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605B1 -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 Google Patents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605B1
KR102014605B1 KR1020170154531A KR20170154531A KR102014605B1 KR 102014605 B1 KR102014605 B1 KR 102014605B1 KR 1020170154531 A KR1020170154531 A KR 1020170154531A KR 20170154531 A KR20170154531 A KR 20170154531A KR 102014605 B1 KR102014605 B1 KR 102014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ad boundary
boundary block
water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525A (ko
KR102014605B9 (ko
Inventor
전명자
Original Assignee
전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자 filed Critical 전명자
Priority to KR102017015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6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605B1/ko
Publication of KR10201460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60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가 오랫동안 내리지 않는 시기에 식물이 시드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블록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를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부가 개방되며, 양 측판의 하부 후방에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하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홀로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과; 상기 배수수단의 전방인 상기 본체의 하면에 깔려 빗물이 흡수 보관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Road boundary block possible vegetation}
본 발명은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가 오랫동안 내리지 않는 시기에 식물이 시드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블록은 도로의 중앙이나 갓길 운행선 또는 보도 분리선 등에 설치되어 도로의 구획을 결정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석재 또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로경계블록은 인도와 차도의 경계선상에 설치하여 인도와 차도를 구분시킴과 동시에, 인도와 차도를 단차지게 형성하여서 주행차량 운전자의 운전미숙이나 부주위로 인한 차량탈선 및 돌발사고발생시 차량이 인도로 타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방호벽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최근에는 도로경계블록에서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식생이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이 알려져 있는데, 그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59603호의 "도로경계블록"(이하, "종래의 도로경계블록"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도로경계블록은 인도로 통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인도와 차도의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블록은 차도와 인도를 구획할 수 있도록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를 따라 양단부가 서로 맞대어 연속/반복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용홈에 차도 측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차도 측으로 하향 경사각을 갖는 배수구와 원뿔 형상의 돌부가 형성된 몸체; 각종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각 수용홈에 삽입/안착되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절개홈에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의 일측에 연결바와 연결돌기가 돌출/형성되며, 바닥면 다수개의 배수공이 일체로 형성된 식재박스; 및 차량 충돌시 차체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연결돌기가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완충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록경계블록은 비가 내린 후에 식재박스의 흙으로 침투되는 빗물이 배수공으로 빠르게 배수됨으로써, 비가 내린 후 몇 일 이 경과되면 식물이 신속하게 시들거나 말라붙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59603호의 "도로경계블록"(2006.12.13.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로 유입되어 흙에 침투되는 빗물을 부직포층에 흡수시켜 보관하고, 비가 내리지 않는 동안에 부직포층에 흡수 보관된 빗물을 흙으로 침투되게 하여 비가 내리지 않는 시기에 흙이 마르는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가 내릴 때 빗물을 별도의 물 저장챔버에 저장했다가, 해가 있을 때 저장된 빗물을 증발을 통해 본체 내의 흙으로 투입시켜 흙이 마르는 기간을 좀 더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블록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를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부가 개방되며, 양 측판의 하부 후방에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하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홀로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과; 상기 배수수단의 전방인 상기 본체의 하면에 깔려 빗물이 흡수 보관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의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단에는 상부로 함몰된 다수의 배수홈이 형성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수직 차단판과, 상기 수직 차단판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의 상기 도로경계블록은 상기 본체의 내부 전방에 구비되어 비가 내릴 때 빗물을 보관하고 해가 있을 때 태양빛을 모아 빗물을 증발시켜 본체 내의 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빗물 저장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로 유입되어 흙에 침투되는 빗물을 부직포층에 흡수시켜 보관하고, 비가 내리지 않는 동안에 부직포층에 흡수 보관된 빗물을 흙으로 침투되게 하여 비가 내리지 않는 시기에 흙이 마르는 기간을 연장시킴으로써, 비가 오랫동안 내리지 않는 시기에 식물이 시드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가 내릴 때 빗물을 별도의 물 저장챔버에 저장했다가, 해가 있을 때 저장된 빗물을 증발을 통해 본체 내의 흙으로 투입시켜 흙이 마르는 기간을 좀 더 연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을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을 나타낸 측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측 단면도이며,
도 4c는 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물 저장챔버를 나타낸 단면 확대도로서,
