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861B1 -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861B1
KR102012861B1 KR1020120122155A KR20120122155A KR102012861B1 KR 102012861 B1 KR102012861 B1 KR 102012861B1 KR 1020120122155 A KR1020120122155 A KR 1020120122155A KR 20120122155 A KR20120122155 A KR 20120122155A KR 102012861 B1 KR102012861 B1 KR 10201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nce
skin
cells
melanocytes
test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401A (ko
Inventor
신현정
김미나
이태룡
최현정
조은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12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8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46Integrin superfamily, e.g. VLAs, leuCAM, GPIIb/GPIIIa, LPA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02Oxidoreductases (1.)
    • G01N2333/90219Oxidoreductases (1.) acting on diphenols and related substances as donors (1.10)
    • G01N2333/90222Oxidoreductases (1.) acting on diphenols and related substances as donors (1.10) with oxygen as acceptor (1.10.3) in general
    • G01N2333/90225Oxidoreductases (1.) acting on diphenols and related substances as donors (1.10) with oxygen as acceptor (1.10.3) in general with a definite EC number (1.10.3.-)
    • G01N2333/90229Catechol oxidase, i.e. Tyrosinase (1.10.3.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smet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SCREENING METHOD OF CANDIDATE MATERIAL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색소 침착 현상이 나타나는 데에는, 자외선, 복용 약물, 공해 물질, 자극성 피부 외용제 등 여러 가지 외적 요인 및 호르몬 불균형, 염증 반응 인자, 싸이토카인 등의 내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피부가 자외선을 받게 되면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에 있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의 활성이 증가되며, 이 효소는 피부 조직 중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한 종류인 타이로신(tyrosine)에 작용하여 도파(DOPA)를 생성시키고, 이것이 다시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하면서,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을 형성하는 여러 단계의 복잡한 반응들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렇게 만들어진 멜라닌 색소는 멜라노사이트의 덴드라이트 (dendrite)를 통하여 주변에 있는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 널리 분배됨으로써 피부의 색을 변화시키게 된다. 정상적인 피부의 경우, 멜라닌 색소를 포함하고 있던 케라티노사이트는, 약 4주간에 걸친 각화 과정을 통하여 핵이 없는 각질세포로 분화되어 자연스럽게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그러나,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과 같은 피부 색소 이상 증상은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닌 생성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진행된 반면, 정상적으로 떨어져 나가지 못함으로써 나타나게 된다.
하얀 피부를 갖는 것을 아름다움의 척도로 생각하고 있는 동양인들은 피부 색소 이상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으며, 그러한 미백용 조성물로부터 실질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하는 욕구도 대단히 강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멜라닌 생성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중심의 미백 연구, 멜라닌 생성 기전 중심의 연구 및 저해제 개발 또는 마우스 멜라노사이트 셀라인(cell line)이나 마우스 흑색종(melanoma)등을 이용한 미백 연구만을 진행하여, 피부의 물리적, 화학적 환경을 대변할 수 있는 멜라노사이트 세포 배양 시스템 부재하였고 피부 과색소침착증의 증상별 원인 및 특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세포를 강성 정도가 서로 다른 PDMS 상에서 배양한 결과, 멜라노사이트 주변 환경의 강성 정도를 변화시킴에 따라 멜라노사이트의 활성 및 모양이 변화하여 각질형성세포로의 멜라닌 확산 정도가 달라지고 이로써 피부 흑화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4-01107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 물질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 및 상기 미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시험 물질을 처리한 세포에서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 및 MIT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은 멜라닌 생성 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고,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기저막과의 결합에 필요한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MITF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확인하여 임의의 물질이 미백 물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미백 물질인지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해 미백 물질임이 판정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세포의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MITF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줄이고, 기저막과의 결합에 필요한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 세포의 부착면을 유연화시켜 세포의 이동성과 함께 덴드라이트의 수 및 길이를 감소시켜서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각질 형성 세포로 멜라닌 분산을 막아 피부의 미백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PDMS의 강성 정도에 따라 멜라노사이트 및 흑색종의 모양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강성이 서로 다른 PDMS 상에서 MNT1 세포의 이동 속도 차이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PDMS의 강성 변화에 따른 멜라닌 생성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강성이 서로 다른 PDMS 위에서 멜라노좀 이동 (melanosome transfer)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시험 물질을 처리한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 및 MIT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생성 세포의 부착면을 유연화시키면, 멜라닌 생성세포가 강하게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기저막과의 결합에 필요한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을 