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886B1 -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886B1
KR102015886B1 KR1020170184385A KR20170184385A KR102015886B1 KR 102015886 B1 KR102015886 B1 KR 102015886B1 KR 1020170184385 A KR1020170184385 A KR 1020170184385A KR 20170184385 A KR20170184385 A KR 20170184385A KR 102015886 B1 KR102015886 B1 KR 10201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cket
bracket
vehicle
ji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672A (ko
Inventor
염기원
김상곤
현태오
Original Assignee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 관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 관문산업 filed Critical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8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동화 로봇을 이용하여 차량용 브라켓인 도어체커케이스의 용접을 하기 위해 차량용브라켓을 간이로 고정되도록 간이고정용지그에 적재시킨 후, 자동화 로봇의 그리퍼를 이용하여 간이고정용지그에 적재된 차량용브라켓을 빼내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브라켓분리단계(S2)에서 바디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간이고정용지그에 안착된 차량용브라켓을 안정적으로 취출함으로써, 용접 공정을 진행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부품 취출 시 끼임, 걸림과 같은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간이고정용지그의 하부에 구동부를 설치하여 간이고정용지그가 시소운동함으로써 차량용브라켓의 착탈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빈번한 작업 중단에 의한 공정의 수율하락, 작업 효율성 저하, 불량률 상승 및 재작업에 의한 원가 및 기회비용 증대, 그리고 납기 지연 등에 의한 수익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Automated bracket automation welding method using simple fixed paper system}
본 발명은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동화 로봇을 이용하여 차량용 브라켓인 도어체커케이스의 용접을 하기 위해 차량용브라켓을 간이로 거치되도록 간이고정용지그에 적재시킨 후, 자동화 로봇의 그리퍼를 이용하여 간이고정용지그에 적재된 차량용브라켓을 빼내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체커 케이스 어셈블리 용접 공정을 위해 디스테크로의 단품 적재를 위해 작업자는 해당 작업에 필요한 단품을 해당되는 지그(Jig)에 각각 1개씩 로딩(Loading)하고, 용접로봇을 기동시킴으로써 제품 어셈블리를 위한 8타점 용접을 수행한다.
용접이 완료된 후, 각 라인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자는 로딩(Loading)이 되어 있는 단품을 언로딩(Unloading)하고, 이를 이송 팰릿(Pallet)에 적재하고, 일정한 개수의 단품 적재가 완료되면 이송지역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하지만, 현재의 도어체크 케이스 제조시스템은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Skill)와 단품의 수량(Lot)에 따라서 생산량의 편차와 산포 발생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단순 반복 작업은 작업자의 피로도를 빠르게 상승시키게 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의 저하 및 경미한 사고 및 고장 등의 발생 원인이 되고 있다.
그뿐 아니라, 현재의 기술로는 부품을 적재시키는 디스테크의 실린더 작동시, 정지 스톱퍼에 의한 디스테크가 정지가 되는데 정지시의 충격에 의해 단품이 기존의 가이드핀 헤드에서 이탈이 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라인 정지가 빈발하게 발생된다. 또한, 적재된 부품을 산업용 자동화 로봇 그리퍼로 파지하고 수동 운동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약간 비스듬한 이동이나 부품이 기울어졌을 때 가이드 핀 또는 디스테크에 걸려서 취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공정의 수율, 작업 효율성 저하, 라인 정지, 생산성 저하, 납기 지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05216호 (2014.06.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1489호 (2014.03.03)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브라켓분리단계(S2)에서 바디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간이고정용지그에 안착된 차량용브라켓을 안정적으로 취출함으로써, 용접 공정을 진행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부품 취출 시 끼임, 걸림과 같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간이고정용지그의 하부에 구동부를 설치하여 간이고정용지그가 시소운동함으로써 차량용브라켓의 착탈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재플레이트(10)의 상부에 다수 형성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차량용브라켓(70)을 안착시키는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 자동화 로봇의 그리퍼(50)에 의해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에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안착된 차량용브라켓(70)의 상부 일측을 파지하여 간이고정용지그(100)의 상방향(g4)으로 그리퍼(50)를 이송시킴으로 차량용브라켓(70)을 간이고정용지그(100)에서 취출하는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 상기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에서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취출된 차량용브라켓(70)을 용접위치로 이송시키는 용접위치이송단계(S3); 상기 용접위치이송단계(S3)를 통해 용접위치에 이송된 차량용브라켓(70)을 용접시키는 용접단계(S4); 상기 용접단계(S4)에서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이 완료된 차량용브라켓(70)을 차량용브라켓(7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유닛으로 외부로 이송시키는 외부이송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의 차량용브라켓(70)은 하부면에 제1홈(71)과 제2홈(72)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의 간이고정용지그(100)는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의 제2홈(7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체결가이드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체결가이드부(140)는 제1고정축(142)과, 상기 제1고정축(142)에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제1체결홈(143c)이 형성되며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착탈될 때 회전되는 제1회전가이드(14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가이드부(150)는 제2고정축(152)과, 상기 제2고정축(152)에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제2체결홈(153c)이 