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421B1 -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421B1
KR102016421B1 KR1020160142137A KR20160142137A KR102016421B1 KR 102016421 B1 KR102016421 B1 KR 102016421B1 KR 1020160142137 A KR1020160142137 A KR 1020160142137A KR 20160142137 A KR20160142137 A KR 20160142137A KR 102016421 B1 KR102016421 B1 KR 10201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nanoparticles
gold
macular degeneration
preventing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671A (ko
Inventor
박근태
박순영
채선영
박진오
이규진
홍석원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4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5Nanoparticles, nano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Y10S514/9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는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여 세포 노화를 유도한 사람 망막 상피세포 ARPE19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과산화수소에 의해 증가된 리소좀 함량, 활성산소종 및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를 감소시켜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세포주기에서 과산화수소에 의한 G2/M기 정지를 회복시키며, 과산화수소에 의해 증가된 p53 및 p21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고, 항노화 마커인 SIRT3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comprising surface-modified gold nanoparticles by extract of Gardenia jasminoides}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항암 작용, 진해 작용 등의 효능을 가지는 치자를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상기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금은 고대 오리엔트 문명으로부터 시작하여 지난 6천년 동안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으며, 영원과 불변의 가치를 지니고 있어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자산 보전 수단이 되어 왔다. 금은 심미적인 의미 이외에도 화학적으로 안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녹슬지 않으며, 인체에 해가 없고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각종 액세서리와 술 등의 음료수에 첨가되는 등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금은 두뇌작용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항암, 관절염, 비만, 소화촉진, 피부미용 등 다방면에 걸쳐 효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세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의 경우, 감기, 결막염, 폐렴, 류마티스 관절염, 사마귀, 여드름, 기미, 주근깨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반은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신경조직으로 시세포가 밀집되어 있어 빛을 가장 선명하고 정확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이며,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으로 중심 시력을 담당한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이 황반부에 변성이 일어나 시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을 황반변성이라고 하며, 황반변성은 녹내장, 당뇨망막증과 함께 실명의 3대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황반변성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가장 큰 원인은 연령 증가이며, 그 외 가족력, 고혈압, 비만, 자외선 노출, 흡연 등이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황반변성은 과거 노인에게 잘 생기는 질환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들어 4, 50대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황반변성 발병 연령층이 낮아진 주요 원인으로는 지방 섭취의 증가 등 식생활의 서구화가 지적되고 있다.
황반변성 치료법으로는 광역학 치료법(photodynamic therapy, PDT)과 신생혈관성장인자 항체 주사법이 사용되고 있다. 광역학 치료법은 광민감물질인 비쥬다인(visudyne)을 혈관을 통해 주입한 후 일정 시간 뒤에 망막의 신생혈관에 광민감물질이 도달했을 때 광민감물질에만 반응하는 특수한 레이저를 눈에 조사하여 선택적으로 신생혈관을 파괴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치료 후에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서 반복 치료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반복적인 치료시에는 망막 자체의 손상도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항체 주사법은 신생혈관의 생성과 진행에 중요한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에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신생혈관의 생성과 증식을 억제하는 항체(anti-VEGF)를 망막 내에 직접 주사하는 방법이다. 항체 주사법에 사용되는 단백질 항체 약물로는 루센티스(Lucentis)와 아바스틴(Avastin)이 있는데 루센티스는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로 FDA의 허가를 받은 약물이고 아바스틴은 암 질환에 허가된 약물을 안 질환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항체 주사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국부 투여용이고, 반드시 눈에 직접 주사하고, 반복 주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환자의 편의성, 비용 등을 고려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생체적합성 및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금을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에 적용하여 금의 특성을 발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이에 관한 연구도 전무한 상태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0095371호 (2012. 08. 28. 공개)
본 발명은 목적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는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여 세포 노화를 유도한 사람 망막 상피세포 ARPE19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과산화수소에 의해 증가된 리소좀 함량, 활성산소종 및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를 감소시켜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세포주기에서 과산화수소에 의한 G2/M기 정지를 회복시키며, 과산화수소에 의해 증가된 p53 및 p21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고, 항노화 마커인 SIRT3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치자 추출물 또는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흡광도를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며, 도 1C 및 도 1D는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역학적 직경 및 제타 전위를 제타 전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며, 도 2E는 상기 금 나노입자의 결정성을 전자회절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3A는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물질구조 및 입자의 결정구조를 X선 회절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며, 도 3B는 금 이온의 환원과 상기 금 나노입자 합성에서 안정화에 관여하는 생체 분자의 작용기를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을 이용하여 식별한 것이다.
