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489B1 -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489B1
KR102015489B1 KR1020180071202A KR20180071202A KR102015489B1 KR 102015489 B1 KR102015489 B1 KR 102015489B1 KR 1020180071202 A KR1020180071202 A KR 1020180071202A KR 20180071202 A KR20180071202 A KR 20180071202A KR 102015489 B1 KR102015489 B1 KR 10201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mm
automatic setup
measured
measuring devic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안명섭
이인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에 있어서,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 상기 피측정물을 CMM의 정반 상에 적재시키는 물류이동수단 및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측정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통합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 물류이동수단, 제품인식수단 및 CMM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피측정물의 3차원 좌표가 측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Auto setup measuring device for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본 발명은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3차원 좌표 측정기(CMM, Coordinate Measuring Machine)의 측정 정반 상부에 안착되는 피측정물을 지지하는 측정 블록의 배열이 피측정물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셋업됨으로써, 피측정물의 CMM 측정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와 같은 대형 기계가공 부품의 윤곽측정 검사는 3차원 좌표 측정기(CMM, Coordinate Measuring Machine)를 이용하여 평면도가 보장된 정밀한 측정블록들 위에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부품 등)을 안착시킨 후,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의 기준면(하부면)이 측정블록들에 밀착된 상태에서 윤곽측정 검사가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Wing Rib과 같이, 제품의 기준면에 복잡한 형태의 립 피트(Rib feet) 등의 돌출 형상이 존재하는 제품의 경우, 단순히 측정블록들 위에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을 안착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에는 검사원이 직접 측정블록들을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의 기준면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수작업으로 배치치킨 후, 제품을 측정블록들 위에 안착시켜 윤곽측정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공변형으로 인하여 제품의 기준면이 측정블록의 상부에 밀착되지 않는 부위가 발생할 경우에는, 일정한 무게의 추를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의 상부에 올려둠으로써 압력을 가해 제품이 측정블록에 밀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측정블록 셋업방식은,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이 변경될 때마다 제품에 맞게 매번 수작업으로 측정블록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대형 기계가공 부품의 경우, CMM의 정반 상에 로딩 또는 언로딩 시에는 반드시 크레인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검사원이 직접 수작업으로 측정블록의 위치를 변경 배치하는 과정에서 추락 및 협착 등의 안전사고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사전 준비작업 및 제품 셋업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와 관련해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422639호("차량의 패널 측정용 홀딩 고정장치")에서는 전 차종의 전 채널에 대응 가능한 차량의 패널 측정용 홀딩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422639호(등록일자 2004.03.02.)
본 발명은 3차원 좌표 측정기(CMM, Coordinate Measuring Machine)의 측정 정반 상부에 안착되는 피측정물을 지지하는 측정 블록의 배열이 피측정물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셋업됨으로써, 피측정물의 CMM 측정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는, CMM(Coordinate Measuring Machine)의 정반 상부에 다수개 위치하는 측정하우징부, 각각의 상기 측정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기구비된 모터에 의해 상기 측정하우징부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측정블록, 상기 측정블록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CMM의 정반에 놓여지는 3차원 좌표를 측정하고자 하는 피측정물을 고정시키는 흡착수단 및 상기 측정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CMM의 정반에 놓여지는 피측정물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블록은 하나의 측정하우징부에 다수 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측정블록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 상기 피측정물을 CMM의 정반 상에 적재시키는 물류이동수단 및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측정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통합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 물류이동수단 및 CMM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피측정물의 3차원 좌표가 측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CMM의 정반은 상기 통합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기구비된 이송수단을 통해서 상기 CMM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흡착수단에 의해 상기 피측정물이 고정될 경우,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물의 정상 안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피측정물이 정상 안착될 경우에만, 상기 정반이 상기 CMM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상기 피측정물의 하부면의 형태에 따른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측정블록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상기 피측정물의 제품정보 별로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 포함된 제품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품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측정블록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로 상기 측정블록의 위치를 자동 조절하고, 상기 물류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정반 상에 상기 피측정물을 적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상기 피측정물에 기구비된 인식정보를 읽어들이는 