감소시키며, 세포의 이동성 및 덴드라이트의 수와 길이를 감소시켜서 멜라닌 생성 세포가 단단히 자리잡을 수 없도록 하고 이로써 각질 형성 세포로의 멜라닌 분산을 억제하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멜라닌 생성 세포에 임의의 물질을 처리하고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그 임의의 물질이 피부 유연화 물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미백 물질인지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는 인간 또는 동물에서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라면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흑색종 세포 또는 멜라노사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는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피부"는 멜라닌 생성 세포 주위의 피부 세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대적 발현 정도"는 시험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정도와 비교하였을 때의 발현 정도일 수 있다. 상기에서 발현 정도는 발현량 및 발현 질(quality)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연화"는 멜라닌 생성 세포에 접촉하는 그 주위 세포를 덜 단단하게, 더 소프트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피부 미백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감소시키는 물질을 피부 미백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험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정도보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그것보다 감소하면 처리한 시험 물질이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감소시켰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시험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정도보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그것보다 높으면 처리한 시험 물질이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처리한 시험 물질이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감소시키면 피부 유연화 물질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해당 물질은 미백 물질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시험 물질을 처리한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MITF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생성 세포의 부착면을 유연화시키거나 세포와 세포 간 물질로 이루어진 주변 미세 환경의 강성을 유연화시키면, 멜라닌 생성세포가 강하게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MITF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을 감소시키며, 세포의 이동성과 덴드라이트의 수 및 길이를 감소시켜서 멜라닌 생성 세포가 단단히 자리잡을 수 없도록 하여 멜라닌의 생성과 멜라노좀의 각질세포로의 분산을 막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멜라닌 생성 세포에 임의의 물질을 처리하고 MITF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그 임의의 물질이 피부 미백 물질인지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MITF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피부 미백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ITF 유전자는 RT-PCR, ELISA 또는 웨스턴블럿(immuno blot)을 이용하여 그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험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MITF 유전자의 발현 정도보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MITF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낮으면 처리한 시험 물질이 MITF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감소시켰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시험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MITF 유전자의 발현 정도보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MITF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낮으면 처리한 시험 물질이 MITF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감소시키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처리한 시험 물질이 MITF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감소시키면 해당 물질은 미백 물질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시험 물질을 처리한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덴드라이트 (dendrite)의 상대적인 길이 또는 덴드라이트의 상대적인 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덴드라이트의 길이를 감축시키거나 또는 덴드라이트의 수를 감소시키는 물질을 피부 미백 물질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생성 세포는 흑색종 세포 또는 멜라노사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미백 물질로 판단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 주변 피부 미세 환경의 강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멜라닌 생성 세포의 "주변"은 멜라닌 생성 세포를 감싸고 있는 360°방향의 세포 및 세포간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멜라닌 생성 세포의 경계로부터 2mm 이내에 있는 세포 및 세포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성 세포로부터 일정한 반경 내에 있는 각질형성 세포 또는 섬유아세포 및 콜라겐과 같은 세포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세 환경의 강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TNF-alpha와 같은 피부 경화 억제 물질 또는 TNF-alpha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 또는 피부 경화를 유도하는 TGF-beta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상기 멜라닌 생성 세포 주변 피부 미세 환경의 "강성"이 0.01 내지 2 MPa 범위에 있을 때, 피부의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강성이 0.01MPa미만이면 피부가 형태를 유지할 수 없고, 강성이 2MPa를 초과하면 미백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 주변 피부 미세 환경의 강성은 0.02 내지 1.9MPa, 0.03 내지 1.8MPa, 0.04 내지 1.7MPa, 0.05 내지 1.6MPa 또는 0.06 내지 1.5MPa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강성이 서로 다른 PDMS 제작 및 세포 부착을 위한 단백질 코팅
PDMS(Sylgar 184, Dow corning)의 염기(base)와 크로스라이너(crossliner)를 각각 다른 비율(w/w) 50:1, 30:1, 10:1로 섞은 후 커버슬립 위에 200 μm의 두께로 부어준 후, 70℃에서 12시간 동안 굳혀서 서로 다른 강성 (5.5, 1.8, 0.26, 0.05 MPa)을 가지는 기질을 제작하였다. 상기 기질에 세포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라미닌 단백질(Laminin, Invitrogen)을 0.6 μg/cm2의 농도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PDMS에 코팅시켰다.
