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081B1 - Emergency bell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Emergency bell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081B1
KR102015081B1 KR1020180084177A KR20180084177A KR102015081B1 KR 102015081 B1 KR102015081 B1 KR 102015081B1 KR 1020180084177 A KR1020180084177 A KR 1020180084177A KR 20180084177 A KR20180084177 A KR 20180084177A KR 102015081 B1 KR102015081 B1 KR 102015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ignal
user terminal
unit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병우
Original Assignee
탑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0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0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llumination control linkage type emergency bell system based on Io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bell system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cludes: a wakeup signal generator activating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an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nd periodicall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multiple emergency bell units having a beacon receiver sensing a BLE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when the emergency cal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r when a control of an emergency button is sensed;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alyzing a reception electric field intensity (RSSI) value of the emergency bell units receiving a BLE beac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emergency call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and registering and renew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using marking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bell uni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measures and traces a route.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lso controls an LED light source module installed on a path and a parking section in the parking lot.

Description

IoT 기반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EMERGENCY BELL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Emergency bell system of IoT-based underground parking lot {EMERGENCY BELL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조명제어 및 비상벨 융복합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비상상황 발생 위치와 비상상황 발생자의 이동경로를 확인 및 추적하여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를 조절 및 점멸하고, 아울러 범죄자의 도주로를 차단하는 IoT 기반 지하주차장의 조광 시스템 연동형 비상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and emergency bell fusion system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ore specifically, to identify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lighting It is related to the lighting system interlocking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IoT-based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controls and flashes the brightness of the car and blocks the escape route of the criminals.

오늘날 공동주택이나 학교, 오피스텔 등 일정한 용도 및 규모에 해당하는 건축물은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환경으로 조성하는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기준에 따라 설계하고 건축해야 한다.Today, buildings of a certain use and scale, such as apartments, schools, and officetels, must b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standard, which creates a crime-preventive environment.

특히 오피스, 아파트형공장, 오피스텔, 아파트(공통주택) 따위의 다양한 집합건물이나 인구밀집지역의 빌딩, 대형마트, 백화점, 쇼핑몰 등의 지하주차장은 어둡고 인적이 드물다는 환경적인 특성상 상대적으로 범죄에 취약하며, 범죄 발생 시 신속한 발견과 조치가 어려우므로 이를 예방하고 위급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대부분이 감시용 또는 방범용 카메라(CCTV) 등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In particular, underground apartments such as offices, apartment-type factories, officetels, and apartments (common houses) or underground population buildings such as large-scale buildings, large marts,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malls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crime due to the dark and rare environment. In the event of a crime, it is difficult to find and take measures quickly. Most of them have installed surveillance or security cameras (CCTV) to prevent them and prepare for emergencies.

최근에는 지하주차장의 감시용 또는 방범용 카메라에 의한 감시가 가능한 차로에 인접한 벽이나 기둥에 비상벨을 일정(25m) 간격으로 관리실(경비실)과 연결되게 설치하여 위험에 처하거나 도움이 필요한 경우 등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벨을 누르면 CCTV 연동과 함께 경보가 울리고, 관리실과 통화가 가능한 비상벨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Recently, emergency bells are installed on walls or pillars adjacent to lanes that can be monitored by underground parking lots or security cameras at regular intervals (25m) to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room (guard room), where they are in danger or need help. In case of an emergency, when the emergency bell is pressed, an alarm is sounded along with CCTV interlocking, and an emergency bell system is available that can be used to call the management office.

그러나 이는 이용자(비상상황 발생자)가 납치, 성폭력, 강도 등 위급상황에 처했을 때 등과 같이 비상벨까지 가서 직접 누르지 못하는 상황이나 비상벨의 설치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활용할 수 없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However, this is a limitation of use that cannot be utilized when the user cannot reach the emergency bell and press the emergency bell, such as when a user (emergency generato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bduction, sexual violence or robbery. There is.

한편, 지하주차장에 차량을 편리하고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주차하길 원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에 맞춰 경쟁적으로 첨단 시스템 도입과 관리·운영 등 다양한 노력과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efforts and attempts have been made, such as the introdu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dvanced systems in a competitive manner to meet the needs of users who want to park their vehicles conveniently, quickly and safely in underground parking lots.

예를 들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 주차유도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대형포털을 통하여 주차장 기본정보와 사용 가능한 주차공간의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주차시간을 최소화하여 교통체증 완화, 회전율 제고 및 주차장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parking guidance system minimizes parking time by minimizing parking time by informing the driver of basic parking information and available parking space through a large portal. The efficiency of parking lot management can be maximized.

아울러 Smart-IT LED 조명 시스템은 차량 및 보행자의 동선을 따라 LED 조명이 켜지면서 선형 형태의 불빛이 차량 및 보행자를 출구, 엘리베이터나 비상구로 안전하게 인도하며, 여기에 조광 제어장치 및 조명 관리장치를 갖추어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주변 상황에 따라 지능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조도와 색상 등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IT LED lighting system turns on the LED lights along the lines of vehicles and pedestrians, and linear lights safely guide the vehicles and pedestrians to exits, elevators, and emergency exits, and are equipped with dimming controls and lighting management devices. Intelligent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illuminance and color, depending on the surroundings based on sensor data, is possible.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Here,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or the prior art is merely to help the present inventors understand or understand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mean that the technology is widely known in the field.

KRKR 10-183050010-1830500 B1(2018.02.12)B1 (2018.02.12) KRKR 10-172519710-1725197 B1(2017.04.04)B1 (2017.04.04) KRKR 10-163542910-1635429 B1(2016.06.27)B1 (2016.06.27) KRKR 10-166105810-1661058 B1(2016.09.22)B1 (2016.09.22) KRKR 10-152881510-1528815 B1(2015.06.09)B1 (2015.06.09) KRKR 10-075187210-0751872 B1(2007.08.17)B1 (2007.08.17)

