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094B1 -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 Google Patents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094B1
KR102012094B1 KR1020170147427A KR20170147427A KR102012094B1 KR 102012094 B1 KR102012094 B1 KR 102012094B1 KR 1020170147427 A KR1020170147427 A KR 1020170147427A KR 20170147427 A KR20170147427 A KR 20170147427A KR 102012094 B1 KR102012094 B1 KR 10201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s
flexible
trolley
main cab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591A (ko
Inventor
이승재
손수덕
진상욱
이돈우
김윤진
최규철
황경주
이유한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0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 구조물에서 연성막이 주케이블에 매달린 상태에서 개폐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트롤리의 주행시 편심 방지와 집중 하중을 분산시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주케이블에 연성막을 매달아 구동 개폐하기 위한 트롤리에 있어서, 주케이블의 외경부를 일정 구간 감싸도록 분할된 한 쌍의 상,하부 인너 홀더와; 상,하부 인너 홀더를 일체되게 강제 결합시키는 한 쌍의 좌,우측 아웃터 홀더와; 좌,우측 아웃터 홀더의 상부 및 하부를 각기 체결하는 복수개 이상의 상,하부 홀더 체결볼트와; 하부 홀더 체결볼트에 체결된 후 좌,우측 아웃터 홀더의 하부측 단턱에 각기 고정되는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을 포함하되, 좌,우측 아웃터 홀더에는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기 좌,우 연성막 커넥터 끼움홈을 제공하여 분할된 한 쌍의 연성막 커넥터를 연결하는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이 각기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Dispersion load received trolley using for membrane f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붕 구조물에서 연성막이 주케이블에 매달린 상태에서 개폐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트롤리의 주행시 편심 방지와 집중 하중을 분산시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에서 개폐식 지붕은 보편적인 지붕형태의 고정성과 달리, 완전히 열리고 닫힌 상태뿐 아니라 열고 닫히는 가동상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 건축계획과 구조계획의 측면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개폐형식의 선택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실제 건설되고 있는 개폐식 지붕의 개폐형식은 개폐면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강성패널 방식과 연성막재 방식이 있다.
연성막재 방식은 주케이블에 연성막을 매달아 연성막의 폴딩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연성막을 주케이블에 매달아 폴딩하기 위해서는 트롤리가 요구된다. 이 트롤리는 주케이블에 이동가능하게 정착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수의 조립품으로 구성되는 바, 일체성과 시공성이 요구된다. 또한 주행 중 연성막의 하중을 받으므로 편심이 없어야 안정된 주행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124617호로서, '바닥용 트롤리'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상하부 플랜지간을 웨브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레일에 한 쌍의 이동롤러와 가이드롤러가 구름 운동하도록 하우징에 구성하여 측방 유동이 방지되고 안정된 직진 주행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지붕막 구조물의 주케이블에 연성막을 개폐 지지하기 위한 트롤리로 적용하는 경우에, 원형 단면의 주케이블과 H형 레일간의 단면 형성이 달라져 트롤리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41908호로서, '트로리'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가이드롤러를 통해 주행의 직진도를 향상시켜 원활하고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가이드롤러가 H형 단면의 주행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배경기술의 겅우에도 원형 단면을 갖는 주케이블과 H형 단면의 주행레일간의 단면이 서로 달라 주케이블에 지지시켜 놓고 연성막을 개폐시키는 트롤리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124617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41908호
본 발명은 지붕 구조물에서 연성막이 주케이블에 매달린 상태에서 개폐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트롤리의 주행시 편심 방지와 집중 하중을 분산시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주케이블에 연성막을 매달아 구동 개폐하기 위한 트롤리에 있어서, 주케이블의 외경부를 일정 구간 감싸도록 분할된 한 쌍의 상,하부 인너 홀더와; 상,하부 인너 홀더를 일체되게 강제 결합시키는 한 쌍의 좌,우측 아웃터 홀더와; 좌,우측 아웃터 홀더의 상부 및 하부를 각기 체결하는 복수개 이상의 상,하부 홀더 체결볼트와; 하부 홀더 체결볼트에 체결된 후 좌,우측 아웃터 홀더의 하부측 단턱에 각기 고정되는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을 포함하되, 좌,우측 아웃터 홀더에는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기 좌,우 연성막 커넥터 끼움홈을 제공하여 분할된 한 쌍의 연성막 커넥터를 연결하는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이 각기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부 인너 홀더는 주케이블의 외경부가 갖는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내측 원통부, 내측 원통부의 양단에 좌,우측 아웃터 홀더의 내주면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환형 걸림턱을 갖되, 주케이블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고려하여 마찰계수가 0.4 이하인 합성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우측 아웃터 홀더는 상,하부 인너 홀더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외측 원통부, 외측 원통부의 상,하부에 각기 형성된 체결플랜지, 체결플랜지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하부 홀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복수개 이상의 체결공을 갖되, 상,하부 인너 홀더보다 강도가 큰 강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은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과 하부측 체결플랜지에 형성된 체결공에 각기 대응되어 하부 홀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열의 볼트홀을 각기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는, 주케이블을 분할된 한 쌍의 인너 홀더로 감싼 후, 한 쌍의 아웃터 홀더가 한 쌍의 인너 홀더를 외부에서 결합시켜 주케이블에 일체되는 조립을 이루게 된다. 또한 연성막 커넥터가 분할되어져 좁은 폭을 갖고 설치 됨으로써 미관이 좋아진다. 또한 연성막의 하중이 분할된 연성막 커넥터를 통해 각기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의 긴 상면에 고르게 작용하게 되어 트롤리의 주행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롤리의 안정된 주행이 확보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의 조립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의 설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K-K선 단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주케이블(10)에 연성막(12)을 매달아 구동 개폐하기 위한 트롤리(20)에 적용된다. 즉 트롤리(20)는 연성막(12)을 주케이블(10)에 매달아 놓고, 도시안된 구동장치를 통해 연성막(12)을 폴딩하여 개폐시킬 경우 주케이블(10)에 지지되면서 주행되도록 한 것이다.