도 4A는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 또는 시트르산으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에 의한 리소좀 함량을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한 것이며, 도 4B는 활성산소종 발생을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한 것이며, 도 4C는 세포 독성 및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5A는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염료에 의해 염색된 노화 세포의 형태학을 현미경 분석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의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
도 6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에 의한 세포주기 변화를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7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에 의한 SIRT3, p53 및 p21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람 망막 상피세포인 ARPE19 세포에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세포 노화를 유도한 후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기 금 나노입자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증가된 리소좀 함량 및 활성산소종을 감소시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과산화수소에 의해 증가된 세포 노화 마커인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를 감소시켜 항노화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주기에서 과산화수소에 의한 G2/M기 정지를 회복시켰으며, 과산화수소에 의해 증가된 p53 및 p21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고, 항노화 마커인 SIRT3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자 추출물은 금 나노입자 사이사이에 삽입되거나 금 나노입자를 코팅하여 표면처리 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자 추출물은 치자 분말을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 나노입자는 치자 추출물과 금염을 2000:1 내지 500:1 부피비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염은 염화금(AuCl), 염화금(II)(AuCl3), 염화금산(HAuCl4), 염화금산칼륨(KAuCl4), 염화금산나트륨(NaAuCl4), 브롬화금(AuBr3), 브롬화금산(HAuBr4), 브롬화금산나트륨(NaAuBr4) 및 금아세틸아세토네이트(gold acetylacet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 나노입자는 평균 직경이 10 내지 50 n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 나노입자는 리소좀 함량 및 활성산소종을 감소시켜 항산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 나노입자는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를 감소시켜 항노화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 나노입자는 G2/M기 정지(arrest)를 회복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 나노입자는 p53 및 p21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고, 항노화 마커인 SIRT3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반변성은 노인성 황반변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첨가제 및 보조제로서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붕해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방법이 결정되는데, 정맥내 투여, 동맥내 투여,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흉골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안구내 투여, 직장 내 투여, 국소 투여, 경구 투여 및 흡입을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자 추출물은 금 나노입자 사이사이에 삽입되거나 금 나노입자를 코팅하여 표면처리 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반변성은 노인성 황반변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상기 유효성분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치자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치자는 ㈜광명생약(Pusan, Korea)에서 구매하였다. 물 2 L에 치자 분말 200 g을 넣고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치자 추출물을 얻었다. 치자 추출물은 0.45 μm 필터로 멸균하고, 동결 건조하여 12 g(4%)의 동결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동결 건조된 추출물은 실험에 사용하기 전, 3차 증류수에 2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재용해 시킨 다음 0.22 μm 필터로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금 나노입자 제조
치자 추출물 10 mL에 염화금산(HAuCl4, 1.0 mM) 용액 10 μL를 첨가하고, 37℃에서 20분 동안 2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용액의 색이 담청색에서 진홍색으로 변화하면 반응을 중지하고 5분 동안 안정화 시켜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시트르산(citric acid)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금 나노입자의 특성 분석
금 나노입자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UV-vis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Ultrospec 6300 pro, Amersham Biosciences)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나노입자의 역학적 직경과 제타 전위는 제타 전위 측정기(Nano-ZS90, Malver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나노입자의 크기와 형태는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high resolut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TALOS F200X, FE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물질구조와 입자의 결정구조에 대한 정성 및 정량 분석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Empyrean series2, Panalytica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분자의 구조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FTIR spectroscopy, Spectrum GX, Perkin Elm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은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보면, 금 나노입자는 보통 530 내지 540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데,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합성되기 전에 비해 합성된 후 54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색의 변화도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치자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합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용액 상태에서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응집을 측정한 결과,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여 보면, 100 nm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가 많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평균 크기는 약 56.74 nm로 측정되었다. 응집된 금 나노입자의 응집 정도와 입자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타 전위를 측정한 결과, -23.5 mV의 값을 얻었다.
