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727B1 - Work vehicle for constructing soundproof facilities - Google Patents

Work vehicle for constructing soundproof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727B1
KR102011727B1 KR1020180143514A KR20180143514A KR102011727B1 KR 102011727 B1 KR102011727 B1 KR 102011727B1 KR 1020180143514 A KR1020180143514 A KR 1020180143514A KR 20180143514 A KR20180143514 A KR 20180143514A KR 102011727 B1 KR102011727 B1 KR 10201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ortion
wheel
leg
ceiling fram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길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창
Priority to KR102018014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7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 vehicle for a soundproof facility. The work vehicle for a soundproof facility includes: a leg unit (20)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a ceiling frame unit (30) provided on the leg unit (20); a wheel (28) provided on the leg unit (20) and com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motor (50) which is mounted on the leg unit (20) and in which a motor shaft is connected to the wheel (28) by a medium of a reduction gear in a driven manner. The ceiling frame unit (30) is provided with a foothold (36). The wheel (28) is mounted on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leg unit (20). The wheel (28)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8) and rear wheels (28) mounted on the leg unit (20). The pair of front wheels (28) or the pair of rear legs on left and right sides are connected with the shaft of the motor (50) mounted on the leg unit (20) in the driven manner by the medium of the reduction gear so that the motor (50) and the reduction gear are provided as the pair in left and right sides.

Description

방음시설용 작업대차{Work vehicle for constructing soundproof facilities}Work vehicle for constructing soundproof facilities}

본 발명은 방음시설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 현장에서 이동시키는 속도가 많이 빨라지고, 작업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터널방음벽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cart for soundproofing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nnel soundproof wall work cart which can be stably fixed at the time of moving much faster on the job site compared to using hydraulic pressure.

방음벽은 도로나 철로에서 발생되는 차량운행에 의한 소음이 주택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도로나 철로에서는 차량이 통행할 때 많은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그 소음은 주택가로 전달되어 환경오염을 이루게 된다. 현대에는 주택가에 근접되어 큰 소음을 전달하는 도로나 철로에는 그 길을 따라 운행 소음을 주택가로부터 차단하기 위하여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음벽은 통상 흡음제나 음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벽 모양으로 설치된다.The soundproof wall is a structure for blocking the noise from the driving of the vehicle from the road or the railroad to be transmitted to the house. On roads or railroad tracks, a lot of noise is generated when a vehicle passes, and the noise is transmitted to residential districts, resulting in environmental pollution. In modern times, sound barriers are installed on roads or railways that are close to residential areas and provide noise to prevent noise from running along the road. Such a soundproof wall is usually installed in a wall shape with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sound absorbers or sound.

그런데, 생활양식의 변화와 도심인구증가에 따라 고층의 주거공간들이 생겨남으로써 방음벽으로는 고층부에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많이 현재 시행되고 있는 것은 완전히 도로 또는 철로를 방음벽으로 뒤덮는 방음터널을 만들게 된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igh-rise residential spaces ar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lifestyle and the increase of urban population, so that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high-rise portion cannot be blocked by the soundproof wall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ost current practice is to make a soundproof tunnel that completely covers the road or railroad with soundproof walls.

방음터널을 만들기 위해 터널용 작업대차가 이용된다. 터널용 작업대차는 터널 내부의 이상 유무를 점검 및 보수작업 시 필요한 자재류를 적재하거나 작업자를 탑승시켜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Tunnel work carts are used to make soundproof tunnels. Tunnel work cart is used for the purpose of loading the necessary materials for checking and repairing the inside of tunnel and moving along the route by boarding workers.

방음터널용 작업대차는 좌우측의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에 구비된 천정 프레임부와, 상기 레그부에 구비되어 도로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 작동부와, 상기 이동 작동부를 구동하여 도로 바닥면에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work trolley for the soundproof tunnel includes left and right leg portions, a ceiling frame portion provided on the leg portion, a movable operation portion provided on the leg portion to be movable on a road bottom surface, and a driving bottom portion driven by driving the movable operation portion. It includes a drive for transmitting and power to move in.

그런데, 기존에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유압으로 하여서 이동 작동부의 구동이 되도록 하므로, 작업대차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고, 작업대차의 이동 속도가 느린만큼 방음터널 등의 방음시설 시공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past,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to be driven by the hydraulic operation of the moving operation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eed to move the work cart is slow, the construction time of soundproofing facilities such as soundproof tunnel is slow as the moving speed of the work cart is slow. There is a drawback to lengthening.

또한, 기존에는 이동 작동부로는 상기 레그부에 장착된 바퀴를 채용하는데, 상기 바퀴가 도로 노면을 파고들어가서 도로를 손상시키고 이동할 때에 도로 바닥의 손상 상태에 따라 바퀴의 구동이 정확하지 못하므로 작업대차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as a moving operation unit employs a wheel mounted to the leg portion, when the wheel is to dig into the road surface damage the road and moving the wheel according to the damaged state of the road floor when moving the work cart is There is a shaky problem.

한국등록특허 제10-0764824호(2007년10월01일 등록)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64824 (October 01, 2007 registr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049671호(2011년07월08일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49671 (registered on July 08, 2011)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5089호(2018년01월15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5089 (published Jan. 15, 201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방음시설 시공 작업 현장에서 이동시키는 속도가 많이 빨라지고, 이동시에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이동시 안전성도 높이고 방음시설 시공 작업시 흔들림이 없어서 작업의 안정성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방음시설용 작업대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much faster in the soundproofing construction site compared to the use of hydraulic pressure, and to minimize the shaking during the movement to increase the safety when moving It is to provide a work arrangement for a soundproofing facility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work because there is no shak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oundproofing facilit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로 배치된 레그부; 상기 레그부에 구비된 천정 프레임부; 상기 천정 프레임부에 구비된 발판; 상기 레그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바퀴; 상기 레그부에 장착되며 상기 바퀴에 모터축이 감속기어를 매개로 구동적으로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시설용 작업대차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eg portion disposed left and right; A ceiling frame part provided in the leg part; A footrest provided in the ceiling frame part; A wheel provided in the leg portion and contacting the ground; And a motor mounted to the leg part and the motor shaft being driven to the wheels through a reduction gear.

상기 천정 프레임부에는 발판이 구비되어, 상기 발판 위에서 작업자가 올라가서 방음시설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ceiling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caffold, the worker is configured to climb on the scaffold to perform the soundproofing work.

