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822B1 - 보행운동용 평행봉 - Google Patents

보행운동용 평행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822B1
KR100712822B1 KR1020060026343A KR20060026343A KR100712822B1 KR 100712822 B1 KR100712822 B1 KR 100712822B1 KR 1020060026343 A KR1020060026343 A KR 1020060026343A KR 20060026343 A KR20060026343 A KR 20060026343A KR 100712822 B1 KR100712822 B1 KR 100712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bar
parallel bar
walking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974A (ko
Inventor
정부환
Original Assignee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환 filed Critical 정부환
Priority to KR102006002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822B1/ko
Publication of KR2007000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운동용 평행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질환이나 사고로 인한 장애를 가진 환자나 장애인의 재활을 목적으로 보행연습을 하는 보행운동용 평행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운동용 평행봉(이하, 평행봉'이라 함)은 상부에 요철이 있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쪽 끝부분에 원형의 홈이 파져있는 회전판삽입부와; 상기 회전판삽입부에 설치되며 원판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회전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삽입부의 내측하부에서 회전판을 지지하고 전동모터가 삽입되는 모터삽입부와; 상기 바닥부와 회전판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높이조절걸쇠가 있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연결 되어 있으며 높이조절공이 있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봉과 손잡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행운동, 평행봉, 손잡이봉, 회전판

Description

보행운동용 평행봉{Parallel Bar of gait training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과 4는 본 발명의 활용을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부 11 : 회전판삽입부
12 : 모터삽입부 20 : 회전판
21 : 손잡이봉 30 : 지지대
31 : 수직봉 32 : 수평봉
33 : 높이조절공 34 : 높이조절걸쇠
본 발명은 보행운동이 필요한 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보행운동용 평행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봉의 양쪽에 있는 회전판이 180도 회전함으로서, 평행봉내에서 보행 운동시에 평행봉의 길이에 제약을 받지 않고 원하는 거리만큼 보행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편리하게 왕복으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운동용 평행봉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질환이나 사고로 인하여 스스로 걷지 못해서 보행운동이 필요한 장애인들을 위한 지팡이와 목발 등의 보조기구가 많이 있으나, 장애인들이 이러한 보조기구를 사용하거나 제대로 걸음을 걷기위해서는 먼저 평행봉에서 많은 노력과 보행연습을 필요로 하며, 일반적으로 비교적 중증의 장애인들이 평행봉에서 보행 연습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병원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행운동용 평행봉은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평행봉의 길이가 충분히 길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장애인들이 왕복으로 보행운동을 하고 있으며, 보조자의 도움 없이 평행봉내에서 왕복 보행운동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렵거나 거의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평행봉에서 보행운동을 해야 할 정도의 중증장애인이 평행봉의 끝에서 되돌아가기 위해 회전하는 것을 가장 힘들어하며, 실제로 뒤로 돌다가 넘어지거나 다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행봉 바닥부의 양쪽에 원형의 회전판과 회전판의 양쪽 상단에 손잡이봉을 설치하여, 회전판위에 장애인이 손잡이봉을 잡고 서있으면 저속으로 회전하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판이 180도 회전하고 멈추어서 자동으로 뒤로 돌아설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왕복 보행훈련을 하도록 하였으며,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평행봉의 길이가 충분히 길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애인들이 평행봉내에서 보행운동을 할 때 보다 쉽고 안전하게 회전하여 왕복으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조자의 도움 없이 장애인 혼자서 왕복으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에게 자신감과 재활의지를 높일 수 있는 보행운동용 평행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미끌어지지 않도록 상부에 요철이 있으며 지면을 바닥으로 이용하거나 통상적으로 목재로 만들어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쪽에 원형의 홈으로 파여져 있는 회전판삽입부와; 상기 회전판 삽입부에 설치되며 180도씩 회전하고 멈추는 회전판과; 상기 바닥부와 회전판의 양쪽 상부에 고정되며 높이조절걸쇠가 있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연결되며 높이조절공이 있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단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수평봉과; 상기 회전판과 톱니바퀴로 결합되어 저속으로 회전하며 회전판을 180도씩 회전시키고 멈추도록 하는 전동모터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저속으로 180도씩 회전하고 멈추는 전동모터와 컨트롤러는 시중에 판매하고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한 회전판은 전동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의 구동방식은 전동모터 에 따라 본 발명과 조금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반적으로 지면을 바닥으로 이용하거나 목재로 만들어진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양쪽 상단에는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높이조절걸쇠(34)가 있는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의 상단에 높이조절공(33)이 있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봉(31)과;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 수평봉(32)이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0)의 양쪽 끝에는 원형의 회전판(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20)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부(10)에 설치된 것과 같은 지지대(30)와 수직봉(31)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는 짧은 길이의 손잡이봉(21)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20)을 회전시키기 위해 전동모터를 작동하도록 하는 컨트롤러(4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바닥부(10)의 끝에 오목하게 원형으로 파여져 있는 회전판삽입부(11)에 회전판(2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삽입부(11) 하단의 모터삽입부(12)는 상기 회전판(20)을 지지하게 되고 내부에는 전동모터(50)가 장착되며, 상기 전동모터(50)와 회전판(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21)가 서로 물려서 돌아가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10)와 회전판(20)의 상단에는 높이조절걸쇠(34)가 있는 지지대(3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30)의 상단에는 높이조절공(33)이 있는 수직봉(31)이 연결되며,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는 수평봉(32)이 설치되며, 특히 회전판(20)에 있는 수직봉(31)의 상단에는 손잡이봉(21)이 설치된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의 활용의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상기 회전판(2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판(20)의 양쪽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봉(31)과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봉(21)은 회전판(20)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회전판(20)은 반드시 180도씩 회전하고 멈추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판의 사시도로서, 바닥부(10)의 양쪽 끝부분에는 회전판(20)이 들어 갈 수 있는 회전판삽입부(11)가 있으며, 상기 회전판삽입부(11)에 회전판(2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20)의 회전축(22)은 회전축공(13)에 들어가며, 모터삽입부(12)는 상기 회전판삽입부(20)의 내측하단에서 회전판(2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행봉 바닥부의 양쪽 끝에 180도씩 회전하고 멈추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쪽 상단에 손잡이봉을 설치하여 장애인이 회전판 위에서 손잡이봉을 잡고 서서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평행봉 길이의 제약 없이 원하는 거리만큼 보행운동을 할 수 있으며, 평행봉내에서 장애인이 쉽게 뒤로 돌아설 수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왕복으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으며, 보조자의 도움 없이 장애인 스스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Claims (2)

