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18B1 - Beam bridge having beam suppor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Beam bridge having beam suppor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18B1
KR102014418B1 KR1020170015745A KR20170015745A KR102014418B1 KR 102014418 B1 KR102014418 B1 KR 102014418B1 KR 1020170015745 A KR1020170015745 A KR 1020170015745A KR 20170015745 A KR20170015745 A KR 20170015745A KR 102014418 B1 KR102014418 B1 KR 102014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eam support
bridge
pair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7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3743A (en
Inventor
전종환
Original Assignee
전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환 filed Critical 전종환
Publication of KR2017009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743A/en
Priority to PCT/KR2018/0013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4366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빔 받침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빔(beam) 길이의 축소가 가능하고, 빔의 전도 방지효과를 증대하며, 빔의 구조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향상하고, 횡방향(종방향/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빔과 슬래브를 일체로 합성 시공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는, 한 쌍의 교대 또는 한 쌍의 교대와 하나 이상의 교각으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조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교좌장치를 통해 설치되는 거푸집과 가로보겸용의 빔 받침플레이트와; 길이방향의 양측이 이웃하는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에 거치되는 2개 이상의 빔과;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빔을 결속하는 철근과;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의 내부와 상기 빔들의 사이 및 상부에 동시 타설되어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 및 상기 빔과 일체로 합성되는 합성형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세워지며 상기 빔이 삽입 거치되는 빔 정렬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거푸집의 기능을 하는 빔 지지벽, 상기 빔 지지벽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 세워지는 거푸집벽을 포함하여 상기 빔이 거치되면서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을 형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by installing a beam support pla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beam (beam), increase the anti-conduction effect of the beam, and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bea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and to maximize the structural stability by integrall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beams and slab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longitudinal / lateral direction).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structure consisting of a pair of alternations or a pair of alternations and at least one pier; Beam support plate for the formwork and cross beams made of precast concrete and installed on the lower structure through a bridge device; Two or more beams mounted on the beam receiving plat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bars for binding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 beam; The beam supporting plate includes a synthetic slab which is simultaneously plac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beam support plate and between the beams and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 beam, wherein the beam support plate is mounted on a bottom part and the bottom part. And forming a beam alignment portion into which the beam is inserted, and including a beam support wall functioning as a formwork and a formwork wall erected where the beam support wall is not formed, thereby forming a casting place of concrete. do.

Figure R1020170015745
Figure R1020170015745

Description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Beam bridge having beam suppor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Beam bridge having beam suppor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빔 받침플레이트를 하부 구조물(교대, 교각) 위에 설치하여 다수의 빔을 결속하여 빔(beam) 길이의 축소가 가능하고, 빔 받침플레이트가 직접 하부 구조물에 설치되어 슈의 사용수량을 줄이는 한편 빔 제작시 솔 플레이트의 설치배제로 제작이 용이하며, 콘크리트의 동시 타설을 통해 상부 구조물(빔 받침플레이트에 의한 가로보, 가로보에 연결되는 빔,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을 일체로 합성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하는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beam support plate on a lower structure (alternation, piers) to bind a plurality of beams to reduce the beam length. The beam support plate is directly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to reduce the amount of shoes used,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by installing and removing the sole plate when manufacturing the beam, and through the simultaneous pouring of concrete, the upper structure (cross beam by beam support plate, Beam beam connected to the cross beam, the slab cast on the top) and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by integrally integrat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교량은 하천, 계곡, 바다 등을 건널 수 있도록 시공되는 구조물로서, 하부 구조물(교대, 교각), 이 하부 구조물 위에 시공되는 상부 구조물로 구성되며, 본 발명과 관련되는 빔교는 상부 구조물이 하부 구조물 위에 교좌장치를 통해 거치되는 다수의 빔, 빔 상부에 시공되는 슬래브로 구성된다.The bridge is a structure that can be constructed to cross rivers, valleys, seas, etc., and consists of a lower structure (alternation, pier), and an upper structure constructed on the lower structure, and the beam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structure on the lower structur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beams mounted through the bridge device, the slab installed on the beam.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등록특허 제10-0703134호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in Patent No. 10-0703134.

종래 빔교는 다수의 빔이 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 하부 구조물에 교좌장치를 통해 설치된다.In the conventional beam bridge, a plurality of beams are arrang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through a bridge device.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빔교는 빔이 직접 하부 구조물에 위에 올려져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하부 구조물에 넓은 면적으로 지지되도록 빔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빔이 하부 구조물에 단순히 올려지는 것이기 때문에 시공 중에 전도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빔 각각에 교좌장치와 대응하도록 솔 플레이트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점과 많은 수량의 교좌장치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eam brid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beam is lengthened to be supported by a large area on the lower structure for stable support because the beam is directly mounted on the lower structure, and the beam is simply mounted on the lower structure. Sinc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conduction during construction, and the sole plate must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chair device on each bea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is cumbersome and the use of a large number of chair devices.

또한, 종래 빔의 연속교는 빔을 단순보로 설계하고 슬래브만 일체화한 연속교로 설계하여 교각의 지점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슬래브 상면에 철근으로 보강함으로써 빔에 대한 구조적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eam bridge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al efficiency of the beam is reduced by reinforcing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the point of the bridge with the reinforcing ba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by designing the beam as a simple beam and a continuous bridge integrated with the slab only have.