도 2는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보면, 입자들은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를 띠며 뭉쳐져 있지 않고 잘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얇은 유기층을 통해 치자 추출물이 금 나노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E는 전자회절법(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으로 입자의 결정구조를 분석한 것으로 입자가 결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A는 X선 회절을 이용하여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결정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본래의 치자 추출물과 달리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에서 4개의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2θ = 38.2, 44.4, 64.6, 77.5일 때, (111), (200), (220), (311) 면을 가지는 본래의 금과 같은 면심입방구조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크 중에서 (111) 면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이를 통해 (111)이 주 방향임을 확인하였다.
도 3B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을 이용하여 금 이온의 환원과 금 나노입자의 합성에서 안정화에 관여하는 생체 분자의 작용기를 식별한 것이다.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3,400과 2,931에서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는 각각 O-H 및 C-H의 신축 진동을 나타낸다. 1,635에서의 피크는 N-H 결합, 1,408에서의 피크는 C-C 신축 진동을 나타내며, 1,077에서의 피크는 C-N 신축진동 또는 C-0 신축진동을 나타낸다.
실시예 4 : 과산화수소( H2O2 )에 의한 세포 노화 유도
1. 세포 배양
사람 망막 상피세포인 ARPE19 세포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100 U/mL)-streptomycin(100 μg/mL)이 포함된 DMEM:F12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 세포 노화 유도
배양한 ARPE19 세포는 60 mm 플레이트에 1.5 X 105 농도로 접종하여 배양하고, 세포가 약 70% 정도 포화상태가 되면 금 나노입자를 과산화수소 처리 1시간 전에 전처리하였다. 그 후, 과산화수소 150 μM를 2시간 동안 처리하고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한 후 배양 배지에서 20 내지 2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과정을 한 번 더 반복하고, 새로운 배양 배지로 교체한 후, 4일 동안 배양하여 세포 노화를 유도하였다.
실시예 5 : 항산화 효능 분석
1. 리소좀 함량 또는 활성산소종 발생 분석
ARPE19 세포에 금 나노입자를 과산화수소 처리 1시간 전에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 150 μM를 2시간 동안 처리하고 추가적으로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여 세포 노화를 유도하였다. 세포는 인산완충식염수로 세척하고, 트립신/EDTA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세포의 리소좀 함량(lysosome contents)은 LysoTracker Green DNA-26(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활성산소종(oxidative reactive species, ROS) 발생은 CM-H2DCFDA(Molecular Proves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염료는 차광 상태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유세포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보면, 과산화수소 처리 후 리소좀 함량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크게 증가하였고,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를 처리하였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가포식(autophagy)은 리소좀 의존 단백질 분해 경로로서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결과는 리소좀에서 과잉 증가를 감소시켜 자가포식을 조절하여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여 보면, 과산화수소 처리 후 활성산소종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크게 증가하였고,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를 처리하였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활성산소종은 다양한 세포외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질환의 발병 및 노화 과정과 관련되어 있다. 활성산소종은 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유도하고 염증을 억제하는데 유용한 반면 과도한 활성산소종은 DNA 손상 및 세포 노화를 유도하여 암, 당뇨를 포함한 다양한 질환을 야기한다. 상기 결과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세포 노화가 치자 추출물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에 의해 억제되어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2. 세포 생존율 분석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ARPE19 세포에 금 나노입자를 과산화수소 처리 1시간 전에 농도 별로(25, 50, 100, 200 μg/mL)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 150 μM를 2시간 동안 처리하고 추가적으로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여 세포 노화를 유도하였다. 그 후, MTT 시약(5 mg/mL) 20μL를 각 웰에 첨가하고 3시간 동안 37℃ 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3시간 후에 상층액을 제거하고 각 웰에 150 μL의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를 첨가한 후 형광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C를 참조하여 보면, 금 나노입자의 농도를 25, 50, 100, 200 μg/mL로 증가시켜 처리하여도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농도 내에서는 금 나노입자가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항노화 효능 분석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항노화 활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 노화 마커인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의 활성을 키트(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taining kit, Cell Signaling Technolog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략하게 ARPE19 세포를 인산완충식염수로 세척하고 고정액과 상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켜 고정하였다. 그 후, 인산완충식염수로 2회 세척하고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염료와 37℃에서 하루 동안 반응시킨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염색된 세포를 관찰하였다.
