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977B1 -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977B1
KR101970977B1 KR1020160134105A KR20160134105A KR101970977B1 KR 101970977 B1 KR101970977 B1 KR 101970977B1 KR 1020160134105 A KR1020160134105 A KR 1020160134105A KR 20160134105 A KR20160134105 A KR 20160134105A KR 101970977 B1 KR101970977 B1 KR 10197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ime slot
scheduling
scheduled
planning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856A (ko
Inventor
강지훈
최영현
한아향
주민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977B1/ko
Priority to US15/785,591 priority patent/US10861048B2/en
Publication of KR2018004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33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duration or size, e.g. length of a movie, size of an executable 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Abstract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가 주어진 경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 기반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가 수행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s Scheduling}
본 발명은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콘텐츠의 노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콘텐츠를 시간대 별로 스케줄링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비디오월(Video- wall), 키오스크(Kiosk)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활용한 옥외 광고가 광고 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옥외 광고에서 타깃 고객층에 대한 광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콘텐츠 스케줄링이다. 왜냐하면, 시간대 별로 유동적인 광고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을 고려하여 광고 콘텐츠의 노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시간대 별로 적절하게 배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그래프는 콘텐츠 스케줄링에 따른 타깃 고객층의 광고 노출 효과의 차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그래프를 비교하면, 광고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는 동일하지만 도 1b와 같이 타깃 고객층의 시간대 별 유동 인구수를 고려하여 광고 콘텐츠를 스케줄링 하는 경우 광고 노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옥외 광고 시스템은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부재로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고려한 콘텐츠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옥외 광고에서는 광고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 등 다양한 제약 조건이 부가되기 때문에 콘텐츠 스케줄링 문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옥외 광고 시스템에서 부가될 수 있는 다양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면서 타깃 고객층에 대한 광고 노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806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면서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선형 계획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가 수행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및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결정 변수(Decision Variable)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Constraints)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결정 변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 및 상기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최소 재생 횟수 및 타임 슬롯 별 최대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결정 변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타임 슬롯 별 최소 재생 횟수 및 타임 슬롯 별 최대 재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결정 변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콘텐츠 재생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시간대 별 선호도를 반영한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인 경우,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가 많은 선호 시간에 해당 콘텐츠를 배치하도록 스케줄링 함으로써 타깃 고객층에 대한 광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링을 통해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콘텐츠 제공 주체의 수익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인 경우, 타깃 고객층에 대한 광고 노출 효과가 향상되므로 이에 따라 광고 주체의 수익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의 개선에 따라 광고 비용 또한 증가되므로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운영 주체(이하 '콘텐츠 재생 주체')의 수익도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시간대 별 선호도뿐만 아니라 콘텐츠 계약 비용에 따른 우선 순위를 고려한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콘텐츠 재생 주체의 수익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시간이 비슷한 복수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우선 순위를 고려함으로써 계약 비용이 높은 콘텐츠가 우선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선호 시간대 선점을 위해 콘텐츠 계약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재생 주체의 수익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콘텐츠 스케줄링에 따른 광고 노출 효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과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및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선형 계획 모델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스케줄링은 스케줄링 대상 기간 동안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콘텐츠(Contents)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말하고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 영화 콘텐츠, 음악 콘텐츠 등이 될 수 있다.
스케줄링 대상 기간은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전체 기간을 의미한다.
타임 슬롯은 스케줄링 대상 기간을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으로 나눈 구간으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시간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기간이 '1 일'이고, '1 시간' 마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경우, 스케줄링 대상 기간 동안 총 24 개(24 시간 / 1 시간 = 24)의 타임 슬롯이 존재하고,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가 스케줄링 결과로 산출된다. 또한,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은 '1시간'이 된다.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콘텐츠의 러닝 타임 또는 재생 길이를 의미한다.
