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775B1 - 보행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보행 훈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5775B1 KR102015775B1 KR1020170154598A KR20170154598A KR102015775B1 KR 102015775 B1 KR102015775 B1 KR 102015775B1 KR 1020170154598 A KR1020170154598 A KR 1020170154598A KR 20170154598 A KR20170154598 A KR 20170154598A KR 102015775 B1 KR102015775 B1 KR 1020157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ont handle
- user
- walking
- coupled
- stri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1272996 Polyphylla fullo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34819 Mobility Lim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3999 Phasmato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행봉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와, 사용자의 보행방향 전방에 상기 평행봉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전방손잡이 및 상기 전방손잡이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보폭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보폭측정부를 포함함으로써, 안전한 보행훈련과, 더욱 다양한 재활 훈련을 할 수 있고, 환자의 움직임 정도와 보폭을 측정하여 환자나 보호자 또는 치료사 등의 관계자에게 제공하여 환자의 보폭을 증진시킬 수 있어 보행 훈련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인이나 장애인 또는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의 보행 훈련을 보조할 수 있는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력 감소로 인해 활동의 폭이 제한되는 노약자, 하체 근육의 재활이 필요한 환자 또는 일시적 질병 및 사고로 독립적 보행이 불가능한 보행장애 환자들에게 잔존 감각을 활용하여 독립 보행에 필요한 능력을 습득시키기 위하여 수행되는데, 자율적 보행을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포괄적 도움이 필요하며, 특히 치료사의 상당한 수고를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보행장애 환자들의 정상적인 보행을 도와주는 보행훈련 장치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장애인들이 이러한 보행훈련 장치들을 사용하거나 제대로 보행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평행봉을 통해 보행연습이 필요한데 비교적 처음 보행 훈련을 시작하거나 비교적 중증의 환자들이 평행봉을 이용하여 보행 연습을 하고 있다.
또한, 보행 훈련 장치로 지팡이, 보행기(워커), 바퀴달린 보행기, 탁자형 보행기, 휠체어 등이 있으며 특히 노약자나 편마비 환자들은 주로 워커와 같은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보행 연습을 계속함으로써 정상적인 보행을 유도하게 된다.
그러나, 평행봉이나 워커 등과 같은 보행 훈련 장치는 팔이 구부러져 펴지지 않는 환자들의 경우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전방으로 미는 동작과 같은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운동하는 전신 운동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팔이 구부러져 펴지지 않는 환자들의 경우에도 안전하게 보행훈련을 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미는 동작과 같은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운동하는 전신 운동이 가능한 보행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보행 훈련 시 환자의 움직임 정도와 보폭을 알려줄 수 있는 보행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평행봉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와, 사용자의 보행방향 전방에 상기 평행봉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전방손잡이 및 상기 전방손잡이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보폭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보폭측정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팔이 구부러져 펴지지 않는 환자들의 경우에도 안전하게 보행훈련을 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미는 동작과 같은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운동하는 전신 운동을 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환자의 보행 훈련 시 환자의 움직임 정도와 보폭을 측정하여 환자나 보호자 또는 치료사 등의 관계자에게 제공하여 환자의 보폭을 증진시킬 수 있어 보행 훈련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방손잡이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전방손잡이에 보폭측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보폭측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전방손잡이에 보행보조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방손잡이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전방손잡이에 보폭측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보폭측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전방손잡이에 보행보조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방손잡이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사용자의 보행방향을 따라 형성된 평행봉(101)에 장착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동부(110), 전방손잡이(120) 및 보폭측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110)는 평행봉(101)의 상부에 안착되어 평행봉(101)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동몸체(111), 수직축부(113) 및 높이조절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몸체(111)는 평행봉(101)의 상부에 평행봉(10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111)는 하부에 홈이 형성되고, 홈에 평행봉(101)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몸체(111)는 평행봉(101)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몸체(111)는 평행봉(101)에 이동몸체(11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12)는 이동몸체(111)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일 수 있으며, 볼트를 조임에 따라 이동몸체(111)가 평행봉(101)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부(112)의 형태는 볼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몸체(111)를 평행봉(101)에 고정 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동몸체(111)를 고정하는 경우, 이동부(110)에 결합되는 전방손잡이(1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방으로 미는 동작과 같은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운동하는 전신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축부(113)는 이동몸체(11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부(114)는 