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595B1 -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595B1
KR102014595B1 KR1020170075603A KR20170075603A KR102014595B1 KR 102014595 B1 KR102014595 B1 KR 102014595B1 KR 1020170075603 A KR1020170075603 A KR 1020170075603A KR 20170075603 A KR20170075603 A KR 20170075603A KR 102014595 B1 KR102014595 B1 KR 10201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lever
display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643A (ko
Inventor
고태영
이종훈
Original Assignee
고태영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영, 이종훈 filed Critical 고태영
Priority to KR102017007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5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0Front-view mirror arrangements; Periscope arrangements, i.e. optical devices using combinations of mirrors, lenses, prisms or the like ; Other mirror arrangements giving a view from above or under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조장치는, 자동차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는 레버, 자동차의 측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동차의 측면과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레버의 선택적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DRIVING ASSIST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측면에는 사이드미러가 설치된다. 사이드미러는 자동차 운행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것으로, 설치 위치나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사용자가 각도를 설정한 뒤 상태가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사이드미러는 자동차가 전진할 때를 기준으로 각도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후방 시야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사이드미러 일부에 볼록렌즈를 추가 부착하거나,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볼록렌즈의 특성상 후방 시야 정보가 작게 표시되어 실질적으로 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사이드미러의 각도 조절시간 및 자동차의 진행 상태에 의해 사이드미러의 각도가 관련이 없는 위치로 조절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자동차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가 후진 및 차선 변경시에 자동차의 좌측, 우측 및 후방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보조장치는, 자동차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는 레버, 자동차의 측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동차의 측면과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레버의 선택적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동차 핸들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동차의 좌측부위를 나타내는 제1 표시부와, 자동차의 우측부위를 나타내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가 이동될 때,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등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저장하는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가 상하 어느 한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개시되고, 상기 레버가 이동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한 단계 더 이동되면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등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는, 자동차가 후진 및 차선 변경시에 자동차의 좌측, 우측 및 후방의 시야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동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자동차 레버의 이동 위치에 따른 표시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의 제1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적용된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의 제2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적용된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의 제3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동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자동차(1)는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유리(10), 좌측, 우측 및 후방의 시야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드미러(20), 자동차(1)의 측면과 후방 및 다른 차선의 제3 자의 자동차(2)의 위치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30), 자동차(1)의 상황 정보, 자동차(1)의 진행 방향 정보, 차선 정보 등을 감지하는 센서(61), 센서(6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60), 자동차(1)의 이동방향을 알려주거나 경고하는 방향지시등(9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미러(20)는 자동차(1)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사이드미러(20)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인 핸들(40)의 조작에 의해 시야가 조절될 수 있고, 또는 자동차(1) 내부에 위치한 시야각도조절장치(63)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카메라(30)는 자동차(1)의 사이드미러(20)에 부착되거나, 사이드미러(20)로부터 분리되어 자동차(1)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드미러(20)와 카메라(30)는 사이드미러(20)의 내부에 위치한 모터조절장치(62)로 연결될 수 있으며, 모터조절장치(62)와 이격되어 카메라(3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30)는 모터조절장치(62)에 의해 회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자동차(1)에 포함된 모듈 또는 센서(61)로부터 자동차(1)의 상황 정보, 자동차(1)의 진행 방향 정보, 차선정보를 수신하고, 자동차(1)의 사이드미러(20) 또는 카메라(30)의 회전 및 각도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차(1)에 포함된 모터조절장치(62) 및 시야각도조절장치(63)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차의 사이드미러(20)와 카메라(30)의 회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자동차(1)에 포함된 모듈 또는 센서(61)는 GPS모듈, BSD 모듈, 네비게이션, 기어 센서, 속도 센서일 수 있다.