상기 발판은 복수개의 구멍이 구비된 다공판으로 구성된다.The scaffold is composed of a porous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상기 레그부의 전방과 후방에 상기 바퀴가 장착되어, 상기 바퀴는 상기 레그부에 장착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바퀴과 리어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프론트 바퀴 또는 상기 한 쌍의 리어 레그에 상기 모터의 모터축이 상기 감속기어를 매개로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어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heel is moun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leg portion, the wheel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and rear wheels mounted on the leg portion, the left and right pair of front wheels or the pair of rear legs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is operatively connected via the reduction g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and the reduction gear is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상기 한 쌍의 모터의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그부와 상기 천정 프레임부가 전방 좌측과 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과 후방 우측부더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g portion and the ceiling frame portion are configured to move forward left and rear left or front right and rear right portions by rotation of a motor shaft of the pair of motors.

상기 레그부에는 대차 고정장치가 구비된다.The leg portion is provided with a balance fixing device.

상기 대차 고정장치는 상기 레그부에 결합되어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lanc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le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ositions.

상기 천정 프레임부는 아치형 바아 형상의 복수개의 나란한 천정 프레임 바아와, 상기 천정 프레임 바아에 결합된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천정 프레임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에 아치형판으로 구성된다.The ceiling fram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ide-by-side ceiling frame bars having an arched bar shape, and a footrest coupled to the ceiling frame bar, wherein the footrest is configured as an arcuate plat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ceiling frame portion.

상기 레그부에는 상기 천정 프레임부까지 도달하는 사다리가 구비된다.The leg part is provided with a ladder reaching the ceiling frame part.

상기 사다리에는 안전 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d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frame is provided.

상기 안전 프레임은 상기 사다리에 둘러진 터널형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fram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tunnel frame surrounded by the ladder.

상기 바퀴의 리임에는 고정핀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에는 고정핀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xing pin insertion hole is provided at a rim of the wheel, and a fixing pin hole is provided at the leg portion.

상기 고정핀 삽입홀과 상기 고정핀홀에는 고정핀이 결합된다.A fixing pin is coupled to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and the fixing pin hole.

상기 레그부에는 받침블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block is provided.

상기 받침블록은 상기 바퀴과 지면 사이에 받쳐지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block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etween the wheel and the ground.

상기 레그부에 구비된 로테이션 샤프트 하단부의 고정 지지판은 확장 지지판에 결합된다.The fixed support plate of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provided in the leg portion is coupled to the expansion support plate.

상기 확장 지지판에는 판지지홈이 구비된다.The expansion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cardboard paper groove.

상기 확장 지지판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구비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expansion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본 발명에 의한 방음시설용 작업대차는 기존에 유압으로 작업대차의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얻은 것에 비하여 모터와 감속기어에 의해 작업대차의 바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얻도록 되어 있어서 작업대차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많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작업대차의 이동 속도가 빨라진만큼 방음터널 등의 방음시설 시공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퀴를 솔리드 타이어로 채용함으로써 바퀴를 금속으로 사용한 것에 비하여 바퀴가 도로 노면을 파고들어가지 않아서 도로를 손상시키는 경우와 바퀴의 구동이 정확하게 되어서 작업대차가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다.The work trolley for soundproof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the power to rotate the wheel of the work cart by the motor and the reduction gea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ain of the driving force to rotate the wheel of the work cart by hydraulic pressure, the speed of moving the work cart is There is a much faster effect, the faster the moving speed of the work car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of soundproofing facilities, such as soundproof tunnel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the wheel as a solid tire, the wheel does not penetrate the road surface compared to the metal used to damage the roa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solves the problem that the work cart is shaken because the wheel is driven correctly.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시설용 작업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시설용 작업대차의 주요부인 대차 고정장치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바퀴와 레그부의 수평 연결비임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퀴를 레그부의 수평 연결비임에 고정핀으로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바퀴와 레그부의 수평 연결비임에 장착된 받침블록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받침블록을 바퀴의 밑에 받쳐놓은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대차 고정장치 부분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대차 고정장치 부분의 변형된 실시예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 cart for soundproof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front view of FIG. 1
4 is a rear view of FIG.
5 is a side view of FIG. 1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balance fixing device that is the main part of the work balance for soundproof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 of the wheel and the leg portion of the mai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shown in Figure 7 fixed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 of the leg portion with a fixing pin
Figure 9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block mounted on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 of the wheel and the leg portion of the main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lock shown in FIG. 9 is supported under the wheel;
Figure 11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ortion of the balance holder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ortion of the bogie lock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For example,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방음시설용 작업대차는 좌우로 배치된 레그부(20)와, 상기 레그부(20)에 구비된 천정 프레임부(30)와, 상기 천정 프레임부(30)에 구비된 발판(36); 상기 레그부(20)에 구비된 바퀴(28)와, 상기 레그부(20)에 장착되며 바퀴(28)에 모터축이 감속기어를 매개로 구동적으로 연결된 모터(5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ork trolley for soundproof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and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Footrest 36; The wheel 28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and the motor portion 50 is mounted to the leg portion 20, the motor shaft is driven to the wheel 28 via a reduction gear.

상기 레그부(20)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다. 레그부(20)는 도로의 지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좌우 한 쌍의 레그 바아(22)의 상단부에 천정 프레임 바아(32)가 연결된 대차 메인 프레임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천정 프레임 바아(32)들에 의해 복수개의 대차 메인 프레임이 연결되는데, 상기 대차 메인 프레임의 각각의 나란한 레그 바아(22)와, 상기 레그 바아(22)의 하단부에 연결된 수평 연결비임(24)이 상기 레그부(20)를 구성한다.The leg portions 20 are arrang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Leg portion 20 is configured to st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of the road. The bogie main frame, in which the ceiling frame bar 3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leg bars 22,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bogie main frames are connected by the plurality of ceiling frame bars 32. Each leg leg 22 of the bogie main frame and a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eg bar 22 constitute the leg portion 20.