또한, 종래 빔교는 횡단경사를 고려하여 교대 및 교각의 교좌면을 높낮이차를 갖는 단차시공하여야 하므로 하부 구조물의 시공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되고 이에 따라 시공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eam bridge h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lower structure is difficult to take a long time due to the stepped construction hav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alternating and the pier su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slo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is greatly reduced.

특허문헌(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56873호)은 하부 구조물 위에 종빔 베어링 플랜지(단부)와 연결부 콘크리트(지점부)가 설치되고 이들 위에 프리캐스트 종빔이 설치되는 것으로, 프리캐스트 종빔이 종빔 베어링 플랜지(단부)와 연결부 콘크리트(지점부)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것이지만, 상부 구조물을 일체로 합성하는 기술이 아니며 단지 빈 공간을 채워 마감하는 것일 뿐이다.
Patent document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256873) is a longitudinal beam bearing flange (end) and a connection concrete (point part) installed on a lower structure, and a precast longitudinal beam is installed on them, and the precast longitudinal beam is a longitudinal beam bearing flange. It is installed through the (end) and the concrete (branch), but it is not a technique of synthesizing the superstructure integrally, but only filling the empty space to finish.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313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03134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56873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9-25687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빔 받침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빔(beam) 길이의 축소가 가능하고, 빔의 전도 방지효과를 증대하며, 빔의 구조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향상하고, 횡방향(종방향/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빔과 슬래브를 일체로 합성 시공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beam (beam) by installing a beam support plate, increase the anti-conduction effect of the beam,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bea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for maximizing structural stability by integrally constructing a plurality of beams and slabs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 transverse direc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는, 한 쌍의 교대 또는 한 쌍의 교대와 하나 이상의 교각으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조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설치되는 거푸집과 가로보겸용의 빔 받침플레이트와; 길이방향의 양측이 이웃하는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에 거치되는 2개 이상의 빔과;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빔을 결속하는 철근과;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의 내부와 상기 빔들의 사이 및 상부에 동시 타설되어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 및 상기 빔과 일체로 합성되는 합성형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세워지며 상기 빔이 삽입 거치되는 빔 정렬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거푸집의 기능을 하는 빔 지지벽, 상기 빔 지지벽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 세워지는 거푸집벽을 포함하여 상기 빔이 거치되면서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lower structure consisting of a pair of alternations or a pair of alternations and one or more pier; A beam support plate made of precast concrete and installed on the lower structure for both the formwork and the cross beam; Two or more beams mounted on the beam receiving plat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bars for binding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 beam; The beam supporting plate includes a synthetic slab which is simultaneously plac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beam support plate and between the beams and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 beam, wherein the beam support plate is mounted on a bottom part and the bottom part. And forming a beam alignment portion into which the beam is inserted, and including a beam support wall functioning as a formwork and a formwork wall erected where the beam support wall is not formed, thereby forming a casting place of concret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에 의하면, 빔이 빔 받침플레이트에 거치된 후 합성형 슬래브와 함께 콘크리트로 합성되어 빔의 길이를 종래 하부 구조물 위에 직접 설치할 때보다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고, 빔이 빔 받침플레이트의 빔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어 시공 중 빔의 전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솔 플레이트를 빔에서 배제하고 빔 받침플레이트에 설치하여 빔 받침플레이트가 교좌장치를 매개로 하여 하부 구조물에 설치되어 빔의 생산성 향상과 함께 교좌장치의 수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beam is mounted on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n synthesized with concrete together with the composite slab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beam directly when installed directly on a conventional sub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the beam is supported by the beam support wall of the beam support plate to prevent the conduction of the beam during construction, remove the sole plate from the beam and install the beam on the beam support plate The support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through the bridge devic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beam and reduce the number of bridge devices.

그리고, 빔 받침플레이트가 빔을 지지 및 정렬함과 아울러 거푸집의 기능을 겸하여 빔 받침플레이트의 설치를 통해 합성형 슬래브의 동시 타설이 가능해지므로 시공이 단순하고 빔 받침플레이트에 의한 가로보와 빔 및 합성형 슬래브가 단일 공정의 동시 타설에 의해 시공되어 일체로 합성됨으로써 큰 강성의 확보를 통해 안정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eam support plate supports and aligns the beam, and also functions as a formwork, allowing simultaneous pouring of the composite slab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he beam support plate. Since the slab is constructed by simultaneous pouring in a single process and synthesized integrall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tability through securing great rigidity.