제품인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상기 제품인식수단에 의해서 인식한 정보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제품인식수단에서 인식한 정보를 전달받아, 인식한 정보에 따른 제품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제품정보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서 분석한 제품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3차원 좌표를 측정하고자 하는 피측정물의 제품 정보를 수신받아,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측정블록의 위치를 자동으로 배열 제어함으로써, 사전 준비작업 및 제품 셋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제품의 형태에 맞게 신속하게 배열을 자동 정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항공기 등의 대형 기계가공품에 대한 3차원 좌표 측정을 위한 사전 준비작업 및 제품 셋업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무인자동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검사원의 안전사고 발생요인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가 CMM의 정반 상에 위치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에 의해 제품정보 별로 저장된 측정블록의 위치값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에 의해 제품정보에 매칭되도록 제어된 측정블록의 위치값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항공기 대형 기계가공품의 3차원 측정 검사에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CMM의 측정용 정반의 상부에 다수 개의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설치하고, 물류이동수단를 이용하여 운반되는 대형 기계가공품을 측정용 정반에 안착시키기에 앞서서, 대형 기계가공품의 제품관련 정보를 수신받아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자동셋업 측정장치에 포함된 측정블록들의 위치 배열을 자동으로 제어한 후, 대형 기계가공품을 측정용 정반에 안착시켜 윤곽측정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항공기와 같은 대형 기계가공품에 대한 CMM 측정작업에 있어서, 검사원이 측정블록을 제품의 기준면(하부면)의 간섭을 피하는 부위에 맞추어 직접 수작업으로 배치시킨 후, 제품을 크레인 등으로 안착시키고, 가공변형으로 인하여 제품의 기준면이 측정블록 면에 밀착되지 않는 부위가 발생할 경우에는, 일정한 무게의 추를 제품의 상부에 올려 측정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이 변경될 때마다, 제품에 맞게 매번 측정블록의 배치를 수작업으로 변경해야하고, 대형 제품을 정반 위에 로딩 또는 언로딩 시에는 반드시 크레인 등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전 준비작업 및 제품 셋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도 높아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에 검사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제품 셋업작엄을 자동화된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 로딩, 자동 언로딩할 수 있으며, 제품의 평면도를 맞추기 위해 제품의 기준면(하부면)에 배열하는 측정블록의 셋업작업 역시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적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가 크기에 맞게 사전에 입력된 값으로, 자동으로 측정블록들의 배열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다수 개의 제어축을 가진 자동셋업 측정장치(자동 셋업 블록장치)를 CMM 측정용 정반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류이동수단으로 운반되는 제품에 따라 측정블록들의 위치를 자동으로 배열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블록의 접촉면에 흡착기능을 가지는 진공패드를 적용함으로써, 진공고정을 통해서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의 기준면을 측정블록에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CMM 측정용 정반 역시, 별도의 이송수단(레일 등)을 통해서 자동으로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어 제품의 로딩 및 셋업과 언로딩이 CMM의 외부에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전공정의 무인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원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 물류이동수단(200) 및 통합제어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 물류이동수단(200) 및 CMM으로 각각의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이하, 피측정물)의 3차원 좌표가 상기 CMM을 통해서 측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통합제어수단(400)과 각각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의 측정블록(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 물류이동수단(200) 및 CMM으로 각각의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정보는 MSE에서 제공한 오더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자면, 외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제품의 다양한 관련 정보를 의미한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하우징부(10), 측정블록(20), 흡착수단(30) 및 센서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하우징부(10)는 상기 CMM의 정반 상부에 다수 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서, 상기 CMM의 정반 상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상기 측정하우징부(10)가 위치하여 항공기와 같은 대형 기계가공품에 대한 CMM 측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정블록(20)은 상기 측정하우징부(10)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나의 측정하우징부(10)에 다수 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항공기와 같은 대형 기계가공품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측정블록(20)은 상기 측정하우징부(10)의 내측에 이미 구비된 모터에 의해 상기 측정하우징부(1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이 때 모터의 구동신호는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측정블록(20)들은 동일한 높이를 가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서, 상기 피측정물의 기준면(하부면)이 가공변형에 의해 상기 측정블록(20)에 밀착되지 않을 경우, 일정한 무게의 추를 상기 피측정물의 상부에 올리지 않더라도 상기 측정블록(20)이 상기 피측정물의 기준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블록(20)들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으나,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측정하우징부(1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배열 위치가 상이하게 제어되며, 경우에 따라서 높이 조절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0개의 상기 측정하우징부(10)와 각각의 측정하우징부(10)의 상부에 적어도 3개의 상기 측정블록(20)들이 결합됨으로써, 총 30개의 상기 측정블록(20)들이 