상기 천정 프레임부(30)는 레그부(20)에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대차 메인 프레임의 전후로 나란한 복수개의 천정 프레임 바아(32)와, 상기 복수개의 천정 프레임 바아(3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크로스 천정 프레임 바아(34)가 상기 천정 프레임부(3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천정 프레임부(30)는 각각의 천정 프레임 바아(32)에 얹혀져서 고정된 발판(3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판(36)은 복수개의 구멍이 구비된 다공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구멍은 발판(36)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발판(36)은 상하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구멍을 구비한 다공발판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천정 프레임부(30)는 아치형 바아 형상의 복수개의 나란한 천정 프레임 바아(32)와, 상기 천정 프레임 바아(32)에 연결된 복수개의 크로스 천정 프레임 바아(34)를 포함하는데, 상기 천정 프레임 바아(32)에 발판(36)이 얹혀진다. 상기 발판(36)도 천정 프레임부(30)의 구성이 된다. 상기 발판(36)은 천정 프레임부(3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에 아치형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천정 프레임 바아(34)가 아치형 바아 구조이고 발판(36)도 아치형판으로 구성되므로, 발판(36)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를 지탱하는 힘이 더욱 커져서 작업자를 더욱 안정적으로 발판(36)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된다.The ceiling frame part 30 is connected to the leg part 20. The ceiling frame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ceiling frame bars 32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plurality of bogie main frames, and a plurality of cross ceiling frame bars 34 connec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ceiling frame bars 32. ). In addition,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includes a footrest 36 fixed on the ceiling frame bar 3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caffold 36 is composed of a porous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plurality of holes penetrat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caffold 36 to the bottom surface. The scaffold 36 has a porous scaffold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ed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this case, the ceiling frame part 30 includes a plurality of parallel ceiling frame bars 32 having an arc-shaped bar shape and a plurality of cross ceiling frame bars 34 connected to the ceiling frame bars 32. The footrest 36 is placed on the bar 32. The footrest 36 also becomes a structure of the ceiling frame part 30. The footrest 36 is configured as an arcuate plat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ceiling frame part 30. Since the ceiling frame bar 34 has an arched bar structure and the scaffold 36 also has an arched plate, when the worker climbs on the scaffold 36 to support the worker, the force for supporting the worker becomes greater, thereby stably operating the worker more stably ( 36) can be supported.

상기 레그부(20)에 바퀴(28)가 장착된다. 레그부(20)의 전방과 후방에 바퀴(2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바퀴(28)는 레그부(20)에 장착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바퀴(28)와 리어 바퀴(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그부(20)에는 프론트 바퀴(28)와 리어 바퀴(28)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보조 바퀴(28)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레그부(20)를 구성하는 좌우측 수평 연결비임(24)에 상기 프론트 바퀴(28)와 리어 바퀴(2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wheel 28 is mounted to the leg portion 20. Wheels 28 are rotatably moun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eg portion 20. The wheel 28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8 and rear wheels 28 mounted on the leg portion 20. The leg part 20 may be configured to mount a plurality of auxiliary wheels 28 to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s 28 and the rear wheels 28. The front wheels 28 and the rear wheels 28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connection beams 24 constituting the leg portion 20.

상기 좌우 한 쌍의 프론트 바퀴(28) 또는 상기 한 쌍의 리어 레그에 모터(50)의 모터축이 감속기어를 통해서 구동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레그부(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론트 레그 또는 한 쌍의 리어 레그에 각각 한 쌍의 모터(50)가 장착된다. 또는, 상기 레그부(20)를 구성하는 좌우측의 수평 연결비임(24)에 좌우 한 쌍의 모터(5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 연결비임(24)에서 리어 레그부(20)측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모터(5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50)의 모터축은 감속기어를 매개로 바퀴(28)에 구동적으로 연결된다. 모터(50)에 감속기어가 구비되고, 감속기에는 커플러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상기 바퀴(28)의 리임(29)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50)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상기 바퀴(28)가 레그부(2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50)의 모터축에 구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28)의 리임(29) 중심부에는 종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벨트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터(50)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및 벨트에 의해 바퀴(28)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및 벨트가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하게 된다.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0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pair of front wheels 28 or the pair of rear legs through a reduction gear. A pair of motors 50 are mounted on a pair of front legs or a pair of rear legs constituting the leg portion 20, respectively. Alternatively, a pair of left and right motors 50 may b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connection beams 24 constituting the leg portion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50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ear leg portion 20 side in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0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wheel 28 via the reduction gear. The reduction gear is provided in the motor 50, and the reduction gear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im 29 of the wheel 28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coupler, and the wheels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0. 28 is configured to rotate in the leg portion 20.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ive pulley is provided o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0, a driven pulley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cess 29 of the wheel 28, and the belt is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The wheel 28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drive pulley, the driven pulley and the belt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0. The drive pulley, the driven pulley and the belt constitute a power transmission means.

상기 한 쌍의 모터(50)의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그부(20)와 천정 프레임부(30)가 전방 좌측과 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과 후방 우측부터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레그부(20)에서 좌측 레그부(20)에 장착된 모터(50)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레그부(20)와 천정 프레임부(30)의 좌측 전방과 좌측 후방 부분이 먼저 전진하고, 레그부(20)에서 우측 레그부(20)에 장착된 모터(50)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레그부(20)와 천정 프레임부(30)의 우측 전방과 우측 후방 부분이 전진하게 된다. 레그부(20)에서 우측 레그부(20)에 장착된 모터(50)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레그부(20)와 천정 프레임부(30)의 우측 전방과 우측 후방 부분이 먼저 전진하고, 레그부(20)에서 좌측 레그부(20)에 장착된 모터(50)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레그부(20)와 천정 프레임부(30)의 좌측 전방과 좌측 후방 부분이 전진하게 된다.The leg portion 20 and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are configured to move from the front left side and the rear left side or the front right side and the rear right side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pair of motors 50. For example, whe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0 mounted on the left leg portion 20 rotates in one direction in the leg portion 20, the left front and left rear portions of the leg portion 20 and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are rotated. Whe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0 mounted on the right leg portion 2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first portion moves forward, and the right front and right rear sides of the leg portion 20 and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are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part moves forward. Whe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0 mounted to the right leg portion 20 in the leg portion 2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ight front and right rear portions of the leg portion 20 and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are advanced first. Whe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0 mounted on the left leg portion 20 in the leg portion 2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left front and left rear portions of the leg portion 20 and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move forward. do.

상기 레그부(20)에는 대차 고정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 대차 고정장치(60)는 로테이션 샤프트(62)와 고정 지지판(64)을 포함한다.The leg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balance fixing device (60). The balance fixing device 60 includes a rotation shaft 62 and a fixed support plate 64.