전방손잡이(120)가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축부(113)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114)는 수직축부(113)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 될 수 있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114)는 일측에 구비된 레버(115)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높이조절부(114)에 결합된 전방손잡이(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114)와 이동몸체(111) 사이에는 충격방지부(116)가 구비되어 높이조절부(114)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전방손잡이(120)는 사용자가 전방으로 팔을 뻗어 잡거나, 사용자의 하박이 안착되어 지지한 상태로 보행훈련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보행방향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방에 전방손잡이(120)가 구비됨으로써, 팔이 구부러져 펴지지 않는 환자들의 경우에도 안전하게 보행훈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손잡이(120)는 평행봉(101)과 수직방향으로 이동부(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손잡이(120)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U'자 형태를 지지하도록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손잡이(120)는 개방된 일측의 단부 중 상부 일단이 높이조절부(114)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평행봉(101)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한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방손잡이(120)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방손잡이에 보폭측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보폭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폭측정부(130)는 전방손잡이(12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보폭을 측정하는 것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폭측정부(13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양측 다리를 각각 측정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폭측정부(130)는 측정본체(131), 센서부(132) 및 표시부(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본체(131)는 전방손잡이(1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본체(131)는 수평방향으로 관통공(131a)이 형성되고, 관통공(131a)을 통해 전방손잡이(120)가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폭측정부(130)가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측정본체(131)가 전방손잡이(120)를 따라 이동가능하여 보폭측정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본체(131)는 전방손잡이(1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보폭에 따라 보폭측정부(130)의 각도를 조절하여 보폭측정을 정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2)는 측정본체(131)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보폭을 측정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32)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으며,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보행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보폭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발 또는 다리가 센서부(132)를 통해 센싱되는 경우와 센서부(132)를 통해 센싱되지 않는 경우를 통하여 사용자의 보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32)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본체(131)의 하면에 직하방을 향하도록 하나의 제1센서부(132a)가 구비되고, 측정본체(131)의 보행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30a)에 제2센서부(132b)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센서부(132b)는 제1센서부(132a)가 향하는 직하방에서 사용자의 보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센서부(132)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를 향하도록 두 개 이상의 센서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센서부(132)가 구비되는 경우, 센서부(132)에서 사용자의 발 또는 다리가 센싱되면 보행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보행의 시작점에서부터 센서부(132)가 센싱하는 위치까지의 간격을 통하여 보폭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센서부(132)가 구비되는 경우, 센서부(132) 중 사용자의 발 또는 다리가 센싱되는 센서부(132)의 개수에 따라 보폭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센서부(132)로 구성되는 경우, 제1센서부(132a)에서 사용자의 발이 센싱되나, 제2센서부(132b)에서 센싱되지 않으면 보폭이 제1센서부(132a)와 제2센서부(132b)가 센싱하는 위치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센서부(132a)와 제2센서부(132b)에서 사용자의 발이 모두 센싱되면, 제1센서부(132a)와 제2센서부(132b)가 센싱하는 위치 사이의 간격을 보폭으로 판단함으로써, 보폭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센서부(132)를 통해 환자의 움직임 정도와 보폭을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보폭을 증진시킬 수 있어 보행 훈련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32)는 카메라 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보행 시 사용자의 발 또는 다리의 위치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를 영상처리를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보폭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3)는 센서부(132)에서 측정된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133)는 센서부(132)의 갯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 또는 다리가 센싱되는 센서부(132)의 갯수에 따라 다른 색깔로 표시함으로써, 환자나 보호자 또는 치료사 등의 관계자에게 환자의 보폭을 안내할 수 있다. 또는 보폭을 숫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폭측정부(130)는 스피커(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134)는 센서부(132)에서 측정된 결과를 소리로써, 환자나 보호자 또는 치료사 등의 관계자에게 환자의 보행 훈련에 대한 내용을 안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전방손잡이에 보행보조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전방손잡이(120)의 하부에 복수개의 고리부(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고리부(121)에 연결되고, 타측이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보행을 보호하는 보행보조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행보조부(140)는 고리부(121)에 결합된 탄성밴드(141)와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되고, 탄성밴드(141)에 연결된 커프(1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부(140)는 사용자의 보행 훈련 시 탄성밴드(14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리를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사용자가 보행 훈련시 다리를 들어올리는 동작과, 다리를 이동하는 동작을 보조하여 사용자가 보행 재활 훈련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평행봉 110 : 이동부
