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748B1 -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748B1
KR102014748B1 KR1020160134106A KR20160134106A KR102014748B1 KR 102014748 B1 KR102014748 B1 KR 102014748B1 KR 1020160134106 A KR1020160134106 A KR 1020160134106A KR 20160134106 A KR20160134106 A KR 20160134106A KR 102014748 B1 KR102014748 B1 KR 10201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heduling
preference
weight
schedu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857A (ko
Inventor
최영현
주민식
강지훈
한아향
유현정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748B1/ko
Priority to US15/785,851 priority patent/US20180108033A1/en
Publication of KR2018004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33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duration or size, e.g. length of a movie, size of an executable 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Abstract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가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를 대상으로 수행되고,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부여되는 선호도를 가리키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선호도 가중치를 기초로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s Scheduling in Multi Contents Displaying Apparatus Environm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콘텐츠의 노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콘텐츠를 스케줄링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비디오월(Video- wall), 키오스크(Kiosk)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활용한 옥외 광고가 광고 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옥외 광고에서 타깃 고객층에 대한 광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콘텐츠 스케줄링이다. 왜냐하면, 시간대 별로 유동적인 광고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의 인구수를 고려하여 광고 콘텐츠의 노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시간대 별로 적절하게 배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그래프는 콘텐츠 스케줄링에 따른 타깃 고객층의 광고 노출 효과 차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그래프를 비교하면, 광고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는 동일하지만 도 1b와 같이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고려하여 광고 콘텐츠를 스케줄링 하는 경우 광고 노출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옥외 광고 시스템은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부재로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고려한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옥외 광고 시스템에서 콘텐츠 스케줄링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디지털 사이니지가 설치된 위치 및 시간에 따른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하드웨어적 특징 등 콘텐츠 노출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특징 등을 추가로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최적의 스케줄링 조합을 찾는 것은 더욱 어려운 문제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806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각 콘텐츠 제생 장치에 부여될 수 있는 다양한 선호도를 반영하여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콘텐츠 제생 장치에 부여될 수 있는 다양한 선호도를 반영하여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하는 선형 계획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가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부여되는 선호도를 가리키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선호도 가중치를 기초로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도 가중치는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타임 슬롯 별로 부여되는 선호도를 가리키고, 상기 타임 슬롯 별로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선호도 가중치이고, 상기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도 가중치는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선호도 가중치이고, 상기 지리적 위치의 특징은 상기 지리적 위치의 유동 인구수의 변화와 무관한 특징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도 가중치는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선호도 가중치이고, 상기 하드웨어적 특징은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지리적 위치의 유동 인구수의 변화와 무관한 특징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각 영역 별로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위치한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제1 영역에 부여된 가중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에 위치한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제2 영역에 부여된 가중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도 가중치는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타임 슬롯 별로 부여되는 선호도를 가리키고 상기 타임 슬롯 별로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제1 선호도 가중치,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제2 선호도 가중치 및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제3 선호도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호도 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결정 변수(Decision Variable)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호도 가중치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Constraints)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매장의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매장의 정보는 매장의 브랜드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매장의 브랜드와 연관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부여되는 연관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결정 변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관 가중치, 상기 선호도 가중치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함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부여되는 선호도를 가리키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선호도 가중치를 기초로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선호도 가중치를 이용하여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 외에도 입구, 분기점과 같은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을 기초로 선호도 가중치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고, 상기 선호도 가중치를 이용하여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의 노출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콘텐츠 제공 주체의 수익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인 경우, 타깃 고객층에 대한 광고 노출 효과가 향상되므로 이에 따라 광고 주체의 수익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의 개선에 따라 광고 계약 비용 또한 증가되므로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운영 주체(이하 '콘텐츠 재생 주체')의 수익도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콘텐츠 스케줄링에 따른 광고 노출 효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는 선형 계획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선호도 가중치 결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는 선형 계획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주변의 매장 정보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는 선형 계획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스케줄링은 스케줄링 대상 기간 동안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콘텐츠(Contents)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말하고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 영화 콘텐츠, 음악 콘텐츠 등이 될 수 있다.
스케줄링 대상 기간은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전체 기간을 의미한다.
타임 슬롯은 스케줄링 대상 기간을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으로 나눈 구간으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시간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기간이 '1 일'이고, '1 시간'마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경우, 스케줄링 대상 기간 동안 총 24 개(24 시간 / 1 시간 = 24)의 타임 슬롯이 존재하고,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가 스케줄링 결과로 산출된다. 또한,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은 '1시간'이 된다.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콘텐츠의 러닝 타임 또는 재생 길이를 의미한다.