상기 피측정물의 기준면과 밀착되기 용이한 위치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각각의 상기 측정블록(20)들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모터 제어를 통해서 독립적으로 위치 배열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에서 상기 피측정물이 실제로 상기 측정블록(20)의 상부에 안착되기 전에, 상기 피측정물의 정보를 판단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매칭배열로 상기 측정블록(20)들의 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수단(30)은 상기 측정블록(20)의 상부에 각각 쌍을 이루어 구비되어, 상기 CMM의 정반에 놓여지는 3차원 좌표를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피측정물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흡착수단(30)으로는 진공패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MM의 정반에 상기 피측정물이 놓여질 경우, 동작하여 상기 피측정물을 흡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측정블록(20)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CMM의 정반에 놓여지는 상기 피측정물의 정상 안착여부를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착수단(30)에 의해 흡착된 상기 피측정물이 제대로 상기 측정블록(20)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상기 물류이동수단(200)을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물을 상기 CMM의 정반 상에 적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류이동수단(200)은 자동물류 이동장치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Laser를 사용하는 물류이동장치인 LGV(Laser Guided Vehicle)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전체 공정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인식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품인식수단(300)은 상기 피측정물에 미리 구비된 인식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상기 제품인식수단(300)에 의해서 인식한 정보를 전달받아 인식한 정보에 따른 상기 피측정물의 제품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서 분석한 제품정보와 판단한 상기 피측정물의 제품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에는 공정을 유지시키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공정을 정지시킴으로써, 전체 공정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상기 물류이동수단(200)을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물이 상기 CMM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제품인식수단(300)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피측정물에 미리 구비된 인식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피측정물들은 RFID 코드와 같은 인식정보를 미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상기 물류이동수단(200)을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물이 상기 CMM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측정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인 RFID 인식 가능한 거리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제품인식수단(300)을 통해서 RFID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피측정물의 제품정보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품인식수단(300)은 RFID 리더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물론,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 따라, 즉,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 포함된 제품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품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의 측정블록(20)들의 배열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측정물의 제품정보(종류, 모델 등)별로 상기 측정블록(20)들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미리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상기 피측정물의 기준면(하부면)의 형태에 따른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의 측정블록(20)들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상기 피측정물의 최초 3차원 좌표 측정 시, 해당하는 제품정보의 측정블록(20)들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로 매칭시켜 제품정보 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제품정보 별 측정블록(20)들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 포함된 제품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의 측정블록(20)들의 배열 위치를 자동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동 조절 제어한 후, 상기 물류이동수단(200)을 이용하여 상기 CMM의 정반 상에 상기 피측정물을 적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검사원의 직접 개입 없이도, 상기 피측정물의 기준면(하부면)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상기 측정블록(20)의 배열 위치가 자동 제어될 뿐 아니라, 상기 CMM의 정반 상에 상기 피측정물이 적재되고 이 후, 흡착을 통해서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피측정물에 맞추어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의 측정블록(20)들의 배열 위치가 자동 조절 제어되어 특정 피측정물의 기준면(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공정 무인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CMM의 정반 역시 미리 구비된 이송수단을 통하여 상기 CMM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수단 역시,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측정물이 상기 물류이동수단(200)을 이용하여 상기 CMM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CMM의 정반 역시 외부로 이동되어 상기 CMM의 외부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MM의 정반 상부에 위치한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의 측정블록(20)들의 배열 위치를 조절이 완료된 경우, 상기 물류이동수단(200)은 상기 피측정물을 상기 CMM의 정반 상부에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제어수단(400)은 상기 피측정물이 상기 CMM의 정반 상부에 적재되어,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100)의 흡착수단(30)에 의해 상기 피측정물이 고정될 경우,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피측정물의 정상 안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블록(20)들에 상기 피측정물의 기준면(하부면)이 정확히 밀착되어야 상기 피측정물의 정확한 3차원 좌표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센싱정보로 상기 측정블록(20)의 상부면과 상기 피측정물이 제대로 접촉되어 있는지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피측정물이 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을 경우, 상기 CMM의 정반이 상기 CMM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피측정물을 상기 CMM의 내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