전체 재생 횟수는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걸쳐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콘텐츠 재생 장치(300)를 통해 재생되어야 하는 최소 재생 횟수 또는 재생될 수 있는 최대 재생 횟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인 경우, 상기 전체 재생 횟수는 광고 계약 등에 의해 정해진 최소 재생 횟수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의 개념을 설명한다. 이하,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의 개념은 다른 타입의 콘텐츠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가 음악 콘텐츠, 뮤직 비디오 콘텐츠인 경우에도 후술할 발명의 개념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은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 최대화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시간대 별 최적의 배치를 결정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 콘텐츠 스케줄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제약 조건이 주어진 경우 상기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배치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상기 제약 조건은 콘텐츠 제공 주체와 콘텐츠 재생 주체의 계약으로 결정될 수 있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운영 시간, 기타 법규 등에 의한 공익 광고 재생 비율 등이 될 수 있다.
정리하면, 콘텐츠 스케줄링은 소정의 목적 및 제약 조건이 주어진 경우, 상기 제약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시간대 별 최적의 배치를 결정하는 작업이고, 상기 목적이 수식화된 목적 함수로 표현되는 경우 상기 목적 함수의 값을 최적화(최대화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시간대 별 배치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시간대 별 배치는 결국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조합을 구하는 작업이므로 이는 일종의 조합 최적화 문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목적 함수 및 제약 조건이 선형 관계로 모델링 되는 경우,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시간대 별 배치는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목적 함수 및 제약 조건을 갖는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산출함으로써 콘텐츠 스케줄링이 수행될 수 있다.
선형 계획 모델은 선형 계획법에 따라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산출할 수 있는 모델로써, 결정 변수(Decision Variable),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 및 제약 조건(Constraints)을 구성 요소로 한다. 선형 계획 모델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개념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개념을 구체화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인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타임 슬롯 별로 배치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스케줄링 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옥외 광고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 및 콘텐츠 재생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 외에도 콘텐츠를 보관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콘텐츠 재생 장치(300)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제어 장치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를 살펴보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이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제어 장치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스케줄링 결과를 토대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콘텐츠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스케줄링 하는 방법은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컴퓨팅 기능 및 통신 기능을 가진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300)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예를 들어, 터미널과 같은 공공장소 또는 대형 쇼핑몰과 같은 상업 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 비디오월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사이니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콘텐츠 재생 기능 및 통신 기능을 가진 모든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등과 같은 모든 타입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와 콘텐츠 재생 장치(300)가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동일한 물리적 장치 내의 서로 다른 로직(Logic)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콘텐츠 재생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30)와, 콘텐츠 스케줄링 소프트웨어(191)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91)을 로드할 수 있다. 도 4에서 메모리(130)의 예시로 RAM이 도시되었다.
버스(150)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는 네트워크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 재생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는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 각각에 콘텐츠 스케줄링을 위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91)의 예시로 콘텐츠 스케줄링 소프트웨어(191)가 도시되었다.
스토리지(1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소프트웨어(191)는 메모리(130)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오퍼레이션(131),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오퍼레이션(133), 상기 전체 재생 횟수 및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오퍼레이션(135)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오퍼레이션(137)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정보 획득부(210), 선형 계획 모델 생성부(230) 및 최적해 산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각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정보 획득부(210)는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타임 슬롯 별 가중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되는 정보의 종류는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 스케줄링 대상 기간 동안의 전체 재생 횟수, 시간대 별 유동 인구수, 시간대 별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등이 될 수 있다.
정보 획득부(21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및 타임 슬롯 별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정보 획득부(210)가 상술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획득부(210)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 받거나, 전체 콘텐츠 재생 횟수 등의 정보가 기 저장된 설정 파일 등을 통해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는 정보 획득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보 획득부(210)가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다양하며 이는 구현 방식의 차이에 불과하다.
선형 계획 모델 생성부(230)는 정보 획득부(210)가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한다. 자세하게는, 선형 계획 모델 생성부(230)는 상기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 변수로 설정하고,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와 상기 결정 변수의 곱의 합산 값을 최대화하는 함수를 목적 함수로 설정하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횟수 등을 제약 조건으로 설정한다. 단, 상기 결정 변수, 상기 목적 함수 및 상기 제약 조건은 획득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 변수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결정 변수는 0 이상의 정수가 될 것이므로 생성된 선형 계획 모델은 정수 선형 계획법에 따라 최적해 또는 근사 최적해가 산출될 수 있다.