형성되며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착탈될 때 회전되는 제2회전가이드(153)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는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부(200)에 의해 시소운동됨으로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의 구동부(200)는 제1회전축(211)과 제2회전축(212)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중심지지대(210)와, 중심지지대(210)를 중심으로 연결되되 상기 중심지지대(210) 상에 축지지되어 시소운동하는 축링크부(220)와, 일측은 푸쉬부(1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축링크부(220)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링크(230)와, 일측은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와 각각 연결되도록 두 갈래로 나뉘어지며, 타측은 축링크부(220)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24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를 통해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취출될 때,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푸쉬부(130)를 누르고 있는 힘이 줄어듦으로 푸쉬부(130)가 상승방향으로 상승함에 의해 시소운동함으로써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가 하강방향으로 하강하여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과 제2홈(72)에서 각각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의 제1회전가이드(143)는 제1축지지부(141)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1회전가이드몸체부(143a)와, 상기 제1회전가이드몸체부(143a)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경사부(143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가이드(153)는 제2축지지부(151)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회전가이드몸체부(153a)와, 상기 제2회전가이드몸체부(153a)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경사부(15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의 간이고정용지그(100)는 간이고정용지그(100)의 몸통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푸쉬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가이드부(140)는 상기 간이고정용지그(100)의 몸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체결가이드부(150)는 상기 간이고정용지그(100)의 몸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차량용브라켓분리단계(S2)에서 바디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간이고정용지그에 안착된 차량용브라켓을 안정적으로 취출함으로써, 용접 공정을 진행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부품 취출 시 끼임, 걸림과 같은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간이고정용지그의 하부에 구동부를 설치하여 간이고정용지그가 시소운동함으로써 차량용브라켓의 착탈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빈번한 작업 중단에 의한 공정의 수율하락, 작업 효율성 저하, 불량률 상승 및 재작업에 의한 원가 및 기회비용 증대, 그리고 납기 지연 등에 의한 수익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브라켓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간이고정용지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간이고정용지그의 제1,2체결가이드부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간이고정용지그시스템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차량용브라켓의 실제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간이고정용지그에 차량용브라켓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브라켓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용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을 설명하기 이전에 용접방법에 이용될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적재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다수 설치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차량용브라켓(70)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은 차량용 도어체커케이스의 어셈블리공정을 단품 공급용 로봇(FEED'S ROBOT)을 이용하여 부품 종류별로 단품종 대량생산의 자동 로트 방식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차량용브라켓(70)이 안착될 때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푸쉬부(130)를 누름으로 시소운동을 통해 제1,2체결가이드부(140, 150)가 상승함으로써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차량용브라켓(70)가 체결된다. 산업용 로봇의 그리퍼(50)에 의해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이탈될 때는,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푸쉬부(130)를 누르는 힘이 감소함으로써 시소운동을 통해 제1,2체결가이드부(140,150)가 하강하여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빠져나오며, 이를 통해 그리퍼(50)의 불완전한 파지에도 차량용브라켓(70)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브라켓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은 적재플레이트(10), 이동레일부(20), 실린더(30), 베이스부(40), 그리퍼(50), 차량용브라켓(70), 간이고정용지그(100), 구동부(2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재플레이트(10)는 차량용브라켓(70)이 적재되는 공간으로 판상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레일부(20)는 상기 적재플레이트(1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10)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실린더(30)는 상기 이동레일부(20)에 대응하여 적재플레이트(1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내장된 피스톤로드에 의해 적재플레이트(10)가 이동레일부(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전, 후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40)는 상기 적재플레이트(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플레이트(10)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퍼(50)는 산업용 로봇에 연결된 것으로 적재플레이트(10) 상부의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적재된 차량용브라켓(70)을 클램핑하여 용접작업공간으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차량용브라켓(70)은 제1홈(71)과 제2홈(72)이 