또한, 빔 받침플레이트의 횡단경사를 통해 하부 구조물의 교좌면을 수평으로 용이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cross-section of the lower structure through the cross slope of the beam support plate, the workability is very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에 적용된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에 적용된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에 적용된 빔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에 적용된 빔과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의 시공 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도 7a와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에 적용된 빔과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의 시공 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도 8과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에 적용된 빔과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 빔과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의 철근 결속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의 시공 공정도.
도 11과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의 다른 시공 상태도.
1 is a front view of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beam support plate applied to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m support plate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pplied to the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eam applied to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beam and an end beam support plate applied to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7A and 7B are respectively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beam applied to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eam support plate for continuous point portions;
8 and 9 are respectively a front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state of the beam and the beam support plate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pplied to the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struction process diagram of a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different construction state diagrams of beam bridges each provided with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는, 하부 구조물로서 교대(10)와 교각(20),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슈를 통해 설치되는 빔 받침플레이트[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 종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 위에 거치되는 빔(50),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 및 빔(50)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되어 시공되는 합성형 슬래브(6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lower structure alternately 10 and pier 20, a beam support plate installed through the shoe on the lower structure [end Bouillon beam receiving plate 30, continuous point portion beam receiving plate 40], the beam 50 is placed on the beam support plate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eam It is composed of a composite slab 60 which is poured and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to be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 beam 50 via a support plate.

상기 하부 구조물은 한 쌍의 교대(10)와 교대(10)들 사이에 시공되는 1개 이상(도면에는 1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의 교각(20)이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한 쌍의 교대(10)만으로 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교대(10)와 교각(20)으로 구성되는 경우 모든 빔(50)은 종방향으로 연속되는 것도 가능하고 2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이웃하는 구역의 상부 구조물들이 연속되지 않도록 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ubstructure is one or more bridges 20 (shown as one example in the drawings) constructed between a pair of shifts 10 and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only by shift 10. In addition, when the alternating 10 and the piers 20 are configured, all the beams 50 may be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zones so that the upper structures of the neighboring zones may not be continuous. Do.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는 자신이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설치되는 한편 2개 이상의 빔(50)을 지지하며, 설치 위치에 따라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로 구분된다.The beam support plate itself is installed on the lower structure while supporting two or more beams 50, and is divided into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는 빔교의 양쪽 가장자리 또는 상부구조물 반복형 빔교의 경우 양쪽 가장자리와 함께 빔이 단절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따라서, 한쪽에서만 빔(50)을 지지한다.The end beam bearing plate 30 is installed at both edges of the beam bridge or in the case of the superstructure repetitive beam bridge with both edges, and thus supports the beam 50 only on one side.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는 이웃하는 빔(50)들을 연속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이웃하는 빔(50)들의 단부를 함께 지지한다.The beam bearing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s configured to continuous the neighboring beams 50 and thus supports the ends of the neighboring beams 50 together.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는 2개 이상의 빔(50)을 하나로 연결하는 가로보의 특징과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기능을 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바닥부(31,41), 바닥부(31,41)에 세워지며 빔 정렬부(32,42)의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빔(50)을 지지하는 빔 지지벽(33,43), 거푸집의 기능을 하는 거푸집벽(34,44)으로 구성된다.The beam receiving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receiving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are characterized by a cross beam connecting two or more beams 50 into one and a function of formwork for placing concrete. Beam support walls 33 and 43 and formwork, which are erected on the bottom portions 31 and 41 and the bottom portions 31 and 41, form a space of the beam alignment portions 32 and 42, and support the beam 50. It consists of formwork walls (34, 44) to function.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는 바람직하게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이며 단부용의 기능에 맞춰 1면에 빔 지지벽(33)이 세워지고 나머지 3면에 거푸집벽(34)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빔(50)들이 빔 지지벽(33) 사이의 빔 정렬부(32)에 삽입되어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는 둘레부가 막히게 되므로 내부에는 상부만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다.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is preferably rectangular in plan view, and the beam support wall 33 is erected on one side and the formwork wall 34 is formed on the other three sides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for the end. According to the structure, the beams 50 are inserted into the beam alignment portion 32 between the beam support wall 33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eam support plate 30 is blocked, so that only the upper open space is formed therein, Pouring of concrete is possible.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는 바람직하게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고 마주하는 2면(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면)에 빔 지지벽(43)이 세워지고, 나머지 2면에 거푸집벽(44)이 세워진다.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is preferably rectangular in plan view and has beam support walls 43 erected on two opposite sides (relatively long), and formwork walls 44 on the remaining two sides. Is erected.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는 도면에서 바닥부(31,41)가 횡단경사를 고려하여 횡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단차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따라서 하부 구조물(10,20)의 교좌면을 단차없이 시공하는 효과도 있다. 물론, 단차 시공이 불필요한 경우를 위하여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는 바닥면이 단차없는 것도 가능하다.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portion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re shown in the figure as the bottom portions 31 and 41 are stepp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 slope. There is also the effect of constructing the step surface of the lower structure (10, 20) without step. Of course, in order to eliminate the need for step construction,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may have no step.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도 마찬가지로 빔(50)들이 빔 정렬부(42)에 삽입되면 둘레부가 막히게 되어 내부에는 상부만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므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다.Similarly, the beam receiving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art is similar to the case where the beams 50 are inserted into the beam alignment part 42 so that the circumference is blocked, so that only the upper part of the beam opening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casting of concrete is possible.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는 각각 합성용 철근(35,45)이 예컨대 바닥부(31,41)의 상부로 돌출되어 빔(50)의 돌출 철근과 결속될 수 있다. 이 때, 합성용 철근(35,45)은 빔(50)의 거치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합성용 철근은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에 일부 돌출 철근으로 형성되고 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해 직접 겹침 배근되는 것도 포함된다.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are respectively composed of the reinforcing bars 35 and 45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s 31 and 41, respectively, and the protruding reinforcement beams of the beam 50. Can be bound.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s 35 and 45 are formed at position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mounting of the beam 50. In addition, the composite reinforcing bar is formed as a part of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 on the beam receiving plate 30 for the end portion and the beam receiving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it is also included to be directly overlapped by the worker in the field.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는 슈와 대응하는 저부에 솔 플레이트(SOLE PLATE)(55)가 매립된다.In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sole plate 55 is embedded in the bottom corresponding to the shoe.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가 설치되는 곳에는 상부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가 함께 설치된다.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탄성재질의 판형이나 박스형, 탄성재질의 채움재, 핑거조인트 등 다양한 제품의 사용이 가능하다.Where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is installed, the expansion joint of the upper structure is installed together. The expansion joint device can be used in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plate-shaped, box-shaped, elastic material filling material, finger joints.