최적해 산출부(250)는 선형 계획 모델 생성부(230)에서 생성한 선형 계획 모델을 만족하는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산출함으로써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한다. 최적해 산출부(250)는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구하기 위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하나 이상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해 산출부(250)는 최적해를 산출하기 위하여 분기 한정법(Branch and Bound)을 이용하거나, 최적 근사해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표준형으로 변형한 뒤 심플렉스(Simplex)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최적 근사해는 심플렉스법을 이용해서 얻은 근사해를 반올림, 올림 또는 내림 등을 통해 정수로 변환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최적해 산출부(250)는 상술한 분기 한정법 또는 심플렉스법 등을 수행하기 위해 LINDO, LINGO 등의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도 5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후,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포함되는 각 동작의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이 되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한다(S10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체 재생 횟수는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스케줄링 대상 기간 내에 재생되어야 하는 최소 재생 횟수 또는 재생될 수 있는 최대 재생 횟수를 의미한다. 상기 전체 재생 횟수는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주체와 콘텐츠 재생 주체의 계약에 의해 정해진 횟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한다(S300). 예를 들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이 '1 시간'인 경우, 1 시간 단위로 소정의 가중치를 결정한다.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의 계수로 설정되는 값으로, 스케줄링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에 관계없이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간대에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콘텐츠 계약 비용 대비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를 최대화하는 목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콘텐츠 계약 비용으로 나눈 값을 기초로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타깃 고객층에 대한 콘텐츠 노출 효과만을 최대화하는 목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이 '20 대 남성'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20 대 남성'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스케줄링 장치(100)는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간에 해당하는 타임 슬롯에 더 큰 가중치 값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등의 정보는 영상 분석(Video Analytics)을 통해 도출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300)가 대형 쇼핑몰 등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인 경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주변의 영상 촬영 장치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내장된 영상 촬영 장치 등이 주변 영상을 촬영 및 수집하고, 별도의 영상 분석 모듈이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시간대 별 유동 인구수 및 성별, 연령층 등의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Demographic Data)가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 모듈은 상기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및 상기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를 기초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도출할 수 있다. 또는, 구현 방식에 따라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영상 분석 모듈로부터 상기 시간대 별 유동 인구수 및 상기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를 획득하여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도출할 수도 있다.
또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수집된 WIFI 데이터가 추가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300) 주변으로 사용자가 지나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 주변의 AP 사이에 WIFI 연결을 위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WIFI 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WIFI 프로브(Probe) 신호가 AP를 통해 수집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로브 신호의 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대 별 유동 인구수가 측정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및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사항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전체 재생 횟수 및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한다(S500). 자세하게는,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 변수로 설정하고,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목적 함수를 설정하며, 상기 전체 재생 횟수 정보 및 상기 결정 변수를 이용하여 제약 조건을 설정한다. 단,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은 획득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한 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한다(S700). 다시 말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에 해당하는 결정 변수의 값을 산출함으로써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기 한정법(Branch and Bound) 또는 심플렉스(Simplex)법 등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의 값만 변경함으로써 유연한 스케줄링이 가능하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입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함으로써 타깃 고객층에 대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노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지금까지 상술한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의 스케줄링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이다. 단, 콘텐츠의 재생 시간과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이 같은 경우, 타임 슬롯 별로 결정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횟수의 값은 0 회 또는 1 회이므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하는 것이 곧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사항을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 B)의 전체 재생 횟수를 도시하고, 도 7b는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보다 큰 경우를 도시하며, 도 7c는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과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이 동일한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표(710, 73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 B)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 값을 의미하고, 표(720, 740)는 스케줄링 결과인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 B)의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의 전체 재생 횟수는 '2'회이고,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B)의 전체 재생 횟수를 '4'회라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 B)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스케줄링 한 결과,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1 번째 타임 슬롯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의 재생 횟수를 '2 회',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B)의 재생 횟수를 '1 회'로 결정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1 개의 타임 슬롯에 재생 횟수가 1 회 이상인 복수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 B)가 할당되었으므로 재생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스케줄링이 요구될 수 있다.