전체 재생 횟수는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걸쳐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를 통해 재생되어야 하는 최소 재생 횟수 또는 재생될 수 있는 최대 재생 횟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인 경우, 상기 전체 재생 횟수는 광고 계약 등에 의해 정해진 최소 재생 횟수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다중'이라는 용어와 '복수'라는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라는 용어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라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각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인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각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의 타임 슬롯 별로 배치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스케줄링 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옥외 광고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 데이터 수집 장치(500) 및 데이터 분석 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100, 300, 350, 500, 7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를 보관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콘텐츠 재생 장치(300)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제어 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의 기능을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의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2의 경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100, 300, 350, 500, 700)가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각 장치(100, 300, 350, 500, 700)는 동일한 물리적 장치 내의 서로 다른 로직(Logic)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를 살펴보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에서 재생되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상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는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다양한 선호도를 고려한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선호도는 스케줄링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선호의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목적이 콘텐츠 노출 효과 최대화인 경우, 상기 선호도는 콘텐츠 노출 효과에 대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정보인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고, 가중치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가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고 콘텐츠를 스케줄링하는 방법은 이후 도 5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제어 장치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스케줄링 결과를 토대로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의 콘텐츠 재생 순서 또는 재생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컴퓨팅 기능 및 통신 기능을 가진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예를 들어, 공항, 터미널 등의 공공장소 또는 쇼핑몰 등의 상업 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 비디오월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사이니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콘텐츠 재생 기능 및 통신 기능을 가진 모든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500)는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의 주변 또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구축된 장소의 영상, WIFI 연결 이력 등의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하고, 데이터 분석 장치(70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데이터 수집 장치(500)는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 장치, WIFI 연결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AP(Access Poi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 장치(500)는 AP를 통해 WIFI 프로브(Probe) 신호의 트래픽을 감시하여 WIFI 연결 이력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장치(700)는 원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콘텐츠 스케줄링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는 장치이다. 데이터 분석 장치(700)는 영상 분석(Video Analytics)을 위한 영상 분석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상 분석 장치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콘텐츠 알고리즘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 장치(700)는 영상 분석을 통해 시간대 별 유동 인구수, 성별 또는 연령층 등의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Demographic Data)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등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 장치(700)는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WIFI 연결 이력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시간대 별 유동 인구수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데이터 분석 장치(700)는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의 설치 위치 또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구축된 장소의 전체 고객층 또는 타깃 고객층의 대기 시간,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 주변을 지나가는 전체 고객층 또는 타깃 고객층의 응시 대상 등의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30)와, 콘텐츠 스케줄링 소프트웨어(191)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91)을 로드할 수 있다. 도 4에서 메모리(130)의 예시로 RAM이 도시되었다.
버스(150)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는 네트워크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는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 각각에 콘텐츠 스케줄링을 위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91)의 예시로 콘텐츠 스케줄링 소프트웨어(191)가 도시되었다.
스토리지(1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소프트웨어(191)는 메모리(130)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오퍼레이션(131),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부여되는 선호도를 가리키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오퍼레이션(133), 상기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선호도 가중치를 기초로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오퍼레이션(135)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오퍼레이션(137)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정보 획득부(210), 가중치 결정부(230), 선형 계획 모델 생성부(250) 및 최적해 산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각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정보 획득부(210)는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정보 획득부(210)는 데이터 분석 장치(700)가 영상 등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정보 중 일부는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이 되거나, 가중치 결정부(230)가 가중치 결정을 위해 이용하는 기초 정보가 될 수 있다.
정보 획득부(210)가 획득하는 정보의 종류는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기간 동안의 전체 재생 횟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타임 슬롯 별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콘텐츠 재생 장치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 등이 될 수 있다.
정보 획득부(210)가 상술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획득부(210)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 받거나, 전체 콘텐츠 재생 횟수 등의 정보가 기 저장된 설정 파일 등을 통해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는 정보 획득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보 획득부(210)가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다양하며 이는 구현 방식의 차이에 불과하다.
가중치 결정부(230)는 정보 획득부(210)가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의 계수가 되는 다양한 가중치 또는 우선 순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중치 결정부(23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부여되는 선호도를 가리키는 선호도 가중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와 주변 매장 정보와의 연관성을 가리키는 가중치(이하 '연관 가중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호도 가중치 등을 결정하는 방법은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상기 선호도 가중치는 각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타임 슬롯 별로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선호도 가중치(이하 '제1 선호도 가중치'), 콘텐츠 재생 장치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선호도 가중치(이하 '제2 선호도 가중치'),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선호도 가중치(이하 '제3 선호도 가중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형 계획 모델 생성부(250)는 정보 획득부(210)가 획득한 정보와 가중치 결정부(230)가 결정한 가중치 정보를 토대로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한다. 자세하게는, 선형 계획 모델 생성부(250)는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 변수로 설정하고, 가중치 결정부(230)가 결정한 가중치 또는 우선 순위와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목적 함수를 설정하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 등을 제약 조건으로 설정한다. 단, 상기 결정 변수, 상기 목적 함수 및 상기 제약 조건은 스케줄링의 목적과 획득된 정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 변수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결정 변수는 0 이상의 정수가 될 것이므로 생성된 선형 계획 모델은 정수 선형 계획법에 따라 최적해 또는 근사 최적해가 산출되는 정수 선형 계획 모델이 된다.