노진용. 대형 주차장 비상 콜 시스템 자동 점검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집. 2017년Jin Jin Yong. A study on the automatic inspection of large parking lot emergency call system. Inha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7's 김지성 외 2명. 비콘의 RSSI 특성을 이용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연구. 2017년Kim Ji-sung and two others. A Study o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RSSI Characteristics of Beacons. 2017's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는 송신 신호의 물리적인 특성상 거리에 따라 신호 세기의 감소가 일어나는 점에 착안하여, 주차장 내에서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수신신호강도를 이용해 비상상황 발생 위치와 비상상황 발생자의 이동경로를 확인 및 추적하면서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를 조절 및 점멸하고, 아울러 범죄 발생 시 범죄자의 출입구를 차단하여 도주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비상벨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in view of solving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existing underground parking lot,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is reduced according to the distance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signal. In this regard, the brightness of the lights is automatically adjusted while checking and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emergency generator by u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an emergency occurs in the parking lot. While trying to develop an emergency bell system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flickering and blocking escape by blocking the entrance and exit of criminals,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as a result.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비상상황 발생 위치와 비상상황 발생자의 이동경로를 확인 및 추적하여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를 조절 및 점멸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o automatically adjust and flash the brightness of the lights by checking and tracking the emergency occurrence loc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emergency generator. It i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범죄 발생 시 범죄자의 도주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o prevent escape of criminals when a crime occurs.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비상호출용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앱(App)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와,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실행시키고,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웨이크업 신호발생기와, 주차장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동체감지센서와, 표식정보를 가지며 주차장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BLE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비콘 수신기가 탑재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거나 비상버튼 조작을 감지하면,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다수 개의 비상벨 유닛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비상벨 유닛들의 수신 전계 강도(RSSI) 값을 분석하여 최댓값을 수신하는 상기 비상벨 유닛의 표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로 등록 및 갱신하고, 이동 경로를 파악 및 추적하며, 주차장 내 주차구역 및 통로 상에 설치된 LED 광원모듈을 제어하는 통합관리 서버와, 상기 통합관리 서버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주차구역 및 통로 상의 LED 광원모듈을 점등 및 점멸 또는 디밍 작동시키는 디밍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비상벨 유닛, 상기 디밍 컨트롤러와 상기 통합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연결하며,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작동 명령을 받아 해당 비상벨 유닛 및 디밍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을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the user terminal is installed with the app (App)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sends a wake-up signal to the Wake-up signal generator that runs the app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and activat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parking lot, a fuselage sensor that detects moving objects, and marker information and has a certain interval in the parking lot.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n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beacon receiver for detecting a BLE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emergency call signal can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a new button or an emergency button operation is detected, a plurality of emergency bell unit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tuation generation signal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the emergency call signal for receiving a BLE beac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when an emergency cal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It analyzes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value of the bell units and registers and updat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using the marker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bell unit that receives the maximum value, identifies and tracks the movement route, and in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controlling the LED light source module installed on the parking area and the passage, Dimming controller and the user terminal to turn on, flashing or dimming the LED light source module on the parking area and the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emergency bell unit, the dimming controll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n order to connect to, and to receive the operation comman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proposes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ncluding a gateway for transmitting to the corresponding emergency bell unit and dimming controller.

이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BLE 비콘 신호를 이용해 비상상황 발생 위치와 비상상황 발생자의 이동경로를 확인 및 추적하여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를 조절 및 점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주차장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신속하게 발견하고 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emergency generator using the BLE beac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to automatically adjust and blink the brightness of the lights, thereby preventing crimes occurring in the parking lot. Not only can you find and act quickly, but you can effectively prevent th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통합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주차장 내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나 셔터를 작동시키는 전동개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주차장 내 출입구를 신속하게 차단하여 범죄자의 도주를 막을 수 있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electric switchgear for operating a door or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arking lot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ereby quickly block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arking lot to prevent escape of criminals. Can b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면, 3개의 비상벨 유닛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RSSI)를 각각 측정하여 개별 비상벨 유닛과의 거리를 계산한 후 좌표값을 획득하고 이동 경로를 파악 및 추적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mergency cal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measures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SSI)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each of the three emergency bell units to determine the individual emergency. After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bell unit, you can obtain coordinate values, identify and track the travel path, and improve accuracy and minimize erro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비상벨 유닛은, 상기 통합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주차장 내 공기 상태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공기감지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호출용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공기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목표 값으로 주차장 내부를 환기시키도록 환기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연기가 발생하거나 일산화탄소와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해 공기 질이 악화되었을 때 환기시스템을 자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bell unit is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the surrounding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 air sensor for detecting the air condition and pollution level in the parking lot, and the integrated When the emergency cal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management serv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to receive and store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stores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at a preset target valu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ir sensor. By controlling the ventilation system to ventilate, the ventilation system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when smoke, carbon monoxide and fine dust are generated and air quality deteriorates.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무선통신 방식으로 비상버튼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비상버튼을 조작하기 어려운 위급한 상황에서도 관리실이나 경비실 등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벤트 발생 시 비상상황 발생 위치와 비상상황 발생자의 이동경로를 정확하게 확인 및 추적하여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를 조절 및 점멸할 수 있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means and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the emergency button can be operat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user terminal,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irectly operate the emergency button Not only can you quickly notify the management office or security office in one situation, but also can accurately control and flash the lighting by accurately checking and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emergency generator when an event occurs.

따라서 주차장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 위험상황이나 이용자의 위급한 상황을 신속하게 발견하고 조치할 수 있음은 물론 범죄예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and respond to various crime risk situations or emergency situations occurring in the parking lot and maximize crime prevention effects.

또한, 범죄 발생 시에는 주차장 내 출입구를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범죄자의 도주를 막아 신속하고 수월하게 검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rime occurs, by automatically block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arking lot to prevent the escape of criminals can be arrested quickly and easily.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 중 비상벨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 중 통합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의 위치분석을 위한 통신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 중 사용자 단말기에서 비상호출용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앱(App)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 중 모바일 기기에서 주차장 안내정보를 출력 및 주차 위치확인을 위한 앱(APP)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bell system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ergency bell unit of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mmunication conceptual diagram for analyz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 (App) screen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 (APP) screen for outputting parking lot guidance information and parking position from the mobile device of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learly indicates that the concept is to be interpreted in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ly use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in order to explain and explai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mean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ny component, this is a particularly opposite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which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action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the possibility of adding them.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unit" and "unit" mean a module form that functions as a unit or a role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any certain operation desired in a system, and is a combin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or an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independent operations or the like through means.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top, bottom,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may be named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단말기(10),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 동체감지센서(30), 비상벨 유닛(40), 통합관리 서버(50), 디밍 컨트롤러(60), 게이트웨이(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동개폐기(80)를 포함하고 있다.1,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he user terminal 10,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the fuselage detection sensor 30, the emergency bell unit 40,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 50), a dimming controller 60, and a gateway 70. Preferably, the electric switch 80 is includ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은 차량의 진출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구비되고, 복수의 주차면이 복수의 열 및/또는 행을 이루며 배치된 건물의 지하주차장에 적용할 수 있다.Here,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entrances and exits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it can be applied to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the building arranged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forming a plurality of rows and / or rows. .

사용자 단말기(10)는 주차장 이용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 비상호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앱(APP)이 설치되어 있다.The user terminal 10 is a terminal carried by the parking lot user, and an app (APP)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s installed.