바닥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은 도 7과 같이 차량용 도어체커케이스가 대표적인 예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부품이 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간이고정용지그(100)와 구동부(200)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적재플레이트(10)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된 간이고정용지그(100)와 이와 연결된 구동부(200)에서 한 부분만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상에는 간이고정용지그(100)의 양측단에서 하부로 내려오는 벽면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는 임의로 표시한 도면으로, 간이고정용지그(100)는 도 3과 같이 단품으로 형성되어 적재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간이고정용지그(100)는 차량용브라켓(70)이 안착되어 차량용브라켓(7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적재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간이고정용지그(100)는 지그몸체부(110), 안착함몰부(120), 푸쉬부(130), 제1체결가이드부(140), 제2체결가이드부(150), 이탈방지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그몸체부(110)는 판 형상으로 차량용브라켓(70)이 안착되도록 차량용브라켓(70)의 하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그몸체부(110)는 제1관통구(111), 제2관통구(112), 제3관통구(11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구(111)는 차량용브라켓(70)의 평평한 면이 위치하는 부위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구(112)는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관통구(113)는 차량용브라켓(70)의 제2홈(7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안착함몰부(120)는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일측단에 형성되되 차량용브라켓(70)의 일측이 안착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8의 실제 차량용브라켓(70)의 사진과 같이, 상기 안착함몰부(120)는 차량용브라켓(70)의 하부면 일측이 튀어나오는 돌출부(73)가 형성될 때, 돌출부(73)가 안착되기 위해 차량용브라켓(70)의 하부면 일측이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차량용브라켓(70)의 하부면 일측이 튀어나오지 않았다면 이를 생략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차량용브라켓(70)의 하부면 일측이 함몰된 경우, 상기 안착함몰부(120) 대신에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의 함몰부에 수용되기 위한 형태의 안착돌기부(12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차량용브라켓(70)의 하부면이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푸쉬부(130)는 지그몸체부(110)의 제1관통구(111)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차량용브라켓(70)이 안착될 때 눌러지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며,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떨어지면 차량용브라켓(70)이 푸쉬부(130)를 누르는힘이 감소함으로써 푸쉬부(130)가 상승하게 된다.
도 4, 5를 참고하여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체결가이드부(140)는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제2관통구(112)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차량용브라켓(70)이 안착될 때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체결가이드부(140)는 제1축지지부(141), 제1고정축(142), 제1회전가이드(143)로 구성된다.
제1축지지부(141)는 제1고정축(142)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과 대응되어 착탈이 용이하도록 원통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축지지부(141)는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를 참고하면 이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축지지부(141)의 일측은 구동부(200)의 제1체결가이드연결링크(241)와 연결되어 시소운동을 한다.
제1고정축(142)은 제1축지지부(141)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여 축을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축(142)은 제1핀(142a)과 제1체결몸체부(142b)와 제1체결헤드부(14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핀(142a)은 상기 제1축지지부(141)와 연결되며, 제1체결몸체부(142b)는 제1핀(142a)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1회전가이드(143)의 제1체결홈(143c)에 수용된다. 상기 제1체결헤드부(142c)는 제1회전가이드(143)의 제1체결홈(143c)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제1회전가이드(143)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1회전가이드(143)는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착탈될 때 회전됨으로써 간이고정용지그(100)로 차량용브라켓(70)이 안착되는 것과 그리퍼(50)를 이용하여 차량용브라켓(70)이 취출되는 것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축지지부(141)에 안착되도록 제1회전가이드(143)의 제1체결홈(143c)에 제1고정축(142)이 수용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1회전가이드(143)는 제1회전가이드몸체부(143a), 제1가이드경사부(143b), 제1체결홈(143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회전가이드몸체부(143a)는 제1축지지부(141)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제1가이드경사부(143b)는 제1회전가이드몸체부(143a)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1회전가이드(143)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1체결홈(143c)은 제1고정축(142)에 관통되어 제1회전가이드(143)가 체결되도록 제1회전가이드(143)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체결가이드부(150)는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제3관통구(113)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차량용브라켓(70)이 안착될 때 차량용브라켓(70)의 제2홈(72)에 체결된다.
상기 제2체결가이드부(150)는 제2축지지부(151), 제2고정축(152), 제2회전가이드(153)로 구성된다.
제2축지지부(151)는 제2고정축(152)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차량용브라켓(70)의 제2홈(72)과 대응되어 착탈이 용이하도록 원통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축지지부(151)는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를 참고하면 이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축지지부(151)의 일측은 구동부(200)의 제2체결가이드연결링크(242)와 연결되어 시소운동을 한다.