트롤리(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주케이블(10)의 외경부를 일정 길이를 감싸도록 분할 조립되는 한 쌍의 상,하부 인너 홀더(21,21a)와, 상,하부 인너 홀더(21,21a)를 일체되게 강제 결합시키는 한 쌍의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와,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의 상부 및 하부를 각기 체결하는 복수개 이상의 상,하부 홀더 체결볼트(24,25)와, 하부 홀더 체결볼트(25)에 체결된 후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의 하부측 단턱(202)에 각기 고정되는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26,26a)을 포함한다.
또한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에는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26,26a)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기 좌,우 연성막 커넥터 끼움홈(229,229a)을 제공하여 분할된 한 쌍의 연성막 커넥터(121,121)를 연결하는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27,27a)이 각기 구비되어 구성된다.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27,27a)은 본 실시 예에서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분리 제작된 후 설치될 수도 있다.
상,하부 인너 홀더(21,21a)는 주케이블(10)의 외경부가 갖는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내측 원통부(211), 내측 원통부(211)의 양단에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의 내주면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환형 걸림턱(212)을 갖는다. 상,하부 인너 홀더(21,21a)는 주케이블(10)과의 직접적인 운동마찰을 고려하여 마찰계수가 0.4 이하인 합성플라스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는 상,하부 인너 홀더(21,21a)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외측 원통부(221), 외측 원통부(221)의 상,하부에 각기 형성된 체결플랜지(222), 체결플랜지(222)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하부 홀더 체결볼트(24,25)가 삽입되는 복수개 이상의 체결공(223)을 갖는다.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는 상,하부 인너 홀더(21,21a)보다 강도가 큰 강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26,26a)은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27,27a)과 하부측 체결플랜지(222)에 형성된 체결공(271,223)에 각기 대응되어 하부 홀더 체결볼트(25)가 삽입되는 복수열의 볼트홀(261)을 각기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트롤리(10)는 아래 설명과 같이 조립되어 주케이블(10)에 이동가능하도록 정착된다.
먼저, 한 쌍의 상,하부 인너 홀더(21,21a)를 주케이블(10)의 임의의 위치에서 주케이블(10)을 감싸도록 위치시킨 후, 한 쌍의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를 상,하부 인너 홀더(21,21a)의 내측 원통부(211)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는 환형 걸림턱(212)에 걸림되어 상,하부 인너 홀더(21,21a)에 결합이 이루어지고,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에 각기 형성된 체결공(223)은 서로간에 일치된다.
또한, 상,하부 인너 홀더(21,21a)의 접합면은 수평을 이루고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의 접합면은 수직을 이루므로, 이들 하부 인너 홀더(21,21a)의 접합면과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의 접합면은 상호 직각을 이루게 된다.
그 다음, 상부 홀더 체결볼트(24)를 체결공(223)에 삽입시킨후 너트(N1)를 홀더 체결볼트(23)에 나사 체결한다.