상기 레그부(20)에는 서포트 브라켓(23)이 구비된다. 레그부(20)를 구성하는 하부 수평 연결비임(24)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서포트 브라켓(23)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브라켓(23)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나사홀 형태의 로테이션 샤프트(62) 결합홀이 구비된다.The leg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bracket 23. A support bracket 23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constituting the leg 20. The support bracket 23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62 coupling hole in the form of a screw hol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상기 서포트 브라켓(23)의 상기 로테이션 사프트 결합홀에 로테이션 샤프트(62)가 결합된다.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62)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볼트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62) 외주면의 나사부가 상기 서포트 브라켓(23)의 나사홀 형태의 로테이션 샤프트(62) 결합홀에 볼트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서포트 브라켓(23)을 기준으로 로테이션 샤프트(62)를 돌려줌에 따라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62)가 레그부(20)에서 승강될 수 있게 된다. 로테이션 샤프트(62)에는 핸들(63)이 구비되어, 핸들(63)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로테이션 샤프트(62)를 보다 편리하게 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rotation shaft 62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coupling hole of the support bracket 23. The rotation shaft 62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olt shaft having a threaded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readed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62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bolt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rotation shaft 62 in the form of a screw hole of the support bracket 23 Are combined. As the rotation shaft 62 is rotated based on the support bracket 23, the rotation shaft 62 may be lifted and lifted from the leg portion 20. The rotation shaft 62 is provided with a handle 63,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hold the handle 63 by hand an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62 more conveniently.

상기 고정 지지판(64)은 로테이션 샤프트(62)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로테이션 샤프트(62)를 상기 레그부(20)의 서포트 브라켓(23)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돌려주어서 로테이션 샤프트(62)가 레그부(20)에서 하강함에 따라 상기 고정 지지판(64)이 도로의 지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게 된다.The fixed support plate 6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62. The rotation shaft 6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support bracket 23 of the leg portion 20 so that the fixed support plate 64 is grounded on the road as the rotation shaft 62 descends from the leg portion 20. It can be pressed closely to.

상기 대차 고정장치(60)는 레그부(20)에 결합되어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62)가 레그부(20)의 좌우측 전단부와 후단부에 구비됨으써 레그부(20)의 전후 좌우 네 군데에 대차 고정장치(60)가 구비된다. 대차 고정장치(60)가 작업대차의 네 군데에서 지지하여 작업대차를 고정시키는 구조이다.The balance fixing device 60 is coupled to the leg portion 20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ositions. Since the rotation shaft 62 is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ends of the leg part 20, the balance fixing device 60 is provided at four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g part 20. The balance fixing device 60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work balance by supporting it in four places of the work balance.

상기 레그부(20)에는 사다리(25)가 구비된다. 사다리(25)는 레그부(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레그부(20)에 구비되어, 상기 사다리(25)가 천정 프레임부(30)까지 도달하게 된다. 상기 사다리(25)를 타고 작업자 올라가서 상기 천정 프레임부(30)의 발판(36) 위에 올라갈 수 있게 된다.The leg part 20 is provided with a ladder 25. The ladder 25 is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to exten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20 to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ladder 25 reaches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The worker climbs up the ladder 25 to climb on the footrest 36 of the ceiling frame part 30.

상기 사다리(25)에는 안전 프레임(24SF)이 구비된다. 이때, 안전 프레임(24SF)은 사다리(25)에 둘러진 터널형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사다리(25)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터널형 프레임 구조의 안전 프레임(24SF)이 연장된다. 작업자가 사다리(25)를 타고 올라갈 때에 터널형 프레임 구조의 안전 프레임(24SF) 내부로 지나가므로 작업자가 사다리(25) 밖으로 추락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The ladder 25 is provided with a safety frame 24SF. At this time, the safety frame 24SF is composed of a tunnel frame surrounded by a ladder (25). The safety frame 24SF of the tunnel frame structure extends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ladder 25. When the worker climbs up the ladder 25, the worker passes inside the safety frame 24SF of the tunnel frame structure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out of the ladder 25.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방음시설용 작업대차는 레그부(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모터(50)를 작동시키서 상기 프론트 바퀴(28)와 리어 바퀴(28)의 회전 추진력에 의해 방음터널과 같은 방음시설의 도로 노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천정 프레임부(30)의 발판(36)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방음시설에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The work trolley for soundproofing fac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perates a motor 50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leg portion 20 so as to operate the soundproof tunnel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front wheels 28 and the rear wheels 28. Moving along the road surface of the soundproofing facility, such as, the worker climbs on the footrest 36 of the ceiling frame part 30 to be able to work required for the soundproofing facility.

본 발명의 방음시설용 작업대차는 기존에 유압으로 작업대차의 바퀴(28)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얻은 것에 비하여 모터(50)와 감속기어에 의해 작업대차의 바퀴(28)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얻도록 되어 있어서 작업대차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많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작업대차의 이동 속도가 빨라진만큼 방음터널 등의 방음시설 시공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work trolley for the soundproof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power to rotate the wheels 28 of the work cart by the motor 50 and the reduction gea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wheels 28 of the work cart hydraulically. Therefore, the speed of moving the work cart is much faster,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work cart can be expecte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of soundproofing facilities such as soundproof tunnel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퀴(28)를 솔리드 타이어로 채용함으로써 기존에 바퀴(28)를 금속으로 사용한 것에 비하여 바퀴(28)가 도로 노면을 파고들어가지 않아서 도로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으며 작업대차 이동시에 도로 바닥의 손상 상태에 따라 바퀴(28)의 구동이 정확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방지되어 작업대차가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the wheel 28 as a solid tire, the wheel 28 does not penetrate the road surfac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heel 28 made of metal, and thus does not damage the road. In this case, the driving of the wheels 28 is prevented from being accurate according to the damaged state of the road floor,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shaking the work car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터(50)를 브레이크 모터로 채용함으로써 작업대차를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작업을 원하는 장소에 고정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 모터(50)는 전자브레이크를 모터(50) 케이스 안에 내장하도록 구성되어, 모터(50) 전기가 오프(off)인 때는 브레이크가 작용하고, 모터(50) 전기가 온(on)인 때는 브레이크가 풀리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the motor 50 as a brake motor, the work cart can be fixed quickly and firmly in a desired place. The brake motor 50 is configured to incorporate the electromagnetic brake into the case of the motor 50. The brake acts when the electric power of the motor 50 is off, and the brake acts when the electric power of the motor 50 is on. Is configured to be rel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대차를 이동시키다가 필요한 장소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50)의 전기를 끊어주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면, 상기 모터(50)가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되므로, 방음시설에서 필요한 위치에 작업대차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 고정하는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면서도 작업대차가 고정된 다음에는 매우 안정적으로 작업대차의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작업대차가 방음시설에 필요한 작업 수행 중에 도로 노면에서 바퀴(28)가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편리하고 신속하면서도 매우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ork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the off state in which the motor 50 is turned off while being fixed to a necessary place, the motor 50 is automatically braked, and thus, a necessary position in the soundproofing facility. When the work cart is fixed, the work to be fixed is quite convenient, but after the work cart is fix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ixed position of the work cart very stably. By preventing the phenomenon in which the wheel 28 slips on the road surface while the work cart is required for the soundproofing facility,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 conveniently, quickly and very surel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퀴(28)의 리임(29)에는 고정핀 삽입홀(129)이 구비된다. 상기 리임(29)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핀 삽입홀(129)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 삽입홀(129)은 리임(29)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 29 of the wheel 28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insertion hole 129. A plurality of fixing pin insertion holes 129 ar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ecess 29. The plurality of fixing pin insertion holes 129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recess 29.