즉, 사용자 단말기(10)는 운전자 등이 소지(휴대)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PDA,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앱)과 BLE(저전력 무선 블루투스) 비콘 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고, 또 고주파 음파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Android) 4.3 이상 또는 iOS 7.1 이상의 운영체제가 탑재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That is, the user terminal 1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app)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 slate PC, a PDA, a navigation device, etc. owned by a driver, and a BLE (low power wireless Bluetooth) beacon communication module. Android 4.3 or higher or iOS 7.1 or higher, capable of receiving high-frequency sound waves or a microphone or Bluetooth communication,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wireless Internet, and implementing an interface through an application. It may be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0)는 비상호출 및 위치추적 관련, 주차장의 배치도와 맵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글 마켓, 애플 스토어 등의 웹서버에서 통신망(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emergency call and location tracking, layout and map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data communication) from a web server such as Google Market or Apple Store. have.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창은 입력부인 자판 배열 키보드가 그래픽 형태로 작업 화면에 오버랩(overlap)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0 may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creen. Such a display window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panel in which a keyboard layout keyboard as an input unit overlaps a work screen in a graphic form.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저전력 송수신부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를 저전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전력 소모가 많은 주데이터 송수신부를 꺼둔 상태에서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저전력 송수신부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에서 송신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receive the wake-up signal at low power through the low power transceiver.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receive a wakeu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through a low power transceiver that operates at a low power while the main data transceiver that consumes a lot of power is turned off.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는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주데이터 송수신부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주차장에 진입하기 이전에는 사용자 단말기(10)의 BLE 비콘 통신모듈 동작 모드는 배터 파워 세이빙용 제1모드 상태이고, 주차장에 진입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제2모드 상태로 전환되며, 제2모드는 주차가 완료된 후 운전자가 주차장을 벗어날 때까지 지속된다.The user terminal 10 may activate or deactivate the main data transceiver based on the wake-up signal. For example, before the driver enters the parking lot, the B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operation mode of the user terminal 10 is in a first mode for batter power saving, and when the driver enters the parking lot and receives a wake-up signal,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performed. The second mode is switched to a second mode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BLE beacon signal, and the second mode continues until the driver leaves the parking lot after parking is completed.

즉, 주차장에서 BLE 비콘 신호들이 수신되지 않거나 주차장을 벗어나면 사용자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는 파워 세이빙이 이루어지는 제1모드로 복귀된다.That is, when the BLE beacon signals are not received in the parking lot or leave the parking lot, the operation mode of the user terminal 10 returns to the first mode in which power saving is performed.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BLE 비콘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업 신호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과 BLE 비콘 통신모듈을 웨이크업(구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웨이크업 구동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 receives a wake-up signal for activating the application and activating the B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from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the user terminal 10 wakes up the application and the B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corresponding to the wake-up signal. And a wake-up driving unit that functions to drive (drive).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BLE 비콘 통신모듈이나 와이파이 통신모듈이 탑재되고, 비상호출 및 위치추적 운영에 관련된 비콘 SDK가 내장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비상호출 및 위치추적 운영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할 때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에서 송출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B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or a Wi-Fi communication module, the beacon SDK related to the emergency call and location tracking operation is installed, the application related to emergency call and location tracking operation The wakeup signal may be executed by the wakeu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운전자 등 주차장 이용자가 범죄에 노출되거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비상버튼을 누를 수 있는 비상호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이는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또 비상버튼을 누르면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가까운 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벨 유닛(40)에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고, 이와 함께 통신망을 통해 위치 정보를 통합관리 서버(50)에 전송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is installed emergency call application program that can press a predetermined emergency butt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driver exposed to a crime o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body, such as a driver, It can be executed by a wake-up signal, and pressing the emergency button can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emergency bell unit 40 which is installed at a short distance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비상호출용 앱(App)을 실행시키고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킨다.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sends a wakeup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 to execute an emergency call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activat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즉,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는 건물의 주차장 입구나 비상벨 유닛(40) 또는 게이트웨이(70) 상에 설치되어 비상호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앱)과 저전력 블루투스(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술을 기반으로 근거리 내의 스마트 기기를 감지하고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데이터 통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모듈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BLE 비콘 통신모듈'로 통칭함)가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10)에 데이터 전송 이전에 웨이크업 신호(wake-up radio)를 브로드캐스트하여 그 애플리케이션과 비콘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킨다.That is,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is installed on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of the building, the emergency bell unit 40 or the gateway 70, and is based on an application (app) and a low power Bluetooth (BLE) protocol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BLE) technology, it i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implement a short-range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detects smart devices within a short distance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nd services. Broadcasts a wake-up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 equipped with the " data " prior to data transmission to activate the application and th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이를테면,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웨이크업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도 있고, 혹은 동체감지센서(30)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거나 이용자를 감지하면, 통합관리 서버(50)는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를 제어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이를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 내 운전자 또는 주차장 내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가 BLE 비콘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주차장 안내정보를 출력 및 비상호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앱)이 웨이크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may periodically send a wake-up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 or when the fuselage sensor 30 detects a vehicle entering a parking lot or detects a user, integrated management The server 50 may generate a wake-up signal by controlling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and the user terminal 10 of the driver in the vehicle or the user in the parking lot that has entered the parking lot receives it through the B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An application (app) for outputting parking lot guidan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may be woken up.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만으로 사용 가능한 근거리 통신 방식인 고주파 음파(ultra sound) 통신을 통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에 탑재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음파를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복조하여 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Here,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may transmit the wakeup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a high frequency sound wave communication, which i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only by software download. In this case, the high frequency sound wave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ounted in the user terminal 10 may be demodulated through a separate software to restore the signal.

즉,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BLE 비콘 통신모듈을 웨이크업(실행)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웨이크업 신호를 고주파 음파에 실어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웨이크업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에 탑재된 블루투스 모듈과 페어링을 위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may load a predetermined wakeup signal on the high frequency sound wave and transmit the wakeup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 to wake up (execute)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B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wakeup signal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for pairing with the Bluetooth module mounted in the user terminal 10.

또한,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의 웨이크업 신호는 낮은 레이트(low rate) 및 낮은 전력으로 동작하는 저전력 웨이크업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BLE 비콘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ake-up signal of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is based on a low power wake-up technology that operates at a low rate and low power, and activate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BL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You can.

동체감지센서(30)는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주차장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The fuselage detecting sensor 3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parking lot to detect a moving object.

즉, 동체감지센서(30)는 차량 등 물체의 적외선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이 물체의 존재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져 물체의 존재와 이동을 검출하면, 이를 감지하여 디밍 컨트롤러(60) 및 게이트웨이(70)를 통해 통합관리 서버(50)로 전송한다.That is, the fuselage detecting sensor 30 is composed of various known sensors that can ident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such as a sensor for detecting infrared information of an object such as a vehicle or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f detected, it is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through the dimming controller 60 and the gateway 70.

비상벨 유닛(40)은 사용자 단말기(10)와 양방향 블루투스 통신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며,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통합관리 서버(50)에 전송하기 위해 표식정보(고유 ID)를 가지며 주차장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설치되어 있다.The emergency bell unit 40 transmits and receiv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wo-way Bluetooth communication, and has a marker information (unique ID) to transmit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and in a parking lot. Many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즉, 비상벨 유닛(40)은 층, 주차구역, 통로 등에 대한 고유의 표식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의 앱으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거나 주차장 이용자가 비상버튼(42)을 조작할 때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고유의 주차구역정보 및 표식정보와 함께 통합관리 서버(50)에 전송한다.That is, the emergency bell unit 40 stores unique marking information about floors, parking areas, passages, and the like, and an emergency call signal is generated from an app of the user terminal 10 or the parking lot user uses the emergency button 42. When operating,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together with the unique parking area information and the marker information.

