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258B1 - 미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미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258B1
KR102016258B1 KR1020180051408A KR20180051408A KR102016258B1 KR 102016258 B1 KR102016258 B1 KR 102016258B1 KR 1020180051408 A KR1020180051408 A KR 1020180051408A KR 20180051408 A KR20180051408 A KR 20180051408A KR 102016258 B1 KR102016258 B1 KR 102016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upport member
worm gear
mirror assembl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류주혁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는, 미러, 제1 면에는 상기 미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고, 제2 면에는 상기 미러의 Y축 틸팅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웜 휠이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2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윔휠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웜 기어를 구비하고, 제1 측면에는 상기 미러의 Z축 틸팅을 위한 회전 축이 연결되고, 제2 측면에는 상기 미러의 제2 면과 연결되며 상기 미러의 Z축 틸팅 조절하기 위한 제2 웜 휠이 형성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웜 휠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웜 기어를 구비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 또는 사용자가 차량이나 항공기의 운행 중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구비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미러 어셈블리{MIRROR ASSEMBLY}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나 항공기 등의 운전 시 운전자는 계기반이나 네비게이션 화면 등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한다. 그러나 운전 중에 계기반이나 네비게이션 화면에 수시로 시선이 분산되어 운행 중인 도로를 주시하지 못하게 되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며, 운전자의 피로도 또한 높아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차량이나 항공기에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장치가 장착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 시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들을 운전자의 가시 영역, 예컨대 윈드 실드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운전자의 가시 영역 내에 각종 정보(속도, 주행거리, 주행경로 등)가 표시되므로 운전자의 시선이 계기반이나 네비게이션으로 분산되지 않게 되어 사고 가능성 및 운전자의 피로도가 낮아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생성 유닛(10) 및 미러(12)를 포함한다.
영상 생성 유닛(10)은 윈드 실드(14)에 표시될 차량 운전과 관련된 각종 정보, 예컨대 차량의 속도, 주행거리, 주행경로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 생성 유닛(10)에 의해서 출력된 영상은 미리 정해진 반사 각도를 갖는 미러(12)에 의해서 반사되어 윈드 실드(14) 방향으로 투사된다.
미러(12)에 의해 투사된 영상은 윈드 실드(14)의 전방에 허상으로 맺히게 된다. 사용자(1)는 윈드 실드(14) 전방에 형성되는 허상 형태의 영상(16)을 통해서 차량 운전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서 윈드 실드(14) 상에 나타나는 허상 형태의 영상(16)의 위치는 영상을 윈드 실드(14)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미러(12)의 반사 각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러한 미러(12)의 반사 각도는 일반적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과정에서 고정되며, 미러(12)의 반사 각도가 고정된 채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완성된 이후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이나 항공기에 탑재된 이후에는 미러(12)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만약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과정에서 미러(12)의 반사 각도가 잘못 고정될 경우, 윈드 실드(14) 상에서 영상(16)이 적절한 위치에 표시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미러(12)의 반사 각도를 조절해야 할 경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분해해야만 하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분해 이후에도 미러(12)의 반사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차량이나 항공기의 운행 중 윈드 실드(14) 상에 표시되는 영상(16)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 또는 사용자가 차량이나 항공기의 운행 중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구비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윈드 실드 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는, 미러, 제1 면에는 상기 미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고, 제2 면에는 상기 미러의 Y축 틸팅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웜 휠이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2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윔휠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웜 기어를 구비하고, 제1 측면에는 상기 미러의 Z축 틸팅을 위한 회전 축이 연결되고, 제2 측면에는 상기 미러의 제2 면과 연결되며 상기 미러의 Z축 틸팅 조절하기 위한 제2 웜 휠이 형성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웜 휠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웜 기어를 구비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미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미러의 제1 단부를 제2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제2 단부에서 상기 미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미러의 제2 단부를 상기 제1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미러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면에는 상기 미러를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본딩시키기 위한 본딩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웜 휠은 상기 