방향지시등(90)은 자동차(1)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며, 후방에도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지시등(90)은 핸들(40)에 위치한 레버(50)에 의해서 점멸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자동차(1)의 핸들(40)의 조작에 의해서 오프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는, 레버(50), 카메라(30) 및 레버의 이동에 따라 카메라(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1)의 조향장치인 핸들(40)에 포함되는 레버(5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과 동시에 방향지시등(90)를 점등 시킬 수 있다.
제어부(60)는 레버(50)가 이동한 위치를 기어 센서로부터 감지하고, 해당하는 위치에서 카메라(30)와 방향지시등(90)이 연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30)는 자동차(1)의 측면, 후방 및 다른 차선의 제3 자의 자동차(2)의 위치정보를 촬영하고, 촬영된 아날로그영상을 이미지센서인 CCD 혹은 CMOS를 통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로(80)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가 카메라(30)로부터 촬영된 아날로그영상을 이미지센서인 CCD 혹은 CMOS를 통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로(80)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는 카메라(3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80)는 전면유리(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80)는 모니터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부(80)는 교류형 무기박막EL(AC-TFEL), 발광다이오드(LED), 투명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브라운관(CRT), 플렉서블(flexible),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일 수 있다.
표시부(80)는 자동차(1)의 조향장치인 핸들(40)의 전면부에 부착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80)는 액정 표시 방식중의 하나인 스위치용 TFT방식 또는 제어용 선을 설치하여 제어 전압을 조합한 DSTN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80)는 제어부(60)에서 전달하는 신호 및 데이터를 전달받아 그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전면유리(10)에 나타내고, 또는 카메라(30)가 전달하는 영상을 전면유리(10)에 나타낸다. 이때, 표시부(80)는 자동차의 좌측 후방을 나타내는 제1 표시부(81)와, 우측 후방을 나타내는 제2 표시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자동차 레버의 이동 위치에 따른 표시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자동차(1)의 레버(5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립위치(P0)에 놓여있는 레버(50)가 제1 위치(P1)로 이동되면, 레버(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60)는 레버(50)의 위치를 감지하여 우측 카메라(30b)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60)는 우측 카메라(30b)를 작동시켜 촬영이 개시되고, 동시에 우측 방향지시등(90b)이 점등된다.
이와 반대로, 중립위치(P0)에 놓여있는 레버(50)가 제2 위치(P2)로 이동되면, 제어부(60)는 레버(50)의 위치를 감지하여 좌측 카메라(30a)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60)는 좌측 카메라(30a)를 작동시켜 촬영이 개시되고, 좌측 방향지시등(90a)이 점등될 수 있다.
즉, 카메라(30)는 자동차(1)의 측면과 후방 및 운전자가 변경하려는 차선에 주행하는 제3 자의 자동차(2)의 위치정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자의 자동차(2)와 사고 발생시 카메라(30)는 블랙박스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은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를 거쳐 표시부(80)에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60)는 카메라(30)를 통해 촬영되어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에 저장된 제3 자의 자동차(2)의 주행영상을 통해 주행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제3 자의 자동차(2)의 주행속도 및 자동차(1)과의 이격거리 등을 분석하여, 운전자에게 차선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제3 자의 자동차(2)의 영상을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로부터 전달받아 제어부(60)는, 제3 자의 자동차(2)의 주행속도 및 자동차(1)과의 이격거리를 파악하여 정보를 표시부(8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자동차(1)와 제3 자의 자동차(2)의 속도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차선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1)의 운전속도가 100km/h일 때, 제3 자의 자동차(2)의 주행속도가 120km/h 이고 현재 이격거리가 30m라고 가정하면, 자동차(1)과 제3 자의 자동차(2)의 5초 뒤의 이격거리는 2.22m가 되므로, 운전자는 5초 이내에 차선을 변경해야 한다. 