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324B1 - 캔마개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캔마개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324B1
KR102012324B1 KR1020180015308A KR20180015308A KR102012324B1 KR 102012324 B1 KR102012324 B1 KR 102012324B1 KR 1020180015308 A KR1020180015308 A KR 1020180015308A KR 20180015308 A KR20180015308 A KR 20180015308A KR 102012324 B1 KR102012324 B1 KR 102012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in
base frame
sub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832A (ko
Inventor
이영봉
Original Assignee
이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봉 filed Critical 이영봉
Priority to KR102018001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3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53Methods or machines for closing cans by applying caps or bottoms
    • B21D51/2661Sealing or clos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92Manipulating, e.g. feeding and positioning devices;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마개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 구조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중량 캐스터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일측에 제공된 상부 메인케이싱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부면에 제공된 부싱과, 하단부는 상기 부싱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이의 내부에 위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부싱의 상단과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된 스톱퍼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제공된 캔 수용트레이를 갖는 캔 지지수단과;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로서 상기 상부 메인케이싱의 일측면 상단에 제공되며 상기 캔 수용트레이의 상단과 이격된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전면 상단에 제공된 손잡이를 갖는 상부 서브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메인금형과; 상기 메인금형의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각기 제공된 제 1 및 제 2 서브금형과; 상기 메인금형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금형을 이동시켜 회전되면서 캔 마개를 밀봉하도록 제공된 금형 구동수단과; 상기 금형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상기 상부 메인케이싱의 전면에 제공된 제어기로 구성됨으로써, 금형들의 교체가 용이하며 메인금형으로 마개의 상부면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하는 서브금형을 이용하여 마개를 밀봉함으로서 밀봉작업시 발생되던 내용물의 흘러넘침을 근본적으로 해소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캔마개 밀봉장치 {Apparatus for sealing lids for cans}
본 발명은 캔마개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68881호(등록일자: 2006.4.3., 발명의 명칭: 캔 진공 시밍장치)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에는 지지축(11a)이 형성된 테이블(11)을 구비하여 받침부재(12)를 고정하고, 상기 받침부재(12)에 진공작업부(60)를 고정하되, 상기 진공작업부(60)는 리프터 작동부(20)에 연결된 리프터 판(21)을 내측 하부에 형성하고, 구동수단(30)의 구동축(36)에 연결된 시밍척(40), 시밍롤 작동부(50)에 연결된 시밍헤드(51)를 내측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리프터 작동부(20)와 구동수단(30) 및 시밍롤 작동부(5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7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진공작업부(60)의 리프터 판(21)에 올려진 마개가 씌워진 캔이 구동수단(30)의 구동축(36)에 연결된 시밍척(40)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시밍롤 작동부(50)에 의하여 작동되어지는 시밍헤드(51)에 의해 시밍되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리프터축(23)의 상부에는 볼트 고정된 리프터휠(21a) 및 안착홈(21b')이 형성된 받침판(21b)을 갖는 리프터판(21)을 구비하되, 상기 리프터축(23a)이 관통되는 받침부재(12)의 하부에는 실링된 플렌지(24)가 결합된 캔 시밍장치(A)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작동부(20)는 테이블(11) 상부에 구비된 수직 실린더(22)와, 상기 수직 실린더(22)의 실린더 로드(22a)에 연결된 리프터축(23)으로 구성되어지되, 제어부(70)에 접속된 솔레노이드밸브(25)를 상기 수직 실린더(22)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여 압축기(14)내의 유체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진공 시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진공작업부내의 공간이 진공상태로 유지된 가운데 제 1,2시밍롤이 결합된 시밍헤드를 에어실린더로 작동시켜 리프터에 의해 올려진 회전하고 있는 캔을 간단하게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구성하는 진공작업부와 그에 따른 테이블이나 지지축 등을 경량화 시켜 운반 및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고도의 숙련된 작업자 없이도 비숙련자가 시밍작업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직경이 상이한 캔을 밀봉하기 위해서는 숙련공에 의해 세팅을 새로이 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러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직경의 캔 마개를 밀봉하기 위한 금형의 교체가 용이하고, 캡이 회전되면서 실링되는 경우에 발생되던 충전물의 흘러넘치는 문제점을 해소한 캔마개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 구조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중량 캐스터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일측에 제공된 상부 메인케이싱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부면에 제공된 부싱과, 하단부는 상기 부싱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이의 내부에 위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부싱의 상단과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된 스톱퍼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제공된 캔 수용트레이를 갖는 캔 지지수단과;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로서 