의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측면부재의 외면과 상기 집수정의 내벽 사이를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체는 수평판체, 상기 수평판체의 일측에 경사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경사판체 및 상기 수평판체의 타측에 경사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경사판체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부유체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체는 십자형태의 십자판체 및 상기 십자판체의 일부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체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부유체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유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유체는 직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유체에 부유되는 부유체와 부유체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를 조립유닛의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시켜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함으로써, 해충, 특히 모기의 유충 및 번데기가 대기호흡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유충 및 번데기가 우화하여 성충이 되는 과정과 성충인 모기가 수면 위에 알을 낳는 산란 행위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조립유닛을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어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규격의 집수정 내부에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조립유닛을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부유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조립유닛의 조립식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부유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집수정(10)은 지면에 설치되는 유입관(20) 및 상기 유입관(20)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3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정(10)에는 유입관(20)을 통하여 하수나 오수(이하, 유체라 함)가 유입되며, 유입된 유체가 일정높이만큼 차오르면 배수관(30)을 통하여 유체가 배수된다.
상기 집수정(10)은 일반적으로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인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100)는 개략적으로, 조립유닛(200), 부유체(500) 및 메쉬망(300)으로 구성된다.
조립유닛(200)은 집수정(10) 내부에 배치되며,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30)과 연통되도록 일측에는 통공부가 형성된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상기 조립유닛(200)은 다양한 집수정(10)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립유닛(200)은 집수정(10)의 수평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재(230) 및 상기 베이스부재(230)의 가장자리 상면에 그 크기가 가변되도록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부재(250)를 포함한다.
즉, 베이스부재(230)를 기초로 측면부재(250)를 상기 베이스부재(230)에 그 크기가 조절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조립유닛(200)을 집수정(10)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되도록 그 크기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집수정(10)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재(230)의 면적이 집수정(1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집수정(10)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측면부재(25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므로, 조립유닛(2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부로 갈수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종래기술의 하우징의 외면이 집수정의 내벽에 의해 횡압력을 받아 찌그러지는 등 변형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조립유닛(200)은 집수정(10)의 내벽과 조립유닛(200)의 외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이격틈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유닛(200)의 측면부재(250)가 집수정(10)의 내벽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재(230)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중량이 큰 강판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립유닛(200)의 외면과 집수정(10)의 내벽 사이에 스며드는 유체의 부력에 의해 상기 조립유닛(200)이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230)가 부력에 의해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230)를 앵커나 볼트 등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집수정(10) 바닥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230)에는 상면 가장자리 중 대응되는 일측 및 타측을 따라 복수개의 삽입홈(232)이 간격을 따라 형성된다.
측면부재(250)는 상기 베이스부재(23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삽입홈(2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측판(252) 및 상기 베이스부재(230)의 상면과 상기 메인측판(252)의 가장자리 내측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서브측판(256)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재(250)는 집수정(10) 내벽의 횡압력에 탄성적으로 대응될 수 있도록 가볍고 내구성이 높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230)에는 "ㅗ"자 형상의 삽입홈(232)이 형성되며, 측면부재(250) 중 메인측판(252)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홈(232)과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돌기(253)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253)가 상기 삽입홈(232)에 슬라이드 결합됨으로써, 메인측판(252)이 베이스부재(230)에 결합된다.
메인측판(252)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체결홈(257)이 간격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57)에는 서브측판(256)의 양단이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즉, 베이스부재(230)에 메인측판(252)을 슬라이드 결합한 후, 서브측판(256)의 양단을 상기 메인측판(252)의 체결홈(257)에 삽입함으로써, 내부에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조립유닛(200)의 밑면 및 측면이 형성이 된다.