구현 방식에 따라,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할당된 타임 슬롯에 대하여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교대로 배치하거나, 랜덤한 순서로 배치하는 등의 스케줄링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참고로, 광고 콘텐츠와 같이 콘텐츠 재생 시간이 짧은 콘텐츠의 경우 스케줄링에 요구되는 컴퓨팅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을 콘텐츠 재생 시간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c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1 번째 및 4 번째 타임 슬롯에 가중치 값이 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를 배치한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는, 1 번째 및 4 번째 타임 슬롯에 대하여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의 재생 횟수는 '1 회'이고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B)의 재생 횟수는 '0 회'로 결정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타임 슬롯 별로 1 회 이하의 재생 횟수를 갖는 1 개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 B)가 할당되므로 스케줄링 수행 결과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A, B)의 재생 순서(A->B->B->A->B->B)를 결정한 것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과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이 동일한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 실제 사용예에서는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을 작게 하는 경우 컴퓨팅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을 크게 하여 타임 슬롯 별 재생 횟수를 결정한 뒤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및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이 '10 대' 또는 '20 대' 등 단일한 고객층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타깃 고객층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그대로 타임 슬롯 별 가중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예에서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이 복수의 고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는 상기 복수의 타깃 고객층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가중치를 이용한 가중 평균(Weighted Average)을 구함으로써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8a는 획득된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를 가리키는 가중치의 예시도이고, 도 8b는 타임 슬롯 별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의 예시도이며, 도 8c는 도 8a 및 도 8의 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타임 슬롯 별 가중치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타깃 고객층은 10 대, 20 대, 30 대이고, 각 타임 슬롯은 오전 9 시, 오후 3 시, 오후 9 시 시간대에 대응되며, 도 8b에 도시된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는 타임 슬롯 별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도 8a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획득한 타깃 고객층인 10 대, 20 대 및 30 대의 선호도를 가리키는 가중치는 각각, '10', '50', '40'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는 예를 들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주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b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획득한 타임 슬롯에 대응되는 시간대 별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는 각각 10 대의 경우 '오후 3 시', 20 대의 경우 '오후 9 시', 30 대의 경우 '오전 9 시'에 유동 인구수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 정보는 별도의 영상 분석 모듈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c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각 타깃 고객층의 선호도를 가리키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에 대한 가중 평균을 구함으로써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9 시'에 대응되는 타임 슬롯에 대한 가중 평균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와 타깃 고객층의 가중치의 비율을 곱하면 10 대의 경우 '2'(20 * 0.1 = 2), 20 대의 경우 '10'(20 * 0.5 = 10), 30 대의 경우 '24'(60 * 0.4 = 24)가 되고, 상기 곱한 결과를 합산하면 '36'이 도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후 3 시' 및 '오후 9 시'에 대응되는 타임 슬롯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하면 각각 '24'와 '40'의 가중치가 도출된다. 구현 방식에 따라,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가중 평균에 의해 계산한 타임 슬롯 별 가중치 값을 적정한 값의 범위로 재조정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및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타임 슬롯 별 가중치 값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에 요구되는 입력 값의 타입의 제한을 완화하고 다양한 입력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술한 선형 계획 모델 생성 단계(S500)에서 생성될 수 있는 기본적인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는 'n' 개이고, 스케줄링 대상 기간은 '1 일'이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은 '1 시간'이라고 가정한다. 단,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개수, 상기 스케줄링 대상 기간 및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결정 변수(Xij)는 'n'개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중 'j'번째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i'번째 타임 슬롯에서 재생 되는 횟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결정 변수(X15)는 5 번째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1 번째 타임 슬롯에서 재생되는 횟수를 의미한다. 상기 가정에 따라 타임 슬롯은 총 24 개(24 시간/1 시간 = 24)이므로 변수(i)는 1 이상 24 이하의 정수가 되고, 변수(j)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 변수(Xij)의 개수는 '24n'개가 된다.