노화 세포에서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의 활성은 노화 분석 키트(quantitative cellular senescence assay kit, Cell Biolabs,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략하게 ARPE19 세포를 인산완충식염수로 세척하고 트립신/EDTA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집하였다. 그 다음 세포에 전처리 용액을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기질 용액과 차광 상태에서 4 내지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염색된 세포는 유세포 분석으로 분석하였고 CXP 소프트웨어 2.0(Beckman Coulter, Brea, CA, USA)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A는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염료에 의해 염색된 노화 세포의 형태학과 염색 정도를 현미경 분석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며, 염색된 노화 세포의 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과산화수소 처리 후 노화 세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된 노화 세포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B는 노화 세포에서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활성을 측정한 것으로 과산화수소 처리 후, 노화 세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된 노화 세포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노화를 억제함으로써 항노화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 세포주기 분석
산화적 스트레스는 노화 세포에서 세포주기 정지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세포주기를 분석하였다. ARPE19 세포는 70% 차가운 메탄올로 고정시키고 4℃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세포를 원심분리하고 세척한 다음 인산완충식염수에 재현탁하였다. 세포는 RNase(30 μg/mL) 및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propidium iodide, PI, 30 μg/mL)와 차광 상태로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주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과산화수소 처리 후, G2/M기 정지(arrest)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를 처리하였을 때 G2기가 다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DNA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8 : 항노화 마커 SIRT3와 p53 및 p21의 발현 분석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항노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ARPE19 세포는 RIPA 버퍼로 용해시켜 단백질을 추출하고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각 조건 마다 동량의 단백질 30 μg을 10% SDS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polyacrylamide gel)로 분리하여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전기영동으로 분리된 단백질은 트랜스퍼 버퍼(transfer buffer)를 이용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이동시켰다. 단백질이 이동된 멤브렌인은 3% 탈지유(skim milk)로 블로킹(blocking) 시킨 후, phospho-p53(#9286, Cell Signaling Technology), p53(#2524, Cell Signaling Technology), p21(#2947, Cell Signaling Technology), SIRT3(#5490, Cell Signaling Technology), HO-1(sc-10789,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NQO1(sc-16464, Santa Cruz Biotechnology) 및 α-tubulin(sc-23948, Santa Cruz Biotechnology)에 대한 일차항체를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PBST 버퍼로 10분 동안 3회 세척하였다. 그 후, HRP가 접합된 이차 항체를 1:2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PBST 버퍼로 10분 동안 3회 세척하였다. 멤브레인에 ECL 검출 키트(WesternBright™, advansta)의 발색시약 Ⅰ과 Ⅱ를 1:1로 섞은 혼합액을 도포하고, X-선 필름(X-ray film; CP-G plus, Agfa Healthcare Ltd, New Orleans, LA, USA)에 노출하여 현상한 다음 필름 상에서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과산화수소 처리 후 p53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된 p53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53-p21 경로는 DNA 손상 관련 노화 과정의 신호전달 경로이다. p53의 항암 메커니즘은 세포사멸 및 신생혈관 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NA가 손상되면 p53 경로가 활성화 되어 세포주기를 멈추고 세포 성장을 차단한다. p53 단백질은 노화 반응의 주요한 조절자로 노화 반응 조절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p21 단백질은 암 억제제이며 p53의 활성에 의해 p21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21의 유도는 G1기와 G2/M기 세포 정지를 야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과산화수소 처리 후 p21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된 p21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irtuin은 다양한 효소적 활성을 지니며, 암, 노화, 대사 등 다양한 세포 내 과정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과산화수소와 치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입자를 처리하였을 때 SIRT3의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금 나노입자에 의해 증가된 SIRT3가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세포 노화에 대하여 세포를 보호하며, SIRT3의 증가는 세포 수명의 효과적인 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자 