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412B1 -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 Google Patents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412B1
KR102011412B1 KR1020170114037A KR20170114037A KR102011412B1 KR 102011412 B1 KR102011412 B1 KR 102011412B1 KR 1020170114037 A KR1020170114037 A KR 1020170114037A KR 20170114037 A KR20170114037 A KR 20170114037A KR 102011412 B1 KR102011412 B1 KR 102011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onnection structure
buried
precast beam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7230A (en
Inventor
신명규
이재호
김도학
박종헌
김군삼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유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유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412B1/en
Publication of KR2019002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2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보(1)와 기둥(2)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1)에 형성된 제1 연결구조(100); 상기 기둥(2)에 형성된 제2 연결구조(200); 및 상기 제1 연결구조(100)와 제2 연결구조(200)를 연결하는 연결철근(3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구조(100)는 상기 보(1)의 단부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노출공간(a); 상기 노출공간(a)이 형성된 상기 보(1)의 표면에 설치된 제1 표면 플레이트(110); 상기 보(1)에 매립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표면 플레이트(110)와 결합된 제1 매립철근(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1) and the column (2),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formed on the beam (1); A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formed on the pillar 2; And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structure 100 and the second connecting structure 200,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structure 100 has a part of an end of the beam 1 blocked out. Exposure space (a) formed; A first surface plate 11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eam 1 in which the exposure space a is formed;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recast beam and a pillar is provided, including a first buried reinforcing rod 120 embedded in the beam 1 and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plat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ncrease the construction safety.

Figure R1020170114037
Figure R1020170114037

Description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Joint structure of precast beam and column for integration of buried reinforcing bars and connection method of precast beam and column using same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생산된 보를 기둥 등에 연결함에 있어서, 시공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in connecting the beam produced by the precast method, such as a colum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for the integr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structural safety of construction And it relates to a connection method of the precast beam and column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축용 PC(Precast Concrete)공법은 미리 건축물의 기둥, 보, 슬래브, 벽체 등의 부재를 별도의 장소에서 생산한 후 건축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공법으로, 콘크리트 작업이 용이하고 외부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장소에서 생산할 수 있어 양질의 부재를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기계화 작업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general, the construction PC (Precast Concrete) method is a method of producing the columns, beams, slabs, walls, etc. of buildings in separate places and then assembling them at the construction site. Because it can be produced in a place that receives less,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quality members economically, and it is possible to mechanize the concrete, which can reduce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excellent workability, and greatly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그러나, PC공법은 각 부재들을 견고하게 연결 접합하기 위한 작업이 어려워 접합이음부에 대한 기술적인 처리가 요구되며, 특히 PC 기둥 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을 연결 시공하는 경우 이를 연결, 접합시키기 위한 적절한 기술이 필요한데, 종래 PC 기둥 구조물과 보 구조물의 연결접합은 대체로 수직으로 제작되는 PC기둥구조물의 외측면 상부에 철근들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매립설치하고 수평으로 제작되는 PC 보 구조물의 좌우양측에 철근들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매립설치한 다음 PC기둥구조물의 상부에 PC 보 구조물의 일 측면이 근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PC기둥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의 철근들을 서로 용접하거나 통상의 커플러로 연결 고정하고 그 연결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PC 기둥 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이 서로 연결 접합되도록 하였다. However, the PC method is difficult to connect and join each member firmly, which requires technical treatment for the joint, especially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PC column structure and the PC beam structure, an appropriate technique for connecting and joining them.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ventional PC column structure and the beam structure is generally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protrude outwards a certain length on the outer side of the PC column structure, which is generally produced vertically, and reinforce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C beam structure that is produced horizontally. Are install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and then welds the reinforcing bars of the PC pillar structure and the PC beam structure to each other or is connected with a conventional coupler while the one side of the PC beam structure is placed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C column structure. And cast concrete at the connection part to connect the PC column structure and the PC beam structure to each other. To be combined.