다음으로, 도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는 상기 결정 변수(Xij)에 타임 슬롯 별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를 곱한 값의 합산 값을 최대로 하는 함수로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선호도가 높은 타임 슬롯에 할당될수록 상기 목적 함수의 값이 커지기 때문이다.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는 'n'개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중 'j'번째 콘텐츠가 'i'번째 타임 슬롯에서 갖는 가중치 값을 의미한다.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선호도가 높을수록 큰 값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 함수는 선형 계획 모델의 쌍대성에 따라 결정 변수(Xij) 및 다른 방식으로 결정된 가중치의 곱을 합산한 값이 최소가 되는 함수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단, 이는 선형 계획 모델의 쌍대성에 따른 변형에 불과할 뿐이므로 도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델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쌍대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개념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논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할 선형 계획 모델 또한 상기 쌍대성에 따라 목적 함수 및 제약 조건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형 계획 모델의 표현 방식의 차이에 불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약 조건을 살펴보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결정 변수 값의 합(∑Xij)이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Nj)보다 크거나 같다는 제1 제약 조건(∑Xij >= Nj) 또는 작거나 같다는 제2 제약 조건(∑Xij <= Nj) 중 어느 하나의 제약 조건을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체 재생 횟수가 스케줄링 대상 기간 동안의 최소 재생 횟수를 의미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1 제약 조건을 설정하고, 최대 재생 횟수를 의미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2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계약을 통해 전체 재생 횟수가 주어진 경우, 상기 계약에 지정된 횟수는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걸쳐 재생되어야 하는 최소 재생 횟수를 의미하므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제1 제약 조건을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은 전체 재생 횟수가 최소 재생 횟수인 경우를 예로 도시하였다.
상술한 전체 재생 횟수에 대한 제약 조건은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 별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도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에서 상기 전체 재생 횟수에 대한 제약 조건으로 'n' 개의 제약 조건(∑Xij <= Nj, j = 1, 2,… , n)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각 타임 슬롯 별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결정 변수 값과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Hj)의 곱을 합산한 값(∑Xij * Hj)이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3600')보다 작거나 같다는 조건(∑Xij * Hj <= 3600)을 선형 계획 모델의 추가 제약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결정 변수(Xij)의 값인 타임 슬롯 별 재생 횟수는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범위 내에서 재생될 수 있는 횟수로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추가 제약 조건은 각 타임 슬롯 별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총 '24' 개의 제약 조건(∑Xij * Hj <= 3600, i = 1, 2,…, 24)이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에서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3600') 은 1 시간으로 가정한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을 초 단위로 환산(1시간 * 60분 * 60초 = 3600)한 값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콘텐츠의 재생 시간(Hj)은 초 단위로 결정되는 점을 반영하여 제약 조건을 설정한 것이다.
마지막 제약 조건은 결정 변수의 비음 조건(Non-negative Constraint, Xij >= 0)에 대한 것이다. 이는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인 결정 변수는 항상 0 보다 크거나 같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상기 비음 조건에 대한 제약 조건은 모든 결정 변수에 대하여 설정되므로 총 '24n'개의 제약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선형 계획 모델이 생성된 후,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도 9a에 도시된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실행 가능해(Feasible Solution)에서 도 9a에 도시된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는 결정 변수(Xij)의 값인 최적해 또는 근사 최적해를 산출함으로써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한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심플렉스법을 이용하여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근사 최적해를 산출하는 경우, 도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은 도 9b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형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도 9b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은 도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과 유사하나 여유 변수(Slack Variable, Sij) 또는 잉여 변수(Surplus Variable, Sij)를 도입하여 부등식이 등호 형식으로 변환된 것임을 불과하다. 즉,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은 표현 상의 차이가 존재하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형 계획 모델을 지칭하는 것임에 유의한다. 상술한 여유 변수 및 잉여 변수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용어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기본적인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다양한 제약 조건이 부가된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운영 시간에 대한 조건이 부가된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은 스케줄링 대상 기간동안 콘텐츠 재생 장치(300)가 계속해서 운영된다는 가정 하에 생성된 선형 계획 모델이다. 그러나 실제의 사용 예에서 콘텐츠 재생 장치(300)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기간 중 일정 시간만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300)가 설치된 장소의 출입 시간이 정해져 있거나,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운영 정책 등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운영 시간이 제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기간을 상기 운영 시간으로 변경하여 도 10과 유사한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운영 시간이 '18 시간(6 시 ~ 23 시)'이라는 정보를 획득한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기간을 '18 시간'으로 변경하여 도 10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과 도 10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을 비교하면, 결정 변수(Xij)의 개수가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운영 시간 조건에 따라 스케줄링 대상 기간이 줄어든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결정해야 할 타임 슬롯의 개수 또한 줄어들기 때문이다. 