또한, 상기 레그부(20)에는 고정핀홀(120)이 구비된다. 레그부(20)에서 바퀴(28)의 리임(29)과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핀홀(120)이 구비된다. 레그부(20)에는 하부 수평 연결비임(24) 부분이 바퀴(28)의 리임(29)과 마주하며, 상기 하부 수평 연결비임(24)에 상기 고정핀홀(120)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핀홀(120)은 바퀴(28)의 리임(29)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핀 삽입홀(129)과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leg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hole 120. A fixing pin hole 120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rim 29 of the wheel 28 in the leg portion 20. The leg part 20 has a lower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portion facing the recess 29 of the wheel 28, and the fixing pin hole 120 is provided in the lower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Preferably, the fixing pin hole 120 is provided in plur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imilarly to the plurality of fixing pin insertion holes 129 formed in the rim 29 of the wheel 28.

상기 바퀴(28)의 리임(29)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홀(129)과 상기 레그부(20)에 형성된 고정핀홀(120)에 동시에 고정핀(130)이 결합된다.The fixing pin 130 is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129 formed in the recess 29 of the wheel 28 and the fixing pin hole 120 formed in the leg part 20.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대차를 방음시설 공사가 필요한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퀴(28)가 도로의 지면에 접촉되어 있을 때에 상기 바퀴(28)의 리임(29)에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핀 삽입홀(129)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 삽입홀(129)을 통과시킨 고정핀(130)을 상기 레그부(20)에 구비된 고정핀홀(120)에 끼워주면 고정핀(130)이 바퀴(28)를 레그부(20)에 잡아주는 구조가 되어서 바퀴(28)가 공회전하는 경우가 방지되고 바퀴(28)가 도로 지면에서 슬립되는 경우도 방지하게 되므로, 작업대차를 고정시켜서 방음시설 공사를 할 때에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바퀴(28)가 공회전하거나 도로 노면에서 슬립되면 상기 천정 프레임부(30)의 발판(36)에서 올라가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위험이 생길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바퀴(28)의 리임(29)에 구비된 고정핀 삽입홀(129)과 레그부(20)에 구비된 고정핀홀(120)에 고정핀(130)을 삽입시켜주면 바퀴(28)가 공회전하거나 도로 노면에서 슬립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작업대차가 도로 노면 위에서 흔들려서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홀(120)은 바퀴(28)의 리임(29)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핀 삽입홀(129)과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 삽입홀(129)과 복수개의 고정핀홀(120)을 보다 손쉽게 정렬시키서 고정핀(130)을 고정핀 삽입홀(129)과 고정핀홀(120)에 끼워줄 수 있으므로, 바퀴(28)를 고정핀(130)에 의해 안정화되도록 고정시키는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진다.Accordingly, when the wheels 28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f the road in the state where the work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soundproofing construction is required, a plurality of fixing pins provided in the recesses 29 of the wheels 28 are provided. When the fixing pin 13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 120 provided in the leg part 20, the fixing pin 130 passes through the at least one fixing pin insertion hole 129 among the insertion holes 129. 28 is a structure to hold the leg portion 20, so that the wheel 28 is prevented from idling and the wheel 28 is also prevented from slipping on the road surface, the work cart is fixed to the soundproofing construction work The safety can be improved. When the wheel 28 is idling or slips on the road surface, there is a risk that a worker who climbs up from the footrest 36 of the ceiling frame part 30 and falls, may fall. 29, if the fixing pin 13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129 and the fixing pin hole 120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the wheel 28 rotates or slips on the road surface. As a result, the work cart is prevented from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shaking on the road surface. At this time, the fixing pin hole 120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plurality of fixing pin insertion holes 129 formed in the rim 29 of the wheel 28, the plurality of fixing pin insertion holes 129 ) And a plurality of fixing pin holes 120 to more easily align the fixing pin 130 to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129 and the fixing pin hole 120, so that the wheel 28 is fixed pin 130 The fixing to be stabilized by is made easi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레그부(20)에는 받침블록(140)이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20)에 장착된 바퀴(28)와 도로의 지면 사이에 상기 받침블록(140)이 받쳐지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block 140 in the leg portion 20, the support block 140 between the wheel 28 and the ground of the road mounted on the leg portion 20 It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상기 받침블록(140)의 기단부에는 링크(142)가 구비된다. 링크(142)의 하단부가 받침블록(140)에 연결됨과 동시에 링크(142)가 받침블록(14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받침블록(140)의 저면이 도로 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링크(142)가 받침블록(14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구조이다. 상기 링크(142)의 상단부는 힌지부(H)에 의해 레그부(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받침블록(140)의 선단부측 상면에는 받침 경사면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 경사면은 받침블록(140)의 일측면에서 볼 때에 받침블록(140)의 기단부 쪽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면으로 구성된다.Link 142 is provid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support block 140. The lower end of the link 142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140 and at the same time the link 142 extends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upport block 140. In a stat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block 140 is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the link 142 extends up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ing block 140. The upper end of the link 142 is rotatably mounted to the leg portion 20 by the hinge portion (H). A support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on an upper end side of the support block 140. The support inclined surface is composed of a surfac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140 when viewed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block 140.