그러나 종래의 연결시공은 PC 기둥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의 내부에 매설되는 철근의 배근위치가 서로 정확히 일치되어야만 PC 기둥 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의 연결될 수 있어 철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어긋나는 경우 PC기둥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PC 보 구조물의 수평이 맞지 않아 건축물이 큰 하자가 발생될 뿐 아니라 위치가 틀어진 철근을 임의로 절곡시켜 서로 연결하는 경우 연결접합부분의 내구성 및 강도가 저하되고 PC기둥구조물과 PC보구조물간의 접합부위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부착되지 않아 여름철 및 겨울철 기온변화에 따른 결로현상과 틈새에 스며든 물기의 동결에 따른 수축, 팽창 등으로 각종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construction, the reinforcement posi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PC column structures and the PC beam structures must be exactly coinciden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C column structures and the PC beam structur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Not only does the construction of the PC beam structure installed at the horizontal level cause a large defect, but also the bending and reinforcing of the reinforcing bars are randomly connected and the durability and strength of the connection joint decreases, and the PC pillar structure and the PC beam structure Since the joints are not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there are problems in that various defects occur due to condensation phenomenon due to temperature change in summer and winter and shrinkage and expansion due to freezing of water soaked into gaps.

한편, PC기둥구조물과 보구조물의 연결시공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098693호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철근 콘크리트 보가 접합되는 보-기둥 접합부를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로서, 양단에 판 부재로 이루어진 단부판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보강 철근이 보의 배치 방향으로 보-기둥 접합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단부판이 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매립 배치하여 접합부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지진하중 작용시 상기 단부판의 외측 위치에서 보에 소성힌지가 생성되도록 하여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의 연성을 향상시키고 보-기둥 접합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진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이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보강 철근에 의해 그 접합부가 보강되도록 되어 있어 접합부의 전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이 취약하고 시공시 기둥의 상단부 위에 보의 일측끝단을 올려놓은 상태로 시공되어 콘크리트타설 부분이 증대되어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the connection construction of the PC column structure and the beam structur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98693 discloses a reinforced concrete frame structure having a beam-column joint to which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reinforced concrete beams are joined, Reinforcing bars having integrally formed end plates made of plate members at both ends are embedded in the beams in the direction of beam placement so that the end plates are located inside the beam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joints and act as seismic loads. Reinforced concrete frame structures have been disclosed in which plastic hinges are generated in the beams at the outer side of the end plate, thereby improving the ductility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structures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beam-column joints. The technology simply shows the interior of the precast concrete beam-column junction. The connection part is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steel bars arranged, so the overall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are weak, a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ncrete casting part because the one end of the beam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 연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현장 시공의 편의성을 갖는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recast beam and pillar connection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pillar for the integration of the reinforcing bar having a high field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necting a precast beam and a column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beams and pillars for the integration of embedded reinforcing bars tha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ncrease the safety of construction, and a method of connecting the precast beams and pilla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 안전성이 높은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beams and pillars for integration of buried reinforcing bars having high structural safety, and a connection method of precast beams and pilla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보(1)와 기둥(2)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1)에 형성된 제1 연결구조(100); 상기 기둥(2)에 형성된 제2 연결구조(200); 및 상기 제1 연결구조(100)와 제2 연결구조(200)를 연결하는 연결철근(3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구조(100)는 상기 보(1)의 단부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노출공간(a); 상기 노출공간(a)이 형성된 상기 보(1)의 표면에 설치된 제1 표면 플레이트(110); 상기 보(1)에 매립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표면 플레이트(110)와 결합된 제1 매립철근(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1) and the column (2),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formed on the beam (1); A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formed on the pillar 2; And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structure 100 and the second connecting structure 200,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structure 100 has a part of an end of the beam 1 blocked out. Exposure space (a) formed; A first surface plate 11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eam 1 in which the exposure space a is formed;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recast beam and a pillar is provided, including a first buried reinforcing rod 120 embedded in the beam 1 and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plate 110.

이 경우 상기 제2 연결구조(200)는, 상기 기둥(2)의 표면에 설치된 제2 표면 플레이트(210); 및 상기 기둥(2)에 매립됨과 아울러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와 결합된 제2 매립철근(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plate 21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pillar 2; And a second buried reinforcing bar 220 embedded in the pillar 2 and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연결철근(300)의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표면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연결철근(3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연결철근(3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2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a threa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the first surface plate 110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hole 13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the second The surface plate 210 may be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recast beam and a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insertion hole 230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ebar 300 is inserted is formed.