도 2를 참조하면, 비상벨 유닛(40)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 및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41)와, 비상상황 발생 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상버튼(42)이 탑재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emergency bell unit 40 transmits 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 periodically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41 for receiving an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an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button 42, which acts as a switch when the occurrence is mounted.

그리고 비상벨 유닛(40)은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41)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비상버튼(42)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카메라(44)의 촬영 위치를 실시간으로 자동 제어하는 비상상황 발생알림부(43)와, 이 비상상황 발생알림부(43)의 제어에 따라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44)와, 이 카메라(44)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여 감시 영상을 획득한 후 비상상황 발생알림부(43)로 전달하는 영상획득부(45) 및 비상상황 발생알림부(43)의 비상상황 발생 신호와 영상획득부(45)에서 획득한 감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관리 서버(50)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46)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bell unit 40 generates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when an emergency cal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41 or an emergency button 42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unit 43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hooting position of the camera 44 in real time, the camera 44 which captures the surrounding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43, and this camera. Acquire the emergency situation signal and the image acquisi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45 and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43 to obtain the surveillance image by processing the image taken in the (44) and then to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unit 43 The communication module 46 transmits the surveillance video information acquired by the unit 45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in real time.

또한, 비상벨 유닛(40)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비콘 수신기(48)와, 이 비콘 수신기(48)가 받은 신호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RSSI 값 측정부(48)가 탑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bell unit 40 is a beacon receiver 48 for detecting the Bluetooth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RSSI value measurement for measur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beacon receiver 48 The part 48 is mounted.

아울러 비상벨 유닛(40)은 주차장 내 공기 상태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공기감지센서(47)가 내장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bell unit 40 has a built-in air sensor 47 for detecting the air condition and pollution level in the parking lot.

여기서 비상상황 발생알림부(43)는 비상벨 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BLE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비콘 신호 및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43 is a program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a temporary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BLE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It may include a data area for storing the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the beacon signal and Bluetooth data.

또한, 비상벨 유닛(40)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 시 비상 상태임을 시각적으로 표시 및 경고하는 경광등과, 통합관리 서버(50)를 통해 관리자 또는 근무자와 음성 통화하거나 미리 설정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스피커가 장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emergency bell unit 40 is a warning light to visually display and warn that the emergency state when receiving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0, a voice call or in advance with the manager or worker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microphone / speaker may be provided for outputting a set warning message.

한편, 비상벨 유닛(40)들은 서로 구별 및 식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표식정보가 부여되어 주차구역마다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 주기 또는 시간마다 층별, 주차구역별, 통로별 등에 대한 표식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 즉,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emergency bell units 40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different marking information so as to distinguish and identify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one by one for each parking area, and mark information for floors, parking areas, and passages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or time.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at is, broadcast a beacon signal including.

또한, 비상벨 유닛(40)들은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으로 사용자 단말기(10)별로 통신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와이파이(Wi-Fi), 서브기가 대역(SUB-Giga)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bell unit 40 is a low-power Bluetooth-based beacon is preferably to perform the communication separately for each user terminal 10, in addition to ZigBee (UigBee),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Wi-Fi (Wi-Fi) In addition, the sub Giga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variou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SUB-Giga 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특히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송출되는 BLE 비콘 신호는 비상벨 유닛(40)들의 수신 위치가 멀어질수록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비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설정된 신호 세기와 비교하면 송신 측의 위치, 즉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가 비상벨 유닛(40)와 얼마나 가까운지를 알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L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decreas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as the reception position of the emergency bell units 40 increases,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 is measured, and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corresponds to the set signal strength. In comparison, it can be seen how close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 to the emergency bell unit 40.

또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들에서 송출하는 BLE 비콘 신호가 중첩되는 영역에서는 비상벨 유닛(40)이 복수의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각 사용자 단말기(10)들의 고유 식별코드가 있으므로 BLE 비콘 신호 발신자, 즉 사용자 단말기(10)가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gion where the BLE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overlap, even if the emergency bell unit 40 receives the plurality of BLE beacon signals, sinc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of the respective user terminals 10 are BLE beacons It is easy to know where the signal sender, i.e., the user terminal 10, is currently located.

한편, 비상벨 유닛(40)들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비상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해 비상호출 신호를 송신하거나 비상버튼(42)이 눌러지면 이를 수신하여 비상상황 발생을 인지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부(sub-GHz)를 통해 게이트웨이(70)로 비상상황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인가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ATmega128L)과, 음성 통신 및/또는 화상 통신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화회로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과 연결되어 통신 신호들에 대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코덱(VS1053B)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emergency bell units 40 transmit an emergency call signal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user terminal 10 or receive an emergency button 42 when the emergency button 42 is pressed to recognize an emergency situation, and separately for data communication. A microcontroller unit (ATmega128L) for applying a signal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gateway 7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sub-GHz) of a communication circuit, and a call circuit and a microcontroller unit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and / or video communication to a user ( And a codec VS1053B connected to an MCU to perform encoding and decoding on communication signals.

통합관리 서버(5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의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상벨 유닛(40)들의 수신 전계 강도(RSSI) 값을 분석하여 최댓값을 수신하는 비상벨 유닛(40)의 표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로 등록 및 갱신하고, 이동 경로를 파악 및 추적하며, 아울러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의 주위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한다.When the emergency cal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analyzes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values of the emergency bell units 40 that receive the BLE beac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 Register and updat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using the marker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that receives the maximum value, identify and track the movement route, and also surround the user terminal 10. Intensive monitoring

그리고 통합관리 서버(50)는 동체감지센서(3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를 작동시키고, 주차장 내 주차구역 및 통로 상에 설치된 LED 광원모듈(61)을 제어한다.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operates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uselage sensor 30, and controls the LED light source module 61 installed on the parking area and the passage in the parking lot.

도 3을 참조하면, 통합관리 서버(50)는 비상벨 유닛(40)의 비상상황 발생알림부(4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비상호출 신호수신부(51)와, 이 비상호출 신호수신부(51)에서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비상상황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상황 신호생성부(52)와, 이 비상상황 신호생성부(52)에서 생성된 비상상황 신호를 관리자 또는 근무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비상상황 신호전송부(53)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위치정보에 따라 카메라(44)의 촬영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54)와, 이 위치추적부(54)의 추적 위치에 따라 카메라(44)의 촬영 위치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56)와, 영상획득부(45)에서 획득한 감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부(55)와, RSSI 값 측정부(49)의 측정값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측위부(57) 및 사용자 단말기(10)의 앱을 통한 주차 위치 등록 응답 회신에 따라 비상벨 유닛(40)(40-1)(40-n)들의 수신 전계 강도(RSSI) 값 중 최댓값을 송신하는 비상벨 유닛(40)의 주위를 주차 위치로 자동 등록하는 주차위치 등록부(58)를 포함하고 있다.3,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is an emergency call signal receiving unit 51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40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and the emergency call signal receiving unit ( Receiv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 51) and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52 automatically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and the emergency signal generated by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52 to transmit to the manager or worker terminal The emergency situ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53, the position tracking unit 54 for tracking the shooting position of the camera 44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tracking position of the position tracking unit 54. Of the camera controller 56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camera 44, the image storage unit 55 storing the surveillanc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45, and the RSSI value measurement unit 49. Location side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by using the measured value The maximum value of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values of the emergency bell units 40, 40-1 and 40-n in response to the parking position registration response reply through the app of the unit 57 and the user terminal 10 is transmitted. The parking position registration part 58 which automatically registers the periphery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as a parking position is included.