제2고정축(152)은 제2축지지부(151)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여 축을 형성하며, 상기 제2고정축(152)은 제2핀(152a)과 제2체결몸체부(152b)와 제2체결헤드부(15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핀(152a)은 제2축지지부(151)와 연결되며, 제2체결몸체부(152b)는 제2핀(152a)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2회전가이드(153)의 제2체결홈(153c)에 수용된다. 상기 제2체결헤드부(152c)는 제2회전가이드(153)의 제2체결홈(153c)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제2회전가이드(153)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2회전가이드(153)는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착탈될 때 회전됨으로써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차량용브라켓(70)이 안착되는 것과 그리퍼(50)를 이용하여 차량용브라켓(70)을 취출하는 것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2축지지부(151)에 안착되도록 제2회전가이드(153)의 제2체결홈(153c)에 제2고정축(152)이 수용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2회전가이드(153)는 제2회전가이드몸체부(153a), 제2가이드경사부(153b), 제2체결홈(153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회전가이드몸체부(153a)는 제2축지지부(151)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제2가이드경사부(153b)는 제2회전가이드몸체부(153a)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2회전가이드(153)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체결홈(153c)은 제2고정축(152)에 관통되어 제2회전가이드(153)가 체결되도록 제2회전가이드(153)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이 제2홈(72)보다 크게 형성될 때, 도 5와 같이 제1회전가이드(143)의 제1가이드경사부(143b)의 상단 직경보다 제2회전가이드(153)의 제2가이드경사부(153b)의 상단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되어 제1,2홈(71,72)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의 크기, 제1,2가이드경사부(143b,153b)의 상단 직경은 차량용브라켓(70)의 제1,2홈(71,72)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탈방지부(160)는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안착될 때 차량용브라켓(70)을 외부에서 잡아줌으로 차량용브라켓(70)이 넘어져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160)는 도 2, 도3 등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만, 도6 등의 일부도면에서 설명의 편리함을 위해 생략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160)는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안착될 때 안착되는 위치를 잡아주고,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 차량용브라켓(70)이 안착될 지점의 외부에 소정 개수가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5, 6을 참고하면 구동부(200)는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푸쉬부(130)와 연결되며 타측이 제1체결가이드부(140) 및 제2체결가이드부(150)와 연결되어 푸쉬부(130)의 움직임에 의해 시소운동을 함으로써 제1체결가이드부(140), 제2체결가이드부(150)의 움직임이 제어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중심지지대(210), 축링크부(220), 제1연결링크(230), 제2연결링크(240)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지지대(210)는 시소운동을 위해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회전축(211)과 제2회전축(212)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되 일직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축(211)과 제2회전축(212)을 중심으로 축링크부(220)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는 시소운동을 하면서 푸쉬부(130)와 제1체결가이드부(140), 제2체결가이드부(150)의 위치가 이동된다.
축링크부(220)는 중심지지대(210)을 중심으로 연결되되 상기 중심지지대(210) 상에 축지지되어 시소운동한다.
상기 축링크부(220)는 제1축링크(221), 제2축링크(222), 제3축링크(223), 제4축링크(2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축링크(221)는 중심지지대(210)의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회전축(211)의 회전에 의해 시소운동한다.
상기 제2축링크(222)는 중심지지대(210)의 제2회전축(212)을 중심으로 좌우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2회전축(212)의 회전에 의해 시소운동하며, 상기 제1축링크(221)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축링크(223)는 일측이 제1축링크(221)의 일측과 겹치고, 타측이 제2축링크(222)의 일측과 겹치도록 긴 막대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4축링크(224)는 일측이 제1축링크(221)의 타측과 겹치고 타측이 제2축링크(222)의 타측과 겹치도록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 5와 같이 상기 제1,2,3,4축링크(221,222,223,224)는 사각프레임의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2,3,4축링크(221,222,223,224)의 겹치는 부분은 제3회전축(220a), 제4회전축(220b), 제5회전축(220c), 제6회전축(220d)으로 체결된다.