도 5a는 빗물이 물 저장챔버에 유입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5b는 물 저장챔버에 보관된 빗물이 증발되어 흙으로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을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이하, "제1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이라 한다.)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를 따라 설치되고 본체(1), 배수수단(2), 부직포층(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를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좌우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양 측판의 하부 후방에는 배수홀(11)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양측 외면에는 본체(1)들을 좌우로 유동 없이 삽입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쪽 외면에는 수직 함몰홈(13)이, 다른 쪽 외면에는 타 본체(1)의 수직 함몰홈(13)에 삽입되는 수직 삽입부(1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수단(2)은 본체(1)의 내부 하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배수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배수수단(2)은 흙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단에는 상부로 함몰된 다수의 배수홈(211)이 형성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수직 차단판(21)과, 상기 수직 차단판(2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 차단판(2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차단판(21)과 수평 차단판(22)을 보다 견고하게 본체(1)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차단판(21)의 하부에는 다수의 조립돌기(2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하면에는 상기 조립돌기(212)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12)의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차단판(21)과 수평 차단판(2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양 측판의 배수홀(11)을 관통하여 하수구와 연결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물 투입공(231)이 형성되는 유공관(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공관(23)은 배수를 좀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물 투입공(231)들이 형성되는 메쉬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홈(211)의 함몰 높이는 흙이 배수홈(211)을 따라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술할 부직포층(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공관(23)의 외측 하부의 둘레에 물을 저장하였다가 후술할 부직포층(3)으로 물을 조금씩 공급할 수 있도록, 유공관(23)의 물 투입공(231)들을 유공관(23)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서 상부에만 형성시킴으로써, 유공관(23)의 외측 둘레의 상하 방향의 중앙의 하부에는 빗물 취합공간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층(3)은 배수수단(2)의 전방인 상기 본체(1)의 하면에 깔려 빗물을 흡수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부직포층(2)은 부직포가 한겹 이상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본체(1) 내부에 채워지는 흙의 하부에 깔려 빗물을 흡수 보관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은 비가 내리는 과정에서는 빗물이 본체(1)에 채워진 흙에 침투되어 부직포를 통과한 다음, 배수수단(2)을 구성하는 수직 차단판(21)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홈(211)들을 통과하여 유공관(23)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비가 내리는 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비가 그칠 경우에는, 본체(1)의 흙에 침투된 빗물이 부직포층(3)에 흡수되어 보관되고, 일부의 물은 유공관(23)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로 유입되어 흙에 침투되는 빗물을 부직포층(3)에 흡수시켜 보관하고, 비가 내리지 않는 동안에 부직포층(3)에 흡수 보관된 빗물을 흙으로 침투되게 하여 비가 내리지 않는 시기에 흙이 마르는 기간을 연장시킴으로써, 비가 오랫동안 내리지 않는 시기에 식물이 시드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가 그칠 경우에 본체(1)로 유입되어 흙에 침투되는 빗물의 일부를 유공관(23)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 저장하였다가, 비가 내리지 않는 동안에 상기 부직포층(3)으로 공급하여 흙에 수분을 좀 더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가 내리지 않는 시기에 흙이 마르는 기간을 좀 더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물 저장챔버를 나타낸 단면 확대도로서, 도 5a는 빗물이 물 저장챔버에 유입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5b는 물 저장챔버에 보관된 빗물이 증발되어 흙으로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에의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이하, "제2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이라 한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은 상기 본체(1)의 내부 전방에 구비되어 비가 내릴 때 빗물을 보관하고 해가 있을 때 태양빛을 모아 빗물을 증발시켜 본체(1) 내의 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빗물 저장 공급수단(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빗물 저장 공급수단(4)은 수직판(41), 물 저장챔버(42), 투광판(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41)은 본체(1) 내부의 전면에 밀착되게 세워져 채워지는 흙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물 저장챔버(42)는 수직판(41)의 후방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방의 상부에는 본체(1)에 채워지는 흙의 높이보다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물 통과홀(421)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것이다.
상기 투광판(43)은 물 저장챔버(42)의 상부를 막으면서 태양빛이 투과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투광판(43)은 후방이 물 저장챔버(42)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태양빛을 투과하는 투명재로 구성되고, 하면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진 물방울 배출 경사면(4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방울 배출 경사면(432)의 하부에는 태양빛을 모아 물 저장챔버(42)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킬 수 있도록 좌우 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록렌즈부(431)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도로경계블록을 사용하게 되면, 비가 많이 내리는 과정에서는 빗물이 본체(1)에 채워진 흙에 침투되고, 침투되지 못한 빗물은 본체(1)에서 넘쳐 차도로 유입된다. 그리고 본체(1)의 상부에서 차도로 빗물이 유입되는 과저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빗물이 물 통과홀(421)을 통과하여 물 저장챔버(42)에 채워진다.