즉,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이 '1시간'이고, 운영 시간 조건에 따라 스케줄링 대상 기간이 '18 시간(6 시 ~ 23 시)'으로 줄어든 경우 타임 슬롯은 총 18 개이므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결정 변수(Xij)의 변수(i)의 값의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결정 변수(Xij)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 외에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 조건이 더 부가되는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만을 이용하여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였으나,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추가로 이용하여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는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에 반영되지 않은 별도의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값이다. 예를 들면,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는 콘텐츠 제공 주체와 콘텐츠 재생 주체의 계약 비용을 기초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결정한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가 계약 비용에 따른 우선 순위를 의미하는 경우, 콘텐츠 계약 비용이 높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가 동일한 복수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있는 경우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가 낮더라도 우선 순위가 높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 함수의 계수에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의 목적함수를 살펴보면, 연산자(ⓧ)는 임의의 연산자를 의미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연산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연산자에 대한 실험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산자가 기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산자는 '곱 연산자'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기 기 설정된 연산자를 이용하여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 및 결정 변수(Xij)의 곱한 값의 합산 값이 최대화되는 함수를 목적 함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 함수를 이용하는 경우, 타임 슬롯 별 가중치(Wij)와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의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 크더라도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해당 타임 슬롯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1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에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Rj)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따라 다른 값이 결정될 수 있으나, 타임 슬롯 별로는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Rj'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가 타임 슬롯 별로 달라지는 경우, 상기 선형 계획 모델에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는 'Rij'로 변경될 수 있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타임 슬롯 별 가중치와 별도로 목적 함수에 반영함으로써 얻는 이점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상기 우선 순위가 콘텐츠 계약 비용을 기초로 결정된 우선 순위인 경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가중치뿐만 아니라 콘텐츠 계약 비용을 더 고려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에, 콘텐츠 재생 주체의 수익이 향상될 수 있다. 즉, 타임 슬롯 별 가중치가 유사한 복수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에 대하여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를 배치하게 되므로 경쟁에 따라 콘텐츠 계약 비용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콘텐츠 재생 주체의 수익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최소 재생 횟수 및/또는 최대 재생 횟수 조건이 더 부가된 경우의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타임 슬롯 별 최소 재생 횟수 및/또는 최대 재생 횟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는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에 상기 타임 슬롯 별 최소 재생 횟수 및/또는 최대 재생 횟수를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슬롯 별 최소 재생 횟수가 '8 회'이고 최대 재생 횟수가 '32 회'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과 도 11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을 비교하면,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 별 콘텐츠 재생 횟수인 결정 변수(Xij)에 대한 제약 조건(8 <= Xij <= 32)이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추가된 제약 조건을 더 만족하는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구함으로써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에 대한 조건이 더 부가된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하는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옥외 광고 시스템과 같은 실제 사용예의 경우, 법령에 의해 공공목적의 콘텐츠가 일정 비율로 재생되어야 하거나, 운영 정책 상 대형 쇼핑몰 관련 광고가 일정 비율로 재생되어야 하는 등의 조건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외 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과 같은 법령은 공공목적의 광고 내용을 시간당 100 분의 20 범위 내에서 재생하여야 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상술한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재생 비율 정보를 제약 조건에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재생 비율 정보를 제약 조건에 추가하는 이유는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이 추가되는 경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스케줄링 시간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공공목적의 콘텐츠가 시간당 100 분의 20의 비율로 추가되는 경우, 다른 타입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는 시간당 48분(60분 * 80/100 = 48) 내에서 스케줄링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은 일종의 제약 조건으로 설정되게 된다.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타입 별 전체 재생 시간이 각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곱한 값보다 작거나 같다는 조건을 제약 조건에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운영 시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부가된 경우 스케줄링 대상 기간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운영 시간이 된다.