종래에는 각각의 빔들이 각각 슈를 통해 설치되어 예를 들어 4개의 빔이 설치되는 경우 빔의 일측에 1개씩의 슈가 설치되더라도 8개의 슈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2개의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가 슈를 통해 설치되어 4개의 슈만을 사용하는 특징도 있다.Conventionally, when each beam is installed through each shoe so that, for example, four beams are installed, even if one sho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eam, eight shoes ar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wo beam support plates 30 for two ends. )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s installed through the shoe, there is also a feature that uses only four shoes.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내부에는 빔(50)의 단부를 지지하는 정렬턱이 부가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lignment jaw supporting the end of the beam 50 may be added inside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는 바닥부(31,41)와 빔 지지벽(33,43) 및 거푸집벽(34,44)이 일체로 제작되는 일체형이 바람직하고, 현장 여건에 맞는 자유로운 시공을 위하여 바닥부(31,41)와 빔 지지벽(33,43) 및 거푸집벽(34,44)은 각각 단품으로 제작된 후 공장 또는 현장에서 조립(앵커 등)되는 조립식도 가능하다.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ortions 31 and 41, the beam support walls 33 and 43, and the formwork walls 34 and 44 integrally. Preferably, the floor parts 31 and 41, the beam support walls 33 and 43, and the formwork walls 34 and 44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assembled in a factory or on site (anchor, etc.) for free construction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Prefabricated is also available.

빔(50)은 하부 구조물들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며 2개 이상이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데, 이 때, 길이방향(종방향)의 양측이 각각 이웃하는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에 각각 지지되고, 구체적으로, 단부가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빔 지지벽(33,43) 사이의 빔 정렬부(32,42)에 삽입되어 바닥부(31,41) 위에 올려지고, 따라서, 좌우 양측이 빔 지지벽(33,43)들 또는 빔 지지벽(33,43)과 거푸집벽(34,44)에 지지된다.The beam 50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lower structures and two or more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are adjacent beam support plate for each end 30 and the beam support walls 33 and 43 of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nd specifically, the ends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portion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t is inserted into the beam alignment portions 32 and 42 therebetween and is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s 31 and 41,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upported by the beam support walls 33 and 43 or the beam support walls 33 and 43 and the form wall. (34,44) is supported.

빔(50)은 PSC 빔, 강재 빔, 강합성 빔 등 다양한 빔이 사용 가능하고,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에 거치된 상태에서 종방향/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빔(50)[또는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과 결속을 위한 돌출 철근(51), 접합강재 등이 갖추어진다. 상기 돌출 철근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빔(50)과 결속을 위하여 종방향으로 돌출되는 종방향 돌출 철근(51)(도 5 참고),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빔(50)과 결속을 위하여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횡방향 돌출 철근 등이 가능하다.The beam 50 can be used in various beams such as PSC beam, steel beam, and composite beam, and is mounted on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in the longitudinal / lateral direction. The other beam 50 (or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nd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 51 for bonding, and the joining steel are provided.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 is longitudinally protruding reinforcing bar 51 (see Fig. 5)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binding with another beam 50 neighbor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binding with the other beam 50 neighbor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ransverse reinforcing bars that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possible.

도 5는 종방향 돌출 철근(51)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종방향 돌출 철근(51)은 빔(50)에서 앞으로 돌출되는 수평부 및 이 수평부에서 하부 또는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부로 구성되어 상하 2개소에 형성되고, 횡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돌출 배근된다.5 shows an example of the longitudinally projecting rebar 51, wherein the longitudinally projecting rebar 51 is a horizontal portion projecting forward in the beam 50 and vertically bent downward or upward in this horizontal portion. It consists of a vertical part and is formed in two places of upper and lower sides, and many pieces are protrudingly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6a, 도 6b는 빔(50)과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의 연결 상태와 돌출 철근(51)을 보인 평면도, 도 7a, 도 7b는 빔(50)과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50)의 연결 상태 및 돌출 철근(51)을 보인 평면도이다.6A and 6B are plan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beam 50 and the end beam support plate 30 and the protruding reinforcement 51. FIGS. 7A and 7B show the beam support plate for the beam 50 and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 It is the top view which showed the connection state of 50) and the protrusion reinforcement 51. As shown in FIG.