[ 시험예 1] PDMS 의 강성 정도에 따라 멜라노사이트 및 흑색종의 모양 변화
상기 제작한 5.5, 1.8, 0.26, 0.05 MPa의 강성을 가지는 PDMS 위에 MNT1 (인간 흑색종 세포주, 동국대 의대 피부과 이애영 교수님 기증) 세포를 PDMS당 2 X 105 세포로 깔고 36시간 후에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사진을 찍었다. 상기 각각의 강성을 가지는 샘플마다 전체 세포 약 3000개 중 수지상 세포 (dendritic cell)와 원형 세포 (round cell)를 각각 개수하여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B, C), 배양 바닥 면의 PDMS의 강성이 증가할수록 덴드라이트 (dendrite)를 가지고 있는 MNT1 세포의 수가 늘어나고 강성이 약한 PDMS 상의 MNT1 세포는 둥근 모양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배양 바닥 면이 단단할수록 세포가 강하게 부착하여 빨리 자리를 잡을 수 있고 피부 색소화 (skin pigmentation)라는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알려주며, 그러므로 멜라노사이트가 선호하는 강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PDMS 위의 코팅 단백질을 라미닌(laminin)이 아닌 콜라겐(collagen)으로 했을 때나, MNT1 세포가 아닌 인간 정상 멜라노사이트를 배양한 경우에도 같은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도 1A).
그러나 인간 정상 멜라노사이트의 경우에는 다양한 덴드라이트(dendrite) 수와 길이를 가지고 있어 세포 모양 차이를 정량화 하기가 매우 어려워 MNT1 세포를 이용하여 수치화하였다.
[ 시험예 2] 강성이 서로 다른 PDMS 상에서 MNT1 세포의 이동 속도 차이
상기 제작한 5.5, 1.8, 0.26, 0.05 MPa의 강성을 가지는 PDMS 위에서 36시간 동안 배양시킨 MNT1 세포의 움직임을 1시간 동안 1분마다 미속도 (time laps) 촬영하였다. MNT1 세포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PDMS에서 평균 50개 이상의 세포에 대해 이동하는 세포의 중심 (centroid)을 트랙킹 (tracking)하였고, 이를 토대로 image J (NIH)소프트웨어로 1분간 평균 이동속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 강성이 감소할수록 세포의 이동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MNT1 세포는 강성이 큰 환경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3] PDMS 의 강성 변화에 따른 멜라닌 생성 유전자의 발현 변화 확인
상기 제작한 5.5, 1.8, 0.26, 0.05 MPa의 강성을 가지는 PDMS 위에서 36시간 배양시킨 MNT1 세포의 RNA를 추출하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샘플간 멜라닌 생성 효소 및 세포 부착 유전자, 멜라노좀 생성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 차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 강성이 감소함에 따라 멜라닌 생성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와 그의 전사인자인 MITF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피부에서 멜라노사이트가 진피와 표피의 경계 면인 기저막(basement membrane)에 결합할 때 필요한 단백질인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 역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배양 바닥 면이 단단할수록 세포는 덴드라이트를 잘 뻗고 이에 따라 자리를 잘 잡게 되어 멜라닌 생성이라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고, 이에 따라 기적막과의 결합에 필요한 인테그린 알파 6의 발현 역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4] 강성이 서로 다른 PDMS 위에서 멜라노좀 이동 ( melanosome transfer )
상기 제작한 5.5, 1.8, 0.26, 0.05 MPa의 강성을 가지는 PDMS 위에 인간 각질 형성 세포(normal human keratinocyte, LONZA, 미국)와 MNT1 세포를 1:4의 비율로 장당 총 1 X 105 세포로 깔았다.