또한, 통합관리 서버(50)는 비상상황 발생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그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비상벨 유닛(40)의 주변에 배치되거나 대응하는 전동개폐기(80)를 조회하고, 조회된 전동개폐기(80)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전동개폐기(80)에 무선 송신하는 전동개폐기 제어부(59)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inquires the electric switchgear 80 disposed or corresponding to the vicinity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to transmit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as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s received, and the inquired transmission And an electric switch controller 59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for operating the switchgear 80 to the electric switch 80.

즉, 전동개폐기 제어부(5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동개폐기(80)가 작동하여 주차장 내 각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ic switch 80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electric switch control unit 59 to open and close each door in the parking lot.

여기서 전동개폐기 제어부(59)와 전동개폐기(80)들은 지그비(ZigBee)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electric switch controller 59 and the electric switch 80 may be implemented to communicate in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카메라(44)로는 물체의 움직임을 좇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CCD 카메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amera 44, a network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n object may be used, and a general CCD camera or the like may be used.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3개의 비상벨 유닛(40)(40-1)(40-n)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RSSI)를 각각 측정하여 개별 비상벨 유닛((40)(40-1)(40-n)과의 거리를 계산한 후 좌표값을 획득하고 이동 경로를 파악 및 추적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three emergency bell units 40, 40-1, 40-n respectively measure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SSI of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 After calculating the distance with the bell units (40, 40-1, 40-n), the coordinate values can be obtained, and the movement path can be identified and tracked.

즉, 각 비상벨 유닛(40)(40-1)(40-n)의 좌표를 주차장의 설계도면을 이용하여 산출된 좌표값(x1, y1)(x2, y2)(x3, y3)을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각 비상벨 유닛(40)(40-1)(40-n)에서 발신되는 수신 전계 강도(RSSI)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를 Friis 공식에 대입하여 각 비상벨 유닛(40)(40-1)(40-n)으로부터 현재 위치(x, y)까지의 거리인 d1, d2, d3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는 삼각측량법(세 지점으로부터 거리를 반지름으로 가지는 원들의 교차점으로 위치를 찾는 방법)을 이용하여 (x, y) 좌표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That is, coordinate values (x1, y1) (x2, y2) (x3, y3) calculated by using the coordinates of the emergency bell units 40, 40-1, 40-n using the design drawings of the parking lot in advance. And receive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mergency bell unit 40, 40-1, 40-n, and substitute the received signal into Friis formula for each emergency bell. Compute the distances d1, d2, d3 from the units 40, 40-1, 40-n to the current position (x, y), and the calculated distance is triangulation (circle having a distance from three points as a radius). Can be converted into (x, y) coordinates using

그리고 통합관리 서버(50)는 동체감지센서(30)의 감지 신호에 따라 LED 광원모듈(61)을 주차구역별, 단계별로 점등, 점멸 또는 순차적으로 디밍 제어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controls the LED light source module 61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uselage sensor 30 by lighting area, step by step, lighting, flashing or dimming sequentially.

또한, 통합관리 서버(50)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주차장에 차량의 움직임이나 사람이 없으면 LED 광원모듈(61)을 포함하는 조명등을 소등하여 불필요한 전기소모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can reduce unnecessary electricity consumption by turning off the lights including the LED light source module 61 when there is no movement or people in the parking lot until a certain time elapses.

여기서 디밍 제어란 차량의 이동을 모니터링 하면서 목적지 경로를 따라 배치된 LED 광원모듈(61)을 순차적으로 점등, 점멸 또는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개개의 LED 광원모듈(61) 또는 그룹화된 복수 개의 LED 광원모듈(61)에 하나씩 디밍 컨트롤러(60)가 구비되어 있다.Here, dimming control refers to sequentially lighting, blinking or illuminating the LED light source module 61 disposed along the destination path while monito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for this purpose, the individual LED light source modules 61 or grouped The dimming controller 60 i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 modules 61.

한편, 통합관리 서버(5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다중으로 수신되는 비상벨 유닛(40)들의 수신 전계 강도(RSSI) 값 중 최댓값을 송신하는 비상벨 유닛(40)의 표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로 등록 및 갱신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by using the marker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for transmit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SSI)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received in multiple times to the user terminal 10 It may be registered and updated with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즉, 통합관리 서버(5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에 주차상황 정보를 전송하여 차량의 소유자(운전자)에게 자기 차량이 주차된 곳의 위치를 알려줄 수도 있다.That is,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interface to transmit the park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to inform the owner (driver) of the vehicle where the vehicle is parked. It may be.

예를 들면, 차량을 지하 1층의 B1A07 근처에 위치하는 비상벨 유닛(40) 주위 주차면에 주차한 차량의 소유자(운전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접속하면, "소유 차량이 지하 1층의 B1A07 근처 주차면에 주차됨"이라는 주차상황 정보를 제공받아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곳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wner (driver) of a vehicle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around the emergency bell unit 40 located near B1A07 on the first floor of the basement is connected via the user terminal 10, the "owned vehicle is the basement 1 Parked on the parking lot near B1A07 on the floor ", you can easily find out where your car is parked.

또한, 통합관리 서버(50)는 비상벨 유닛(40)을 관리하고, 비상벨 유닛(40)으로부터 비상상황 발생 신호가 송출되면, 해당 비상벨 유닛(4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비상상황 발생 위치를 인지하고, 비상벨 유닛(40)으로부터 전송된 감시 영상을 팝업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 또는 근무자가 주차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manages the emergency bell unit 40, an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generation signal is sent from the emergency bell unit 40, an emergency situ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mergency bell unit 40. By recognizing the location, by displaying the monitoring image transmitted from the emergency bell unit 40 as a pop-up screen, the manager or worker can monitor the parking lot situation in real time.

아울러 통합관리 서버(50)는 주차장 내 공기 상태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공기감지센서(47)의 감지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목표 값으로 주차장 내부를 환기시키도록 환기시스템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controls the ventilation system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to a predetermined target valu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ir sensor 47 to detect the air condition and pollution degree in the parking lot.