상기 상부 메인케이싱의 일측면 상단에 제공되며 상기 캔 수용트레이의 상단과 이격된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전면 상단에 제공된 손잡이를 갖는 상부 서브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메인금형과; 상기 메인금형의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각기 제공된 제 1 및 제 2 서브금형과; 상기 메인금형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금형을 이동시켜 회전되면서 캔 마개를 밀봉하도록 제공된 금형 구동수단과; 상기 금형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상기 상부 메인케이싱의 전면에 제공된 제어기로 이루어진 캔마개 밀봉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장되며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하부에 제공된 높이조절실린더 브라켓트와, 상기 높이조절실린더 브라켓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높이조절 실린더와,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금형 구동수단은, 상기 케이싱본체에 내장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모터 브라켓트와, 상기 모터 브라켓트의 하부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된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면 중심에 제공된 베어링부재와, 상단부가 상기 베어링부재와 삽입된 메인금형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금형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면 가장자리부에 각기 제공되며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금형과 각기 연동되는 제 1 및 제 2 서브금형 무빙블럭과,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금형 무빙블럭을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무빙실린더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재의 하단부에 제공된 메인 실린더브라켓트와, 상기 메인금형과 연동되도록 상기 메인 실린더브라켓트의 하부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메인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금형들의 교체가 용이하며 메인금형으로 마개의 상부면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하는 서브금형을 이용하여 마개를 밀봉함으로서 밀봉작업시 발생되던 내용물의 흘러넘침을 근본적으로 해소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캔마개 밀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캔 지지수단과 높이조절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메인금형, 실링금형 및 밀봉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메인금형과 높이조절실린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캔 진공 시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캔마개 밀봉장치(100)는 베이스(10), 상부 메인케이싱(20), 캔 지지수단(30), 상부 서브케이싱(40), 고정 나사(50), 높이조절수단(60), 금형 구동수단(70), 메인금형(Md), 제 1 및 제 2 밀봉금형(Sd1)(Sd2), 공기조절기(OWf) 및 제어기(80)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10)는 중공 구조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11)과, 베이스 프레임(11)의 하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중량 캐스터(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1)는 캔마개 밀봉장치(100)의 작동시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복수 개의 철재 또는 금속재의 중량 판재를 용접 또는 체결 방식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량 캐스터(13)는 캔마개 밀봉장치(100)의 전체 중량을 지지하고 이동의 목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의 하부면 가장자리부에 각기 1개씩 제공되어 있다.
상부 메인케이싱(20)은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부면 일측에 제공되어 있다.
캔 지지수단(30)은 베이스 프레임(11)에 상부면에 제공된 부싱(35)과, 하단부는 부싱(35)을 관통하여 베이스 프레이(11)의 내부에 위치된 지지부재(33)와, 부싱(35)의 상단과 이격되도록 지지부재(33)에 체결된 스톱퍼(35)와, 지지부재(33)의 상단에 제공된 캔 수용트레이(3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스톱퍼(35)는 지지부재(33)의 하강길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부싱(35)과 스톱퍼(35)의 거리가 멀수록 지지부재(33)의 하강길이가 길어진다. 또한, 캔 수용트레이(37)는 캔(도시 안됨)이 상부면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면에 안착홈(도시 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절수단(60)은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부면에 하부에 제공된 높이조절실린더 브라켓트(61)와, 높이조절실린더 브라켓트(61)의 하부면에 제공된 높이조절 실린더(63)와, 높이조절 실린더(63)의 로드(65)와 지지부재(33)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6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 실린더(63)는 로드(65)가 하부로 신장되면 지지부재(33)는 하강하게 되고, 로드(65)가 상부로 축소되면 지지부재(33)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33)의 전체 승강길이는 로드(65)의 신축길에 따라 제한된다.
상부 서브케이싱(40)은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로서 상부 메인케이싱(20)의 일측면 상단에 제공되며 캔 수용트레이(37)의 상단과 이격된 케이싱본체(41)와, 케이싱본체(41)의 전면 상단에 제공된 손잡이(43)와, 케이싱본체(41)의 전면에 제공된 높이조절 장공(45)과, 케이싱본체(41)의 전면 및 측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장방형 구멍(47)으로 이루어져 있다.
금형 구동수단(70)은 케이싱본체(41)에 내장된 고정 플레이트(71)와, 고정 플레이트(71)의 하부면에 제공된 모터 브라켓트(72)와, 모터 브라켓트(72)의 하부면에 제공된 구동모터(M)와, 구동모터(M)와 연동된 회전 플레이트(73)와, 회전 플레이트(73)의 하부면 중심에 제공된 베어링부재(75)와, 상단부가 베어링부재(75)와 삽입된 메인금형 연결부재(7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메인금형 연결부재(77)는 회전 플레이트(73)가 회전되더라도 회전되지 않도록 베어링부재(75)에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금형 구동수단(70)은 회전 플레이트(73)의 하부면 가장자리부에 각기 제공되며 각각의 하단부는 회전 플레이트(73)를 관통하여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및 제 2 서브금형 무빙블럭(76a)(76b)과, 제 1 및 제 2 서브금형 무빙블럭(76a)(76b)을 회전 플레이트(73)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무빙실린더(S1)(S2)을 더 포함한다.