즉, 제3회전축(220a)은 제1축링크(221)와 제3축링크(223)가 연결되도록 제1축링크(221)와 제3축링크(223) 사이에 형성되고, 제4회전축(220b)은 제2축링크(222)와 제3축링크(223)가 연결되도록 제2축링크(222)와 제3축링크(223) 사이에 형성되고, 제5회전축(220c)은 제1축링크(221)와 제4축링크(224)가 연결되도록 제1축링크(221)와 제4축링크(224) 사이에 형성되고, 제6회전축(220d)은 제2축링크(222)와 제4축링크(224)가 연결되도록 제2축링크(222)와 제4축링크(224)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회전축이 축링크들이 겹치는 부분에 체결됨에 따라 중심지지대(210)의 제1,2회전축(211,212)의 회전에 의해 제1,2축링크(221,222)가 시소운동 시 제3,4,5,6회전축(220a,220b,220c,220d)에 의해 제3,4축링크(223,224)의 움직임도 변하게 된다.
제1연결링크(230)는 일측은 푸쉬부(1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축링크부(220)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링크(230)의 일측은 제7회전축(230a)에 의해 푸쉬부(130)와 연결되며, 제1연결링크(230)의 타측은 제8회전축(230b)에 의해 축링크부(220)의 제3축링크(223)와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링크(230)는 축링크부(220)의 시소운동에 의해 제7,8회전축(230a,230b)이 회전함으로 제1연결링크(230)의 움직임이 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의 상부면에 안착될때 푸쉬부(130)를 누름에 따라 압력이 가해짐으로 제1연결링크(230)가 하강하며, 제1연결링크(230)와 연결된 축링크부(220)의 일측이 하강함으로 시소운동을 한다.
제2연결링크(240)는 일측이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와 각각 연결되도록 두 갈래로 나뉘어지며, 타측은 축링크부(220)의 타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링크(240)의 일측은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연결되기 위한 제1체결가이드연결링크(241)와 제2체결가이드부(150)와 연결되기 위한 제2체결가이드연결링크(242)로 나뉘어진다.
상기 제1체결가이드연결링크(241)와 제1체결가이드부(140) 사이에는 제9회전축(240a)이 형성되어 제1체결가이드연결링크(241)와 제1체결가이드부(140)를 연결하며, 상기 제2체결가이드연결링크(242)와 제2체결가이드부(150) 사이에는 제10회전축(240b)이 형성되어 제2체결가이드연결링크(242)와 제2체결가이드부(150)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링크(240)와 축링크부(220)의 제4축링크(224) 사이에는 제11회전축(240c)이 형성되어 제2연결링크(240)와 축링크부(220)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제9,10,11회전축(240a,240b,240c)에 의해 회전됨으로 축링크부(220)가 시소운동시 제2연결링크(240)가 상승 또는 하강운동을 함으로써 이와 연결된 제1,2체결가이드부(140,150)의 움직임이 변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a)는 차량용브라켓(70)을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안착시키기 위해 차량용브라켓(70)을 간이고정용지그(100)를 향하는 방향(g1)으로 누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서 도시된 간이고정용지그(100)와 구동부(200)는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안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과 같이 푸쉬부(130)는 지그몸체부(110)의 제1관통구(111)를 관통하여 지그몸체부(110)의 상부 외부면까지 튀어나오고, 제1,2체결가이드부(140,150)는 지그몸체부(110)의 제2,3관통구(112,113)에 각각 수용되어 상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를 합친 무게보다 푸쉬부(130)의 무게가 가볍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를 향하는 방향(g1)으로 누르면, 푸쉬부(130)는 차량용브라켓(70)을 g1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하강방향(g2)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시소운동을 함으로써 축들이 반시계방향(w1)으로 회전하여 제1연결링크(230)도 하강방향(g2)으로 이동되고, 이와 연결된 축링크부(220)의 일측도 하강방향(g2)으로 이동된다.
또한 축링크부(220)의 타측은 상승방향(g3)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연결된 제2연결링크(240)도 상승방향(g3)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도 6(b)와 같이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가 상승방향(g3)으로 이동됨으로써 지그몸체부(110)의 제2관통구(112)와 제3관통구(113)를 각각 관통하여 제1,2체결가이드부(140,150)의 일부가 지그몸체부(110)의 상부로 노출되어 차량용브라켓(70)의 제1,2홈(71,72)을 통과하여 체결된다.
도 6(b)와 같이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가 차량용브라켓(70)의 제1,2홈(71,72)에 각각 체결될 때 제1체결가이드부(140)의 제1회전가이드(143)와 제2체결가이드부(150)의 제2회전가이드(153)가 회전됨으로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그리퍼(50)를 이용하여 차량용브라켓(70)을 간이고정용지그(100)에서 분리할 때도 제1회전가이드(143)와 제2회전가이드(153)가 회전됨으로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과 제2홈(72)에서 원활하게 취출될 수 있으며,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가 시소운동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실린더(30)의 운동을 통해 적재플레이트(10)가 이동레일부(20)를 따라 움직이거나 그리퍼(50)의 불완전한 장착 등을 통한 차량용브라켓(70)의 불완전한 취출에도 걸림 없이 차량용브라켓(70)을 이송할 수 있다.