또한, 상기 제1 연결구조(100)는, 상기 보(1)에 매립되며, 일단은 상기 제1 매립철근(120)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삽입홀(130)을 통해 삽입된 상기 연결철근(30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매립 커플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따.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is embedded in the beam 1,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buried reinforcement 120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130 The first buried coupler 14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einforcement 300; may b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further comprising a.

또한, 상기 제2 연결구조(200)는, 상기 기둥(2)에 매립되며, 일단은 상기 제2 매립철근(220)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삽입홀(230)을 통해 삽입된 상기 연결철근(300)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매립 커플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is buried in the pillar 2,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buried rebar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insert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230. The second buried coupler 24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ement 300; may b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further comprising.

또한, 상기 연결철근(300)은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310); 및 상기 복수의 연결봉(310)을 결합시키는 외부 커플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has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10 are formed with a screw thread at both ends; And an external coupler 320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10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보(1)를 상기 기둥(2)에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구조(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structure 400 for mounting the beam (1) to the pillar (2); may b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거치구조(400)는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410); 및 상기 보(1)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홈(4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structure 400 is a support plate 4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And a mounting groove 421 formed at an end of the beam 1 and formed in a recess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410.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is further included. Can be.

또한, 상기 거치구조(400)는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410); 및 상기 보(1)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 형상을 형성하는 거치홈 형성 플레이트(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structure 400 is a support plate 4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And a mounting groove forming plate 420 formed at an end of the beam 1 to form a recess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410. It may be a connection structure.

또한, 상기 거치구조(400)는 상기 보(1)의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410); 및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홈(4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structure 400 is a support plate 4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nd of the beam (1); And a mounting groove 421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and formed in a recess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410.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is further included. Can be.

또한,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는 결합볼트(411)에 의해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 볼팅결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에는 상기 결합볼트(411)가 통과되는 제3 삽입홀(412)이 형성되되, 상기 제3 삽입홀(412)의 직경이 상기 결합볼트(411)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410 is bolted to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by the coupling bolt 411, the support plate 410 through the third insertion hole (145) through which the coupling bolt 411 ( 412 is formed, the diameter of the third insertion hole 412 may b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bolt 411.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에 있어서, 상기 보(1)에 형성된 상기 거치홈(421)을 상기 기둥(1)에 형성된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에 거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연결철근(300)을 이용하여 상기 보(1)에 매립된 상기 제1 매립철근(110)과 상기 기둥(2)에 매립된 상기 제2 매립철근(210)을 일체화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노출공간(a) 주변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us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the mounting groove 421 formed in the beam (1) formed in the pillar (1) A first step (S100) of mounting on the support plate (410); A second step of integrating the first buried rebar 110 embedded in the beam 1 and the second buried rebar 210 embedded in the pillar 2 by using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S200) ); And a third step (S300) of installing the formwork at the periphery of the exposed space (a) and placing the concrete on-site; and a connection method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현장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sure a high level of convenience of on-site constru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ncrease the construction safety.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시공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recast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보에 매립된 매립철근과 기둥에 매립된 매립철근을 일체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uried rebar embedded in the precast beam and the buried rebar embedded in the pillar can be integ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의 정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의 정면부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ecas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precast beam and th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a precast beam and a column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front portion of the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precast beam and th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where the precast beam and the column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precast beam and th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9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a precast beam and a column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of the pill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recast beam and a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ng the beam and the pillar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 사례 중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실시예의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explain some of the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below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limited by terms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does not only mean the case where the physical contact is directly between the components in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s, the components in the other components Use it as a comprehensive concept until each cont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선 제작된 보(1)를 기둥(2)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조 및 연결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and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he beam (1) pre-fabricated in the precast method to the column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조는 보(1)에 형성된 제1 연결구조(100), 기둥(2)에 형성된 제2 연결구조(200) 및 제1 연결구조(100)와 제2 연결구조(200)를 연결하는 연결철근(300)을 포함한다(도 3).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formed in the beam (1), the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and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and second connection formed on the column (2) It includes a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connecting the structure 200 (Fig. 3).