미러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외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웜 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웜 기어는 제1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 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웜 기어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기 제1 부재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미러를 틸팅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러의 Y축 틸팅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웜 기어는 제2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 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윔기어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미러를 틸팅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3 지지 부재와 상기 미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웜 기어의 회전 축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제2 웜 기어 커버 및 상기 제2 웜 기어 커버와 상기 제3 지지 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웜 기어를 상기 제2 웜 휠 방향으로 가압하는 텐션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3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러의 Z축 틸팅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X축은 상기 미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차량 또는 항공기의 진행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웜 기어 및 상기 제1 웜 기어와 연결되는 제1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제2 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웜 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웜 휠을 수용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모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 또는 사용자가 차량이나 항공기의 운행 중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구비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윈드 실드 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에 의해서 윈드 실드 상에 영상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를 미러의 제2 면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를 미러의 제1 면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1 웜 기어 및 제1 웜 휠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1 웜 기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미러가 Y축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1 웜 기어가 제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미러가 Y축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2 웜 기어 및 제2 웜 휠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2 웜 기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미러가 Z축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2 웜 기어가 제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미러가 Z축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제어기의 상-하 이동 명령에 따른 영상의 위치 조절 과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제어기의 좌-우 이동 명령에 따른 영상의 위치 조절 과정을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에 의해서 윈드 실드 상에 영상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30)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이나 항공기에 장착된 윈드 실드(24)의 하부에 설치된다. 미러 어셈블리(30)에 포함되는 미러(32)는 영상 생성 유닛(미도시)에 의해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영상(202)을 미리 정해진 반사 각도로 반사시킨다. 미러(32)에 의해서 반사된 영상(202)은 윈드 실드(24) 상에 투사되어 윈드 실드(24)의 전방 방향에 허상 형태의 영상(204)으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2)는 차량 또는 항공기의 운행 중에 허상 형태의 영상(204)을 볼 수 있다.
도 2에는 미러 어셈블리(30)를 기준으로 X축, Y축, Z축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미러 어셈블리(30)의 X축은 차량 또는 항공기의 진행 방향, 즉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Y축은 X축과 동일 평면 내에서 수직으로 교차하는 축을 의미한다. 또한 Z축은 X축 및 Y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 또는 사용자(2)가 차량 또는 항공기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미러 어셈블리(30)의 Y축 틸팅 또는 Z축 틸팅을 통해서 미러(32)의 반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Y축 틸팅은 Y축을 중심으로 한 미러(32)의 회전 운동을 의미한다. 예컨대 미러(32)가 Y축 틸팅을 수행하게 되면 미러(32)의 상단 부분은 Y축을 중심으로 사용자(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사용자(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미러(32)의 Y축 틸팅에 의해서 윈드 실드(24)를 통해 표시되는 허상 형태의 영상(204)의 위치가 위쪽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 Z축 틸팅은 Z축을 중심으로 한 미러(32)의 회전 운동을 의미한다. 예컨대 미러(32)가 Z축 틸팅을 수행하게 되면 도 2를 기준으로 미러(32)의 좌측 단부 방향에 설정되는 Z축을 중심으로 미러(32)가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미러(32)의 우측 단부는 사용자(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사용자(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미러(32)의 Z축 틸팅에 의해서 윈드 실드(24)를 통해 표시되는 허상 형태의 영상(204)의 위치가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를 미러의 제2 면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를 미러의 제1 면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30)는 미러(32), 제1 지지 부재(402), 제2 지지 부재(502), 제3 지지 부재(602)를 포함한다.
미러(32)는 입사되는 영상을 미리 정해진 각도로 반사시키는 광학 소자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32)는 미리 정해진 두께를 가지며 판상 형태로 이루어진다.