디밍 컨트롤러(60)는 통합관리 서버(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주차구역 및 통로 상의 LED 광원모듈(61)들을 점등 및 점멸 또는 조도를 조절한다.The dimming controller 60 controls the lighting and blinking or illumination of the LED light source modules 61 on the parking area and the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예를 들면, 디밍 컨트롤러(60)는 LED 드라이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전류/전압 변화로 LED 광원모듈(61)의 조도를 100%로 점등 또는 50%로 점등하거나 순차적으로 25%씩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mming controller 60 may control the LED driver in stages so that the illuminance of the LED light source module 61 may be turned on at 100% or at 50%, or may be sequentially lowered by 25% due to a current / voltage change. have.

아울러 디밍 컨트롤러(60)는 비상상황 발생 시 통합관리 서버(50)의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일부 LED 광원모듈(61)의 점멸 주기 및 발광색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디밍 제어와 동시에 마치 경광등처럼 점멸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mming controller 60 changes the flashing cycle and emission color of some LED light source modules 61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in case of an emergency, or flashes like a warning lamp at the same time as dimming control. The location of the situation can be displayed.

여기서 LED 광원모듈(61)은 디밍(dimming) 즉, 조도 조절이 용이한 LED 조명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D light source module 61 may be implemented as a dimming, that is, an LED lighting device that can easily adjust illumination.

또한, LED 광원모듈(61)은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된 레이스 웨이(race way)에 장착될 수 있고, 디밍 컨트롤러(60)는 게이트웨이(70)를 통해 LED 광원모듈(61)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D light source module 61 may be mounted on a race wa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parking lot, and the dimming controller 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ED light source module 61 through the gateway 70. You can send a signal.

이를 위해 이더넷, Home PNA, 전력선 통신, EIA-422/485 통신과 같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랜, 바이너리 CDMA, Home RF, ZigB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이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Ethernet, Home PNA, power line communication, EIA-422 / 485 communicatio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LAN, binary CDMA, Home RF, ZigBee, etc. may be appropriately used.

한편, 디밍 컨트롤러(60)는 동체감지센서(30)의 물체 감지 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LED 광원모듈(61)들을 일정한 밝기 이상으로 정해진 시간 동안 점등하여 해당 물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mming controller 60 may light the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 modules 61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accordance with an object detection signal of the body detecting sensor 30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object.

게이트웨이(70)는 사용자 단말기(10),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 동체감지센서(30), 비상벨 유닛(40), 디밍 컨트롤러(60) 및 전동개폐기(80)와 통합관리 서버(5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연결하며, 통합관리 서버(50)로부터 작동 명령을 받아 해당 비상벨 유닛(40), 디밍 컨트롤러(60) 및 전동개폐기(8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The gateway 70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 wake-up signal generator 20, a fuselage sensor 30, an emergency bell unit 40, a dimming controller 60, and an electric switch 80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For connection between the data communication, and receives the operation comman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emergency bell unit 40, the dimming controller 60 and the electric switch 80.

여기서 게이트웨이(70)는 동체감지센서(30)와 전력선통신(PLC)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통합관리 서버(50)와 인터넷 통신(TCP/IP)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Here, the gateway 70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fuselage sensor 30 in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anner, and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in an Internet communication (TCP / IP) manner.

전동개폐기(80)는 통합관리 서버(50)의 제어에 따라 주차장 내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나 셔터를 작동시킨다.Electric switch 80 operates the door or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way in the parking lot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즉, 범죄 발생 시 전동개폐기(80)의 작동시켜 주차장 내 출입구를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범죄자의 도주를 막을 수 있다.That is, when a crime occurs by operating the electric switch 80 to automatically block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can prevent the escape of criminal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main ope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사용자 단말기(10)에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글 마켓, 애플 스토어 등의 웹서버에서 통신망(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 받거나 USB와 같은 메모리 장치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First, an application program genera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 is downloaded from a web server such as Google Market, Apple Store, etc.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data communication) or downloaded and installed through a memory device such as USB.

이후, 사용자 단말기(10)의 앱(APP)은 사용자의 실행 명령 또는 웨이크업 신호발생기(20)로부터 수신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실행되고, 아울러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면서 비상벨 유닛(40) 및 통합관리 서버(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Thereafter, the app APP of the user terminal 10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s execution command or the wakeup signal received from the wakeup signal generator 20, and the emergency bell unit 40 is activated whil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And it is switched to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이때, 사용자 단말기(10)의 앱(App)은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벨을 울리겠습니까?"라는 문구와 함께 벨 누름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벨 누름 아이콘을 터치하면,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한 후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주변 비상벨 유닛(40)에 접속하여 비콘 신호 또는 BLE 통신 신호로 송출하고, "비상벨 울림"이라는 문구와 함께 위치확인 중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pp (App) of the user terminal 10 may be displayed a variety of icons that can handle the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bell pressing icon may be displayed with the phrase “Do you want to ring the emergency bell?”,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bell pressing icon, the system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and generates a Bluetooth signal. By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emergency bell unit 40 and transmits as a beacon signal or BLE communication signal, the icon during positioning with the phrase "emergency bell ringing" may be displayed.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비상상황 발생 신호가 발생하면, 그와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비상벨 유닛(40)들은 각각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41)를 통해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 서버(50)에 알리고, 이와 동시에 카메라(44)를 제어하여 주변 감시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통합관리 서버(50)에 전송한다.When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emergency bell units 40 located at a distan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rewith receive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through respectiv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41, Based on this,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s generated and notifi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and at the same time, the camera 44 is controlled to obtain surrounding surveillance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이 과정에서 통합관리 서버(50)의 비상호출 신호수신부(51)는 비상벨 유닛(40)의 비상상황 발생알림부(43)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상황 신호생성부(52)로 전달하고, 비상상황 신호생성부(52)는 자동으로 비상상황 신호를 생성하여 비상상황 신호전송부(53)로 전달하며, 비상상황 신호전송부(53)는 관리자 또는 근무자가 휴대하는 단말기에 비상상황 신호를 전송한다.In this process, the emergency call signal receiving unit 51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43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and transmits it to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on unit 52.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52 automatically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emergency signal to the emergency signal transmitter 53. The emergency signal transmitter 53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a terminal carried by a manager or worker. Send a signal.

아울러 위치측위부(57)는 RSSI 값 측정부(49)의 측정값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로 하여 위치추적부(54)에 전달하고, 위치추적부(54)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 제어부(56)에 전달하고, 카메라 제어부(56)에서는 추적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카메라(44)의 촬영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unit 57 uses the measured value of the RSSI value measuring unit 49 to determine the exac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uses the position tracking unit 54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location tracking unit 54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ransmits the location to the camera controller 56, and the camera controller 56 captures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camera 44 based on the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in real time.

계속해서, 카메라(44)에서 촬영하는 영상은 영상획득부(45)에서 신호 처리하여 감시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감시 영상 정보는 영상저장부(55)에 저장한다.Subsequently,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4 is signal-process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45 to generate surveillance image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surveillance imag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55.