다음 비가 그쳐 해가 비칠 경우에는, 태양광이 투광판(43)에 형성된 볼록렌즈부(431)를 통과하여 빛이 모아지게 되고, 모아진 빛이 물 저장챔버(42) 내의 빗물에 접촉되어 빗물의 증발시킨다. 그리고 증발된 증기는 상기 상승되어 투광판(43) 하면의 물방울 배출 경사면(432)에 접촉되어 물방물들로 형성되고, 물방울들은 물방울 배출 경사면(432)을 따라 물 저장챔버(42)의 후방으로 이동된 다음 본체(1)에 채워진 흙으로 떨어져 흙에 침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가 내릴 때 빗물을 별도의 물 저장챔버(42)에 저장했다가, 해가 있을 때 저장된 빗물을 증발을 통해 본체(1) 내의 흙으로 투입시켜 흙이 마르는 기간을 좀 더 연장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본체
11 : 배수홀, 12 : 삽입홈,
13 : 수직 함몰홈, 14 : 수직 삽입부
2 : 배수수단
21 : 수직 차단판, 211 : 배수홈,
212 : 조립돌기, 22 : 수평 차단판
23 : 유공관, 231 : 물 투입공
3 : 부직포층
4 : 빗물 저장 공급수단
41 : 수직판, 42 : 물 저장챔버
421 : 물 통과홀, 43 : 투광판,
431 : 볼록렌즈부, 432 : 물방울 배출 경사면

Claims (10)

  1.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블록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를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부가 개방되며 양 측판의 하부 후방에는 배수홀(11)이 형성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부 하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홀(11)로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2)과, 상기 배수수단(2)의 전방인 상기 본체(1)의 하면에 깔려 빗물이 흡수 보관되는 부직포층(3)을 포함하고,
    상기 도로경계블록은 상기 본체(1)의 내부 전방에 구비되어 비가 내릴 때 빗물을 보관하고 해가 있을 때 태양빛을 모아 빗물을 증발시켜 본체(1) 내의 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빗물 저장 공급수단(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빗물 저장 공급수단(4)은 상기 본체(1) 내부의 전면에 밀착되게 세워지는 좌우로 긴 수직판(41)과, 상기 수직판(41)의 후방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후방의 상부에는 본체(1)에 채워지는 흙의 높이보다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물 통과홀(421)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물 저장챔버(42)와, 상기 물 저장챔버(42)의 상부를 막게 형성되고 후방이 물 저장챔버(42)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태양빛을 투과하는 투명재로 구성되고 하면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진 물방울 배출 경사면(432)이 형성되며 물방울 배출 경사면(432)의 하부에는 태양빛을 모아 물 저장챔버(42)에 채워진 물을 가열 증발시킬 수 있도록 좌우 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록렌즈부(431)가 형성되는 투광판(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2)은
    상기 본체(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단에는 상부로 함몰된 다수의 배수홈(211)이 형성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수직 차단판(21)과,
    상기 수직 차단판(2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 차단판(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211)의 함몰 높이는 상기 부직포층(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차단판(21)의 하부에는 다수의 조립돌기(2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하면에는 상기 조립돌기(212)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12)의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차단판(21)과 수평 차단판(2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상기 본체(1)의 양 측판의 배수홀(11)을 관통하여 하수구와 연결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물 투입공(231)이 형성되는 유공관(2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23)은 물 투입공(231)들이 형성되는 메쉬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23)의 물 투입공(231)들은 유공관(23)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서 상부에만 형성되어 유공관(23)의 외측 둘레의 상하 방향의 중앙의 하부에는 빗물 취합공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양측 외면 중 한 쪽 외면에는 수직 함몰홈(13)이 형성되고 다른 외면에는 타 본체(1)의 수직 함몰홈(13)에 삽입되는 수직 삽입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54531A 2017-11-20 2017-11-20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KR102014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531A KR102014605B1 (ko) 2017-11-20 2017-11-20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531A KR102014605B1 (ko) 2017-11-20 2017-11-20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25A KR20190057525A (ko) 2019-05-29
KR102014605B1 true KR102014605B1 (ko) 2019-08-26
KR102014605B9 KR102014605B9 (ko) 2022-07-18

Family

ID=6667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531A KR102014605B1 (ko) 2017-11-20 2017-11-20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558B1 (ko) * 2022-10-24 2024-04-26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저영향개발 세그먼트 구조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746B1 (ko) * 2006-02-20 2006-09-15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옥상에 설치되는 녹화시설물 구조
KR100976851B1 (ko) * 2009-08-31 2010-08-20 (주)서린건설 집수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060B1 (ko) * 2004-12-16 2005-07-21 황주연 보차도 경계블럭
KR100659603B1 (ko) 2006-09-21 2006-12-20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로경계블록
KR101083783B1 (ko) * 2009-11-06 2011-11-18 정시윤 측구일체형 경계석
KR101333120B1 (ko) * 2011-01-03 2013-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746B1 (ko) * 2006-02-20 2006-09-15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옥상에 설치되는 녹화시설물 구조
KR100976851B1 (ko) * 2009-08-31 2010-08-20 (주)서린건설 집수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25A (ko) 2019-05-29
KR102014605B9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134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102014605B1 (ko) 식생 가능한 도로경계블록
JP2009077665A (ja) 土壌構造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200455094Y1 (ko) 초박형 식생유니트
KR102133369B1 (ko)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US201702454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n urban environment
KR100678376B1 (ko) 식물 식생이 용이한 가드레일
KR20090040980A (ko)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KR101131549B1 (ko) 친환경적인 옹벽용 블럭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CN102720175A (zh) 固沙植树集雨保水治沙板
CN214573040U (zh) 一种海绵城市透水砖
JP2002212911A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102135152B1 (ko) 수목보호판 적용 우수활용 빗물공급장치
NL1038053C2 (en) Tree container and assembly of a tree container and a tree.
US5113618A (en) Protector for plant growing receptacle
KR100579758B1 (ko)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KR102030135B1 (ko)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JP4927768B2 (ja) 潅水構造体
KR100718206B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KR20190132093A (ko) 빗물 집수, 통수, 배수 경계장치
KR100960460B1 (ko) 식생용 담수블록
KR200346692Y1 (ko)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KR20100005688U (ko) 투수 패드를 구비한 보도블럭용 포석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