아래는 본 발명의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은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 용접위치이송단계(S3), 용접단계(S4), 외부이송단계(S5), 적재플레이트재정비단계(S6)로 구성된다.
S1: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는 적재플레이트(10)의 상부에 다수 형성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차량용브라켓(70)을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은 하부면에 제1홈(71)과 제2홈(72)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의 간이고정용지그(100)는 일측에 제1관통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의 제2홈(7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관통구(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이고정용지그(100)는 제1관통구(111)를 관통하는 푸쉬부(130)가 형성되고 제2관통구(112)를 관통하는 제1체결가이드부(140)가 형성되며, 제3관통구(113)를 관통하는 제2체결가이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가이드부(140)는 중심축을 이루는 제1고정축(14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회전가이드(143)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가이드부(150)는 중심축을 이루는 제2고정축(15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회전가이드(1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하부에는 구동부(200)가 추가로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부(200)는 일측이 푸쉬부(1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체결가이드부(140), 제2체결가이드부(150)와 연결되어 푸쉬부(130)와 제1,2체결가이드부(140,150)가 시소운동하도록 형성된다.
간이고정용지그(100)의 상부면에 적재된 물체가 없을 때, 상기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푸쉬부(130)는 제1,2체결가이드부(140,150)보다 소정의 높이가 상승된 위치에 위치하며, 푸쉬부(1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푸쉬부(130)가 하강하면 구동부(200)를 통해 시소운동함으로써 제1,2체결가이드부(140,150)가 상승한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에서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안착될 때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푸쉬부(130)가 하강방향(g2)으로 눌러짐으로 하강하고, 구동부(200)의 시소운동을 통해 제1,2체결가이드부(140,150)가 상승방향(g3)으로 상승하여 차량용브라켓(70)의 제1,2홈(71,72)에 각각 체결된다.
S2: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
차량용브라켓분리단계(S2)는 자동화 로봇의 그리퍼(50)에 의해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에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안착된 차량용브라켓(70)을 파지하여 간이고정용지그(100)의 상방향(g4)으로 이송시킴으로 차량용브라켓(70)을 간이고정용지그(100)에서 취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차량용브라켓인출단계(S2)는 도 1과 같이 자동화 로봇의 그리퍼(50)를 이용하여 차량용브라켓(70)을 파지함으로써 간이고정용지그(100)의 상방향(g4)으로 차량용브라켓(70)을 이송시킴으로 간이고정용지그(100)에서 차량용브라켓(70)을 취출시킨다.
또한 상기 차량용브라켓분리단계(S2)는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부(200)에 의해 시소운동함으로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취출된다.
상기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차량용브라켓(70)이 취출될 때, 차량용브라켓(70)에 의해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푸쉬부(130)를 누르고 있는 힘이 줄어듦으로 푸쉬부(130)가 상승방향으로 상승하며, 이에 따라 구동부(200)가 시소운동을 함으로써 제1,2체결가이드부(140,150)는 하강방향으로 하강하여 차량용브라켓(70)의 제1,2홈(71,72)에서 각각 빠져나오게 된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도 6(b)의 상태에서 도 6(a)의 상태가 됨으로 간이고정용지그(100)에서 차량용브라켓(70)이 취출된다.
상기 구동부(200)의 구조는 상기 간이고정용 시스템에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를 생략한다.
또한 간이고정용지그(100)에서 차량용브라켓(70)을 빼낼 때,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에 체결된 제1체결가이드부(140)는 제1체결가이드부(140)의 제1회전가이드(143)가 회전하면서 제1홈(71)에서부터 원활하게 빠져나오게 되며, 차량용브라켓(70)의 제2홈(72)에 체결된 제2체결가이드부(150)는 제2체결가이드부(150)의 제2회전가이드(153)가 회전하면서 제2홈(72)에서부터 원활하게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원활하게 빠져나오기 위해, 제1회전가이드(143)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제2회전가이드(153)도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용접위치이송단계
용접위치이송단계(S3)는 상기 차량용브라켓분리단계(S2)에서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분리된 차량용브라켓(70)을 용접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용접위치이송단계(S3)는 그리퍼(50)에 의해 파지된 차량용브라켓(70)을 용접작업을 수행할 용접위치로 이송시키어 차량용브라켓(70)이 용접위치에 안착되도록 한다.