최적해 산출부(270)는 선형 계획 모델 생성부(250)에서 생성한 선형 계획 모델을 만족하는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산출함으로써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한다. 최적해 산출부(270)는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구하기 위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하나 이상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해 산출부(270)는 최적해를 산출하기 위하여 분기 한정법(Branch and Bound)을 이용하거나, 최적 근사해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표준형으로 변형한 뒤 심플렉스(Simplex)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최적 근사해는 심플렉스법을 이용해서 얻은 근사해를 반올림, 올림 또는 내림 등을 통해 정수로 변환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최적해 산출부(250)는 상술한 분기 한정법 또는 심플렉스법 등을 수행하기 위해 LINDO, LINGO 등의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도 4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단일 또는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에 대한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먼저,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후,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포함되는 각 동작의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이 되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한다(S10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체 재생 횟수는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스케줄링 대상 기간 내에 재생되어야 하는 최소 재생 횟수 또는 재생될 수 있는 최대 재생 횟수를 의미한다. 상기 전체 재생 횟수는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주체와 콘텐츠 재생 주체의 계약에 의해 정해진 횟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한다(S120). 예를 들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이 '1 시간'인 경우, 1 시간 단위로 소정의 가중치를 결정한다.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의 계수로 설정되는 값으로, 스케줄링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 최대화를 목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이 '20 대 남성'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20 대 남성'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간에 해당하는 타임 슬롯에 더 큰 가중치 값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관계없이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간대에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콘텐츠 계약 비용 대비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최대화하는 목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콘텐츠 계약 비용으로 나눈 값을 기초로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등의 정보는 데이터 분석 장치(700)가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또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장치(700)는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수집된 WIFI 데이터를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전체 재생 횟수 및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한다(S140). 자세하게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 변수로 설정하고,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목적 함수를 설정하며, 상기 전체 재생 횟수 정보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제약 조건을 설정한다. 단,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은 스케줄링 목적 또는 획득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한 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한다(S160). 다시 말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에 해당하는 결정 변수의 값을 산출함으로써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기 한정법(Branch and Bound) 또는 심플렉스(Simplex)법 등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목적에 따라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의 값을 결정함으로써 다양한 목적 기반의 스케줄링이 가능하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타입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스케줄링을 함으로써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할 수 있는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는 'n' 개이고, 스케줄링 대상 기간은 '1 일'이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은 '1 시간'이라고 가정한다. 단,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개수, 상기 스케줄링 대상 기간 및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는 선형 계획 모델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결정 변수(Xij)는 'n'개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중 'j'번째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i'번째 타임 슬롯에서 재생되는 횟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결정 변수(X15)는 5 번째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1 번째 타임 슬롯에서 재생되는 횟수를 의미한다. 상기 가정에 따라 타임 슬롯은 총 24 개(24 시간/1 시간 = 24)이므로 변수(i)는 1 이상 24 이하의 정수가 되고, 변수(j)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 변수(Xij)의 개수는 '24n'개가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는 상기 결정 변수(Xij)에 타임 슬롯 별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를 곱한 값의 합산 값을 최대로 하는 함수로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선호도가 높은 타임 슬롯에 할당될수록 상기 목적 함수의 값이 커지기 때문이다.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는 'n'개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중 'j'번째 콘텐츠가 'i'번째 타임 슬롯에서 갖는 가중치 값을 의미한다.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선호도가 높을수록 큰 값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 함수는 선형 계획 모델의 쌍대성에 따라 결정 변수(Xij) 및 다른 방식으로 결정된 가중치의 곱을 합산한 값이 최소가 되는 함수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단, 이는 선형 계획 모델의 쌍대성에 따른 변형에 불과할 뿐이므로 도 6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델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쌍대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개념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논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할 선형 계획 모델 또한 상기 쌍대성에 따라 목적 함수 및 제약 조건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형 계획 모델의 표현 방식의 차이에 불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약 조건을 살펴보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결정 변수 값의 합(∑Xij)이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Nj)보다 크거나 같다는 제1 제약 조건(∑Xij >= Nj) 또는 작거나 같다는 제2 제약 조건(∑Xij <= Nj) 중 어느 하나의 제약 조건을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체 재생 횟수가 스케줄링 대상 기간 동안의 최소 재생 횟수를 의미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1 제약 조건을 설정하고, 최대 재생 횟수를 의미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2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계약을 통해 전체 재생 횟수가 주어진 경우, 상기 계약에 지정된 횟수는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걸쳐 재생되어야 하는 최소 재생 횟수를 의미하므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1 제약 조건을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은 전체 재생 횟수가 최소 재생 횟수인 경우를 예로 도시하였다.