111 : 이동몸체 113 : 수직축부
114 : 높이조절부 120 : 전방손잡이
121 : 고리부 130 : 보폭측정부
141 : 탄성밴드 142 : 커프
111 : 이동몸체 113 : 수직축부
114 : 높이조절부 120 : 전방손잡이
121 : 고리부 130 : 보폭측정부
141 : 탄성밴드 142 : 커프
Claims (6)
- 평행봉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
사용자의 보행방향 전방에 상기 평행봉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전방손잡이; 및
상기 전방손잡이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보폭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보폭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폭측정부는
상기 전방손잡이의 하부에 상기 전방손잡이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전방손잡이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측정본체;
상기 측정본체의 하면에 상기 사용자의 보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및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결과가 표시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평행봉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축부; 및
상기 전방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축부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
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몸체를 상기 평행봉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손잡이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보행 훈련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손잡이는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리부; 및
일측이 상기 고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보조부;
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4598A KR102015775B1 (ko) | 2017-11-20 | 2017-11-20 | 보행 훈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4598A KR102015775B1 (ko) | 2017-11-20 | 2017-11-20 | 보행 훈련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7544A KR20190057544A (ko) | 2019-05-29 |
KR102015775B1 true KR102015775B1 (ko) | 2019-08-29 |
Family
ID=6667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4598A KR102015775B1 (ko) | 2017-11-20 | 2017-11-20 | 보행 훈련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577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99955A (en) * | 1993-01-21 | 1996-03-19 | Smith & Nephew Rolyan, Inc. | Patient support for use with parallel bars |
JP2001037908A (ja) * | 1999-07-29 | 2001-02-13 | Hitachi Techno Eng Co Ltd | 歩行訓練装置 |
KR100623417B1 (ko) * | 2006-02-21 | 2006-09-13 | 박홍재 |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 |
KR100712822B1 (ko) | 2006-03-23 | 2007-05-02 | 정부환 | 보행운동용 평행봉 |
KR101688016B1 (ko) * | 2015-12-11 | 2016-12-20 | 강신현 | 보행 분석기능을 갖춘 보행 재활기구 |
-
2017
- 2017-11-20 KR KR1020170154598A patent/KR102015775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등록특허공보 제10-0623417호(2006.9.13. 공고) 1부.* |
등록특허공보 제10-1688016호(2016.12.20. 공고) 1부.*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37908호(2001.2.13. 공개) 1부.* |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평10-503674호(1998.4.7. 공표)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7544A (ko) | 2019-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4162B1 (ko) | 하지 재활용 보행 밸런스 모니터링 시스템 | |
US10376734B1 (en) | Gait training exercise and analysis systems for body support systems with adjustable user body weight force | |
Han et al. | Comparison of effects of a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in water and on land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 |
US8968163B1 (en) |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 |
US1005225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patient walking therapy | |
KR20190029175A (ko) | 재활훈련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재활훈련방법 | |
JP2008500083A (ja) | 患者の運動障害,特に歩行時の障害を再教育するための装置 | |
KR101763214B1 (ko) | 보행 훈련 보조 장치 | |
KR20180010838A (ko) |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 |
KR20160024110A (ko) | 고정훈련과 이동훈련이 가능한 분리형 하지 재활로봇 | |
KR20090007043A (ko) | 보행 재활훈련장치 | |
KR101793828B1 (ko) | 접이식 프레임을 이용한 기능적 재활운동장치 | |
KR100623417B1 (ko) |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 | |
Zadravec et al. | The comparison of stepping responses following perturbations applied to pelvis during overground and treadmill walking | |
TWI551284B (zh) | Gait training tools | |
KR102015775B1 (ko) | 보행 훈련 장치 | |
KR101887878B1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 |
KR102282205B1 (ko) |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 |
KR100391830B1 (ko) | 보행장애인의 재활훈련을 위한 복지용 로봇 | |
KR102185448B1 (ko) |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 |
KR101175727B1 (ko) | 보행 훈련 장치 | |
KR101778086B1 (ko) |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 |
KR20200005362A (ko) | 무중력 트레드밀 | |
KR102203170B1 (ko) | 재활보행기 | |
JPH04174666A (ja) | 運動機能回復用訓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