미러(32)의 제1 면은 영상이 입사되는 면으로 정의되고, 제2 면은 제1 면과 대향하는 면으로 정의된다. 미러 어셈블리(30)의 조립 시, 미러(32)의 제2 면은 제1 지지 부재(402)의 제1 면과 마주보거나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러(32)는 오목 거울로 구성되나, 실시예에 따라서 미러(32)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32)의 제1 단부에는 다수의 돌출부(304a, 304b)가 형성되고, 미러(32)의 제2 단부에도 다수의 돌출부(314a, 314b, 314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출부(304a, 304b, 314a, 314b, 314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402)의 제1 지지부(404a, 404b) 및 제2 지지부(412)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미러(32)를 제1 지지 부재(402)와 결합시킨다.
미러(32)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304a, 304b, 314a, 314b, 314c)의 형상은 각각 대응되는 제1 지지부(404a, 404b)에 형성되는 개구부(406a, 406b) 및 제2 지지부(412)에 형성되는 개구부(414a, 414b, 414c)의 형상과 대응된다. 또한 미러(32)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304a, 304b, 314a, 314b, 314c)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402)의 제1 면은 미러(32)와 마주보거나 접촉하는 면이다. 제1 지지 부재(402)의 제1 면의 제1 단부에는 제1 지지부(404a, 404b)가 미러(3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지지부(404a, 404b)에는 각각 미러(32)의 제1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04a, 304b)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개구부(406a, 406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미러(32)의 제1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04a, 304b)가 각각 대응되는 개구부(406a, 406b)에 수용된다.
또한 제1 지지 부재(402)의 제1 면의 제2 단부에는 제2 지지부(412)가 미러(3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지지부(412)에는 각각 미러(32)의 제2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14a, 314b, 314c)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개구부(414a, 414b, 414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미러(32)의 제2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14a, 314b, 314c)가 각각 대응되는 개구부(414a, 414b, 414c)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부재(402)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탄소 강화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402)의 제1 지지부(404a, 404b)와 제2 지지부(412) 사이의 간격은 미러(32)의 높이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미러(32)가 제1 지지 부재(402)의 제1 지지부(404a, 404b)와 제2 지지부(412)에 각각 삽입 결합되면, 제1 지지부(404a, 404b)는 제2 지지부(412) 방향으로 미러(32)의 제1 단부를 가압하고, 제2 지지부(412)는 제1 지지부(404a, 404b) 방향으로 미러(32)의 제2 단부를 가압한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404a, 404b)와 제2 지지부(412)에 의한 가압력으로 인해 미러(32)가 제1 지지 부재(402)와 결합된 후 제1 지지 부재(402)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지지 부재(402)의 제1 면에는 다수의 제3 지지부(420a, 420b, 420c, 420e, 420f)가 미러(3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3 지지부(420a, 420b, 420c, 420e, 420f)는 미러(32)와 제1 지지 부재(402)가 결합될 때 미러(32)의 제2 면과 접촉하여 미러(32)를 지지한다. 또한 제3 지지부(420a, 420b, 420c, 420e, 420f)는 미러(32)의 제2 면과의 접촉을 통해 미러(32)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러(32)가 제1 지지 부재(402)와 결합된 상태에서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3 지지부(420a, 420b, 420c, 420e, 420f)는 제1 지지 부재(402)와는 다른 소재(예컨대, 고무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지지부(420a, 420b, 420c, 420e, 420f)는 미러(32)와 제1 지지 부재(402)를 본딩시키기 위한 본딩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미러(32)와 접촉하는 제3 지지부(420a, 420b, 420c, 420e, 420f)의 표면에는 본딩을 위한 소재, 예컨대 접착제나 접착 스티커 등이 도포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3 지지부(420a, 420b, 420c, 420e, 420f)의 형상 및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지지부(420a, 420b, 420c, 420e, 420f)가 본딩 영역으로 형성될 경우, 전술한 제1 지지부(404a, 404b) 및 제2 지지부(412)가 생략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지지부(404a, 404b) 및 제2 지지부(412)를 통해 미러(32)를 제1 지지 부재(402)에 삽입 결합하면서 동시에 제3 지지부(420a, 420b, 420c, 420e, 420f)를 본딩 영역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402)의 양쪽 측면에는 제1 고정 부재(408a) 및 제2 고정 부재(408b)가 형성된다.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가 결합될 때, 제1 고정 부재(408a) 및 제2 고정 부재(408b)는 각각 제2 지지 부재(502)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가 결합될 때, 제1 고정 부재(408a) 및 제2 고정 부재(408b)는 제2 지지 부재(502) 내부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제1 고정 부재(408a) 및 제2 고정 부재(408b)는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러(32)가 Y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Y축 틸팅)을 수행할 때 회전 중심 축을 형성한다. 이 때 제1 고정 부재(408a) 및 제2 고정 부재(408b)를 연결하는 선이 Y축을 형성한다.