상술한 전체 재생 횟수에 대한 제약 조건은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에서 상기 전체 재생 횟수에 대한 제약 조건으로 'n' 개의 제약 조건(∑Xij <= Nj, j = 1, 2,… , n)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각 타임 슬롯 별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결정 변수 값과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Hj)의 곱을 합산한 값(∑Xij * Hj)이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3600')보다 작거나 같다는 조건(∑Xij * Hj <= 3600)을 선형 계획 모델의 추가 제약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결정 변수(Xij)의 값인 타임 슬롯 별 재생 횟수는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범위 내에서 재생될 수 있는 횟수로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추가 제약 조건은 각 타임 슬롯 별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총 '24' 개의 제약 조건(∑Xij * Hj <= 3600, i = 1, 2,… , 24)이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에서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3600') 은 1 시간으로 가정한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을 초 단위로 환산(1시간 * 60분 * 60초 = 3600)한 값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콘텐츠의 재생 시간(Hj)은 초 단위로 결정되는 점을 반영하여 제약 조건을 설정한 것이다.
마지막 제약 조건은 결정 변수의 비음 조건(Non-negative Constraint, Xij >= 0)에 대한 것이다. 이는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인 결정 변수는 항상 0 보다 크거나 같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상기 비음 조건에 대한 제약 조건은 모든 결정 변수에 대하여 설정되므로 총 '24n'개의 제약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선형 계획 모델이 생성된 후,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실행 가능해(Feasible Solution)에서 도 6에 도시된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는 결정 변수(Xij)의 값인 최적해 또는 근사 최적해를 산출함으로써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운영 시간,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 및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우선 순위에 대한 조건이 부가된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각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운영 시간은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가 운영되는 전체 시간을 의미한다. 실제 예에서는,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가 설치된 장소의 출입 시간이 정해져 있거나,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운영 정책 등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운영 시간이 제약될 수 있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는 콘텐츠 제공 주체와 콘텐츠 재생 주체의 계약 비용을 반영하여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결정한 우선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광고 비용이 높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결정하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가 동일한 복수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있는 경우,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가 낮더라도 특정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은 예를 들면 공익목적의 콘텐츠가 일정 비율 이상 재생되어야 되는 등의 조건을 의미한다. 실제 사용 예에서는, 법률 규정이나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의 운영 정책에 따라 상술한 조건이 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외 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과 같은 법령은 공공목적의 광고 내용을 시간당 100 분의 20 범위 내에서 재생하여야 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술한 조건을 반영하여 도 7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운영 시간의 제약에 따라 스케줄링 대상 기간이 변경되므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결정 변수(Xij)의 개수를 변경된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맞춰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콘텐츠 재생 장치(300, 350)의 운영 시간이 '18 시간(6 시 ~ 23 시)'이라는 정보를 획득한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기간을 '18 시간'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변경된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따라 타임 슬롯은 총 18 개가 되므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결정 변수(Xij)의 변수(i)의 값의 범위를 6 내지 23 사이의 정수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결정 변수(Xij)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 정보를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에 반영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우선 순위 정보의 값이 높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는 다른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비해 타임 슬롯 별 가중치의 값이 작더라도, 우선적으로 할당될 수 있도록 스케줄링 하기 위해서이다.
도 7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함수를 살펴보면, 연산자(ⓧ)는 임의의 연산자를 의미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연산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연산자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산자가 기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산자는 '곱 연산자'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기 설정된 연산자를 이용하여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 및 결정 변수(Xij)의 곱한 값의 합산 값이 최대화되는 함수를 목적 함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 함수를 이용하는 경우,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의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 크더라도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해당 타임 슬롯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에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타임 슬롯 별로는 달라지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Rj'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 정보가 타임 슬롯 별로 달라지는 경우, 상기 선형 계획 모델에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는 'Rij'로 변경될 수 있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타임 슬롯 별 가중치와 별도로 목적 함수에 반영함으로써 얻는 이점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상기 우선 순위가 콘텐츠 계약 비용을 기초로 결정된 우선 순위인 경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뿐만 아니라 콘텐츠 계약 비용을 더 고려하여 스케줄링이 수행되기 때문에, 콘텐츠 재생 주체의 수익이 향상될 수 있다. 즉, 타임 슬롯 별 가중치가 유사한 복수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하여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배치하게 되므로 경쟁에 따라 콘텐츠 계약 비용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콘텐츠 재생 주체의 수익이 향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은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에 반영될 수 있다. 상기 재생 비율 정보를 제약 조건에 추가하는 이유는 콘텐츠 재생 비율이 추가되는 경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스케줄링 시간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공익목적의 콘텐츠가 시간당 100 분의 20의 비율로 추가되는 경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는 시간당 48분(60분 * 80/100 = 48) 내에서 스케줄링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콘텐츠 재생 비율은 제약 조건으로 설정되게 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타입 별 전체 재생 시간이 각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곱한 값보다 작거나 같다는 조건을 제약 조건에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운영 시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부가된 경우 스케줄링 대상 기간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운영 시간이 된다.