제어부(60)는 운전자의 차선변경 시간에 대한 평균을 기록하고, 차선변경 가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부(80)를 통해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의 동작은 레버(50)가 중립위치(P0)에서 상하 어느 한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버(50)의 상하 이동은 자동차(1)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 전에 이뤄지며, 방향지시등(90)의 점등을 통해 외부로 운전자의 의사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60)가 자동차(1)의 레버(50)의 이동된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레버(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50)의 이동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레버(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60)는 레버(50)가 해당하는 위치에 따라 방향지시등(90)의 점등 및 카메라(30)의 촬영이 개시되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레버(50)의 위치 변동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따라 방향지시등(90) 및 카메라(30)에 작동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60)가 자동차(1)에 포함된 모듈이나 센서(61)로부터 자동차의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00) 및 이후, 자동차(1)의 사이드미러(20) 또는 카메라(30)의 회전 및 각도를 변경해야 하는 상황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드미러(20)의 회전 및 각도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라면, 제어부(60)에서 모터조절장치(62)에 신호를 보내어 카메라(30)의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야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라면, 시야각도조절장치(63)에 신호를 보내어 사이드미러(20)의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의 사이드미러(20) 또는 카메라(30)의 회전 및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한 영상은 아날로그영상신호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이미지 프로세스 처리부(70)로 전송하는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는 수신한 영상을 저장(S800)하고, 표시부(80)로 전송하는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1)의 전면유리(10)에 수신된 영상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의 제1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자동차(1)가 좌측으로 차선이 변경되기 전에, 좌측 방향지시등(90a)이 미리 점등된다. 이를 위해, 레버(50)는 중립위치(P0)에서 하향으로 이동된다. 제어부(60)는 레버(50)의 위치를 감지하여, 좌측 카메라(30a)가 자동차(1)의 좌측면과 좌측 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 후방에 주행하는 제3 자의 자동차(2)의 위치정보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를 거쳐 표시부(80)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표시부(80)의 좌측부위인 제1 표시부(81)에는 좌측 후방의 제3 자의 자동차(2)의 위치정보가 나타나고, 표시부(80)의 우측부위인 제2 표시부(82)는 투명한 화면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표시부(80)의 일부만 위치정보가 나타나기 때문에 좀더 안전하게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적용된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의 제2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자동차(1)가 우측으로 차선이 변경되기 전에, 우측 방향지시등(90b)이 미리 점등된다. 이를 위해, 레버(50)는 중립위치(P0)에서 상향으로 이동된다. 제어부(60)는 레버(50)의 위치를 감지하여, 우측 카메라(30b)가 자동차(1)의 우측면과 우측 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우측 후방에 주행하는 제3 자의 자동차(2)의 위치정보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를 거쳐 표시부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표시부(80)의 좌측부위인 제1 표시부(81)는 투명한 화면으로 변환되고, 표시부(80)의 우측부위인 제2 표시부(82)는 우측 후방의 제3 자의 자동차(2)의 위치정보가 나타난다.
도 7은 도 1에 적용된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의 제3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해 보면, 중립위치(P0)에 놓여있는 자동차의 레버(50)를 상하 방향의 각각 복수 단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상향으로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를 설정하고, 하향으로 제2 위치(P2)와 제4 위치(P4)를 설정 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50)가 제1 위치(P1)로 이동되면 제어부(60)에서 레버(50)의 위치 신호를 수신받아 우측에 설치된 카메라(30)가 촬영을 개시하게 되고,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를 통하여 우측 후방향의 차선에 위치한 제3 자의 자동차(2) 표시부(80)로 영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변경하려는 차선의 물체 혹은 제3자 자동차(2)가 안전한 위치에 있음을 표시부(80)를 통하여 운전자가 인식하게 되며, 우측으로 차선을 변경하고자 레버(50)를 제3 위치(P3)로 이동시키면, 제어부(60)가 레버(50)의 위치를 인식하여 우측 방향지시등(90b)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촬영중인 우측 카메라(30b)는 계속해서 촬영을 하면서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를 통해 영상이 저장되고 동시에 표시부(80)에 나타나게 된다.