도 13에 도시된 선형 계획 모델은 콘텐츠 재생 장치(300)의 운영 시간이 '18 시간'이고 공익 광고, 쇼핑몰 관련 광고, 외부의 광고의 비율이 각각 20%, 40%, 40%라고 주어진 경우 생성되는 선형 계획 모델이다. 변수(t)는 콘텐츠의 타입을 의미하고, 변수(t)의 값이 '1'인 경우, 공익 광고, '2'인 경우 쇼핑몰 관련 광고, '3'인 경우 외부의 광고를 의미한다. 또한, 수식(∑∑Xt ij * Hj)은 각 콘텐츠 타입 별 전체 재생 시간이며, 변수(Rt)는 콘텐츠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의미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술한 비율에 따라 공익 광고에 대한 콘텐츠 재생 비율(R1)은 '0.2'가 되고, 쇼핑몰 관련 광고에 대한 콘텐츠 재생 비율(R2)은 '0.4'가 되고, 외부의 광고에 대한 콘텐츠 재생 비율(R3)은 '0.4'가 되며, 스케줄링 대상 기간은 '18 시간'이므로 초 단위로 환산하여 '3600 * 18'이 된다.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외부의 광고 콘텐츠(t = 3)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비율(R3)에 대한 제약 조건(∑∑X3 ij * Hj <= 3600 * 18 * R3)을 추가한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구함으로써 스케줄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공익 광고 콘텐츠(t = 1)인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비율(R1)에 대한 제약 조건(∑∑X1 ij * Hj<= 3600 * 18 * R1)을 추가한 선형 계획 모델의 최적해 또는 최적 근사해를 구함으로써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다양한 조건이 주어진 경우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가 생성할 수 있는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100)는 다양한 제약 조건이 주어진 경우에도, 상기 제약 조건을 만족하면서 목적 함수를 최적화할 수 있는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선형 계획 모델 기반으로 유연하고(Flexible) 세밀한(Fine-grained)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5)

  1.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가 수행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키는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콘텐츠 재생 횟수를 결정 변수(Decision Variable)로 갖고,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가 상기 결정 변수의 계수로 설정된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를 갖는 선형 계획 모델(Linear Programming Mode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Constraints)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통해 상기 설정된 제약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목적 함수의 값을 최대화하는 상기 결정 변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우선순위가 상기 결정 변수의 계수에 더 포함되도록 상기 목적 함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및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 및 타임 슬롯 별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고객층 별 선호도를 이용하여 상기 타임 슬롯 별 타깃 고객층의 유동 인구수에 대한 타임 슬롯 별 가중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 평균을 기초로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고객층의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는,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된 타임 슬롯 별 유동 인구수 및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를 기초로 도출된 정보인,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함수는,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와 상기 결정 변수의 값의 곱을 합산하는 형태로 설정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각 타임 슬롯에 대응되는 결정 변수 값의 합이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횟수보다 크거나 같다는 조건을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동일한 타임 슬롯에 대응되는 각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결정 변수 값과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의 곱을 합산한 값이 상기 타임 슬롯의 시간 간격보다 작거나 같다는 조건을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약 조건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함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 슬롯 별 가중치, 상기 우선순위 및 상기 결정 변수의 값의 곱을 합산한 값을 최대화하는 함수를 상기 목적 함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임 슬롯 별 최소 재생 횟수 및 타임 슬롯 별 최대 재생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 슬롯 별 최소 재생 횟수 및 상기 타임 슬롯 별 최대 재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한 추가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 변수가 상기 타임 슬롯 별 최소 재생 횟수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결정 변수가 상기 타임 슬롯 별 최대 재생 횟수보다 작거나 같다는 조건을 상기 추가 제약 조건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선형 계획 모델에 대한 추가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의 타입 중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타입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이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상기 제1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곱한 값보다 작거나 같다는 조건을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1 추가 제약 조건으로 설정하고,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의 타입 중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제2 타입의 스케줄링 대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이 스케줄링 대상 기간에 상기 제2 타입에 따른 재생 비율을 곱한 값보다 작거나 같다는 조건을 상기 선형 계획 모델의 제2 추가 제약 조건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KR1020160134105A 2016-10-17 2016-10-17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197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05A KR101970977B1 (ko) 2016-10-17 2016-10-17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15/785,591 US10861048B2 (en) 2016-10-17 2017-10-17 Conten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05A KR101970977B1 (ko) 2016-10-17 2016-10-17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56A KR20180041856A (ko) 2018-04-25