상기 받침블록(140)은 레그부(20)에 구비된 바퀴(28)를 기준으로 한 쌍으로 구비된다. 바퀴(28)의 옆에서 볼 때에 바퀴(28)의 앞쪽과 뒤쪽 위치에 두 개의 받침블록(140)이 각각 레그부(20)에 힌지부(H)를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support block 140 is provided in pairs based on the wheel 28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wheel 28, the two support blocks 140 in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wheel 28 are respectively mounted to the leg portion 2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via the hinge portion H. .

이때, 상기 링크(142)가 레그부(20)에 연결된 힌지부(H)를 기준으로 상기 받침블록(140)이 상향 회동된 상태는 리테이닝 유닛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테이닝 유닛은 리테이닝핀홀(140H)과 리테이닝핀 결합홀(124H)과 리테이닝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nk block 142 may be maintained by the retain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lock 140 is rotated upward based on the hinge portion H connected to the leg portion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retaining pin hole 140H and a retaining pin coupling hole 124H and a retaining pin.

상기 리테이닝핀홀(140H)은 받침블록(140)에 구비된다. 받침블록(140)의 내부에 리테이닝핀홀(140H)이 구비된다. 리테이닝핀홀(140H)은 받침블록(140)의 양쪽 측면으로 관통된다. 한편, 상기 레그부(20)는 하부 수평 연결비임(24)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부 수평 연결비임(24)의 내부에는 저면으로 연통된 받침블록(140) 출몰홀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142)가 레그부(20)에 연결된 힌지부(H)를 기준으로 상기 받침블록(140)이 상향 회동하면 상기 수평 연결비임(24)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블록(140) 출몰홀을 통해서 수평 연결비임(24) 내부에 받침블록(140)이 들어가고, 상기 링크(142)가 레그부(20)에 연결된 힌지부(H)를 기준으로 상기 받침블록(140)이 하향 회동하면 상기 수평 연결비임(24)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블록(140) 출몰홀을 통해서 수평 연결비임(24)의 하측 외부로 받침블록(140)이 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블록(140)이 링크(142)가 연결된 힌지부(H)에 의해 레그부(2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retaining pin hole 140H is provided in the support block 140. A retaining pin hole 140H is provided inside the support block 140. The retaining pin hole 140H penetrates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block 140. On the other hand, the leg portion 20 includes a lower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the inside of the lower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is provided with a support block 140 inlet hole communicated to the bottom surface. When the support block 140 is rotated upward based on the hinge portion H connected to the leg portion 20, the link 142 has a support block 140 appearing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When the support block 140 enters inside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and the support block 140 is rotated downward based on the hinge portion (H) connected to the leg portion 20, the horizontal link (142) The support block 14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eam 2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 block 140 comes out of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through the hole. The support block 140 is configured to rotat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g portion 20 by the hinge portion H to which the link 142 is connected.

상기 리테이닝핀 결합홀(124H)은 레그부(20)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레그부(20)의 구성인 하부 수평 연결비임(24)에 상기 리테이닝핀 결합홀(124H)이 구비된다. 하부 수평 연결비임(24)은 레그부(20)의 구성이므로 리테이닝핀 결합홀(124H)이 레그부(20)에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The retaining pin coupling hole 124H is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pin coupling hole 124H is provided in the lower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that is the leg 20. Since the lower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is a configuration of the leg portion 20, it may be said that the retaining pin coupling hole 124H is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본 발명의 작업대차를 방음시설 작업이 필요한 장소에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받침블록(140)이 바퀴(28) 위로 상향 회동되어 상기 리테이닝 유닛에 의해 상향 회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닝 유닛이 리테이닝핀홀(140H)과 리테이닝핀 결합홀(124H)과 리테이닝핀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받침블록(140)이 바퀴(28) 위쪽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블록(140)의 리테이닝핀홀(140H)과 레그부(20)의 리테이닝핀 결합홀(124H)에 리테이닝핀을 동시에 끼워주면 받침블록(140)이 레그부(20)와 연결된 힌지부(H)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지 않고 바퀴(28) 위로 올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작업대차를 바퀴(28)의 회전에 의해 작업이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work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place where soundproofing work is required, the support block 140 may be rotated upward over the wheel 28 to be maintained in a upwardly rotated state by the retaining unit. When the retaining unit is composed of a retaining pin hole 140H, a retaining pin coupling hole 124H, and a retaining pin, the support block 140 is rotated upward of the wheel 28 and the support block 140 When the retaining pin 140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retaining pin hole 140H and the retaining pin coupling hole 124H of the leg part 20, the support block 140 connects the hinge part H connected to the leg part 20. Since it is raised above the wheel 28 without being rotated as a reference, the work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to a place where work is required by the rotation of the wheel 28.