도 7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은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운영 시간이 '18 시간'이고 공익 광고, 쇼핑몰 관련 광고, 외부의 광고의 비율이 각각 20%, 40%, 40%라고 주어진 경우 생성되는 선형 계획 모델이다. 변수(t)는 콘텐츠의 타입을 의미하고, 변수(t)의 값이 '1'인 경우, 공익 광고, '2'인 경우 쇼핑몰 관련 광고, '3'인 경우 외부의 광고를 의미한다. 또한, 수식(∑∑Xt ij * Hj)은 각 콘텐츠 타입 별 전체 재생 시간이며, 변수(Rt)는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비율에 따라 공익 광고에 대한 콘텐츠 재생 비율(R1)은 '0.2'가 되고, 쇼핑몰 관련 광고에 대한 콘텐츠 재생 비율(R2)은 '0.4'가 되고, 외부의 광고에 대한 콘텐츠 재생 비율(R3)은 '0.4'가 되며, 스케줄링 대상 기간은 '18 시간'이므로 초 단위로 환산하여 '3600 * 18'이 된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외부의 광고 콘텐츠(t = 3)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비율(R3)에 대한 제약 조건(∑∑X3 ij * Hj <= 3600 * 18 * R3)을 추가한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구함으로써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공익 광고 콘텐츠(t = 1)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비율(R1)에 대한 제약 조건(∑∑X1 ij * Hj<= 3600 * 18 * R1)을 추가한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구함으로써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상기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상술한 발명의 개념을 확장하여,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상기 콘텐츠 스케줄링을 위한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는 스케줄링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후,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설치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동일하거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개념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한다(S200).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 전체 재생 횟수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재생 횟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재생 횟수를 합산한 횟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4 대의 콘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 전체 재생 횟수는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4 대의 콘텐츠 재생 장치로 분배되어 재생되는 전체 재생 횟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전체 재생 횟수는 경우에 따라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걸쳐 재생되어야 하는 최소 재생 횟수 또는 재생 될 수 있는 최대 재생 횟수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의 계수가 되는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한다(S220). 상기 선호도 가중치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값을 의미한다.
상기 선호도 가중치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타임 슬롯 별로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제1 선호도 가중치,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제2 선호도 가중치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는 제3 선호도 가중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에 이용되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시간 별 선호도만을 반영한 가중치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선호도 가중치는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하여 확장한 가중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또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는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설치 위치마다 달라질 수 있으므로, 유동 인구가 많은 위치를 선호하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선호도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마다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는 이와 같은 점을 반영한 가중치로 이해될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제2 선호도 가중치는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선호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지리적 위치의 특징은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유동 인구수의 변화와 무관한 특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리적 위치의 특징은 입구, 출구, 분기점, 엘리베이터 주변 등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지리적 위치의 특징을 갖는 곳에 설치된 콘텐츠 재생 장치는 특정 고객에 의해 이용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제3 선호도 가중치는 각 콘텐츠 재생 장치마다 달라질 수 있는 하드웨어적 특징을 반영한 가중치이다. 상기 하드웨어적 특징은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지리적 위치에서의 유동 인구수의 변화와 무관한 특징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종류, 디스플레이의 크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소리 재생 가능 여부 등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크거나 해상도가 높을수록 콘텐츠의 노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시간 별 가중치의 개념만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 데 반해,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는 각 콘텐츠 재생 장치 별로 달라질 수 있는 추가적인 선호도를 고려하여 스케줄링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전체 재생 횟수 및 선호도 가중치를 기초로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한다(S240). 자세하게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 변수로 설정하고, 선호도 가중치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목적 함수를 설정하며, 상기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제약 조건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목적 함수에 이용되는 선호도 가중치는 상술한 제1 선호도 가중치, 제2 선호도 가중치 및 제3 선호도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호도 가중치가 이용될 수 있다. 단,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선형 계획 모델은 스케줄링의 목적 또는 획득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한 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선형 계획 모델 기반의 최적해 또는 근사 최적해를 산출함으로써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한다(S260).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는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선형 계획 모델과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8을 참조하여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단일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선호도 가중치를 이용함으로써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도 최적의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도 9a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도 9a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쇼핑몰에 위치한 4 대의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는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상기 쇼핑몰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광고 콘텐츠 또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a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 데이터 수집 장치(500), 데이터 분석 장치(700) 및 네트워크가 생략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도 9a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술한 장치(100, 500, 7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링의 목적이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최대화는 것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간에 대응되는 타임 슬롯에 더 큰 가중치 값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별로 유동 인구수가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기 위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보인 히트맵(Heat Map)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히트맵은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 정보를 디지털 지도 상에 도시한 것이다. 도 9b의 경우, 음영의 농도가 짙을수록 유동 인구수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가 설치된 장소인 쇼핑몰을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9b의 경우 3 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것을 알 수 있다. 각 영역은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가 유사한 영역으로 히트맵의 음영의 농도가 같은 영역을 의미하고 각 영역의 위치 및 크기는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3 개의 분할된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가중치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영의 농도가 같은 짙은 제1 영역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고, 음영의 농도가 중간인 제2 영역에 두 번째로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며, 음영의 농도가 가장 옅은 제3 영역에 가장 낮은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제1 선호도 가중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음영의 농도가 가장 짙은 제1 영역에 위치한 콘텐츠 재생 장치(301)에 대한 제1 선호도 가중치를 제1 영역에 부여된 가중치로 결정할 수 있고, 음영의 농도가 중간 정도인 제2 영역에 위치한 콘텐츠 재생 장치(303)에 대한 제1 선호도 가중치를 제2 영역에 부여된 가중치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동일한 영역에 위치한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제1 선호도 가중치를 동일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1 영역에 위치한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7)에 대하여 동일하게 제1 영역에 부여된 가중치 값을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7)에 대한 제1 선호도 가중치로 결정할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각 타임 슬롯 별로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가 위치한 영역의 가중치를 제1 선호도 가중치로 결정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결정된 제1 선호도 가중치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깃 고객층의 대기 시간 및 타깃 고객층의 응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초로 제1 선호도 가중치를 보정할 수 있다.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는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타깃 고객층의 대기 시간이 더 길수록 향상될 수 있고, 타깃 고객층의 응시 대상이 콘텐츠 재생 장치에 해당하는 경우 더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가 많더라도 타깃 고객층의 대기 시간이 짧은 경우는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의 노출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없으므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더 작은 값으로 보정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타깃 고객층의 대기 시간이 긴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더 큰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타깃 고객층의 대기 시간 및 타깃 고객층의 응시 대상은 데이터 분석 장치(700)가 각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수집된 영상을 기초로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추출될 수 있다.