KR101970977B1 true KR101970977B1 (ko) 2019-08-13

Family

ID=6190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105A KR101970977B1 (ko) 2016-10-17 2016-10-17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61048B2 (ko)
KR (1) KR101970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452A (ko) 2018-05-30 2019-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580B1 (ko) 2000-02-29 2007-07-02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광고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027808A (ja) 2010-07-27 2012-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モデルパラメータ学習装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7018B2 (en) 2007-07-03 2018-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ime-slot samples to which content may be assigned for measuring effects of the assigned content
US9747497B1 (en) * 2009-04-21 2017-08-29 Videomin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in-store media elements
KR20110028067A (ko) 2009-09-11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한 콘텐츠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US20130024286A1 (en) * 2011-07-21 2013-01-24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slack variables for balancing ad campaign risks
KR20130046867A (ko) 2011-10-28 2013-05-08 (주) 비포유인터랙티브 키오스크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20130052883A (ko) * 2011-11-14 2013-05-23 (주)쓰리제이커뮤니케이션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6138930B2 (ja) * 2012-06-29 2017-05-31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ジタル看板上での表示のための広告を選択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474865B1 (ko) 2013-04-19 2014-1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유동인구 측정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101573190B1 (ko) * 2014-04-21 2015-12-01 (주)대한에이앤씨 실시간 유동 인구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2564A (ko) *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씨큐트로닉스 출입자 식별에 기반한 가정 내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19997A (ko) 2014-08-12 2016-0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게임 및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GB201501510D0 (en) * 2015-01-29 2015-03-18 Apical Ltd System
US10026003B2 (en) * 2016-03-08 2018-07-17 Accuware, Inc.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ceiving data about site traffic derived from imaging processing
US20170289596A1 (en) * 2016-03-31 2017-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ed public multi-screen content delivery
KR102014748B1 (ko) * 2016-10-17 2019-08-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580B1 (ko) 2000-02-29 2007-07-02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광고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027808A (ja) 2010-07-27 2012-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モデルパラメータ学習装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61048B2 (en) 2020-12-08
KR20180041856A (ko) 2018-04-25
US20180108041A1 (en)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748B1 (ko)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N108351999B (zh) 用于为零售商提供多渠道库存分配途径的系统和方法
KR20140120306A (ko) 마케팅 믹스 솔루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9252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mpaign mapping for total audience measurement
Roger Two-sided competition with vertical differentiation
US201703648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del construct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US10956850B2 (en) Causal performance analysis approach for store merchandizing analysis
Fabijan et al. Time to say'good bye': feature lifecycle
CN113034233B (zh) 在阅读应用中分配资源的方法、设备、介质及程序产品
US11941646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estimate population reach from marginals
KR101970977B1 (ko)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202200586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ecasting demand with respect to an entity
US20150234409A1 (en) System for analyzing opportunities for power demand control
US11205206B2 (en) Data storage device, method and system, and control of data storage device based on writing operations and lifetime
CN103119604A (zh) 对媒体块的访问
CN109035080B (zh) 一种基于互联网的录播数据更新方法
US20080147728A1 (en) Exposure-based scheduling
US20180165772A1 (en) Tiered greening for large business operations with heavy power reliance
CN114662001A (zh) 资源交互预测模型训练方法和装置和资源推荐方法和装置
US2020021962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risk adjustment factor prediction
CN112907264A (zh) 票务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1249971B1 (ko) 광고 시스템 및 그의 광고 제어 방법
CN116996398B (zh) 一种基于数学规划的cdn业务带宽优化方法及电子设备
WO2021192184A1 (ja) メモリ制御方法
KR102483541B1 (ko) 생산자 및 프리랜서 세일즈마케터 매칭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