즉, 제1 지지 부재(402)는 제1 고정 부재(408a) 및 제2 고정 부재(408b)를 연결하는 선인 Y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회전 운동이 Y축 틸팅으로 정의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402)의 제2 면은 제2 지지 부재(502)와 마주보거나 접촉하는 면으로 정의된다. 제1 지지 부재(402)의 제2 면에는 제1 지지 부재(402)의 Y축 틸팅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웜 휠(410)이 배치된다.
제1 웜 휠(410)은 미러(32)와 반대되는 방향, 즉 제2 지지 부재(50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웜 휠(410)은 외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톱니로 이루어진다. 제1 웜 휠(410)의 톱니는 후술하는 제1 웜 기어(506)의 톱니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제1 웜 휠(410)의 몸체의 측단면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웜 휠(410)의 하부에는 제1 모터(50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개구부(440)가 형성된다. 제2 개구부(440)는 제2 지지 부재(502) 상에서 제1 지지 부재(40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모터(504)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530)의 일부를 수용한다.
또한 제1 지지 부재(402)의 제1 단부에는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가 결합될 때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 사이에 연결되는 제1 탄성 부재(51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430)가 형성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지지 부재(502)의 제1 면은 제1 지지 부재(402)와 마주보거나 접촉하는 면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2 지지 부재(502)의 제2 면은 제1 면과 대향하는 면으로 정의된다.
제2 지지 부재(502)의 제1 단부에는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가 결합될 때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 사이에 연결되는 제1 탄성 부재(51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510)가 형성된다.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 사이에 연결되는 제1 탄성 부재(510)는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미러 어셈블리(3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제1 지지 부재(402) 및 미러(32)의 움직임이 최소화된다.
또한 제1 지지 부재(402)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44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 모터(504)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530)가 제1 지지 부재(402)의 제2 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수용부(530)의 형상은 제1 모터(504)의 형상과 서로 대응된다.
또한 제1 수용부(530)에는 제1 지지 부재(402)의 제2 면에 형성된 제1 웜 휠(410)을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부(532)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가 결합되면, 제1 웜 휠(410)의 일부분이 제1 개구부(532)를 통해서 제2 지지 부재(502) 방향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웜 휠(410)의 몸체 표면에 형성된 톱니가 제1 웜 기어(506) 표면에 형성된 톱니와 서로 맞물린다.
제1 수용부(530)에 수용되는 제1 모터(504)는 제1 웜 기어(506)와 연결되어 제1 웜 기어(506)의 회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 모터(504) 및 제1 모터(504)와 연결되는 제1 웜 기어(506)는 제1 방향(예컨대, 정방향) 및 제2 방향(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이와 같은 제1 웜 기어(506)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제1 웜 기어(506)와 맞물리는 제1 웜 휠(410) 및 제1 웜 휠(410)과 연결된 제1 지지 부재(402)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지지 부재(402)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미러(32)의 Y축 틸팅이 수행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지지 부재(502)의 제1 측면에는 제1 연결 부재(512)가 고정 결합된다. 제1 연결 부재(512)는 제2 지지 부재(502)와의 결합을 위한 접촉면을 갖는다.