도 6a와 도 6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방향 돌출 철근(51)은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50)의 안에 배치되고, 합성형 슬래브(60)의 콘크리트에 매설된다. 이때,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종방향 돌출 철근(51)은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의 바닥부(31)에서 상부로 돌출된 합성용 철근(35)과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longitudinally protruding reinforcing bars 51 are disposed in the beam supporting plate 50 for the end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synthetic slab 6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8, the longitudinally projecting reinforcing bar 51 is preferably bound to the synthetic reinforcing bar 35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도 7a와 도 7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빔(50-1,50-2)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안에 삽입 거치되고 이때,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바닥부(41)에서 상부로 돌출된 합성용 철근(45)과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neighboring beams 50-1 and 50-2 are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the beam support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s shown. It is preferable to bind with the synthetic reinforcing bars 45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41 of the plate 40.

합성용 철근(35,45)는 수량과 형태 및 방향 등이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Synthetic reinforcing bars (35, 45)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quantities, shapes and directions.

종방향 돌출 철근(51-1,51-2)은 횡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며 철사 등을 통해 결속된다.
The longitudinal protruding bars 51-1 and 51-2 overlap each oth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re bound by wires or the like.

빔(50)은 전도 방지를 위하여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바닥부(31,41)에 앵커(53)로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52)가 포함된다.The beam 50 includes a fixing flange 52 fixed to the bottom portion 31 and 41 of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portion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to prevent the fall. do.

고정 플랜지(52)는 빔(50)의 저부로서 횡방향쪽의 끝 즉 2개소에 형성되고, 종방향을 돌출 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며, 앵커(53)의 설치를 위한 앵커홀이 구성된다.The fixing flange 5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two places as the bottom of the beam 50,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protru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onstitutes an anchor hole for installation of the anchor 53.

또한, 빔(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단면이 동일한 구조, 변단면 구조 모두가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7b에서 보이는 것처럼,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곳에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과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빔 지지벽(33,43)과 일렬로 배열되어 콘크리트의 타설면을 제공하는 벽체형 플랜지(54)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m 50 may be used in both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as a w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a to 7b, where the beam 50 is spaced i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wall flange 54 arranged in line with the beam support walls 33 and 43 of the auxiliary beam support plate 30 and the continuous point beam support plate 40 may be provided.

벽체형 플랜지(54)는 수직형과 경사형(단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 모두가 가능하다.The wall flange 54 can be both vertical and inclined (downward inclined toward the end).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바닥부(31,41) 위에 탄성받침이 설치되고, 빔(50)은 상기 탄성받침 위에 설치된다.An elastic bearing is installed on the bottom beams 31 and 41 of the beam bearing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bearing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and the beam 50 is installed on the elastic bearing.

빔(50)의 길이가 긴 경우 빔(50)의 종방향 양측 단부 사이 예를 들어 중앙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빔(50)의 중앙부 횡방향의 가로보를 1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로보는 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In the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beam 50 is long,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between two longitudinal ends of the beam 50 may be structurally vulnerable. It is also possible.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the cross beam, are possible.

합성형 슬래브(60)는 교대(10)쪽인 단부와 교각(20)쪽인 연속 지점부와 상부를 동시에 타설하는 특징이 있고, 빔 받침플레이트(30,40)를 통해 다수의 빔(50)이 결속되어 있으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서로 일체로 합성되어 상부 구조물[빔 받침플레이트(30,40), 빔(50), 합성형 슬래브(60)] 전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Synthetic type slab 60 is characterized in that at the same time the end portion of the alternating side 10 and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20 side is poure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beams 50 are bound through the beam support plate (30, 40) While being integrally synthesized with each other by concrete pouring, the entire upper structure (beam support plates 30, 40, beam 50, synthetic slab 60) is integrally formed.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공 공법을 설명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1. 하부 구조물 시공.1. Construction of substructure.

한 쌍의 교대(10)와 이 교대(10) 사이에 교각(20)을 시공한다. 이들(10,20)의 시공은 교량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다양하게 시공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bridge 20 is constructed between a pair of shifts 10 and this shift 10.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se 10 and 20 can be variously constructed by a method widely used in bridg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2. 빔 받침플레이트 시공.2. Construction of beam support plate.

교대(10)의 상부에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를 유압잭과 함께 설치하고, 교각(20) 위에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를 유압잭과 함께 설치한다.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hift 10 together with the hydraulic jack,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hydraulic jack on the piers 20.

3. 빔 거치 및 앵커 설치.3. Beam mounting and anchor installation.

빔(50)의 종방향 양쪽 단부를 이웃하는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에 걸쳐 거치한다. 빔(50)은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빔 지지벽(33,43) 사이의 빔 정렬부(32,42) 안에 삽입 거치되고 빔 지지벽(33,43)의 지지를 통해 전도를 일으키지 않는다.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beam 50 are mounted over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neighboring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The beam 50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beam alignment portions 32 and 42 between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walls 33 and 43 of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33, 43) does not cause evangelism.