  1. 양쪽 끝부분에 회전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원형의 홈이 파여진 회전판삽입부가 있는 바닥부와; 상기 회전판삽입부의 내측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동모터가 설치되고 회전판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모터삽입부와;
    상기 회전판삽입부에 설치되며 회전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쪽 상단에 고정되어 회전판과 같이 회전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연결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봉을 포함하는 보행운동용 평행봉.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180도씩 회전하고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운동용 평행봉.
KR1020060026343A 2006-03-23 2006-03-23 보행운동용 평행봉 KR100712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343A KR100712822B1 (ko) 2006-03-23 2006-03-23 보행운동용 평행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343A KR100712822B1 (ko) 2006-03-23 2006-03-23 보행운동용 평행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592U Division KR200394977Y1 (ko) 2005-06-28 2005-06-28 보행운동용 평행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74A KR20070000974A (ko) 2007-01-03
KR100712822B1 true KR100712822B1 (ko) 2007-05-02

Family

ID=3786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343A KR100712822B1 (ko) 2006-03-23 2006-03-23 보행운동용 평행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8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544A (ko) 2017-11-20 2019-05-2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훈련 장치
CN112569536A (zh) * 2021-01-22 2021-03-30 山东中医药大学附属医院 一种医疗护理用康复训练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5830B (zh) * 2016-07-22 2020-02-21 任金海 一种自动控制压腿及下腰的舞蹈训练装置
KR102304440B1 (ko) 2021-06-17 2021-09-24 주식회사 에이베스트 접촉식 온도센서를 이용한 원터치 방식의 레일온도 측정 장치
KR102566060B1 (ko) 2023-02-17 2023-08-14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동그라미 평행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중출원 선행조사보고서 참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544A (ko) 2017-11-20 2019-05-2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훈련 장치
CN112569536A (zh) * 2021-01-22 2021-03-30 山东中医药大学附属医院 一种医疗护理用康复训练装置
CN112569536B (zh) * 2021-01-22 2022-01-28 山东中医药大学附属医院 一种医疗护理用康复训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74A (ko)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977Y1 (ko) 보행운동용 평행봉
KR100712822B1 (ko) 보행운동용 평행봉
JP6113293B2 (ja) 脳卒中患者の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ロボット
KR100828099B1 (ko) 회전운동기구
US7887464B1 (en) Device for mechanically assisting human walking motion for rehabilitation purposes
KR101822786B1 (ko) 운동기능 침대
JP2008023273A (ja) 障害者用自立補助機械
KR101012734B1 (ko)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CN101543449A (zh) 运动康复床
ES2300220B1 (es) Dispositivo para bipedestacion y rehabilitacion de marcha, para personas con minusvalias motoras.
CN210786136U (zh) 一种骨科护理用腿部康复活动器
JP4450367B2 (ja) 他動運動装置
KR20130096878A (ko) 보행재활 훈련장치
KR20140004993U (ko) 재활 운동 기구
CN214913093U (zh) 骨科护理用肢体康复训练装置
KR200466923Y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0441140B1 (ko) 체지방 분해 및 근력 강화용 기구
KR100758764B1 (ko) 워킹기구
JP2006341039A (ja) 「歩行訓練&散歩型車椅子」
KR101283373B1 (ko) 보행기
CN107595552B (zh) 一种人体下肢被动锻炼装置
KR20200066912A (ko)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CN210542353U (zh) 一种减少用力提起伤腿次数的拐杖
CN216536059U (zh) 一种恢复护理用助行器
JP3167950U (ja) リハビ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