또한, 금형 구동수단(70)은 메인금형 연결부재(77)의 하단부에 제공된 메인 실린더브라켓트(MSB)와, 메인 실린더브라켓트(MSB)의 하부면에 제공된 메인 실린더(MS)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실린더(MS)는 후술되는 메인금형(Md)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메인금형(Md)은 메인 실린더(MS)의 하부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금형(Md)은 상부 서브케이싱(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서브금형(Sd1)은 제 1 서브금형 무빙블럭(76a)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제 2 서브금형(Sd2)는 제 2 서브금형 무빙블럭(76b)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서브금형(Sd1)(Sd2)는 메인금형(Md)의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상부 서브케이싱(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나사(50)는 높이조절 장공(45)을 관통하여 고정 플레이트(71)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나사(50)는 높이조절 장공(45)의 세로방향으로 따라 움직이면서 금형 구동수단(70)의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공기조절기(OWf)는 높이조절 실린더(63) 및 제 1 및 제 2 무빙실린더(S1)(S2)에 고압공기를 각기 제공하도록 상부 메인케이싱(20)의 전면에 제공되어 있다.
제어기(80)는 높이조절 실린더(63), 구동모터(M), 무빙실린더(S1)(S2) 및 공기조절기(OWf)를 각기 제어도하도록 상부 메인케이싱(20)의 전면에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캔마개 밀봉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캔의 마개를 밀봉한다.
먼저, 캔 지지수단(30)의 캔 수용트레이(37)에 마개가 덮혀진 캔(도시 안됨)을 안착시킨 후 제어기(80)를 조작하여 높이조절 실린더(63)를 제어함으로써 지지부재(33)를 승강시켜 작업에 맞는 높이로 조절하여 대기한다.
그런 다음, 제어기(80)의 제어에 의하여 메인 실린더(MS)를 연장시켜 메인금형(Md)의 하부면이 캔의 마개 상부면을 압착한다. 이후, 제어기(8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M)를 구동시켜 회전 플레이트(73)를 회전시킨다. 이어서, 제 1 무빙실린더(S1)를 작동하여 제 1 서브금형 무빙블럭(76a)을 가공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1 서브금형(Sd1)에 의해 마개의 가장자리 인접부가 캔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한 후, 제 2 무빙실린더(S2)를 작동하여 제 2 서브금형 무빙블럭(76b)을 가공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2 서브금형(Sd2)에 의해 마개의 가장자리가 캔의 상단 측면에 밀봉되도록 가공한다.
이와 같이 밀봉가공이 완료되면, 제어기(80)의 제어에 의해 제 1 및 제 2 서브금형 무빙블럭(76a)(76b)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제 1 및 제 2 서브금형(Sd1)(Sd2)를 캔으로부터 이격시킨 다음, 높이조절 실린더(MS)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메인금형(Md)을 캔 마개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가공이 완료된 캔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장 중요한 기술적 사상은 내용물이 충전된 캔을 회전시키는 구성이 아니라 메인금형(Md)으로 마개의 상부면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하는 서브금형(Sd1)(Sd2)을 이용하여 마개를 밀봉함으로서 캔이 회전하면서 밀봉되는 종래 기술의 장치에 발생되는 근원적인 문제점을 해소한 것임을 분명히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0 : 베이스 20 : 상부 메인케이싱
30 : 캔 지지수단
31 : 부싱 33 : 지지부재
35 : 스톱퍼 37 : 캔 수용트레이
40 : 상부 서브케이싱 50 : 고정나사
60 : 높이조절수단 70 : 금형 구동수단
100 : 캔마개 밀봉장치
Md : 메인금형
Sd1, Sd2 : 밀봉금형

Claims (5)

  1. 중공 구조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중량 캐스터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일측에 제공된 상부 메인케이싱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부면에 제공된 부싱과, 하단부는 상기 부싱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이의 내부에 위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부싱의 상단과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된 스톱퍼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제공된 캔 수용트레이를 갖는 캔 지지수단과;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로서 상기 상부 메인케이싱의 일측면 상단에 제공되며 상기 캔 수용트레이의 상단과 이격된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전면 상단에 제공된 손잡이를 갖는 상부 서브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메인금형과;
    상기 메인금형의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각기 제공된 제 1 및 제 2 서브금형과;
    상기 메인금형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금형을 이동시켜 회전되면서 캔 마개를 밀봉하도록 제공된 금형 구동수단과;
    상기 금형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상기 상부 메인케이싱의 전면에 제공된 제어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형 구동수단은,
    상기 케이싱본체에 내장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모터 브라켓트와, 상기 모터 브라켓트의 하부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된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면 중심에 제공된 베어링부재와, 상단부가 상기 베어링부재와 삽입된 메인금형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마개 밀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장되며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하부에 제공된 높이조절실린더 브라켓트와, 상기 높이조절실린더 브라켓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높이조절 실린더와,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마개 밀봉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면 가장자리부에 각기 제공되며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금형과 각기 연동되는 제 1 및 제 2 서브금형 무빙블럭과,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금형 무빙블럭을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무빙실린더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재의 하단부에 제공된 메인 실린더브라켓트와, 상기 메인금형과 연동되도록 상기 메인 실린더브라켓트의 하부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메인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마개 밀봉장치.