이 전에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바닥부(31,41)에 탄성받침을 설치한다.Prior to this, elastic support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portions 31 and 41 of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빔(50)의 고정 플랜지에 앵커를 각각 설치하여 빔(50)을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에 각각 고정하며, 이 과정을 통해 빔(50)의 전도 방지 효과를 극대화한다.Ancho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xing flanges of the beams 50 to fix the beams 50 to the beam receiving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ing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respectively. Maximize the fall prevention effect.

4. 철근 조립 후 콘크리트 타설.4. Concrete pouring after rebar assembly.

빔(50)과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 빔(50)과 빔(50) 및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에서 철근(돌출 철근과 주철근의 조립 등 다양하게 실시)을 조립하여 이들(50,30)(50,50,40)을 결속한다. In the beam 50 and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30, the beam 50 and the beam 50,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to assemble the reinforcing bars (various implementation, such as the assembly of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s and cast iron) These (50, 30) (50, 50, 40) is bound.

또한, 빔(50)들 사이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합성형 슬래브(60) 공간에 철근을 조립한다.In addition, formwork is installed between the beams 50 and the reinforcing bar is assembled in the space of the composite slab 60.

이상의 공정을 통해 일측의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 - 다수의 빔(50) -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 - 다수의 빔(50) - 타측의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에 걸쳐 하나의 타설 공간이 형성되며, 이 하나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동시 타설하여 합성형 슬래브(60)를 시공한다. 따라서, 일측의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에 의한 단부측 가로보 - 다수의 빔(50) -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에 의한 연속 지점부측 가로보 - 다수의 빔(50) - 타측의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에 의한 단부측 가로보로 이어지는 상부 구조물은 일체형으로 시공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one end portion-the plurality of beams 50-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the plurality of beams 50-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other end portion One pouring space is formed over, and concrete is poured in this one space to construct a synthetic type slab (60). Therefore, the end side cross beam by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one end-the plurality of beams 50-the continuous point side cross beam by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the multiple beams 50-the other side The upper structure leading to the end side cross beam by the end beam receiving plate 30 is constructed in one piece.

5. 유압잭 철거 및 부대공 시공.5. Demolition of hydraulic jack and construction of auxiliary work.

전 공정에서 설치한 유압잭을 철거하고, 합성형 슬래브(60)의 교면을 포장 및 방호벽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한다.The hydraulic jack installed in the previous process is removed, and ancillary facilities, such as pavement and a protective wall, are installed on the intersection of the synthetic slab 60.

본 실시예는 도면에 하나의 교각(20)으로 도시하였으나, 동일한 구성과 방법에 의해 2개 이상의 교각(20)이 사용 가능하다.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as one pier 20 in the drawings, two or more pier 20 can be used by the same configuration and method.

지금까지는 한 쌍의 교대(10)와 이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의 교각(20), 교대(10)에 각각 설치되는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 교각(20)에 설치되는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에 각각 거치되며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에서 일체로 합성되는 빔(50)으로 구성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Until now, a pair of shifts 10 and one pier 20 installed therebetween, an end beam bearing plate 30 installed at the shifts 10, and a beam for continuous point portions provided at the pier 20 An example consisting of a beam 50 which is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40,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nd is integrally synthesized by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as follows.

도 11은 교대형 빔교로서, 하부 구조물을 한 쌍의 교대(10)만으로 구성하여 교대(10)에 각각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를 대칭으로 설치하고 빔(50)의 양측 단부를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에 거치한 후 합성형 슬래브(60)를 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11 is an alternating beam bridge, the lower structure consisting of only a pair of alternating 10, the end of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of each of the alternating 10 is installed symmetrically and both ends of the beam 50 for the end An example of constructing the composite slab 60 after mounting on the beam support plate 30 is shown.

도 12는 상부구조물 반복형 빔교로서, 하부 구조물이 한 쌍의 교대(10), 2개 이상(도면에는 3개로 도시함)의 교각(20)으로 이루어지고, 이 하부 구조물에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연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는 교대(10)는 물론이고 교각(20)에도 설치되고 단 하나의 교각(20)(도면에서 중앙의 교각) 위에 2개의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가 설치되어 중앙의 교각(20)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과 우측의 상부 구조물들은 서로 연속되지 않고 단절된 상태이다.
12 is a superstructure repeating beam bridge, the lower structure consisting of a pair of alternating 10, two or more (shown as three in the figure) piers 20, the overall superstructure installed in this substructure In order not to be continuous, the end beam bearing plate 30 is installed on the bridge 20 as well as the alternating 10 and beam beams for the two ends on a single pier 20 (center pier in the drawing). The plate 30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structur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piers 20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disconnect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교대, 20 : 교각
30 :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
31,41 : 바닥부, 32,42 : 빔 정렬부
33,43 : 빔 지지벽 34,44 : 거푸집벽
35,45 : 합성용 철근,
40 :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
50 : 빔, 51 : 돌출 철근
52 : 고정 플랜지, 53 : 앵커
54 : 벽체형 플랜지, 55 : 솔 플레이트
60 : 합성형 슬래브,
10: shift, 20: pier
30: beam receiving plate for the end,
31,41: bottom part, 32,42: beam alignment part
33,43: beam support wall 34,44: formwork wall
35,45: composite rebar,
40 beam beam plate for continuous point
50: beam, 51: extruded rebar
52: fixed flange, 53: anchor
54 wall flange, 55 sole plate
60: synthetic slab,