제1 연결 부재(512)의 접촉면의 일 측면에는 제1 연결 부재(512)와 제2 연결 부재(516)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고정 부재(514a) 및 제2 고정 부재(514b)가 삽입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재(516)의 양측 단부는 제1 연결 부재(512) 양측 단부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516)가 제1 연결 부재(512) 양측 단부 사이로 삽입되면, 제1 연결 부재(512)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구멍 및 제2 연결 부재(516)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제1 고정 부재(514a) 및 제2 고정 부재(514b)가 각각 삽입 결합된다.
제1 고정 부재(514a) 및 제2 고정 부재(514b)는 미러(32)의 Z축 틸팅을 위한 회전 축을 형성한다. 제1 고정 부재(514a) 및 제2 고정 부재(514b)에 의해서 제1 연결 부재(512)와 제2 연결 부재(516)가 결합되면, 제1 연결 부재(512) 및 제1 연결 부재(512)와 결합되는 제2 지지 부재(502)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Z축은 제1 연결 부재(512) 및 제1 연결 부재(512)를 연결하는 선에 의해서 형성되는 회전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516)는 가이드 부재(518)와 고정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518)는 미러 어셈블리(30)를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부재이다. 미러 어셈블리(30)는 가이드 부재(518) 및 제3 지지 부재(602)에 의해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 사이에는 제1 센서(508)가 배치된다. 제1 센서(508)는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 센서(508)로부터 전달되는 제1 지지 부재(402)와 제2 지지 부재(502) 사이의 현재 거리에 기초하여 미러(32)의 현재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센서(508)가 미러(32)의 회전 각도를 직접 측정할 수도 있다.
제2 지지 부재(502)의 제2 측면 상에는 톱니 형상의 제2 웜 휠(616)이 형성된다. 제2 웜 휠(616)의 톱니는 후술하는 제2 웜 기어(610)의 표면에 형성되는 톱니와 서로 맞물린다.
또한 제2 지지 부재(502)의 제2 측면 상에는 제3 지지 부재(602)에 형성된 제4 지지부(61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618)가 형성된다. 제3 지지 부재(602)가 제2 지지 부재(502)와 결합되면 제4 지지부(612)가 개구부(618)를 통과하여 제2 지지 부재(502) 내부로 수용된다.
제2 지지 부재(502) 내부로 수용된 제4 지지부(612)의 일단에는 제2 탄성 부재(614)가 삽입된다. 제2 탄성 부재(614)는 제4 지지부(612)에 의해서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며, 미러(32)와 제2 지지 부재(502)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 탄성력에 의해서, 미러 어셈블리(3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제2 지지 부재(502) 및 미러(32)의 움직임이 최소화된다.
제3 지지 부재(602)는 제2 모터(604), 제2 웜 기어(606), 제2 웜 기어 커버(608)와 결합된다.
제2 모터(604)는 제2 지지 부재(602) 내부에 수용되며 제2 웜 기어 커버(608)를 사이에 두고 제2 웜 기어(606)와 결합된다. 제2 모터(604)는 제2 웜 기어(606)의 회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2 모터(604) 및 제2 모터(604)와 연결되는 제2 웜 기어(606)는 제1 방향(예컨대, 정방향) 및 제2 방향(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이와 같은 제2 웜 기어(606)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제2 웜 기어(606)와 맞물리는 제2 웜 휠(616) 및 제2 웜 휠(616)과 연결된 제2 지지 부재(502)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지지 부재(502)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미러(32)의 Z축 틸팅이 수행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3 지지 부재(602)와 제2 웜 기어 커버(608) 사이에는 텐션 브라켓(606)이 연결된다. 텐션 브라켓(606)은 제2 웜 기어(610)를 제2 웜 휠(616)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제2 웜 기어(610)와 제2 웜 휠(616)의 제조 시 또는 제2 웜 기어(610)와 제2 웜 휠(616)의 조립 시에 발생하는 제2 웜 기어(610)와 제2 웜 휠(616) 간의 공차로 인하여 제2 웜 기어(610)와 제2 웜 휠(616)이 제대로 맞물리지 못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제2 지지 부재(502)와 제3 지지 부재(602) 사이에는 제2 센서(640)가 배치된다. 