이 경우 제1 연결구조(100)는 보(1) 측에 형성된 구조로서, 보(1)의 단부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노출공간(a), 노출공간(a)이 형성된 보(1)의 단부 표면에 설치된 제1 표면 플레이트(110), 보(1)에 매립됨과 아울러 제1 표면 플레이트(110)와 결합된 제1 매립철근(12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is a structure formed on the side of the beam 1, and a portion of the end of the beam 1 is blocked out of the exposed space (a), the exposed space (a) of the beam 1 is formed It may include a first buried reinforcing bar 120, which is embedded in the first surface plate 110, the beam 1 installed on the end surface and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plate 110.

제1 연결구조(100)에 대응되어 제2 연결구조(200)는 기둥(2) 측에 형성된 구조로서, 기둥(2)의 표면에 설치된 제2 표면 플레이트(210) 및 기둥(2)에 매립됨과 아울러 제2 표면 플레이트(210)와 결합된 제2 매립철근(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is a structure formed on the pillar 2 side, and is embedded in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and the pillar 2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pillar 2.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second buried reinforcing bar 220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연결철근(300)은 제1 연결구조(100)와 제2 연결구조(200)를 연결함으로써 제1 매립철근(120)과 제2 매립철근(220)을 일체화한다.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integrates the first buried rebar 120 and the second buried rebar 220 b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structure 100 and the second connecting structure 200.

구체적으로 연결철근(300)의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표면 플레이트(1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철근(3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130)이 형성되고,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는 나사산이 형셩된 연결철근(3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230)이 형성된다(도 3). Specifically, thread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and the first surface plate 110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hole 130 in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having the thread is inserted, and a second surface. The plate 210 is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hole 230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hreaded connection reinforcing bar 300 is inserted (FIG. 3).

이 경우 제1 표면 플레이트(110)와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 의해 제1 매립철근(120)과 제2 매립철근(220)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체화가 진행되므로 현장 시공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integration of the first buried reinforcing rod 120 and the second buried reinforcing bar 220 in the correct position is fixed by the first surface plate 110 and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in the field construction Can reduce the difficulty of.

제1 삽입홀(130)과 제2 삽입홀(230)에 삽입된 연결철근(300)의 양단은 커플러를 통해 제1 매립철근(120)과 제2 매립철근(220)에 연결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3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uried rebar 120 and the second buried rebar 220 through a coupler.

이를 위해, 제1 연결구조(100)는, 보(1)에 매립되며 일단은 제1 매립철근(120)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삽입홀(130)을 통해 삽입된 연결철근(30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매립 커플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is embedded in the beam 1,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buried reinforcement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30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130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ried coupler 140 coupled to one end.

더하여, 제2 연결구조(200)는 기둥(2)에 매립되며 일단은 제2 매립철근(220)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삽입홀(230)을 통해 삽입된 연결철근(300)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매립 커플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is embedded in the pillar (2)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buried reinforcing bar 220 and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insert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230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ried coupler 240 is coupled.

이에 따라 연결철근(300)의 일단은 제1 매립 커플러(140)를 통해 제1 매립철근(120)과 결합되고, 연결철근(300)의 타단은 제2 매립 커플러(240)를 통해 제2 매립철근(220)과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one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is coupled to the first embedded reinforcing bar 120 through the first buried coupler 14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is buried in the second buried through the second buried coupler 240 It may be combined with the rebar 220.

연결철근(300)은 시공의 용이성을 위해 복수의 부재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철근(300)은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310)과 복수의 연결봉(310)을 결합시키는 외부 커플러(320)로 형성될 수 있다. Connection reinforcement 300 may be separated or combined into a plurality of members for ease of construction. In more detail, the connecting rebar 300 may be formed of an external coupler 320 that couples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10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10 having thread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연결봉(310)과 외부 커플러(320)의 개수는 제1 매립 커플러(140)과 제2 매립 커플러(240)의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The number of connecting rods 310 and the external coupler 320 may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uried coupler 140 and the second buried coupler 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조는 보(1)를 기둥(2)에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구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structure 400 for mounting the beam (1) to the column (2).

거치구조(400)는 기둥(2)의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410) 및 보(1)의 단부에 형성되되 받침 플레이트(4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Mounting structure 40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beam 1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of the column (2), the de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410 It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421 formed in a shape.

이 경우 받침 플레이트(410)는 결합볼트(411)에 의해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 볼팅결합된다. In this case, the support plate 410 is bolted to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by the coupling bolt 411.