차선변경을 완료하여 레버(50)를 중립위치(P0)로 원위치시키면, 제어부(60)가 레버(50)의 위치를 인식하여 우측 방향지시등(90b)은 점멸됨과 동시에 우측 카메라(30b)도 촬영을 중지하게 된다.
만약, 좌측 후방향의 차선에 물체 혹은 제3 자의 자동차(2)의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레버(50)를 하향인 제2 위치(P2)로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좌측에 설치된 좌측 카메라(30a)만 촬영을 개시하게 되어 표시부(80)를 통하여 좌측 후방향의 차선에 위치한 제3 자의 자동차(2) 혹은 물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좌측으로 차선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레버(50)를 제4 위치(P4)로 하향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고, 앞에서와 동일하게 좌측 방향지시등(90a)의 점등과 동시에 좌측 카메라(30a)는 계속해서 촬영을 하면서 영상이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70)에 저장되고 동시에 표시부(80)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는, 자동차(1)가 후진 및 차선 변경시에 자동차(1)의 좌측, 우측 및 후방의 시야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 자동차 2: 제3 자의 자동차
10: 전면유리 20: 사이드미러
20a: 좌측 사이드미러 20b: 좌측 사이드미러
30: 카메라 30a: 좌측 카메라
30b: 우측 카메라 40: 핸들
50: 레버 P0: 중립위치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P3: 제3 위치 P4: 제4 위치
60: 제어부 61: 센서
62: 모터조절장치 63: 시야각도조절장치
70: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 80: 표시부
81: 제1 표시부 82: 제2 표시부
90: 방향지시등 90a: 좌측 방향지시등
90b: 우측 방향지시등

Claims (6)

  1. 자동차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는 레버;
    상기 자동차의 측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동차의 측면과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레버의 선택적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나타내는 표시부;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저장하는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어 상기 이미지프로세스처리부에 저장된 제3 자의 자동차의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주행속도 및 상기 자동차와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주행속도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차선변경가부에 대한 정보를 하여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동차 핸들의 전면에 위치하는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동차의 좌측부위를 나타내는 제1 표시부와, 자동차의 우측부위를 나타내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이동될 때,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등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개시되는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하 어느 한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개시되고, 상기 레버가 이동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한 단계 더 이동되면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등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개시되는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KR1020170075603A 2017-06-15 2017-06-15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KR10201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03A KR102014595B1 (ko) 2017-06-15 2017-06-15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03A KR102014595B1 (ko) 2017-06-15 2017-06-15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43A KR20180136643A (ko) 2018-12-26
KR102014595B1 true KR102014595B1 (ko) 2019-08-26

Family

ID=6500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603A KR102014595B1 (ko) 2017-06-15 2017-06-15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5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192A1 (ja) * 2015-03-04 2016-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090B1 (ko) * 1993-10-08 1996-06-19 주식회사 삼천리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메탄발효 처리방법 및 이를 실시하기 위한 메탄발효조
KR20140079127A (ko) * 2012-12-18 2014-06-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192A1 (ja) * 2015-03-04 2016-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43A (ko)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6668B2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107786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148683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80345790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9383404B (zh) 显示系统、显示方法及存储程序的介质
US10166922B2 (en) On-vehicle image display device, on-vehicle image display method for vehicle, and on-vehicle image setting device
US20180345991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280137A1 (en) Periphery monitoring device
EP2990265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20180348757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591018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EP3441725B1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associated method
JP2006051850A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US10503167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5186648A (ja) 車両用周囲視認装置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2009117971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5071738B2 (ja) 表示装置
JP5949509B2 (ja) 相互認識通知システム、および相互認識通知装置
JP2005038225A (ja) 車線追従装置
JP2018203014A (ja) 撮像表示ユニット
JP2019188855A (ja) 車両用視認装置
KR20130043341A (ko) 주차 보조 시스템
KR102014595B1 (ko)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JP4375153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9149306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