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583B1 - 반도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도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3583B1 KR102013583B1 KR1020120128446A KR20120128446A KR102013583B1 KR 102013583 B1 KR102013583 B1 KR 102013583B1 KR 1020120128446 A KR1020120128446 A KR 1020120128446A KR 20120128446 A KR20120128446 A KR 20120128446A KR 102013583 B1 KR102013583 B1 KR 1020135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control signal
- delay
- clock
- chan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72—Latency related aspe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송신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수신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110 : 내부신호 생성부 120 : 지연제어코드 생성부
130<0:4> : 다수의 송신부 210 : 복원클록 생성부
220 : 스큐 감지부 240 : 신호 복원부
Claims (20)
- 제1 및 제2 채널을 통해 각각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채널에 실리는 신호와 상기 제2 채널에 실리는 신호가 지연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위상 차이를 갖도록 제어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채널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조절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조절신호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복원클록을 생성하며, 상기 복원클록과 상기 조절신호의 스큐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지연제어신호의 값을 조절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원클록과 상기 조절신호의 스큐 차이를 감지하기 위한 스큐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큐 감지부는, 설정된 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복원클록을 설정된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클록과 상기 조절신호의 위상차이를 검출한 결과 및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설정된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클록과 상기 복원클록의 위상차이를 검출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제1 및 제2 내부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신호 생성부;
상기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그 값이 조절되는 지연제어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지연제어코드 생성부;
제1 내부신호를 상기 지연제어코드에 대응하는 제1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뒤,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및
제2 내부신호를 상기 지연제어코드에 대응하는 제2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뒤,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연량의 크기와 상기 제2 지연량의 크기 차이는 상기 지연제어코드에 따라 조절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조절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상기 복원클록을 발진하는 복원클록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클록 생성부는,
상기 조절신호와 상기 복원클록의 주파수 차이를 검출하기 위한 주파수 검출부;
상기 주파수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그 전압레벨이 조절되는 차지전압을 생성하는 차지전압 생성부; 및
상기 차지전압의 레벨에 대응하여 그 주파수가 조절되는 상기 복원클록을 발진하기 위한 발진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 감지부는,
상기 복원클록을 설정된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클록과 상기 조절신호의 위상차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부;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설정된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클록과 상기 복원클록의 위상차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검출부; 및
설정된 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연제어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및 제2 채널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복원클록을 기준으로 샘플링하여 제1 및 제2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복원부를 더 구비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에 실리는 신호와 상기 제2 채널에 실리는 신호는 동작클록의 에지를 기준으로 각각 설정된 패턴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에 실리는 신호와 상기 제2 채널에 실리는 신호는 서로 상반되는 논리레벨을 가지며, 상기 동작클록의 에지마다 각각 그 논리레벨이 천이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반도체 장치이고, 상기 송신부는 반도체 장치 컨트롤러인 반도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반도체 장치 컨트롤러이고, 상기 송신부는 반도체 장치인 반도체 시스템.