제2 센서(640)는 제2 지지 부재(502)와 제3 지지 부재(60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2 센서(640)로부터 전달되는 제2 지지 부재(502)와 제3 지지 부재(602) 사이의 현재 거리에 기초하여 미러(32)의 현재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센서(640)가 미러(32)의 회전 각도를 직접 측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1 웜 기어 및 제1 웜 휠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미러 어셈블리(30)를 AA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1 웜 기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미러가 Y축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1 웜 기어가 제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미러가 Y축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402)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웜 휠(410)은 제2 지지 부재(502)의 제1 개구부(532)를 통해 제1 지지 부재(402)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1 웜 기어(506)와 맞물린다. 제1 웜 기어(506)는 제1 모터(504)와 연결되며, 제1 모터(504)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제1 웜 기어(506)가 회전된다. 이와 같은 제1 웜 기어(506)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제1 웜 기어(506)와 맞물리는 제1 웜 휠(410) 및 제1 웜 휠(410)과 연결된 제1 지지 부재(402)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지지 부재(402)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제1 지지 부재(402)와 결합된 미러(32)의 Y축 틸팅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504)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서 제1 웜 기어(506)가 제1 방향(예컨대, 정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면, 제1 웜 기어(506)와 맞물린 제1 웜 휠(410)이 미러(32)의 제2 단부(32b)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미러(32)는 Y축, 즉 제1 고정 부재(408a) 및 제2 고정 부재(408b)를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즉, 미러(32)의 제1 단부(32a)는 X2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단부(32b)는 X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504)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서 제1 웜 기어(506)가 제2 방향(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면, 제1 웜 기어(506)와 맞물린 제1 웜 휠(410)이 미러(32)의 제1 단부(32a)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미러(32)는 Y축, 즉 제1 고정 부재(408a) 및 제2 고정 부재(408b)를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즉, 미러(32)의 제1 단부(32a)는 X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단부(32b)는 X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미러(32)의 Y축 틸팅으로 인하여 미러(32)의 반사 각도가 조절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2 웜 기어 및 제2 웜 휠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미러 어셈블리(30)를 BB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2 웜 기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미러가 Z축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제2 웜 기어가 제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미러가 Z축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 지지 부재(602)에 형성된 제4 지지부(612)는 제2 지지 부재(502)의 개구부(618)를 통과하여 제2 지지 부재(502) 내로 삽입된다. 제2 지지 부재(502) 내에 삽입된 제4 지지부(612)에는 제2 탄성 부재(614)가 삽입 연결된다. 제2 탄성 부재(614)의 일단은 미러(32)와 접촉되고, 제2 탄성 부재(614)의 타단은 제2 지지 부재(502)와 접촉된다. 제2 탄성 부재(614)에 의해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미러 어셈블리(3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제2 지지 부재(502) 및 미러(32)의 움직임이 최소화된다.
또한 제3 지지 부재(602) 내에 수용된 제2 모터(604)에는 제2 웜 기어(610)가 연결된다. 제2 웜 기어(610)는 제2 지지 부재(612)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웜 휠(616)과 서로 맞물린다.