거치홈(421)은 보(1)의 단부의 형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는 거치홈(421)을 형성하는 거치홈 형성 플레이트(420)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1). The mounting groove 421 may be formed by the shape of the end of the beam 1,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by the mounting groove forming plate 420 to form the mounting groove 421 (FIG. 1). ).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 플레이트(410)에는 걸림돌기(4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도 8 내지 도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rotrusion 411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upport plate 410 (FIGS. 8 to 10).

더하여 거치홈(421)에는 걸림돌기(411)가 삽입되는 삽입공간(4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sertion space 422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11 is inserted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421.

이 경우 거치홈(421)에 거치된 받침 플레이트(410)가 거치홈(4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this case, the support plate 410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421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parture from the mounting groove 421.

또한, 받침 플레이트(410)에는 상기 결합볼트(411)가 통과되는 제3 삽입홀(412)이 형성되되, 제3 삽입홀(412)의 직경이 결합볼트(41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410 is formed with a third insertion hole 412 through which the coupling bolt 411 passes, the diameter of the third insertion hole 412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bolt 411 It is preferable.

여기서 제3 삽입홀(412)의 직경이 결합볼트(41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었다는 의미는 결합볼트(411)와 제3 삽입홀(412)의 내면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어, 결합볼트(411)와 제2 표면 플레이트(210) 사이에 게재되는 받침 플레이트(410)의 위치가 유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정의한다. Here, the diameter of the third insertion hole 41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bolt 411 means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bolt 411 and the third insertion hole 412 i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410 disposed between the bolt 411 and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is defined as meaning that it can be flexibly adjusted.

이 경우 받침 플레이트(41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현장에서 발생되는 시공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410 has an effect that can correct the construction error generated in the field.

반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 플레이트(410)가 보(1) 측에 형성되고, 거치홈(421)이 기둥(2) 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구조(400)는 보(1)의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410) 및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 형성되되 받침 플레이트(4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410 is formed on the beam 1 sid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ounting groove 421 is formed on the pillar (2) side. . That is, the mounting structur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nd of the beam 1, but the support plate 410 It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421 formed in a recess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us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공법은 보(1)에 형성된 거치홈(421)을 기둥(1)에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410)에 거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연결철근(300)을 이용하여 보(1)에 매립된 제1 매립철근(110)과 기둥(2)에 매립된 제2 매립철근(210)을 일체화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노출공간(a) 주변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S100) of mounting the mounting groove 421 formed on the beam 1 to the support plate 410 formed on the pillar 1, the beam (using the reinforcing bar 300) In the second step (S200) of integrating the first buried reinforcing bar 110 and the second buried rebar 210 buried in the pillar (2) and the exposed space (a) to install the formwork and concrete The site casting may include a third step S300.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 및 연결공법은 이하와 같은 장점을 갖는다.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보(1)와 기둥(2)의 연결부에 노출공간(a)이 형성되어 있어 커플러를 이용한 제1 매립철근(120)과 제2 매립철근(220)의 일체화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exposed space (a)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eam (1) and the column (2), the integration work of the first buried rebar 120 and the second buried rebar 220 using a coupler can be easily performed. have.

둘째, 연결철근(300)이 결합되는 제1 매립 커플러(140)와 제2 매립 커플러(240)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생산되는 보와 기둥에 매립되어 있어 시공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Second, since the first buried coupler 140 and the second buried coupler 240 to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is coupled are embedded in beams and columns produced in a precast manner,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period. Do.

셋째, 보(1)를 기둥(2)에 임시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구조(400)를 구비함으로써 중량체인 프리캐스트 보(1)의 양중 및 설치를 위한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Third, by providing a mounting structure 400 for temporarily mounting the beam (1) to the column (2)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for lifting and installation of the heavy chain precast beam (1) and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Concerns can be reduced.

넷째,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선 제작된 보(1)와 기둥(2)의 연결구조를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보(1)에 매립된 제1 매립철근(120)과 기둥(2)에 매립된 제2 매립철근(220)을 일체화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전성이 높은 구조체를 시공할 수 있다. Fourth, the first buried reinforcing bar 120 embedded in the beam (1) and the second buried in the column (2) despit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eam (1) and the column (2) pre-fabricated Since the buried rebar 220 can be integrated, a structure having high structural safety can be constructed.