S4: 용접단계
용접단계(S4)는 상기 용접위치이송단계(S3)를 통해 용접위치에 이송된 차량용브라켓(70)을 용접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용접단계(S4)는 자동화 로봇을 이용하여 차량용브라켓(70)을 용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5: 외부이송단계
외부이송단계(S5)는 상기 용접단계(S4)에서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이 완료된 차량용브라켓(70)을 차량용브라켓(7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유닛으로 이송시켜서 차량용브라켓(70)의 후속 공정을 위해 외부로 이송시킨다.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를 통해 적재플레이트(10)의 상부에 다수 형성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각각 안착된 차량용브라켓(70)은 차량용브라켓분리단계(S2)에서부터 외부이송단계(S5)까지가 반복수행됨으로 용접작업이 수행된다.
S6: 적재플레이트재정비단계
적재플레이트재정비단계(S6)는 다수의 간이고정용지그(100)에 각각 안착된 차량용브라켓(70)의 용접공정이 모두 끝나는 경우, 적재플레이트(10)에 위치하는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차량용브라켓(70)을 안착시키도록 적재플레이트(10)를 차량용브라켓(70)의 안착작업이 수행될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적재플레이트재정비단계(S6)를 통해 적재플레이트(10)가 이동되면, 다시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로 돌아가 차량용브라켓(70)을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안착시키는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통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차량용브라켓(70)을 안착시킬 때 적재플레이트(10)의 움직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으로 차량용브라켓(7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적재된 차량용브라켓(70)을 산업용 로봇 그리퍼(50)로 파지시 부품의 미세한 이동이나 불완전한 파지에 의해 약간 비스듬하게 이동되거나 부품이 기울어지더라도 간이고정용지그(100)와 구동부(200)를 통한 시소운동을 통해 차량용브라켓(70)을 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적재플레이트
20: 이동레일부
30: 실린더
40: 베이스부
50: 그리퍼
70: 차량용브라켓
100: 간이고정용지그
110: 지그몸체부
111: 제1관통구/112: 제2관통구/113: 제3관통구
120: 안착함몰부
130: 푸쉬부
140: 제1체결가이드부
141: 제1축지지부
142: 제1고정축
143: 제1회전가이드
150: 제2체결가이드부
151: 제2축지지부
152: 제2고정축
153: 제2회전가이드
160: 이탈방지부
200: 구동부
210: 중심지지대
211: 제1회전축/212: 제2회전축
220: 축링크부
220a: 제3회전축/220b: 제4회전축/220c: 제5회전축/220d: 제6회전축
221: 제1축링크
222: 제2축링크
223: 제3축링크
224: 제4축링크
230: 제1연결링크
230a: 제7회전축/230b: 제8회전축
240: 제2연결링크
240a: 제9회전축/240b: 제10회전축/240c: 제11회전축
241: 제1체결가이드연결링크
242: 제2체결가이드연결링크

Claims (3)

  1. 적재플레이트(10)의 상부에 다수 형성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차량용브라켓(70)을 안착시키는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
    자동화 로봇의 그리퍼(50)에 의해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에서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안착된 차량용브라켓(70)의 상부 일측을 파지하여 간이고정용지그(100)의 상방향(g4)으로 그리퍼(50)를 이송시킴으로 차량용브라켓(70)을 간이고정용지그(100)에서 취출하는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
    상기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에서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취출된 차량용브라켓(70)을 용접위치로 이송시키는 용접위치이송단계(S3);
    상기 용접위치이송단계(S3)를 통해 용접위치에 이송된 차량용브라켓(70)을 용접시키는 용접단계(S4);
    상기 용접단계(S4)에서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이 완료된 차량용브라켓(70)을 차량용브라켓(7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유닛으로 외부로 이송시키는 외부이송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의 차량용브라켓(70)은 하부면에 제1홈(71)과 제2홈(72)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의 간이고정용지그(100)는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상기 차량용브라켓(70)의 제2홈(7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체결가이드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체결가이드부(140)는 제1고정축(142)과, 상기 제1고정축(142)에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제1체결홈(143c)이 형성되며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착탈될 때 회전되는 제1회전가이드(14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가이드부(150)는 제2고정축(152)과, 상기 제2고정축(152)에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제2체결홈(153c)이 형성되며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에 착탈될 때 회전되는 제2회전가이드(153)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는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부(200)에 의해 시소운동됨으로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의 구동부(200)는 제1회전축(211)과 제2회전축(212)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중심지지대(210)와, 중심지지대(210)를 중심으로 연결되되 상기 중심지지대(210) 상에 축지지되어 시소운동하는 축링크부(220)와, 일측은 푸쉬부(1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축링크부(220)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링크(230)와, 일측은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와 각각 연결되도록 두 갈래로 나뉘어지며, 타측은 