제3 지지 부재(602)의 제1 연결부(702)와 제2 웜 기어 커버(608)의 제2 연결부(704) 사이에는 텐션 브라켓(606)이 연결된다. 텐션 브라켓(606)은 제3 지지 부재(602) 및 제2 웜 기어 커버(608)를 각각 가압함으로써 제2 웜 기어 커버(608)와 연결된 제2 웜 기어(610)를 제2 웜 휠(616)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제2 웜 기어(610)와 제2 웜 휠(616)의 제조 시 또는 제2 웜 기어(610)와 제2 웜 휠(616)의 조립 시에 발생하는 제2 웜 기어(610)와 제2 웜 휠(616) 간의 공차로 인하여 제2 웜 기어(610)와 제2 웜 휠(616)이 제대로 맞물리지 못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제2 웜 기어(610)는 제2 모터(604)와 연결되며, 제2 모터(604)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제2 웜 기어(610)가 회전된다. 이와 같은 제2 웜 기어(610)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제2 웜 기어(610)와 맞물리는 제2 웜 휠(616) 및 제2 지지 부재(502)가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제2 지지 부재(502)의 이동에 의해서, 제2 지지 부재(502)와 결합된 미러(32)의 Z축 틸팅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터(604)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서 제2 웜 기어(610)가 제1 방향(예컨대, 정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면, 제2 웜 기어(610)와 맞물린 제2 웜 휠(616)이 X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미러(32)는 Z축, 즉 제1 고정 부재(514a) 및 제2 고정 부재(514b)를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어 미러(32)의 제1 측면(32c)이 X1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다른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터(604)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서 제2 웜 기어(610)가 제2 방향(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면, 제2 웜 기어(610)와 맞물린 제2 웜 휠(616)이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미러(32)는 Z축, 즉 제1 고정 부재(514a) 및 제2 고정 부재(514b)를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어 미러(32)의 제1 측면(32c)이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미러(32)의 Z축 틸팅으로 인하여 미러(32)의 반사 각도가 조절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제어기의 상-하 이동 명령에 따른 영상의 위치 조절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제어기의 좌-우 이동 명령에 따른 영상의 위치 조절 과정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어셈블리의 Y축 틸팅 및 Z축 틸팅은 미러 어셈블리와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기(8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제어기(80)에 의해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1 모터(504) 또는 제2 모터(604)가 구동되어 전술한 Y축 틸팅 또는 Z축 틸팅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80)의 UP 버튼(802)을 눌러서 이동 명령을 내리면, 제1 모터(504)가 구동되어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제1 모터(504)와 연결된 제1 웜 기어(506)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웜 기어(506)와 맞물린 제1 웜 휠(410)이 미러(32)의 제2 단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러(32)의 제1 단부가 X2 방향으로 이동하고 미러(32)의 제2 단부가 X1 방향으로 이동하는 Y축 틸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미러(32)의 Y축 틸팅에 의해서, 윈드 실드(24) 상에 표시되는 영상(204)의 위치가 위쪽 방향(UP)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80)의 DOWN 버튼(804)을 눌러서 이동 명령을 내리면, 제1 모터(504)가 구동되어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제1 모터(504)와 연결된 제1 웜 기어(506)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웜 기어(506)와 맞물린 제1 웜 휠(410)이 미러(32)의 제1 단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러(32)의 제1 단부가 X1 방향으로 이동하고 미러(32)의 제2 단부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는 Y축 틸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미러(32)의 Y축 틸팅에 의해서, 윈드 실드(24) 상에 표시되는 영상(204)의 위치가 아래쪽 방향(DOWN)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80)의 LEFT 버튼(806)을 눌러서 이동 명령을 내리면, 제2 모터(604)가 구동되어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제2 모터(604)와 연결된 제2 웜 기어(61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웜 기어(610)와 맞물린 제2 웜 휠(616)이 X1 방향으로 이동하여, Z축을 중심으로 미러(32)의 제1 측면이 X1 방향으로 이동하는 Z축 틸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미러(32)의 Z축 틸팅에 의해서, 윈드 실드(24) 상에 표시되는 영상(204)의 위치가 왼쪽 방향(LEFT)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80)의 LEFT 버튼(806)을 눌러서 이동 명령을 내리면, 제2 모터(604)가 구동되어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제2 모터(604)와 연결된 제2 웜 기어(61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웜 기어(610)와 맞물린 제2 웜 휠(616)이 X2 방향으로 이동하여, Z축을 중심으로 미러(32)의 제1 측면이 X2 방향으로 이동하는 Z축 틸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미러(32)의 Z축 틸팅에 의해서, 윈드 실드(24) 상에 표시되는 영상(204)의 위치가 오른쪽 방향(RIGHT)으로 이동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204)이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영상의 이동 거리는 제1 모터(504) 또는 제2 모터(604)의 회전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이동 명령에 따른 제1 모터(504) 또는 제2 모터(604)의 회전량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영상(204)의 이동 거리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제어기(80)는 물리적인 제어 모듈 또는 터치 패널로 구현되어 형태로 차량 또는 항공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기(80)를 사용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미러 어셈블리에 구비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이나 사용자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차량 또는 항공기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윈드 실드 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8)

  1. 미러;