추출물은 치자 분말을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치자 추출물과 금염을 2000:1 내지 500:1 부피비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염은 염화금(AuCl), 염화금(II)(AuCl3), 염화금산(HAuCl4), 염화금산칼륨(KAuCl4), 염화금산나트륨(NaAuCl4), 브롬화금(AuBr3), 브롬화금산(HAuBr4), 브롬화금산나트륨(NaAuBr4) 및 금아세틸아세토네이트(gold acetylacet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평균 직경이 10 내지 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리소좀 함량 및 활성산소종을 감소시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G2/M기 정지(arrest)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p53 및 p21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고, 항노화 마커인 SIRT3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삭제
  11.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노화 관련 베타 갈락토시다아제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2.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SIRT3 단백질 발현 증가용 시약 조성물.
KR1020160142137A 2016-10-28 2016-10-28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137A KR102016421B1 (ko) 2016-10-28 2016-10-28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137A KR102016421B1 (ko) 2016-10-28 2016-10-28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671A KR20180046671A (ko) 2018-05-09
KR102016421B1 true KR102016421B1 (ko) 2019-08-30

Family

ID=6220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137A KR102016421B1 (ko) 2016-10-28 2016-10-28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06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클로소사이언스 항노화 유전자 klotho의 발현을 유도하는 신규 화합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309B1 (ko) * 2001-04-20 2005-05-10 박은희 글루타치온과 치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신생억제용조성물
WO2011041642A1 (en) 2009-10-01 2011-04-07 Surmodics Pharmaceuticals, Inc. Micropartic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aterials 32(7):1865-1871(2011.)*
Int. J. Mol. Sci. 12(11):8288-8301(2011.11.2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06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클로소사이언스 항노화 유전자 klotho의 발현을 유도하는 신규 화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671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566B2 (en) Method of improving lacrimal secretion for dry eye treatment using maqui berry extract
Yang et al. Resveratrol protects against oxidative damage of retinal pigment epithelium cells by modulating SOD/MDA activity and activating Bcl-2 expression
KR102100270B1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7287631B2 (ja) 食品用組成物
Nasar et al. Ephedra intermedia mediated synthesis of biogenic silver nanoparticles and their antimicrobial, cytotoxic and hemocompatability evaluations
Waszczykowska et al. Effect of treatment with silver (I) complex of metronidazole on ocular rosacea: Design and formulation of new silver drug with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KR102016421B1 (ko) 치자 추출물로 표면 처리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1097888A (ja) 外用組成物
WO2021073426A1 (zh) Nadh 及其盐在制备皮肤色素抑制剂中的应用
KR20160021734A (ko) 홍차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WO2020179747A1 (ja) Hif抑制用組成物
KR20080088925A (ko) 시력 보호용 조성물
Tambunlertchai et al. Investigating silver nanoparticles and resiquimod as a local melanoma treatment
KR102034183B1 (ko)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74440B1 (ko) 후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666024B (zh) 經由植物調配物之協同性組合來抑制三酸甘油酯合成之組成物及方法
KR102173179B1 (ko) 아젤라익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835227B1 (ko)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14372A (ko) 엘라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200053370A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0918B1 (ko) 스티그마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395552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toxicity of nanoparticles and environmentally-derived fine particles
WO2023236700A1 (zh) 一种功能化纳米硒水溶胶于抗肿瘤方面的应用
KR20200080892A (ko) 피페로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115977B1 (ko) (7S,8R)-디히드로디히드로디코니페릴 알콜-9-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