10 : 측정하우징부 20 : 측정블록
30 : 흡착수단
200 : 물류이동수단
300 : 제품인식수단
400 : 통합제어수단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CMM(Coordinate Measuring Machine)의 정반 상부에 다수개 위치하는 측정하우징부와, 각각의 상기 측정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기구비된 모터에 의해 상기 측정하우징부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측정블록과, 상기 측정블록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CMM의 정반에 놓여지는 3차원 좌표를 측정하고자 하는 피측정물을 고정시키는 흡착수단과, 상기 측정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CMM의 정반에 놓여지는 피측정물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블록은 하나의 측정하우징부에 다수개 위치하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
    상기 피측정물을 CMM의 정반 상에 적재시키는 물류이동수단; 및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측정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통합제어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 물류이동수단 및 CMM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피측정물의 3차원 좌표가 측정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흡착수단에 의해 상기 피측정물이 고정될 경우,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물의 정상 안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피측정물이 정상 안착될 경우에만, 상기 정반이 상기 CMM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MM의 정반은
    상기 통합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기구비된 이송수단을 통해서 상기 CMM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상기 피측정물의 하부면의 형태에 따른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측정블록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상기 피측정물의 제품정보 별로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 포함된 제품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품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측정블록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로 상기 측정블록의 위치를 자동 조절하고,
    상기 물류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정반 상에 상기 피측정물을 적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은
    상기 피측정물에 기구비된 인식정보를 읽어들이는 제품인식수단;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상기 제품인식수단에 의해서 인식한 정보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제품인식수단에서 인식한 정보를 전달받아, 인식한 정보에 따른 제품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제품정보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정보에서 분석한 제품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의 측정블록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KR1020180071202A 2018-06-21 2018-06-21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KR10201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02A KR102015489B1 (ko) 2018-06-21 2018-06-21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02A KR102015489B1 (ko) 2018-06-21 2018-06-21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489B1 true KR102015489B1 (ko) 2019-08-28

Family

ID=6777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202A KR102015489B1 (ko) 2018-06-21 2018-06-21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4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869A (ko) * 1997-04-02 1998-11-16 박병재 자동차용 루프 패널 고정용 지그
KR100422639B1 (ko) 2001-06-14 200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널 측정용 홀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869A (ko) * 1997-04-02 1998-11-16 박병재 자동차용 루프 패널 고정용 지그
KR100422639B1 (ko) 2001-06-14 200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널 측정용 홀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40534B (zh) 一种高速激光打码机及打码方法
KR102166641B1 (ko) 기계의 자기 진단 및 기계 정밀도의 보정 방법
US20020180960A1 (en) Reconfigur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on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TWI609170B (zh) 檢測裝置
KR101878630B1 (ko) 영상 기반 머신툴 프리세터 자동화 시스템
KR20170089695A (ko) 가변형 지그를 구비한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WO1985003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positioning system
CN114705129B (zh) 一种封装基板形变测量设备及其方法
KR100517635B1 (ko) 불량품 검출 및 취출 시스템
KR101673437B1 (ko) 기계 부품 검사 장치
CN113351507A (zh) 包装盒检测设备、制造设备及包装盒检测方法
KR102015489B1 (ko) Cmm용 자동셋업 측정장치를 이용한 자동셋업 시스템
CN107876967B (zh) 激光加工系统
JP6619660B2 (ja) 圧入方法及び圧入システム
US10274299B2 (en) Apparatus for inspecting machined bores
KR101815499B1 (ko) 공작 기계의 베이스 프레임 처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337563B1 (ko) 감지유닛을 이용하여 매니퓰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장치
KR102091853B1 (ko) 물품거래서류 자동 발행 및 분류 장치 및 방법
CN115599047A (zh) 获取设备间相对位置的装置及方法与自动供料系统
KR970002970B1 (ko) 인쇄상태검사시스템
CN107449598B (zh) 测量装置与针阀体流量测量装置
CN107436125B (zh) 定位检测方法
JP2011230178A (ja) 眼鏡レンズ用マーキング装置
KR101023093B1 (ko) 자동 커팅 장치
CN211783317U (zh) 利用双线激光对手机cnc加工零件智能测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