  5. 삭제
KR1020180015308A 2018-02-07 2018-02-07 캔마개 밀봉장치 KR102012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08A KR102012324B1 (ko) 2018-02-07 2018-02-07 캔마개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08A KR102012324B1 (ko) 2018-02-07 2018-02-07 캔마개 밀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32A KR20190095832A (ko) 2019-08-16
KR102012324B1 true KR102012324B1 (ko) 2019-08-20

Family

ID=6780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308A KR102012324B1 (ko) 2018-02-07 2018-02-07 캔마개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404B1 (ko) 2021-11-12 2022-01-14 (주)모두모 2헤드 방식의 캔시머용 실링헤드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6529B (zh) * 2020-05-20 2023-12-15 广东伟烨船舶设备有限公司 潜艇垃圾处理装置
KR102196224B1 (ko) * 2020-07-06 2020-12-29 이신용 캔 무회전 방식으로 덮개 결합이 가능한 캔시머
CN112742989B (zh) * 2020-12-23 2022-11-08 益新制罐(惠州)有限公司 一种铁盒加工用快速成型模具
KR102332702B1 (ko) * 2021-05-11 2021-12-01 김영유 캔 시밍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766A (ja) 2000-03-23 2001-09-25 Mitsuba Denyosha:Kk 缶体の製造装置
WO2013067108A1 (en) 2011-11-01 2013-05-10 Wild Goose Engineering, LLC A method to mechanically produce a repeatable seam in a ca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333U (ko) * 1988-08-19 1990-02-28
KR20030045699A (ko) * 2003-04-03 2003-06-11 신성정밀공업주식회사 시밍머신의 시밍헤드 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766A (ja) 2000-03-23 2001-09-25 Mitsuba Denyosha:Kk 缶体の製造装置
WO2013067108A1 (en) 2011-11-01 2013-05-10 Wild Goose Engineering, LLC A method to mechanically produce a repeatable seam in a c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404B1 (ko) 2021-11-12 2022-01-14 (주)모두모 2헤드 방식의 캔시머용 실링헤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32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324B1 (ko) 캔마개 밀봉장치
KR100568881B1 (ko) 캔 진공 시밍장치
EP2773472B1 (en) A method to mechanically produce a repeatable seam in a can
US6073324A (en) Apparatus for cutting sheet metal disc from and welding sheet metal disc to sheet metal
US5291776A (en) Tire inflation regulator for tire uniformity machine
US5290987A (en)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KR200175055Y1 (ko) 강교 스틸 박스 용접 시스템
CA2027101C (en) A drawing apparatus in drawing stages of presses
CN214921562U (zh) 防止频繁开关门的锯片激光切割机
KR20190114376A (ko) 원통형 탱크의 용접장치
US4360334A (en) Thermoforming machine
KR100235538B1 (ko) 조리용기 뚜껑용 링 성형장치
JP2011020703A (ja) 断熱材真空包装機
US4955799A (en) Metal mold centering and clamping device in a tire vulcanizing machine
JPH06241172A (ja) 液体充填機の定量供給機構
CN213974570U (zh) 托盘封口机
CN109366143B (zh) 一种中空结构的立式装缸机及其装缸方法
CN1419480A (zh) 由可拉深的板坯生产构件的方法和设备
CN215880186U (zh) 一种用于磨齿机砂轮装卸的辅助装置及磨齿机
US4784207A (en) Apparatus for vacuum melting and casting
CN212238929U (zh) 一种封头冲压机的加热装置
EP1925379A2 (en) Seaming and fastening appartus for assembling members of a composite panel,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body
CN114162281B (zh) 双开式泥门安装工艺
CN219837234U (zh) 一种减少噪音的涡轮轴切割装置
CN214815733U (zh) 一种激光定位印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