그 다음,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26,26a)을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의 환형 걸림턱(212)에 밀착시켜 놓고, 하부 홀더 체결볼트(25)를 너트(N2)와 체결하여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와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27,27a)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26,26a)을 설치하기 전에 좌,우 연성막 커넥터 끼움홈(229,229a)에 연성막 커넥터(121,121)를 끼워넣은 후 그의 단부를 연성막(12)에 정착시킴으로써 트롤리(10)와 연성막(12)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성막(12)이 도시안된 구동장치에 의해 개폐될 시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에 클램프된 상,하부 인너 홀더(21,21a)가 주케이블(10)을 따라 마찰운동을 하면서 주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주케이블(10)에 설치되는 트롤리(10)는 연성막 커넥터(121,121)가 분할되어져 좁은 폭을 갖고 설치 됨으로써 미관이 좋아진다. 또한 연성막(12)의 하중이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27,27a)의 긴 상면에 고르게 분포 분산 작용하게 되어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롤리(10)의 안정된 주행이 확보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주케이블
12: 연성막
21,21a: 상,하부 인너 홀더
22,22a: 좌,우측 아웃터 홀더
24: 상부 홀더 체결볼트
25: 하부 홀더 체결볼트
26,26a: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
27,27a: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

Claims (4)

  1.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주케이블(10)에 연성막(12)을 매달아 구동 개폐하기 위한 트롤리(20)에 있어서,
    주케이블(10)의 외경부를 일정 구간 감싸도록 분할된 한 쌍의 상,하부 인너 홀더(21,21a)와;
    상,하부 인너 홀더(21,21a)를 일체되게 강제 결합시키는 한 쌍의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와;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의 상부 및 하부를 각기 체결하는 복수개 이상의 상,하부 홀더 체결볼트(24,25)와;
    하부 홀더 체결볼트(25)에 체결된 후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의 하부측 단턱(202)에 각기 고정되는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26,26a);을 포함하되,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에는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26,26a)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기 좌,우 연성막 커넥터 끼움홈(229,229a)을 제공하여 분할된 한 쌍의 연성막 커넥터(121,121)를 연결하는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27,27a)이 각기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부 인너 홀더(21,21a)는 주케이블(10)의 외경부가 갖는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내측 원통부(211), 내측 원통부(211)의 양단에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의 내주면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환형 걸림턱(212)을 갖되, 주케이블(10)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고려하여 마찰계수가 0.4 이하인 합성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좌,우측 아웃터 홀더(22,22a)는 상,하부 인너 홀더(21,21a)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외측 원통부(221), 외측 원통부(221)의 상,하부에 각기 형성된 체결플랜지(222), 체결플랜지(222)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하부 홀더 체결볼트(24,25)가 삽입되는 복수개 이상의 체결공(223)을 갖되, 상,하부 인너 홀더(21,21a)보다 강도가 큰 강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4. 제 1항에 있어서,
    좌,우측 막연결용 측판(26,26a)은 좌,우측 커넥터 지지블록(27,27a)과 하부측 체결플랜지(222)에 형성된 체결공(271,223)에 각기 대응되어 하부 홀더 체결볼트(25)가 삽입되는 복수열의 볼트홀(261)을 각기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KR1020170147427A 2017-11-07 2017-11-07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KR10201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27A KR102012094B1 (ko) 2017-11-07 2017-11-07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27A KR102012094B1 (ko) 2017-11-07 2017-11-07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91A KR20190051591A (ko) 2019-05-15
KR102012094B1 true KR102012094B1 (ko) 2019-08-19

Family

ID=6657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427A KR102012094B1 (ko) 2017-11-07 2017-11-07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0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994A (ja) 2008-07-10 2010-01-28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連結金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281B2 (ja) * 1994-03-09 1999-04-12 東京製綱株式会社 ケーブル中間部の締結用クランプ構造
KR20160124617A (ko) 2015-04-20 2016-10-28 남분숙 바닥용 트롤리
KR101641908B1 (ko) 2015-08-10 2016-07-22 주식회사 토시스 트롤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994A (ja) 2008-07-10 2010-01-28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連結金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91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3789B2 (en) Support Device for a rotating shaft of a solar tracker.
CA2895767C (en) Cable tray rail
US9866000B2 (en) Cable ladder
KR101518682B1 (ko) 탈형 데크
KR101937374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JPH0219241B2 (ko)
KR102083065B1 (ko)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갖는 트롤리
KR20130066735A (ko) 차량의 차체 구조
KR20110106562A (ko)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US3039401A (en) Conveyor track structure
JP2015509897A (ja) クランプおよびトロリーから成る装置
KR102012094B1 (ko)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산하중을 받는 트롤리
ITMI20131785A1 (it) Dispositivo di tipo perfezionato per il fissaggio ad una fune portante di corpi lungiformi, in particolare di cavi coassiali
US4854363A (en) Device for supporting movable cover elements
US11165230B1 (en) Roller assembly for use when drawing a cable through a cable tray
KR102654934B1 (ko) 레일 커플링
JP4152045B2 (ja) 通過心線収納型の光通信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US4637496A (en) Elevator rail system
KR101859753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전선 분리구 결합구조
KR20190051588A (ko)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트롤리
JP6300563B2 (ja) 防水板
US11530734B2 (en) Energy guide chain and roller module
KR20120004130U (ko)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 장치
US20210164286A1 (en) Adjustable door frame mounting system and method
KR101675040B1 (ko) 보강재가 결합된 개구재형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과 그 제작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