참고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관계없이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간대에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 이때에는 전체 유동 인구수에 대한 히트맵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서 제1 선호도 가중치를 이용하여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하는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을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 확장한 선형 계획 모델이다. 이후, 후술한 선형 계획 모델에서 콘텐츠 재생 장치는 'm'대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개수, 스케줄링 대상 기간 및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은 도 7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과 동일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정 변수(Xijk)는 'j'번째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k'번째 콘텐츠 재생 장치의 'i'번째 타임 슬롯에서 재생되는 횟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결정 변수(X154)는 5 번째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4 번째 콘텐츠 재생 장치의 1 번째 타임 슬롯에서 재생되는 횟수를 의미한다. 상기 가정에 따라 타임 슬롯은 총 18 개(18 시간/1 시간 = 18)이므로 변수(i)는 6 이상 23 이하의 정수가 되고, 변수(j)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가 되며, 변수(k)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가 된다. 이에 따라, 결정 변수(Xijk)의 개수는 '24mn'개가 된다.
다음으로 목적함수를 살펴보면, 제1 선호도 가중치(Wijk)는 'j'번째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k'번째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i'번째 타임 슬롯에 가질 수 있는 선호도 가중치를 의미한다.
연산자(ⓧ)는 임의의 연산자를 의미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1 선호도 가중치(Wijk)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연산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연산자를 '곱 연산자'로 결정하여 제1 선호도 가중치(Wijk),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 및 결정 변수(Xijk)의 곱한 값의 합산 값이 최대화되는 함수를 목적 함수로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선호도 가중치(Wijk)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의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 크더라도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해당 타임 슬롯에 배치되도록 스케줄링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제약 조건은 도 7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근사 최적해를 산출함으로써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1 선호도 가중치를 이용하여 생성된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콘텐츠 재생 장치의 위치에 따른 제2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선형 계획 모델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선형 계획 모델에 이용되는 선호도 가중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콘텐츠 재생 장치의 위치적 특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선호도 가중치인 제2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고 선형 계획 모델에 반영할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구축된 장소에서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이 기 설정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제2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 출구, 분기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b를 다시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구축된 장소인 쇼핑몰에서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7)는 출구 또는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경험적으로 출구 또는 입구의 경우, 쇼핑몰을 방문하는 고객들이 길 찾기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7)를 이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303)과 같이 분기점에 설치된 경우 역시 방문 고객들이 어느 한쪽의 경로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콘텐츠 재생 장치(303)를 많이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가 기 설정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을 갖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2 선호도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위치가 입구, 출구 및 분기점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여부는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IPS(In-door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접목 시키고, 디지털 지도 상에서의 위치를 분석함으로써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이 자동으로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의 노출 효과는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 중에서 실질적으로 콘텐츠에 노출되는 인구를 더 고려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술한 지리적 위치의 특징에 따라 부여될 수 있는 제2 선호도 가중치를 이용함으로써 선형 계획 모델에 이용되는 선호도 가중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선호도 가중치를 반영한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선형 계획 모델의 결정 변수 및 제약 조건은 도 10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과 동일하므로 이에 설명은 도 10을 참조한다.
도 11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를 살펴보면, 제2 선호도 가중치(Mk)는 'k'번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따른 선호도 가중치를 의미한다. 상기 제2 선호도 가중치가 'Mk'로 도시된 것은 상기 제 제2 선호도 가중치가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가변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상기 제2 선호도 가중치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 상기 제2 선호도 가중치는 'Mjk'로 변경될 수 있다.