    상기 미러의 제2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면에는 상기 미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고, 제2 면에는 상기 미러의 Y축 틸팅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웜 휠이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제1 면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2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웜 휠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웜 기어를 구비하고, 제1 측면에는 상기 미러의 Z축 틸팅을 위한 회전 축이 연결되고, 제2 측면에는 상기 미러의 제2 면과 접촉하며 상기 미러의 Z축 틸팅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웜 휠이 형성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웜 휠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웜 기어를 구비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미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미러의 제1 단부를 제2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제2 단부에서 상기 미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미러의 제2 단부를 상기 제1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미러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면에는 상기 미러를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본딩시키기 위한 본딩 영역이 형성되는
    미러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웜 휠은
    상기 미러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외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웜 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를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웜 기어는
    제1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 운동하는
    미러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웜 기어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미러를 틸팅시키는
    미러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러의 Y축 틸팅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를 더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웜 기어는
    제2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 운동하는
    미러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웜 기어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미러를 틸팅시키는
    미러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 부재와 상기 미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웜 기어의 회전 축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제2 웜 기어 커버; 및
    상기 제2 웜 기어 커버와 상기 제3 지지 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웜 기어를 상기 제2 웜 휠 방향으로 가압하는 텐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3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러의 Z축 틸팅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서를 더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X축은 상기 미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차량 또는 항공기의 진행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미러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웜 기어 및 상기 제1 웜 기어와 연결되는 제1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제2 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웜 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웜 휠을 수용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모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미러 어셈블리.
KR1020180051408A 2018-05-03 2018-05-03 미러 어셈블리 KR102016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08A KR102016258B1 (ko) 2018-05-03 2018-05-03 미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08A KR102016258B1 (ko) 2018-05-03 2018-05-03 미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258B1 true KR102016258B1 (ko) 2019-10-23

Family

ID=6846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408A KR102016258B1 (ko) 2018-05-03 2018-05-03 미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2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329A1 (ko) * 2020-07-31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1U (ja) * 1991-07-03 1993-01-19 日本電装株式会社 車両用ヘツドアツプデイスプレイ
KR101519349B1 (ko) * 2013-12-10 2015-05-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55038A (ja) * 2016-09-30 2018-04-05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ミラー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1U (ja) * 1991-07-03 1993-01-19 日本電装株式会社 車両用ヘツドアツプデイスプレイ
KR101519349B1 (ko) * 2013-12-10 2015-05-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55038A (ja) * 2016-09-30 2018-04-05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ミラー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329A1 (ko) * 2020-07-31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821504U (zh) 旋转装置及平视显示器装置
KR101291408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4490605B2 (ja) 車載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4925272A (en) Indication display unit for vehicles
WO2016059803A1 (en) Angle adjusting mechanism, display apparatus and rotatable body unit
US7466220B2 (en) Head-up display apparatus and mirror unit for the same
JP6650120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693474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80348619A1 (en) Display device
KR102016258B1 (ko) 미러 어셈블리
JP2019078966A (ja) ミラーユニット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7347142B2 (ja) 虚像表示装置
US20230273429A1 (en) Head-up display device
US20230228968A1 (en) Mirror holding structure and head-up display
WO2021241495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1772492B1 (en) Head-up display
US20240036314A1 (en) Head-up display
EP3683615A1 (e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JP7327263B2 (ja) 虚像表示装置
JP7380402B2 (ja) 虚像表示装置
CN218512722U (zh) 抬头显示装置
JP7327262B2 (ja) 虚像表示装置
JP2021075180A (ja) 虚像表示装置
JP7327261B2 (ja) 虚像表示装置
WO2023022003A1 (ja) 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