상기 측면부재(250)의 하부에는 굴곡홈(2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측면부재(250)의 삽입돌기(253)가 베이스부재(230)의 삽입홈(232)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측면부재(250)가 상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확장되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삽입돌기(253) 및 삽입홈(232)이 모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측면부재(250)가 상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확장되도록 상기 삽입돌기(253) 및 삽입홈(232)을 경사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측면부재(250) 중 메인측판(252)은 집수정(10)의 규격에 대응되어 그 크기가 조절되도록 베이스부재(2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2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측면부재(250) 중 서브측판(256)은 상기 메인측판(252)에 그 폭이 조절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좌우 폭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서브측판(256)의 크기를 최소한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서브측판(256)에 추가적으로 그 폭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조측판(미도시)을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베이스부재(23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측면부재(250) 중 메인측판(252)이 베이스부재(230)의 최외측에 형성된 삽입홈(232)에 결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서브측판(256)의 하단에 접하는 베이스부재(23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232)을 통해 집수되는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32)에 상기 삽입홈(232)과 대응되는 형상의 밀봉부재(234)를 삽입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브측판(256)의 하단과 베이스부재(230)의 상면 사이에 미세하게나마 이격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서브측판(256)의 하단과 베이스부재(230) 상면의 밀봉력을 높이는 별도의 밀봉수단을 부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베이스부재(230) 및 측면부재(250)와의 결합관계 및 구성은 일 실시예일 뿐, 베이스부재(230)에 측면부재(250)가 결합되는 방식은, 억지끼움 방식이나, 볼트나 너트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한 결합방식 등 그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측면부재(250)의 외면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고무패킹과 같은 패킹부재(270)가 부착된다. 상기 패킹부재(270)는 상기 측면부재(250)와 상기 집수정(10)의 내벽 사이를 밀봉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측면부재(250)의 외면과 집수정(10)의 내벽 사이에 유체가 차오르게 되는 경우, 상기 유체의 표면에서 모기 등 해충의 우화 및 산란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고무패킹과 같은 패킹부재(270)는 측면부재(250)의 외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패킹부재(270)를 삽입결합할 수 있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패킹부재(270)를 측면부재(250)의 외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면부재(250)가 베이스부재(230)의 내측방향으로 결합된 경우, 상기 패킹부재(27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측면부재(250)의 외면에 부착하면 된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유체(500)는 조립유닛(200)의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서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개방수면이란 유체의 표면을 덮는 어떤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오픈된 상태의 순수한 유체 표면을 말한다.
상기 부유체(500)는 유체에 부유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등과 같이 비중이 물보다 낮게 형성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500, 520, 530)는 별 모양과 같이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 결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수개의 부유체(500, 520, 530)가 유체의 표면에 부유된 경우 부유체(500, 520, 530)의 방사형 판체가 인접한 다를 부유체(500, 520, 530)의 판체와 얼기설기 밀착되어 결과적으로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배경기술 항목에서 기술했듯이, 부유체가 구체 형태인 경우 구체와 구체 사이에는 공극이 발생할 수 밖에 없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체(500)를 별 모양과 같이 방사형 판체로 형성하여 부유체(500)와 부유체(500)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방수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유체(52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 및 타측에 홈이 형성된 수평판체(523), 상기 수평판체(523)의 중앙부 일측 홈에 결합되는 제1경사판체(524) 및 상기 수평판체(523)의 중앙부 타측 홈에 결합되는 제2경사판체(526)를 포함한다(도 5-b). 이 경우, 상기 수평판체(523)의 폭길이는 상기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의 폭길이를 더한 수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유체(520)는 단면이 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부유체(520)의 수평판체(523),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는 인접하는 또 다른 부유체(520)의 수평판체(523),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와 서로 얼기설기 접하면서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는, 도 5-a 와 같이, 부유체(520)는 중앙부 일측에 홈이 형성된 수평판체(523), 상기 중앙부 일측 홈에 결합되는 제1경사판체(524) 및 상기 수평판체(523)의 중앙부 타측과 상기 제1경사판체(524)에 함께 결합되는 제2경사판체(526)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부유체(520)가 수평판체(523)에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부유체(520)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실제품 제작시 그 생산단가 및 제조시간을 고려하여 부유체(520)를 결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부유체(520)의 수평판체(523)에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를 경사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단면을 십자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부유체(550)는 십자 형태의 십자판체(553) 및 상기 십자판체(553)의 일 홈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체(556)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55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부유체(520)가 단면이 별 형태인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부유체(550)는 입체적 형상이 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유체(550) 역시 판체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유체(550)간의 밀착도를 높여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3가지 형태의 부유체(520, 550)를 모두 같은 형태의 부유체(520, 550)만으로 구성하여 집수정(10) 내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부유체(520, 550)를 서로 섞어서 집수정(10)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부유체(500, 520, 550)를 직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하여, 부유체(500, 520, 550)간에 미세하게나마 발생할 수 있는 공극을 더욱 줄임으로써, 유체의 개방수면을 더욱 최소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부유체(500)는 판체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유체(500)간의 밀착도를 높임으로써,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방식이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부유체(500, 520, 550)의 기능에 의해, 유체의 표면을 덮어 개방수면을 최소화하여, 이미 산란되었거나 외부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해충, 특히 모기의 유충 및 번데기가 대기호흡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유충 및 번데기가 우화(emergence, 羽化)하여 성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수면을 최소화 함으로써, 애초에 성충인 모기가 수면 위에 알을 낳는 산란(spawn, 産卵) 행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유닛(200)의 측면부재(250)인 메인측판(252) 또는 서브측판(256)에는 집수정(10)의 배수관(30)과 연통되도록 상기 배수관(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부는 집수정(10)에 연결되는 배수관(30)이 복수개인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부에는 부유체(500)가 배수관(30)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5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3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메쉬망(300)은 철사 또는 낚시줄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유닛(200)의 수용공간 방향을 바라보는 메쉬망(300)의 일면은 돌출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쉬망(300)의 격자는 부유체(5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나, 유체가 빠른 속도로 배수관(30)으로 흐르게 되는 경우, 상기 부유체(500)가 메쉬망(300) 격자 사이에 끼이는 눈막음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메쉬망(300)에 돌출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부유체(500)가 상기 메쉬망(300)의 격자 사이에 끼이게 되는 눈막음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유닛(200)의 상부에는 낙엽이나 슬러지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망(400)이 구비된다.