연산자(ⓧ)는 임의의 연산자를 의미하고,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1 선호도 가중치(Wijk), 제2 선호도 가중치(Mk) 및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연산자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선호도인 제3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3 선호도 가중치를 목적 함수에 반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요인은 콘텐츠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종류, 디스플레이의 크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소리 재생 여부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크고, 해상도가 높고, 소리까지 재생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가 커질수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제3 선호도 가중치는 제2 선호도 가중치(Mk)와 동일한 형식으로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에 반영될 수 있다. 또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제3 선호도 가중치가 달라지는 경우, 'Mjk'와 같은 형식으로 목적 함수에 반영될 수 있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제3 선호도 가중치가 달라진다는 것은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에 따라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노출 효과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제2 선호도 가중치 및 제3 선호도 가중치를 추가한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최적의 스케줄링 조합은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의 계수가 되는 가중치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정확한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스케줄링 결과의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주변의 매장 정보를 반영하여 연관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선형 계획 모델을 설명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주변 매장과 관련된 연관 콘텐츠의 경우 선호도 높은 타임 슬롯에 우선적으로 배치하도록 스케줄링 함으로써 콘텐츠의 제공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각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의 주변 매장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가 많은 시간에 재생되도록 스케줄링 함으로써 쇼핑몰의 전반적인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주변의 매장 정보를 반영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주변 매장과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사이의 연관성을 가리키는 가중치(이하 '연관 가중치')를 결정하고, 이를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각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주변 매장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구현방식에 따라 상기 주변 매장의 범위는 기 설정되어 있거나, 범위가 아니라 주변 매장의 리스트 등의 정보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범위는 각 콘텐츠 재생 장치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매장의 정보를 획득하고, 매장의 정보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사이의 연관 관계를 기초로 연관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매장의 정보는 매장의 위치 정보, 매장의 브랜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매장의 브랜드와 연관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연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의 지리적 위치와 상기 매장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차등적으로 연관 가중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장치(301, 303, 305, 307)의 지리적 위치와 거리가 가까운 매장과 연관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인 경우 더 높은 연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선형 계획 모델에서 상술한 연관 가중치를 반영한 선형 계획 모델이다. 도 13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결정변수(Xijk) 및 제약 조건은 도 11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를 살펴보면, 연관 콘텐츠에 대한 가중치(Ljk)는 'j' 번째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k'번째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갖는 연관 가중치를 의미한다. 상기 도 13에는 상기 연관 콘텐츠에 대한 가중치가 타임 슬롯 별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Ljk'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연관 콘텐츠가 타임 슬롯 별로 달라지는 경우, 상기 연관 콘텐츠는 'Lijk'로 도시될 수 있다.
연산자(ⓧ)는 임의의 연산자를 의미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1 선호도 가중치(Wijk),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 정보(Rj) 및 연관 콘텐츠에 대한 가중치 정보(Ljk)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연산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연산자를 '곱 연산자'로 결정하여 제1 선호도 가중치(Wijk),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 연관 가중치(Ljk) 및 결정 변수(Xijk)의 곱한 값의 합산 값이 최대화되는 함수를 목적 함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선호도 가중치(Wijk),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 및 연관 가중치(Ljk)의 반영 비율을 조정하기 위해 적절한 상수를 각 가중치 및 우선 순위에 곱한 값과 결정 변수(Xijk)를 곱한 값의 합산 값이 최대화 되는 함수를 상기 목적 함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1 선호도 가중치(Wijk) 외에도 제2 선호도 가중치 또는 제3 선호도 가중치를 추가로 이용하여 목적 함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지금까지 상술한 다양한 선호도 가중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 연관 가중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목적 함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도 13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근사 최적해를 산출함으로써, 다중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 환경에서 제1 선호도 가중치(Wijk),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 및 연관 가중치(Ljk)를 고려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관 가중치를 추가로 도입한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선형 계획 모델에 따르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주변 매장과 관련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선호도 높은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주변 매장과 관련된 콘텐츠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가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
    각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타임 슬롯 별로 부여되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선호도를 가리키는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 별로 부여되고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에 따른 선호도를 가리키는 제2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 변수(Decision Variable)로 갖고,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 및 상기 제2 선호도 가중치가 상기 결정 변수의 계수로 설정된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를 갖는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Constraints)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통해 상기 설정된 제약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목적 함수의 값을 최대화하는 상기 결정 변수의 값을 도출함으로써,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는 상기 타임 슬롯 별로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고,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있는 타깃 고객층의 대기 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호도 가중치는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의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고,
    상기 지리적 위치의 특징은 상기 지리적 위치의 유동 인구수의 변화와 무관한 특징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 별로 부여되고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에 따른 선호도를 가리키는 제3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선호도 가중치는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특징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며,