-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신호를 비트단위로 다수의 채널을 통해 각각 송신하되, 홀수 번째 채널에 실리는 신호와 짝수 번째 채널에 실리는 신호가 지연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위상 차이를 갖도록 제어하는 송신부; 및
상기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조절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조절신호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복원클록을 생성하며, 상기 복원클록과 상기 조절신호의 스큐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지연제어신호의 값을 조절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원클록과 상기 조절신호의 스큐 차이를 감지하기 위한 스큐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큐 감지부는, 설정된 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복원클록을 설정된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클록과 상기 조절신호의 위상차이를 검출한 결과 및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설정된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클록과 상기 복원클록의 위상차이를 검출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다수의 내부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신호 생성부;
상기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그 값이 조절되는 지연제어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지연제어코드 생성부;
상기 다수의 내부신호 중 홀수 번째 내부신호를 상기 지연제어코드에 대응하는 제1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뒤, 상기 홀수 번째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및
상기 다수의 내부신호 중 짝수 번째 내부신호를 상기 지연제어코드에 대응하는 제2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뒤, 상기 짝수 번째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연량의 크기와 상기 제2 지연량의 크기 차이는 상기 지연제어코드에 따라 조절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조절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상기 복원클록을 발진하는 복원클록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클록 생성부는,
상기 조절신호와 상기 복원클록의 주파수 차이를 검출하기 위한 주파수 검출부;
상기 주파수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그 전압레벨이 조절되는 차지전압을 생성하는 차지전압 생성부; 및
상기 차지전압의 레벨에 대응하여 그 주파수가 조절되는 상기 복원클록을 발진하기 위한 발진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 감지부는,
상기 복원클록을 설정된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클록과 상기 조절신호의 위상차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부;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설정된 지연량만큼 지연시킨 클록과 상기 복원클록의 위상차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검출부; 및
설정된 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연제어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다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복원클록을 기준으로 샘플링하여 다수의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복원부를 더 구비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채널에 실리는 신호와 상기 짝수 번째 채널에 실리는 신호는 동작클록의 에지를 기준으로 각각 설정된 패턴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채널에 실리는 신호와 상기 짝수 번째 채널에 실리는 신호는 서로 상반되는 논리레벨을 가지며, 상기 동작클록의 에지마다 각각 그 논리레벨이 천이하는 반도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반도체 장치이고, 상기 송신부는 반도체 장치 컨트롤러인 반도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반도체 장치 컨트롤러이고, 상기 송신부는 반도체 장치인 반도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8446A KR102013583B1 (ko) | 2012-11-13 | 2012-11-13 | 반도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8446A KR102013583B1 (ko) | 2012-11-13 | 2012-11-13 | 반도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1186A KR20140061186A (ko) | 2014-05-21 |
KR102013583B1 true KR102013583B1 (ko) | 2019-08-23 |
Family
ID=5089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8446A Active KR102013583B1 (ko) | 2012-11-13 | 2012-11-13 | 반도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358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47256A1 (ja) | 2011-04-25 | 2012-11-0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2830A (ja) * | 2000-02-14 | 2002-03-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 |
KR100839488B1 (ko) * | 2006-08-30 | 2008-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준 클럭이 불필요한 클럭 데이터 복원 회로 |
KR20100068670A (ko) * | 2008-12-15 | 2010-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채널 스큐 보상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회로, 이를 구비한통신 시스템 및 채널 스큐 보상 방법 |
KR20120035755A (ko) * | 2010-10-06 | 2012-04-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적응형 지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
-
2012
- 2012-11-13 KR KR1020120128446A patent/KR10201358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47256A1 (ja) | 2011-04-25 | 2012-11-0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1186A (ko) | 2014-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07693B2 (en) | Semiconductor device, a parallel interface system and methods thereof | |
JP4741003B2 (ja) | 位相比較器,位相比較装置,およびクロックデータリカバリシステム | |
KR20150104341A (ko) |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 |
KR20110014230A (ko) | 다중 위상 클록 발생 장치 및 방법 | |
JP2007060645A (ja) | マルチチャネル高速トランシーバ回路網のレーン間スキュー低減 | |
KR20100067211A (ko) | 다중 위상 클럭 생성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 |
US11711110B2 (en) |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 |
US8581654B2 (en) | Method of compensating clock skew, clock skew compensating circuit for realizing the method, and input/output system including the clock skew compensating circuit | |
CN102013971A (zh) | 接收设备及其接收方法 | |
JP6221857B2 (ja) | 位相調整回路、データ伝送装置、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位相調整方法 | |
KR102013583B1 (ko) | 반도체 시스템 | |
US9374096B2 (en) | Semiconductor apparatus and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20090207960A1 (en) | Frame pulse signal latch circuit and phase adjustment method | |
US10033525B2 (en) | Transmission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 |
US8139697B2 (en) | Sampling method and data recovery circuit using the same | |
US9690319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JP5522372B2 (ja) | 受信回路 | |
KR102094817B1 (ko) |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과 그 동작방법 | |
JP5791090B2 (ja) | 位相制御装置及び位相制御方法 | |
KR20080076463A (ko) | 고속 기저대역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 수신 클럭 오차제어 장치 및 방법 | |
JP2005328107A (ja) | データ伝送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 |
JP2018006863A (ja) | 受信回路、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