Claims (8)

한 쌍의 교대(10) 또는 한 쌍의 교대(10)와 하나 이상의 교각(20)으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조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설치되는 거푸집과 가로보겸용의 빔 받침플레이트와;
길이방향의 양측이 이웃하는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에 거치되는 2개 이상의 (50)빔과;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빔을 결속하는 철근과;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의 내부와 상기 빔들의 사이 및 상부에 동시 타설되어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 및 상기 빔과 일체로 합성되는 합성형 슬래브(60)를 포함하고,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세워지며 상기 빔이 삽입 거치되는 빔 정렬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거푸집의 기능을 하는 빔 지지벽, 상기 빔 지지벽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 세워지는 거푸집벽을 포함하여 상기 빔이 거치되면서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상기 빔 지지벽이 형성되는 한편 나머지 면에 상기 거푸집벽이 형성되는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 상기 바닥부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상기 빔 지지벽이 형성되는 한편 나머지 면에 상기 거푸집벽이 형성되는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로 구분되며,
상기 빔은 PSC 빔, 강재 빔, 강합성 빔 중 하나로서, 길이방향의 양측에 앞으로 돌출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하부 또는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부로 구성되는 돌출 철근(51),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곳에 상기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의 빔 지지벽과 일렬로 배열되어 콘크리트의 타설면을 제공하는 벽체형 플랜지(54)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30)와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40)는 상기 바닥부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빔의 돌출 철근(51)과 결속되는 합성용 철근(35,45)을 포함하는 한편, 각각 상기 바닥부가 횡단경사를 고려하여 횡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단차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구조물의 교좌면을 단차없이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A lower structure consisting of a pair of shifts 10 or a pair of shifts 10 and one or more piers 20;
A beam support plate made of precast concrete and installed on the lower structure for both the formwork and the cross beam;
Two or more (50) beams mounted on the beam receiving plat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bars for binding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 beam;
A synthetic slab (60) which is simultaneously cast between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 beams and is integrated with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 beam;
The beam support plate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in the beam alignment portion to the beam is inserted into the beam support wall that functions as a formwork, the formwork wall erected where the beam support wall is not formed Including the beam is mounted to form a concrete pouring space, the beam support wal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while the formwork wall is formed on the other side beam receiving plate 30, the bottom The beam supporting wall is formed on each of the opposing surfaces, while the beam supporting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wall on the other side,
The beam is one of a PSC beam, a steel beam, and a composite beam, the protruding reinforcement 51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protruding forwar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vertical portion bent vertically downward or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Wall-type flange arranged in line with the beam support wall of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spaced inwardly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54),
The beam support plate 30 for the end portion and the beam support plate 40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ncludes a composite reinforcing bar 35 and 45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to bind with the protruding reinforcement 51 of the beam. On the other hand, the beam portion is provided with a beam suppor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stepped or inclined while go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 slope to construct the bridge surface of the lower structure without a step.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의 빔 지지벽과 상기 거푸집벽은 상기 바닥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The beam bridge having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m support wall and the formwork wall of the beam support plate are assembled to the bottom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은 저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에 앵커로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The beam bridge of claim 1, wherein the beam includes a fixing flange protruding longitudinally or laterally at a bottom thereof and fixed to the beam support plate by an anch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는 교대형 빔교 또는 빔 연속형 빔교 또는 상부구조물 반복형 빔교이며,
상기 교대형 빔교는 상기 하부 구조물은 한 쌍의 교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교대에는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로서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빔은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교대에 설치된 빔 받침플레이트에 각각 거치되는 것이고,
상기 빔 연속형 빔교는 상기 하부 구조물은 한 쌍의 교대 및 상기 한 쌍의 교대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교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교대에는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로서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는 한편 상기 교각에는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로서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이웃하는 빔들이 상기 연속 지점부용 빔 받침플레이트에서 연속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 구조물 반복형 빔교는 상기 하부 구조물은 한 쌍의 교대 및 상기 한 쌍의 교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교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교대에는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로서 하나의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교각 중에는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로서 2개의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된 단부용 빔 받침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The beam bridge having the beam support plate is an alternating beam bridge, a beam continuous beam bridge, or a superstructure repeating beam bridge.
In the alternating beam bridge, the lower structure is composed of a pair of alternations, and the pair of alternating beam support plates are provided as end portions of the beam support plates, respectively, and the beams hav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mounted on the beam support plates installed on the alternating pairs,
In the beam continuous beam bridge, the lower structure is composed of a pair of shifts and one or more bridge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hifts, and the beam support plates for the end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air of shifts as the beam support plates. On the other hand, the beam supporting plate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s installed in the pier as the beam support plate so that neighboring beams are continuous in the beam support plate fo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The upper structure repetitive beam bridge is the lower structu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ridges are installed between a pair of alternations and the pair of alternations, the pair of alternating beam support plate for the end as a beam support plate On the other hand, a beam bridge having beam support plates, wherein the beam support plates for the two ends are installed toward the beam support plates for the end installed in the pair of alternating or pier as the beam support plates. .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의한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의 시공 공법으로서,
한 쌍의 교대 또는 한 쌍의 교대와 하나 이상의 교각으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시공된 하부 구조물 위에 유압잭과 함께 빔 받침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설치된 빔 받침플레이트 중에서 이웃하는 빔 받침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빔을 거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빔을 거치한 후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와 빔을 철근으로 결속하는 제4단계와;
상기 빔들 사이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빔들 사이와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의 내부 및 상기 빔들 상부에 일정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형 슬래브를 시공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유압잭을 철거함과 아울러 상기 합성형 슬래브 위에 부대시설을 설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빔 받침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빔과 합성형 슬래브가 일체로 합성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의 시공 공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a beam bridge provided with a beam support plate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tep of constructing a lower structure consisting of a pair of shifts or a pair of shifts and one or more piers;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beam support plate together with a hydraulic jack on the lower structure constructed through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mounting the beam to be supported by a neighboring beam support plate among the beam support plates installed through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binding the beam support plate and the beam with reinforcing bars after mounting the beam through the third step;
A fifth step of constructing a composite slab by installing formwork between the beams and placing concrete at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beams, inside the beam support plate, and above the beams;
And a sixth step of dismantling the hydraulic jack after the fifth step and installing additional facilities on the compound type slab, and constructing the beam and the compound type slab integrally through the beam support plat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eam bridge provided with the beam support plate.
KR1020170015745A 2016-02-05 2017-02-03 Beam bridge having beam suppor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144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1319 WO2018143661A1 (en) 2016-02-05 2018-01-31 Beam bridge having beam support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5307 2016-02-05
KR1020160015307 2016-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743A KR20170093743A (en) 2017-08-16
KR102014418B1 true KR102014418B1 (en) 2019-08-26