축링크부(220)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24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브라켓취출단계(S2)를 통해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로부터 취출될 때, 차량용브라켓(70)이 간이고정용지그(100)의 푸쉬부(130)를 누르고 있는 힘이 줄어듦으로 푸쉬부(130)가 상승방향으로 상승함에 의해 시소운동함으로써 제1체결가이드부(140)와 제2체결가이드부(150)가 하강방향으로 하강하여 차량용브라켓(70)의 제1홈(71)과 제2홈(72)에서 각각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의 제1회전가이드(143)는 제1축지지부(141)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1회전가이드몸체부(143a)와, 상기 제1회전가이드몸체부(143a)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경사부(143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가이드(153)는 제2축지지부(151)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회전가이드몸체부(153a)와, 상기 제2회전가이드몸체부(153a)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경사부(15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브라켓안착단계(S1)의 간이고정용지그(100)는 간이고정용지그(100)의 몸통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푸쉬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가이드부(140)는 상기 간이고정용지그(100)의 몸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체결가이드부(150)는 상기 간이고정용지그(100)의 몸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KR1020170184385A 2017-12-29 2017-12-29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KR102015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85A KR102015886B1 (ko) 2017-12-29 2017-12-29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85A KR102015886B1 (ko) 2017-12-29 2017-12-29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672A KR20190081672A (ko) 2019-07-09
KR102015886B1 true KR102015886B1 (ko) 2019-08-29

Family

ID=6726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385A KR102015886B1 (ko) 2017-12-29 2017-12-29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20B1 (ko) 2020-10-12 2021-09-02 (주)삼성텍 전기 및 내연기관 자동차용 금속가공품의 이종 너트 용접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570B1 (ko) 2005-10-11 2006-01-24 세종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자동 접합장치
KR100565120B1 (ko) 2003-06-05 2006-03-3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클램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769B1 (ko) * 2009-12-14 2011-09-06 태산기계공업주식회사 지그 위치결정유닛이 구비된 머시닝 센터의 팰릿
KR101405216B1 (ko) 2012-12-17 2014-06-10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자동 장착 시스템의 도어 힌지 정렬 지그
KR101371489B1 (ko) 2012-12-17 2014-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의 자동 장착 시스템
KR20160074174A (ko) * 2014-12-18 2016-06-28 이상훈 조립고정지그 및 그의 조립고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120B1 (ko) 2003-06-05 2006-03-3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클램핑 장치
KR100545570B1 (ko) 2005-10-11 2006-01-24 세종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자동 접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20B1 (ko) 2020-10-12 2021-09-02 (주)삼성텍 전기 및 내연기관 자동차용 금속가공품의 이종 너트 용접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672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4346B1 (en) System and method with drag conveyor for high rate production welding
KR102147388B1 (ko)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부품 부착 시스템
CA2119822C (en) Dual pawl spool feeder
EP2437913B1 (en) Singulation slide for an apparatus for feeding a connecting element
KR102015886B1 (ko)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브라켓 자동화 용접방법
JP2009532306A (ja) パレタイザ用のリフティングデッキ
JP2013542145A (ja) 補助輸送ユニ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50073243A (ko) 피스톤링 조립시스템
CA1110669A (en) Cylindrical article conveyor-layering device-and stacker with single row manipulator
CN106964981B (zh) 铆焊一体机
KR101725726B1 (ko)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KR101958960B1 (ko) 차량용브라켓 간이고정용지그 시스템
JP2007153456A (ja) インサートナット供給装置
CN114407423B (zh) 一种金属送料装置
KR101877356B1 (ko)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스냅링 조립장치
CN113752580A (zh) 一种铆接机
JP5531976B2 (ja) パレット交換システム
CN112387920A (zh) 断路器的全自动铆接设备
KR101266146B1 (ko) 부품 조립 장치
KR100685373B1 (ko) 공압식 분할 시스템 및 펀치툴
JPH02110016A (ja) 材料供給装置
JP6536084B2 (ja) 部品供給装置
CN215998549U (zh) 铆钉安装装置
CN216311640U (zh) 键盘组装装置
CN115571551B (zh) 一种运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