4일 동안 배양시킨 후 고정액으로 고정하여 DAPI로 핵을 염색하고, 케라틴 항체(Abcam, 미국)로 각질 형성 세포를 표지하며, gp100 항체(Abcam, 미국)로 MNT1 세포를 표지하였다. 샘플당 약 2500개의 각질 형성 세포 중 gp100으로 표지된 멜라노좀을 함유하고 있는 각질 형성 세포의 비율을 %로 계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4), PDMS의 강성이 감소할수록 멜라노좀 이동도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멜라닌 생성 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시험 물질을 처리한 세포에서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계의 시험 물질을 처리한 세포에서 인테그린 알파 6 (integrin alpha 6)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감소시키는 물질을 피부 미백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한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덴드라이트 (dendrite)의 상대적인 길이 또는 덴드라이트의 상대적인 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덴드라이트 (dendrite)의 상대적인 길이 또는 덴드라이트의 상대적인 수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덴드라이트의 길이를 감축시키거나 또는 덴드라이트의 수를 감소시키는 물질을 피부 미백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한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및 MIT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한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의 부착면 또는 멜라닌 생성 세포의 주변 미세 환경의 강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생성 세포는 흑색종 세포 또는 멜라노사이트인,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KR1020120122155A 2012-10-31 2012-10-31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KR10201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155A KR102012861B1 (ko) 2012-10-31 2012-10-31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155A KR102012861B1 (ko) 2012-10-31 2012-10-31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401A KR20140055401A (ko) 2014-05-09
KR102012861B1 true KR102012861B1 (ko) 2019-08-22

Family

ID=5088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155A KR102012861B1 (ko) 2012-10-31 2012-10-31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038A (ko) * 2014-11-28 2016-06-08 (주)아모레퍼시픽 멜라닌 세포주 계대배양계 및 이를 이용한 노화 수준 판단, 미용 정보 제공, 또는 스크리닝 방법
KR102541259B1 (ko) * 2016-08-25 2023-06-12 (주)아모레퍼시픽 일차 섬모를 조절하는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KR102109976B1 (ko) * 2017-07-25 2020-05-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르기나제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색소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441384B1 (ko) 2020-03-27 2022-09-0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458499B1 (ko) * 2021-09-16 2022-10-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미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스크리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516A (ja) * 2000-12-13 2002-06-26 Pola Chem Ind Inc 美白用組成物
JP2007209209A (ja) * 2006-02-07 2007-08-23 Naris Cosmetics Co Ltd MITFのmRNA量によるメラニン産生抑制剤の評価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358B1 (ko) 2003-06-20 2005-12-12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516A (ja) * 2000-12-13 2002-06-26 Pola Chem Ind Inc 美白用組成物
JP2007209209A (ja) * 2006-02-07 2007-08-23 Naris Cosmetics Co Ltd MITFのmRNA量によるメラニン産生抑制剤の評価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chiro SHIRASUGI et al., ‘Novel Screening Method for Potential Skin-Whitening Compounds by a Luciferase Reporter Assay’,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0, Vol. 74, pp 2253-225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401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861B1 (ko) 피부 미백 물질 스크리닝 방법
Beaumont et al. The recycling endosome protein Rab17 regulates melanocytic filopodia formation and melanosome trafficking
Bin et al. Membrane-associated transporter protein (MATP) regulates melanosomal pH and influences tyrosinase activity
Nueda et al. The EGF-like protein dlk1 inhibits notch signaling and potentiates adipogenesis of mesenchymal cells
Strobel et al. Vascularized adipocyte organoid model using isolated human microvessel fragments
Roy et al. Human organ-specific 3D cancer models produced by the stromal self-assembly method of tissue engineering for the study of solid tumors
US10054582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HMGB1 activation of melanocytes
Hearing The regulation of melanin formation
EP3225626B1 (en) Sfrp5-derived peptide fragment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same
KR20140115296A (ko) 모낭 외모낭초로부터 멜라닌세포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 및 이식을 위한 제조
US888372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skin pigmentation
Cabaco et al. The dark side of melanin secretion in cutaneous melanoma aggressiveness
Bejaoui et al. 3, 4, 5-Tri-O-caffeoylquinic acid promoted hair pigmentation through β-catenin and its target genes
Graczyk et al. S100A6 expression in keratinocytes and its impact on epidermal differentiation
Nueda et al. The novel gene EGFL9/Dlk2, highly homologous to Dlk1, functions as a modulator of adipogenesis
Coronel-Cruz et al. Connexin 30.2 is expressed in mouse pancreatic beta cells
KR102212623B1 (ko) 캐드헤린11 또는 n-캐드헤린 발현을 조절하는 피부 개선 물질 및 이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Fernandes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mammalian pigmentation: Paving the way for innovative hair colour-changing cosmetics
KR101032271B1 (ko) 피부세포 재생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피부세포 재생 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947902B1 (ko)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재조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ang et al. Distribution and expression of SLC45A2 in the skin of sheep with different coat colors
Kondo et al. Oculocutaneous albinism: developing novel antibodies targeting the proteins associated with OCA2 and OCA4
Kiyoshima et al. Induction of dental epithelial cell differentiation marker gene expression in non-odontogenic human keratinocytes by transfection with thymosin beta 4
Ryu et al. Epidermal growth factor (EGF)-like repeats and discoidin I-like domains 3 (EDIL3): a potential new therapeutic tool for the treatment of keloid scars
Melamed et al. Initiation of fibronectin fibrillogenesis is an enzyme-dependent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