Family

ID=5975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745A KR102014418B1 (en) 2016-02-05 2017-02-03 Beam bridge having beam suppor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4418B1 (en)
WO (1) WO201814366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641A (en) * 2021-09-16 2023-03-23 (주)에이치앤디건설 Unsupported formwork construction method using socket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1252B (en) * 2018-10-19 2023-10-24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Side span steel beam pushing counterforce device and system
CN114293414A (en) * 2021-12-03 2022-04-0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Viaduct transition s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6873A (en) * 2008-04-11 2009-11-05 Oriental Shiraishi Corp Bridge equipped with precast cross girder and precast string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402B1 (en) * 2005-01-18 2007-03-29 (주)신승건설 Steel Cross-beam and Contruction Method by Using it
KR100703134B1 (en) 2005-07-28 2007-04-06 (주)한맥기술 Prefabricated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27427B1 (en) * 2011-10-11 2012-03-22 박재현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56774B1 (en) * 2012-10-09 2013-04-25 (주)지승컨설턴트 Constrcution method of end cross beam for integrating continuity of supporting portion and preventing falling down of psc girder
KR20160075952A (en) * 2014-12-19 2016-06-30 한국도로공사 Girder support block of a bridge and method for installing girde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6873A (en) * 2008-04-11 2009-11-05 Oriental Shiraishi Corp Bridge equipped with precast cross girder and precast string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641A (en) * 2021-09-16 2023-03-23 (주)에이치앤디건설 Unsupported formwork construction method using socket member
KR102515783B1 (en) * 2021-09-16 2023-03-30 (주)에이치앤디건설 Unsupported formwork construction method using socket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3661A1 (en) 2018-08-09
KR20170093743A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586B1 (en) Steel built-up beam having closed section for applying long span and reduction of height and concrete filled composite beam system using the same
KR101067001B1 (en) Slave constructing method of steel box girder bridge using steel reinforcement
JP6395465B2 (en) Box culvert
KR102014418B1 (en) Beam bridge having beam suppor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34013B1 (en) Rapid cnstruction method of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end diaphragm
KR101260863B1 (en) Rhamen bridge hav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of arch-shap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11252B1 (en)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KR100728106B1 (en) Cantilever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 bridge and the method thereof
JP2014095256A (en) Ribbed precast concrete plate, and method for separately placing concrete in composite floor slab and beam using the ribbed precast concrete plate
KR101541465B1 (en) The long-span slab system
KR101300296B1 (en) Rapid cnstruction method of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end diaphragm
KR101329443B1 (en) Precast concret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s using precast concrete slab continued by post tensioning
KR100718294B1 (en) Slim floor beam using cold-formed steel
KR101735077B1 (en) Bridge dec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KR102118884B1 (en) Hybrid PC underground parking lot
JP6418805B2 (en) Embedded formwork for floor slabs
JP2020063617A (en)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members
KR102470160B1 (en) Ramp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wall
KR20120131034A (en) Container Assembled with Precast Members Using Loop Connection
JP2011089390A (en) Rigid connection structure of corner section
JP5769291B2 (en) Precast synthetic slab erection method
KR101541454B1 (en) The long-span slab system
KR101447537B1 (en) Precast slab connection method using connection module
KR102018767B1 (en) Precast concrete wall using cast in place concrete and concrete construction include this same
KR101346671B1 (en) The pin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pacer in the junction of pc beam and vertical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