    상기 하드웨어적 특징은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지리적 위치의 유동 인구수의 변화와 무관한 특징이되,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 내지 상기 제3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결정 변수의 계수로 갖는 함수를 상기 목적 함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 별로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에서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위치한 영역에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상기 복수의 영역의 위치 및 크기는 상기 유동 인구수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 별로 부여되고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징에 따른 선호도를 가리키는 제3 선호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 내지 상기 제3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결정 변수의 계수로 갖는 함수를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함수는,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 상기 제2 선호도 가중치 및 상기 결정 변수 값의 곱을 합산하는 형태로 설정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콘텐츠 재생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매장의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매장의 정보는 매장의 브랜드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매장의 브랜드와 연관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부여되는 연관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 상기 선호도 가중치 및 상기 연관 가중치를 상기 결정 변수의 계수로 갖는 함수를 상기 목적 함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함수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선호도 가중치, 상기 제2 선호도 가중치, 상기 연관 가중치 및 상기 결정 변수 값의 곱을 합산하는 형태의 함수를 상기 목적 함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KR1020160134106A 2016-10-17 2016-10-17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201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06A KR102014748B1 (ko) 2016-10-17 2016-10-17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15/785,851 US20180108033A1 (en) 2016-10-17 2017-10-17 Conten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in multi-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06A KR102014748B1 (ko) 2016-10-17 2016-10-17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57A KR20180041857A (ko) 2018-04-25
KR102014748B1 true KR102014748B1 (ko) 2019-08-27

Family

ID=6190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106A KR102014748B1 (ko) 2016-10-17 2016-10-17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108033A1 (ko)
KR (1) KR102014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977B1 (ko) 2016-10-17 2019-08-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N109086998A (zh) * 2018-08-02 2018-12-25 东莞尊荣鞋业有限公司 一种基于冷粘鞋自动化生产的排产方法
CN111080357B (zh) * 2019-12-12 2023-08-25 恩亿科(北京)数据科技有限公司 产品投放占比的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054716A1 (ja) 2020-09-14 2022-03-17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配信管理装置
CN113159715B (zh) * 2021-04-06 2023-04-28 杭州远传新业科技股份有限公司 客服坐席排班方法、系统、电子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580B1 (ko) 2000-02-29 2007-07-02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광고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027808A (ja) 2010-07-27 2012-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モデルパラメータ学習装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6622A1 (en) * 2000-12-15 2004-02-26 Semyon Dukach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igns
US7873708B2 (en) * 2004-04-28 2011-01-18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ing and directory assistance services
US20080306804A1 (en) * 2007-06-06 2008-12-11 Opdycke Thomas C Systems for scheduling marketing campaigns in public places in order to enable measurement and optimization of audience response
US9947018B2 (en) * 2007-07-03 2018-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ime-slot samples to which content may be assigned for measuring effects of the assigned content
KR20110028067A (ko) 2009-09-11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20130052883A (ko) * 2011-11-14 2013-05-23 (주)쓰리제이커뮤니케이션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6138930B2 (ja) * 2012-06-29 2017-05-31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ジタル看板上での表示のための広告を選択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782683B2 (en) * 2012-10-12 2014-07-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dvertising
KR101573190B1 (ko) * 2014-04-21 2015-12-01 (주)대한에이앤씨 실시간 유동 인구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2564A (ko) *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씨큐트로닉스 출입자 식별에 기반한 가정 내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43915B1 (ko) * 2014-09-25 2016-08-01 디노플러스 (주)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580B1 (ko) 2000-02-29 2007-07-02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광고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027808A (ja) 2010-07-27 2012-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モデルパラメータ学習装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57A (ko) 2018-04-25
US20180108033A1 (en)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748B1 (ko)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11416296B2 (en) Selecting an optimal combination of cloud resources within budget constraints
US11164195B2 (en) Increasing sales efficiency by identifying customers who are most likely to make a purchase
KR20140120306A (ko) 마케팅 믹스 솔루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96831A1 (en) Automatic, adaptive and optimized sensor selection and virtualization
US11321654B2 (en) Skew-mitigated evolving prediction model
US20200074508A1 (en) Cognitive elevator advertisements
Camejo et al. Cost-effectiveness and dynamic efficiency: does the solution lie within?
Villarraga et al. Modelling the spatial nature of household residential mobility within municipalities in Colombia
KR101970977B1 (ko)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Henneberger Covering peak demand by using cloud services–an economic analysis
KR102023407B1 (ko) 버스외부광고 효과 분석서버 및 방법
US20220138641A1 (en) Dynamically selecting geographic regions based on third party servers using machine learning processes
Bilali et al. Analytical model to estimate ride pooling traffic impacts by using the macroscopic fundamental diagram
US20180082339A1 (en) Cognitive advertisement optimization
KR20150110956A (ko) 인터넷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32352B2 (en) Determining demand response impact scores and target customer group for energy saving events
CN116739665A (zh) 信息投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0021962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risk adjustment factor prediction
US10921887B2 (en) Cognitive state aware accelerated activity completion and amelioration
KR101249971B1 (ko) 광고 시스템 및 그의 광고 제어 방법
KR20220033270A (ko) 사용자 스테이 적응형 광고 장치
JP2015103246A (ja) 価格決定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およびサービスのためのロバストな価格決定解決法)
US11178257B1 (en) Incarnation selection for application hosting on remote services environment
CN116996398B (zh) 一种基于数学规划的cdn业务带宽优化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