유입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50)으로 낙엽이나 직경이 큰 슬러지 등이 1차로 필터링 되나, 조립유닛(200)의 상부에 필터망(400)을 구비함으로써, 작은 직경의 슬러지 등을 2차로 필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유닛(200)의 측면부재(250)인 메인측판(252) 또는 서브측판(256)의 통공부에는 고무브라켓(2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무브라켓(280)의 일측은 메쉬망(300)이 구비된 조립유닛(200)의 통공부에 결합되며, 타측은 배수관(30)에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조립유닛(200)의 통공부 및 배수관(30)으로 배출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집수정 20: 유입관
30: 배수관 200: 조립유닛
230: 베이스부재 232: 삽입홈
234: 밀봉부재 250: 측면부재
252: 메인측판 253: 삽입돌기
254: 굴곡홈 256: 서브측판
257: 체결홈 270: 패킹부재
300: 메쉬망 400: 필터망
500, 520, 550: 부유체 523: 수평판체
524: 제1경사판체 526: 제2경사판체
553: 십자판체 556: 수직판체

Claims (10)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어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조립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조립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
    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유닛은
    집수정의 수평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그 크기가 가변되도록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면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메인측판;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및 상기 메인측판의 내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서브측판;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면 가장자리 중 일부를 따라 복수개의 삽입홈이 간격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의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측면부재의 외면과 상기 집수정의 내벽 사이를 밀봉하는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7.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어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조립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조립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
    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는
    수평판체;
    상기 수평판체의 일측에 경사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경사판체; 및
    상기 수평판체의 타측에 경사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경사판체;
    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부유체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8.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정의 규격에 대응되어 그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조립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조립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
    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는
    십자형태의 십자판체; 및
    상기 십자판체의 일부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체;
    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부유체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유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망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직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유체에 부유되는 부유체와 부유체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KR1020170159403A 2017-11-27 2017-11-27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KR102016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03A KR102016458B1 (ko) 2017-11-27 2017-11-27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03A KR102016458B1 (ko) 2017-11-27 2017-11-27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46A KR20190061246A (ko) 2019-06-05
KR102016458B1 true KR102016458B1 (ko) 2019-08-30

Family

ID=6684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403A KR102016458B1 (ko) 2017-11-27 2017-11-27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1292B (zh) * 2020-11-28 2022-03-22 中实翊(福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及施工方法
KR102567752B1 (ko) * 2022-07-13 2023-08-1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해충의 산란 및 우화 억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088A (ja) * 2001-11-06 2003-05-13 Ngk Insulators Ltd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下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791027B1 (ko) * 2017-06-20 2017-10-27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022A (ja) * 1993-11-18 1995-05-30 Bridgestone Corp パネル組立式合併処理浄化槽
KR101100907B1 (ko) * 2009-03-24 2012-01-02 (주) 코아트 코리아 바닥체용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088A (ja) * 2001-11-06 2003-05-13 Ngk Insulators Ltd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下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791027B1 (ko) * 2017-06-20 2017-10-27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46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027B1 (ko)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JP4673645B2 (ja) ボウフラ駆除容器
KR102016458B1 (ko)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JP4727756B1 (ja) 床下浸水防止構造
WO2010041342A1 (ja) 蚊繁殖抑制器
US20180177161A1 (en) Closed Tank for Fish Farming and Method for Transporting Fish Into and Out From Such Tank
US20190110447A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farming of fish
US105427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filtration of water
US6966079B2 (en) Pool skimmer
JP5102053B2 (ja) 合流ます用通気装置
US9476185B2 (en) Pond water diversion apparatus for flood control and prevention of castor infestation
KR102016463B1 (ko)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US10519681B1 (en) Main drain outlet for a swimming pool
KR200444012Y1 (ko) 배수트랩
JP6040201B2 (ja) 床ドレンファンネル
KR101010473B1 (ko)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JPH06306908A (ja) 排水トラップ
JP5483107B2 (ja) フィルター構造体
TWI553196B (zh) 防止排水逆流之落水頭
US11311826B2 (en) Pre-filter system
KR101412045B1 (ko) 이중배수장치가 장착된 수서생물 다단시스템 사육용 유리수조
GB2286207A (en) Drain valve
JP3124285U (ja) 雨水会所用防蚊網
JPH08126448A (ja) 養魚水槽
CN216405666U (zh) 一种防堵防臭防虫大排量易清洁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