다섯째, 보(1)와 기둥(2)의 매립철근이 일체화됨으로 인하여 별도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부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부재 절감의 효과 및 공사비용의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fth, since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of the beam (1) and the column (2) is integrat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se of a member for securing a separate structural safet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member and the construction cost.

여섯째, 보(1)와 기둥(2)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일체화하고 현장타설하는 것만으로 보와 기둥의 연결작업을 끝낼 수 있어 단기의 공사기간에 양품질의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Sixth,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beam and the pillar by simply integrating the beam 1 and the pillar 2 using a coupler and placing the site, so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good quality structure in a short construction period.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hich together with the base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프리캐스트 보
2 : 기둥
100 : 제1 연결구조
200 : 제2 연결구조
300 : 연결철근
400 : 거치구조
1: precast beam
2: pillar
100: first connection structure
200: second connection structure
300: connecting rebar
400: mounting structure

Claims (12)

프리캐스트 보(1)와 기둥(2)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1)에 형성된 제1 연결구조(100);
상기 기둥(2)에 형성된 제2 연결구조(200); 및
상기 제1 연결구조(100)와 제2 연결구조(200)를 연결하는 연결철근(3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구조(100)는
상기 보(1)의 단부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노출공간(a);
상기 노출공간(a)이 형성된 상기 보(1)의 표면에 설치된 제1 표면 플레이트(110);
상기 보(1)에 매립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표면 플레이트(110)와 결합된 제1 매립철근(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구조(200)는,
상기 기둥(2)의 표면에 설치된 제2 표면 플레이트(210); 및
상기 기둥(2)에 매립됨과 아울러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와 결합된 제2 매립철근(220);을 포함하며,
상기 보(1)를 상기 기둥(2)에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구조(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구조(400)는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410); 및
상기 보(1)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홈(4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는 결합볼트(411)에 의해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 볼팅결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에는 상기 결합볼트(411)가 통과되는 제3 삽입홀(412)이 형성되되,
상기 제3 삽입홀(412)의 직경이 상기 결합볼트(411)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1 and the column 2,
A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formed in the beam (1);
A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formed on the pillar 2; And
Includes;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and the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is
An exposed space (a) formed by blocking a part of the end of the beam (1);
A first surface plate 11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eam 1 in which the exposure space a is formed;
And a first buried reinforcing bar 120 embedded in the beam 1 and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plate 110.
The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A second surface plate 21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pillar 2; And
And a second buried rebar 220 embedded in the pillar 2 and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structure 400 for mounting the beam (1) to the column (2),
The mounting structure 400 is
A support plate 410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A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eam (1), the mounting groove 421 formed in a recess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410;
The support plate 410 is bolted to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by a coupling bolt 411,
The support plate 410 is formed with a third insertion hole 412 through which the coupling bolt 411 passe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third insertion hole (41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bolt (411).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근(300)의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표면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연결철근(3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연결철근(3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2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read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The first surface plate 110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hole 130 in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is inserted,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i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sertion hole 230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is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조(100)는,
상기 보(1)에 매립되며, 일단은 상기 제1 매립철근(120)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삽입홀(130)을 통해 삽입된 상기 연결철근(30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매립 커플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0,
Buried in the beam (1),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buried reinforcing bar 12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300 insert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130 Coupler 140;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구조(200)는,
상기 기둥(2)에 매립되며, 일단은 상기 제2 매립철근(220)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삽입홀(230)을 통해 삽입된 상기 연결철근(300)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매립 커플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structure 200,
The second buried is embedded in the pillar (2),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buried reinforcing bar 22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insert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230 Coupler 240;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근(300)은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310); 및
상기 복수의 연결봉(310)을 결합시키는 외부 커플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is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10 having threads formed at both ends; And
External coupler 320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10;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조(400)는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410); 및
상기 보(1)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 형상을 갖는 거치홈 형성 플레이트(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structure 400 is
A support plate 410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And
Is formed in the end of the beam (1), the mounting groove forming plate 420 having a recess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410;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조(400)는
상기 보(1)의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410); 및
상기 제2 표면 플레이트(210)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홈(4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structure 400 is
A support plate 410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an end of the beam 1; And
A mounting groove 421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plate 210 and formed in a recess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410;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제1항의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에 있어서,
상기 보(1)에 형성된 상기 거치홈(421)을 상기 기둥(2)에 형성된 상기 받침 플레이트(410)에 거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연결철근(300)을 이용하여 상기 보(1)에 매립된 상기 제1 매립철근(110)과 상기 기둥(2)에 매립된 상기 제2 매립철근(210)을 일체화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노출공간(a) 주변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I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us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illar of claim 1,
A first step (S100) of mounting the mounting groove (421) formed on the beam (1) to the support plate (410) formed on the pillar (2);
A second step of integrating the first buried rebar 110 embedded in the beam 1 and the second buried rebar 210 embedded in the pillar 2 by using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0 (S200) ); And
A third step (S300) of installing the formwork at the periphery of the exposed space (a) and placing concrete on-site;
Connection method of the precast beam and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KR1020170114037A 2017-09-06 2017-09-06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KR102011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037A KR102011412B1 (en) 2017-09-06 2017-09-06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037A KR102011412B1 (en) 2017-09-06 2017-09-06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230A KR20190027230A (en) 2019-03-14
KR102011412B1 true KR102011412B1 (en) 2019-10-21