본 발명의 작업대차가 방음시설 작업을 위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한 다음에는 상기 바퀴(28) 아래와 도로 도면 사이에 받침블록(140)을 대준다. 받침블록(140)을 레그부(20)에 연결된 힌지부(H)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켜서 바퀴(28)의 외주면과 도로 노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받침블록(140)을 대준다. 이때, 받침블록(140)은 선단부측 상면에 받침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받침블록(140)에서 받침 경사면이 형성된 부분이 바퀴(28) 밑으로 들어가고 받침블록(140)의 저면은 도로 노면에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퀴(28)의 앞뒤 부분으로 두 개의 받침블록(140)이 구비되어 있어서, 경우에 따라 바퀴(28)의 앞뒤 외주면과 도로 노면 사이의 두 군데에 두 개의 받침블록(140)을 대줄 수도 있다.After the work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place required for soundproofing work, the support block 140 is placed between the wheel 28 and the road drawing. The support block 140 is rotated downward based on the hinge portion H connected to the leg portion 20 so that the support block 140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8 and the road surface. At this time, the support block 140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clined surface on the upper end side side, the portion in which the support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support block 140 enters under the wheel 28 and the bottom of the support block 140 on the road surface Suppor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support blocks 140 are provided as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wheels 28, and in some cases, two support blocks 140 are arranged between two front and rear outer surfaces of the wheels 28 and the road surface. It may be.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대차를 이동한 다음에 바퀴(28) 아래와 도로 도면 사이에 받침블록(140)을 대주면, 바퀴(28)가 도로 노면에서 슬립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작업의 안전성을 더욱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상기 받침블록(140)이 도로 노면에서 바퀴(28)를 받쳐주고 있어서 바퀴(28)가 공회전하는 경우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고 바퀴(28)가 도로 노면에서 슬립되는 경우로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support block 140 is placed between the wheel 28 and the road drawings after moving the work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28 is prevented from slipping on the road surfac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work more reliably. It can increase. Since the support block 140 supports the wheels 28 on the road surface, the wheels 28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from idling and the wheels 28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from slipping on the road surface. hav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퀴(28)를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에 각각 하나씩 받침블록(140)이 구비되어 있는데, 방음시설 시공 도로 노면이 경사진 경우에는 바퀴(28)가 경사진 도로 노면 쪽으로 어느 하나의 받침블록(140)을 선택해서 바퀴(28)와 경사진 도로 노면 사이에 대줄 수 있다. 따라서, 도로 노면이 경사진 지역에서 필요한 받침블록(140)을 손쉽게 골라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작업대차가 경사진 도로 노면에 있는 경우에 두 개의 받침블록(140) 중에서 경사진 도로 도면에 설치할 받침블록(140)을 선택해서 바퀴(28)와 경사진 도로 노면 사이에 대주면 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lock 140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wheel 28, in the case of the soundproofing construction road road slope is inclined to any one of the road surface sloped road 28 By selecting the support block 140 of can be placed between the wheel 28 and the inclined road surface. Therefore, the road block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selected to install the support block 140 required in the inclined area. This is because when the work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 the inclined road surface, the support block 140 to be installed on the inclined road drawing is selected from the two support blocks 140 to be disposed between the wheel 28 and the inclined road surface. .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그부(20)에 구비된 로테이션 샤프트(62)의 하단부에 고정 지지판(64)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 지지판(64)은 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확장 지지판(15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xed support plate 64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62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the fixed support plate 64 is coupled to the expansion support plate 150 having a relatively larger area It may be configured to.

상기 고정 지지판(64)에 비하여 확장 지지판(150)의 면적이 더 크도록 구성되며, 상기 확장 지지판(150)의 상면에는 판지지홈(152)이 구비된다. 상기 판지지홈(152)은 확장 지지판(15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오목하고 들어간 홈 구조이다. 상기 판지지홈(152)의 형상은 로테이션 샤프트(62) 하단부의 고정 지지판(64)의 형상과 동일하다. 상기 고정 지지판(64)의 형상이 사각판 형상인 경우 확장 지지판(150)의 판지지홈(152)은 사각홈 형상이고, 상기 고정 지지판(64)의 형상이 원형판 형상인 경우 확장 지지판(150)의 판지지홈(152)은 원형홈 형상이다.Compared to the fixed support plate 64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area of the extended support plate 150,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support plate 150 is provided with a cardboard paper groove 152. The paperboard groove 152 is a recessed structure that is recess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xpansion support plate 150 to the bottom surface. The shape of the cardboard groove 152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ixed support plate 64 of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62). When the shape of the fixed support plate 64 is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paperboard groove 152 of the extended support plate 150 is a rectangular groove shape, when the shape of the fixed support plate 64 is a circular plate shape expansion support plate 150 Paperboard groove 152 of the circular groove shape.

따라서, 상기 레그부(20)에 구비된 로테이션 샤프트(62) 하단부의 고정 지지판(64)을 확장 지지판(150)의 판지지홈(152)에 안착시켜서 설치하면, 확장 지지판(150)에 의해 상기 천정 프레임부(30)와 레그부(20)를 도로 노면에 지지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주므로, 도로 노면이 작업대차의 하중과 작업자가 발판(36)에 올라간 하중에 의해 움푹하게 파여서 생기는 도로 노면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xed support plate 64 of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62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is installed by seating in the paperboard groove 152 of the expansion support plate 150, the expansion support plate 150 Since the load supporting the ceiling frame portion 30 and the leg portion 20 on the road surface is distributed, the road surface surface is formed by digging a hole by the load of the work cart and the load on the footrest 36.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또한, 상기 확장 지지판(15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돌기(154)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154)가 도로 노면과 확장 지지판(150) 사이의 결합력을 더 높여줌으로써 작업대차를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62)와 고정 지지판(64) 및 확장 지지판(150)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로테이션 샤프트(62)의 고정 지지판(64)과 확장 지지판(150)이 노로 도면에서 슬립되는 경우를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한다. 이때, 상기 확장 지지판(150)을 쓰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62)의 고정 지지판(64)의 저면에 복수개의 지지돌기(154)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돌기(154)가 도로 노면과 고정 지지판(64) 사이의 결합력을 더 높여주어서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62)와 고정 지지판(64)이 노로 도면에서 슬립되는 경우를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extended support plate 1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54, the support protrusion 154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road road surface and the extended support plate 150 to rotate the work cart The case where the fixed support plate 64 and the extended support plate 150 of the rotation shaft 62 is slipped in the furnace drawing while being supported to be fixed by the shaft 62, the fixed support plate 64, and the expansion support plate 150. Definitely prevent In this case, when the extended support plate 150 is not use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54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plate 64 of the rotation shaft 62, in which case the support protrusions ( 154 may further incr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road surface and the stationary support plate 64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rotation shaft 62 and the stationary support plate 64 from slipping in the furnace diagram.

또한, 상기 확장 지지판(150)에 형성된 판지지홈(152)에 로테이션 샤프트(62) 하단부의 고정 지지판(64)이 안착되므로, 상기 확장 지지판(150)에서 로테이션 샤프트(62)와 고정 지지판(64)이 슬립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ixed support plate 64 of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62 is seated in the cardboard groove 152 formed in the extended support plate 150, the rotation shaft 62 and the fixed support plate 64 in the extended support plate 150. ) Is prevented from slipping.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specific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e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20. 레그부 22. 레그바아
23. 서포트 브라켓 24. 수평 연결비임
25. 사다리 25SF. 안전 프레임
28. 바퀴 29. 리임
30. 천정 프레임부 32. 천정 프레임 바아
34. 크로스 천정 프레임 바아 36. 발판
60. 대차 고정장치 62. 로테이션 샤프트
63. 핸들 64. 고정 지지판
120. 고정핀홀 124H. 리테이닝핀 결합홀
129. 고정핀 삽입홀 130. 고정핀
140. 받침블록 140H. 리테이닝핀홀
142. 링크 150. 확장 지지판
152. 판지지홈 154. 지지돌기
20 Leg Legs 22 Leg Legs
23. Support bracket 24. Horizontal connection beam
25. Ladder 25SF. Safety frame
28. Wheels 29. Lime
30. Ceiling frame part 32. Ceiling frame bar
34. Cross ceiling frame bar 36. Scaffold
60. Balance lock 62. Rotation shaft
63. Handle 64. Fixed support plate
120. Fixing pin hole 124H. Retaining Pin Coupling Hole
129. Locking Pin Insertion Hole 130. Locking Pin
140. Base Block 140H. Retaining Pin Hole
142. Link 150. Extended Support Plate
152. Cardboard groove 154. Supporting projection