이때, 3개의 비상벨 유닛(40)(40-1)(40-n)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RSSI)를 각각 측정하여 개별 비상벨 유닛((40)(40-1)(40-n)과의 거리를 계산한 후 좌표값을 획득하고 이동 경로를 파악 및 추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ee emergency bell units 40, 40-1 and 40-n respectively measure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SSI)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 to determine the individual emergency bell unit (40). After calculating the distance with (40-1) and (40-n), the coordinate value can be obtained, and the moving path can be identified and tracked.

이렇게 되면 통합관리 서버(50)는 위치측위부(57)와 위치추적부(54)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비상상황 발생 장소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 실시간으로 자동 전송되는 감시 영상을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해당 장소로 관리자 또는 근무자(경비원)를 출동시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can quickly confirm the emergency occurrence pla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positioning unit 57 and the location tracking unit 54, and monitors the surveillance image automatically transmitted in real time. You can quickly respond by dispatching a manager or worker (guards) to the location while displaying on the screen.

한편, 사용자 단말기(10)의 비상신호 발생 신호 송출 모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에 미리 설정한 버튼을 눌렀을 때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on signal transmission mode of the user terminal 10 may be switched when the user presses a preset button on the user terminal 10.

또한, 비상벨 유닛(40)은 비상상황 해제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즉, 비상벨 유닛(40)은 통합관리 서버(50) 등으로부터 비상상황 해제 명령 신호를 수신 시 비상상황 알림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bell unit 40 may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is, the emergency bell unit 40 may release the emergency notification mode upon receiving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signal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or the like.

그리고 통합관리 서버(50)는 위치측위부(57)와 위치추적부(54)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비상상황 발생 장소와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는 LED 광원모듈(61)을 점등 및 점멸 또는 디밍 제어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 장소를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lights and flashes or lights the LED light source module 61 installed on the emergency occurrence place and the movement path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positioning part 57 and the location tracking part 54. Dimming control enables quicker and more effective identification of the emergency location.

또한, 통합관리 서버(5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면, 주차장 내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나 셔터를 작동시키는 전동개폐기(80)를 제어하여 주차장 내 출입구를 폐쇄 및 차단함으로써 범죄자의 도주를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mergency cal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50 controls the electric switch 80 to operate the door or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way in the parking lot to close and block the doorway in the parking lot. This can prevent criminals from escaping.

한편, 주차위치 등록부(58)는 평상시 사용자 단말기(10)의 앱을 통한 주차 위치 등록 응답 회신에 따라 비상벨 유닛(40)(40-1)(40-n)들의 수신 전계 강도(RSSI) 값 중 최댓값을 송신하는 비상벨 유닛(40)의 주위를 주차 위치로 등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position register 58 is usually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SSI) value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40-1 (40-n) according to the parking position registration response reply through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10 The periphery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which transmits the maximum value can be registered as a parking position.

즉, 비상벨 유닛(40)의 표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로 등록 및 갱신할 수 있다.That is, by using the marker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bell unit 40 can be registered and updated with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를 주차위치로 등록하시겠습니까?"라는 문구와 함께 등록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등록 아이콘을 터치하면, 주차위치 등록 신호를 생성한 후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주변 비상벨 유닛(40)에 접속하여 비콘 신호 또는 BLE 통신 신호로 송출하고, "등록된 주차위치는 지하 1층 B1A07 입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주차위치확인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어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곳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registration icon may be displayed along with the phrase, "Do you want to register the current location as a parking location?",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registration icon, the parking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is generated. After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emergency bell unit 40 and transmits as a beacon signal or BLE communication signal, parking with the phrase "registered parking position is B1A07 B1A07 basement." A location icon can be displayed so you can easily see where your vehicle is park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are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f each componen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o other embodiments equivalent to substitu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사용자 단말기 20: 웨이크업 신호발생기
30: 동체감지센서 40: 비상벨 유닛
50: 통합관리 서버 60: 디밍 컨트롤러
70: 게이트웨이 80: 전동개폐기
10: user terminal 20: wake-up signal generator
30: fuselage sensor 40: emergency bell unit
50: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60: dimming controller
70: gateway 80: electric switchgear

Claims (4)

비상호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앱(App)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App)을 실행시키고,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웨이크업 신호발생기;
주차장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동체감지센서;
표식정보를 가지며 주차장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BLE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비콘 수신기 및 통합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탑재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거나 비상버튼 조작을 감지하면,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다수 개의 비상벨 유닛;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비상벨 유닛들의 수신 전계 강도(RSSI) 값을 분석하여 최댓값을 수신하는 상기 비상벨 유닛의 표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로 등록 및 갱신하고, 이동 경로를 파악 및 추적하며, 주차장 내 주차구역 및 통로 상에 설치된 LED 광원모듈을 제어하는 통합관리 서버;
상기 통합관리 서버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주차구역 및 통로 상의 LED 광원모듈을 점등 및 점멸 또는 조도를 조절하는 디밍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웨이크업 신호발생기, 상기 동체감지센서, 상기 비상벨 유닛, 상기 디밍 컨트롤러와 상기 통합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연결하며,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작동 명령을 받아 해당 비상벨 유닛 및 디밍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통합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주차장 내 각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나 셔터를 작동시키는 전동개폐기;
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비상벨 유닛의 비상상황 발생알림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비상호출 신호수신부와, 이 비상호출 신호수신부에서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비상상황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상황 신호생성부와, 이 비상상황 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비상상황 신호를 관리자 또는 근무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비상상황 신호전송부와,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와, 이 위치추적부의 추적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와, 영상획득부에서 획득한 감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부와, RSSI 값 측정부의 측정값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측위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앱을 통한 주차 위치 등록 응답 회신에 따라 비상벨 유닛들의 수신 전계 강도(RSSI) 값 중 최댓값을 송신하는 비상벨 유닛의 주위를 주차 위치로 자동 등록하는 주차위치 등록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면, 3개의 비상벨 유닛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RSSI)를 각각 측정하여 개별 비상벨 유닛과의 거리를 계산한 후 좌표값을 획득하고 이동 경로를 파악 및 추적하고, 상기 비상벨 유닛의 카메라 작동을 제어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비상상황 발생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그 비상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비상벨 유닛의 주변에 배치되거나 대응하는 상기 전동개폐기를 조회하고, 조회된 전동개폐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해당 전동개폐기에 무선 송신하고,
상기 위치측위부와 상기 위치추적부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비상상황 발생 장소와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LED 광원모듈을 점등 및 점멸 제어하며,
주차장 내 공기 상태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공기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목표 값으로 주차장 내부를 환기시키도록 환기시스템을 제어하는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s installed;
A wake-up signal generator for transmitting a wake-up signal to execute an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nd activat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fuselage detecting sensor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parking lot and detecting a moving object;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ark information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a parking lot, periodicall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n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BLE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beacon receiver for detecting beacon signals and a camera for capturing surrounding images under the control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when receiving an emergency cal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or detecting an operation of an emergency button, an emergency management signal is integrated in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 plurality of emergency bell units for transmitting to;
When an emergency cal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value of the emergency bell units receiving the BLE beac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is analyzed to use the marker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bell unit to receive the maximum value.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registering and updating with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identifying and tracking a moving path, and controlling an LED light source module installed on a parking area and a passage in a parking lot;
A dimming controller that controls lighting and blinking or illuminance of the LED light source modules on the parking area and the pa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the wake-up signal generator, the fuselage detection sensor, the emergency bell unit, for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dimming controll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operation comman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the corresponding emergency bell unit and A gateway for transmitting to the dimming controller;
An electric switch for operating a door or a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entrance and exit of the parking lot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nclud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 emergency cal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of the emergency bell unit, an emergency to automatically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when receiving an emergency call signal from the emergency call signal receiving unit A situation signal generator, an emergency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generated by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to an administrator or a worker terminal, and tracking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position tracking unit, a camer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tracking position of the position tracking unit, an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urveillanc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a measurement value of the RSSI value measuring unit Location location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parking location registration through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a parking position register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the perimeter of the emergency bell unit for transmit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of the emergency bell units in response to the response,
When an emergency cal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ee emergency bell units measure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SSI)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calculate distances from the individual emergency bell units, and then obtain coordinate values. Determine and track the movement route, control camera operation of the emergency bell unit to receive and store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received, the electric switch is disposed around or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bell unit that transmits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s a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ic switch that is inquired to the electric switch. and,
Lighting and blinking the LED light source module installed on the emergency occurrence place and the movement path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positioning unit and the position tracking unit,
Emergency bel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controls the ventilation system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to a preset target valu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ir sensor to detect the air condition and pollution level in the parking lo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84177A 2018-07-19 2018-07-19 Emergency bell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KR1020150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77A KR102015081B1 (en) 2018-07-19 2018-07-19 Emergency bell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77A KR102015081B1 (en) 2018-07-19 2018-07-19 Emergency bell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081B1 true KR102015081B1 (en) 2019-08-27