Family

ID=6575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037A KR102011412B1 (en) 2017-09-06 2017-09-06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4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854B1 (en) * 2019-05-28 2021-03-05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ost-constructed PC balcony
CN110607847A (en) * 2019-09-30 2019-12-24 安徽建筑大学 Steel sheet assembled beam column connected node
KR102230819B1 (en) * 2020-03-16 2021-03-23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Connector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tructures
EP3967816A1 (en) * 2020-09-09 2022-03-16 Peikko Group Oy Corbel,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first structural element at a second structural element
KR102349440B1 (en) * 2021-07-06 2022-01-1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Connector for PC slab and connection structure of PC slab using the same
KR102585732B1 (en) * 2022-07-22 2023-10-25 주식회사 에이아이이앤씨 Prestressed precast module with integrated girder and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6089A (en) * 2010-03-19 2011-10-06 Kurosawa Construction Co Ltd Hybrid cogging and column-beam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12207414A (en) * 2011-03-29 2012-10-25 Takenaka Komuten Co Ltd Joint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beam
KR101568194B1 (en) * 2014-12-15 2015-11-12 (주)서현컨스텍 Pc member connection method using pc connector and pc structure therewith
KR101766810B1 (en) * 2015-10-14 2017-08-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permanent bracket installing precast concrete colum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6089A (en) * 2010-03-19 2011-10-06 Kurosawa Construction Co Ltd Hybrid cogging and column-beam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12207414A (en) * 2011-03-29 2012-10-25 Takenaka Komuten Co Ltd Joint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beam
KR101568194B1 (en) * 2014-12-15 2015-11-12 (주)서현컨스텍 Pc member connection method using pc connector and pc structure therewith
KR101766810B1 (en) * 2015-10-14 2017-08-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permanent bracket installing precast concrete c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230A (en)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412B1 (en)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KR101071273B1 (en) Precast concrete column using steel material, Precast concrete beam using steel material an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1020865B1 (en) Dry Beam-Column Connection of Precast Concrete Members within the Extended Limitation of Construction Tolerances
KR101030419B1 (en)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KR101058540B1 (en) Development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Beam Dry Connection by Reinforced Bolt Joint
KR100937745B1 (en) Constructing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column
KR101432260B1 (en)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KR101962853B1 (en)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KR101663132B1 (en)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KR101890860B1 (en) Double PC wal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86200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KR20100121866A (en) Pc slave for building having reinforcement structure as a set
KR102000534B1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textile reinforcing panel of high durability for combined usage of permanent form
KR20100043731A (en) Precast concrete column using steel material an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1705002B1 (en)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8266910A (en) Projection structure of anchorage or deviator of tend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JP5386379B2 (en) Precast slab joints in bridges
JP5869717B1 (en)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124820B1 (en) Combination Structure
KR101463106B1 (en)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girder connecting structure for a building
KR101954387B1 (en)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033417B1 (en)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JP6590571B2 (en) Precast concrete beam end joint structure and precast concrete beam column frame
KR20190046336A (en) Sandwich precast concrete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26326B1 (en) concret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