Claims (11)

좌우로 배치된 레그부(20);
상기 레그부(20)에 구비된 천정 프레임부(30);
상기 레그부(20)에 구비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바퀴(28);
상기 레그부(20)에 장착되며 상기 바퀴(28)에 모터축이 감속기어를 매개로 구동적으로 연결된 모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퀴(28)의 리임(29)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핀 삽입홀(129)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부(20)의 하부 수평 연결비임(24) 부분이 상기 바퀴(28)의 상기 리임(29)과 마주하며, 상기 하부 수평 연결비임(24)에 고정핀홀(120)이 구비되고,
상기 바퀴(28)의 상기 리임(29)에 형성된 상기 고정핀 삽입홀(129)과 상기 레그부(20)에 형성된 고정핀홀(120)에 동시에 고정핀(13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시설용 작업대차.
Leg portions 20 disposed from side to side;
A ceiling frame portion 30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Wheels 28 provided in the leg portion 20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motor 50 mounted to the leg portion 20 and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wheel 28 by a motor shaft through a reduction gear.
Rims 29 of the wheel 28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in insertion holes 129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 portion of the lower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of the leg portion 20 faces the recess 29 of the wheel 28, and a fixing pin hole 120 is provided in the lower horizontal connection beam 24.
The fixed pin insertion hole 129 formed in the rim 29 of the wheel 28 and the fixed pin 130 formed in the leg portion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pin 13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at the same time Work carts for soundproof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프레임부(30)에는 발판(3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시설용 작업대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ceiling frame unit 30 is a work cart for soundproof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rest 36 is provi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36)은 복수개의 구멍이 구비된 다공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시설용 작업대차.
The method of claim 2,
The scaffold 36 is a work cart for soundproof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rous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20)에는 대차 고정장치(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시설용 작업대차.
The method of claim 2,
The leg portion 20, the work cart for the soundproof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ance fixing device 60 is provid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고정장치(60)는 상기 레그부(20)에 결합되어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시설용 작업대차.
The method of claim 6,
The balance fixing device 60 is coupled to the leg portion 20, the work cart for the soundproof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osi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43514A 2018-11-20 2018-11-20 Work vehicle for constructing soundproof facilities KR102011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14A KR102011727B1 (en) 2018-11-20 2018-11-20 Work vehicle for constructing soundproof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14A KR102011727B1 (en) 2018-11-20 2018-11-20 Work vehicle for constructing soundproof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727B1 true KR102011727B1 (en) 2019-08-19

Family

ID=6780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514A KR102011727B1 (en) 2018-11-20 2018-11-20 Work vehicle for constructing soundproof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72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24B1 (en) 2006-11-28 2007-10-10 건창산업개발 주식회사 Multipurpose safe worktable carriage for railroad tunnel
KR101049671B1 (en) 2010-12-30 2011-07-14 이부엽 Tunnel inspection mending moving accumnlation tolerance compensation induction device checking car
KR20130008768A (en) * 2011-07-13 2013-01-23 디에스알이 주식회사 A movable work truck for the work on road or rail
KR200474632Y1 (en) * 2014-01-16 2014-10-06 아주지오텍(주) A folding laadder
KR20180005089A (en) 2016-07-29 2018-01-15 김종희 A move type of 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soundproof wall
KR20180083066A (en) * 2017-01-12 2018-07-20 다스코 주식회사 Work vehicle for safe scaffolding tunnel equipped with soundproof wall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24B1 (en) 2006-11-28 2007-10-10 건창산업개발 주식회사 Multipurpose safe worktable carriage for railroad tunnel
KR101049671B1 (en) 2010-12-30 2011-07-14 이부엽 Tunnel inspection mending moving accumnlation tolerance compensation induction device checking car
KR20130008768A (en) * 2011-07-13 2013-01-23 디에스알이 주식회사 A movable work truck for the work on road or rail
KR200474632Y1 (en) * 2014-01-16 2014-10-06 아주지오텍(주) A folding laadder
KR20180005089A (en) 2016-07-29 2018-01-15 김종희 A move type of worktable carriage for tunnel soundproof wall
KR20180083066A (en) * 2017-01-12 2018-07-20 다스코 주식회사 Work vehicle for safe scaffolding tunnel equipped with soundproof wal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7265B2 (en) Suspended scaffolding system
US4433871A (en) Machine for cutting curbstones, sidewalls and the like
JP2007138514A (en) Erection method of girder
KR101893138B1 (en) Vehicle retrun apparatus of median strip for operating by gap of road height level and weight of vehicle
JP5276842B2 (en) Free sliding drill
KR102021565B1 (en) Derailment Recovery Device for railway vehicles
KR102011727B1 (en) Work vehicle for constructing soundproof facilities
JPH08296210A (en) Stud constructing method, stud demolishing method and lift-up and rotating device
AU582246B2 (en) Motor vehicle turntable
KR20060127329A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pper structure of bridge with using the same
US3627079A (en) Elevator system for mine shaft
JP2903003B2 (en) Railway station platform
KR101935407B1 (en) Work vehicle for safe scaffolding tunnel equipped with soundproof walls
JPH09156891A (en) Scaffold device
KR20060099167A (en) Structure for repairing tunnel
JP3892196B2 (en) Slope-equipment carrying work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is device
KR20020009830A (en) A self propelled working platform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bridge
KR20200037724A (en) Railroad rebuilding kit to construct double track railway for railbike
JPS6315794Y2 (en)
JP3980772B2 (en) Removal and installation of heavy structures
JP4652522B2 (en) Slope carrier device
KR100575493B1 (en) A viaduct for a railway line or the like
KR20060005424A (en) Vehicle for building soundproofed wall tunnel
JP2017052314A (en) On-rail service vehicle
JP2528032Y2 (en) Vehicle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