Family

ID=6780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177A KR102015081B1 (en) 2018-07-19 2018-07-19 Emergency bell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08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453B1 (en) * 2020-03-03 2020-06-03 주식회사 바른소프트 System for managing ward using inactivity sensing and method thereof
KR102259889B1 (en) 2021-01-05 2021-06-02 (주)이레씨즈 Apparatus for Checking Real-time Operating and Trouble Status of Wireless Emergency Bel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02778B1 (en) * 2021-07-21 2022-05-30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Multi connection emergency bell system using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KR20230100788A (en) 2021-12-28 2023-07-06 (주)엠알솔루텍 Emergency bell for parking lot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guidance functio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72B1 (en) 2007-01-19 2007-08-23 (주)금하안전시스템 System for preventing crime using underground parking lot
KR20110097208A (en) * 2010-02-25 2011-08-31 박해성 Unified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rfid smartkey
KR101202892B1 (en) * 2011-07-19 2012-11-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ir ventilation system
KR101528815B1 (en) 2014-12-12 2015-06-19 (주)지준시스템 Lighting apparatud for crime using partition wall moldbar and method and system for parking lot integration solution having applicati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using the same
KR101635429B1 (en) 2015-07-10 2016-07-01 주식회사 신성테크 System for crime prevention using wireless emergency bell apparatus
KR101661058B1 (en) 2015-01-26 2016-09-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guiding parking position
KR101661614B1 (en) * 2016-07-05 2016-10-04 (주)하림기술단 Apparatus for evacuation guidance in emergency fire exi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5197B1 (en) 2015-09-25 2017-04-11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parking zone
KR101830500B1 (en) 2016-04-24 2018-02-20 (주)참슬테크 Informing apparatus in parking location
KR20180057801A (en) * 2016-11-22 2018-05-31 탑라이트 주식회사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72B1 (en) 2007-01-19 2007-08-23 (주)금하안전시스템 System for preventing crime using underground parking lot
KR20110097208A (en) * 2010-02-25 2011-08-31 박해성 Unified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rfid smartkey
KR101202892B1 (en) * 2011-07-19 2012-11-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ir ventilation system
KR101528815B1 (en) 2014-12-12 2015-06-19 (주)지준시스템 Lighting apparatud for crime using partition wall moldbar and method and system for parking lot integration solution having applicati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using the same
KR101661058B1 (en) 2015-01-26 2016-09-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guiding parking position
KR101635429B1 (en) 2015-07-10 2016-07-01 주식회사 신성테크 System for crime prevention using wireless emergency bell apparatus
KR101725197B1 (en) 2015-09-25 2017-04-11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parking zone
KR101830500B1 (en) 2016-04-24 2018-02-20 (주)참슬테크 Informing apparatus in parking location
KR101661614B1 (en) * 2016-07-05 2016-10-04 (주)하림기술단 Apparatus for evacuation guidance in emergency fire exi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57801A (en) * 2016-11-22 2018-05-31 탑라이트 주식회사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지성 외 2명. 비콘의 RSSI 특성을 이용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연구. 2017년
노진용. 대형 주차장 비상 콜 시스템 자동 점검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집. 2017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453B1 (en) * 2020-03-03 2020-06-03 주식회사 바른소프트 System for managing ward using inactivity sensing and method thereof
KR102259889B1 (en) 2021-01-05 2021-06-02 (주)이레씨즈 Apparatus for Checking Real-time Operating and Trouble Status of Wireless Emergency Bel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02778B1 (en) * 2021-07-21 2022-05-30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Multi connection emergency bell system using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KR20230100788A (en) 2021-12-28 2023-07-06 (주)엠알솔루텍 Emergency bell for parking lot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guidance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557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US95941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objects
KR102015081B1 (en) Emergency bell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KR20180057802A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KR101245165B1 (en) Crime prevention security system
KR20120105642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management of parking lot
AU2016279956B2 (en) Safety arrangement
US20190073883A1 (en) System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people
US10685103B2 (en) Challenge and response system for identifying non-credentialed occupants and method
EP3372055A1 (en) Intelligent gating mechanism
KR101909023B1 (en) Intrusion detection sensor for outer boundary, outer boundary system and outer boundary method using the same
JP2013033423A (en) Pos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074470B1 (en) System for finding the location using the call alarm
US10165416B2 (en) Indoor position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2429226B1 (en) Safe return system using a Smart security light switche
US20210304586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50086678A (en) Lighting information system comprising rf sensor
KR20180095957A (en)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KR20120019571A (en) Controlling system using lighting device and tile sensor used thereof
KR102614695B1 (en) Smart Emergency Bell Device and Alert System Using the Same
CN210574126U (en) Visitor prompt system and prompting lamp
JP5018617B2 (en) Suspicious person detection device, Suspicious person detection method, House with suspicious person detection device
KR101756101B1 (en) System for position detecting and information using a smart lighting device
JP7363084B2 (en) control system
WO2023180275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on of intrusion by an object in a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