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222B1 -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 Google Patents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222B1
KR102011222B1 KR1020180116676A KR20180116676A KR102011222B1 KR 102011222 B1 KR102011222 B1 KR 102011222B1 KR 1020180116676 A KR1020180116676 A KR 1020180116676A KR 20180116676 A KR20180116676 A KR 20180116676A KR 102011222 B1 KR102011222 B1 KR 102011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uffer module
elastic body
lay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배
Original Assignee
(주)진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진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1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슬래브의 상측에 형성되는 방수층부, 일정 사이즈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배관을 갖고,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방수층부의 상측으로 적층되되, 방수층부의 상면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완충모듈, 상기 배열된 완충모듈을 연결시키되, 보일러와 연결되기 위해 선택된 해당 배관을 연결시키는 모듈연결부, 및 상기 모듈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복수의 완충모듈의 상측에 적층되는 내장층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거상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벽체와 슬래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어 층간소음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Floor damp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to prevent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은 바닥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각 슬래브에 구비되어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은 물론, 벽체와 슬래브로 충격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층간소음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으로 인한 위층과 아래층 간의 다툼이 종종 발생하여 왔으며, 그 다툼은 점차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층간 소음은 주로 이층 거주자의 주거공간에서 이동시 발생되는 발자국 소리 또는 문의 개폐시와 각종 가구와 전자제품의 가동이나 바닥에 부딪치는 충격, 아이들이 뛰거나 구르는 등의 행위 등에 의해 나는 소리가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된 바닥슬래브와 벽체를 통해 아래층의 주거공간으로 전달됨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가 개발되어 왔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4429호(2006.10.09. 등록) "층간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재 건식시공방법"은 층간바닥재로서 슬라브 상부 바닥면에 안치되는 소음완충매트와 이 소음완충매트 상부에 난방용 파이프를 배관 후 석분으로 고정시키고, 이 석분 상부에 상부매트가 적층된다.
그러나 종래 층간바닥재는 슬래브와 시멘트몰탈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시멘트몰탈은 가장자리가 측벽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측벽은 슬래브와 일체로 설치된다.
이에, 실질적으로 충격과 진동이 시작되는 곳이 시멘트몰탈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이층 발생한 충격과 진동이 시멘트몰탈에서 측벽에 전달되고, 다시 측벽에서 슬라브를 통해 아래층으로 전달되므로 층간 소음의 저감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층간 소음의 실제 원인인 주거공간의 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이 측벽이나 슬래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슬래브의 상측에 형성되는 방수층부, 일정 사이즈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배관을 갖고,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방수층부의 상측으로 적층되되, 방수층부의 상면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완충모듈, 상기 배열된 완충모듈을 연결시키되, 보일러와 연결되기 위해 선택된 해당 배관을 연결시키는 모듈연결부, 및 상기 모듈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복수의 완충모듈의 상측에 적층되는 내장층부,를 포함하여 주거상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벽체와 슬래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어 층간소음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슬래브의 상측에 형성되는 방수층부, 일정 사이즈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배관을 갖고,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방수층부의 상측으로 적층되되, 방수층부의 상면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완충모듈, 상기 배열된 완충모듈을 연결시키되, 보일러와 연결되기 위해 선택된 해당 배관을 연결시키는 모듈연결부, 및 상기 모듈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복수의 완충모듈의 상측에 적층되는 내장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모듈은, 내부에 복수의 제1배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제1완충모듈, 및 내부에 복수의 제1수평배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개방방향이 상기 각 제1수평배관의 개방방향과 직교되되, 각 제1수평배관의 타단부와 연통되는 제2수평배관을 갖는 제2완충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모듈은, 상하방향으로 교번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체, 상기 제1탄성체의 상측부를 덮도록 발포되는 제1상부발포층, 상기 제1탄성체의 하측부를 덮도록 발포되는 제1하부발포층, 및 상기 제1상부발포층과 제1하부발포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복수 개 위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1배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제1배관은, 상기 제1탄성체의 골부분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1배관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제1완충모듈의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내부 중공이 외측방향으로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2완충모듈은, 상하방향으로 교번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탄성체, 상기 제2탄성체의 상측부를 덮도록 발포되는 제2상부발포층, 상기 제2탄성체의 하측부를 덮도록 발포되는 제2하부발포층, 상기 제2상부발포층과 제2하부발포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복수 개 위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각 일단부는 외측으로 개방되고, 각 타단부는 해당 발포층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수평배관, 일단부와 타단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되, 상기 제1수평배관의 개방방향과 직교되며, 각 제1수평배관의 타단부와 해당 위치에서 연통되는 제2수평배관, 및 상기 제1수평배관과 제2수평배관이 연통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제2밸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제1수평배관은 상기 제2탄성체의 골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제2수평배관은 상기 제2탄성체의 산부분과 골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되, 제2수평배관이 가로지르는 상기 제2탄성체의 산부분은 다른 산부분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제2밸브는, 해당 제1수평배관을 제2수평배관의 어느 한 단부와 연통시키거나 해당 제1수평배관을 기준으로 제2수평배관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탄성을 갖고, 적층된 상기 복수의 완충모듈과 방수층부, 내장층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벽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연결시키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벽체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열된 완충모듈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방수층부과 내장층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벽체연결부는, 상기 완충모듈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상기 벽체에 형성되는 연결공간부, 및 탄성을 갖고, 상기 벽체와 적층된 완충모듈과 방수층부, 내장층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공간부에 구비되는 연결탄성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공간부는, 내측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내측 하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탄성체는, 상기 연결공간부의 내측 하면을 포함한 하단부에 충진되되, 중간 내측단부에 끼움공간부의 하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부탄성체, 상기 연결공간부의 내측 상면을 포함한 상단부에 충진되되, 중간 내측단부에 끼움공간부의 상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상부탄성체, 및 내측단부에 상기 완충모듈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을 갖고, 외측단부가 상기 끼움공간부에 끼워져 상기 하부탄성체와 상부탄성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중간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탄성체를 상기 연결공간부의 하단부에 설치한 후, 상기 상부탄성체를 상기 연결공간부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상기 하부탄성체의 상측에 위치시킴에 따라, 상기 끼움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공에 상기 완충모듈의 가장자리 부분을 끼운상태에서 상기 중간탄성체를 상기 끼움공간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일정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모듈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2차 완화시키도록 완충모듈과 상기 방수층부 사이에 복수 개 배열되는 보조완충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완충모듈은, 상하방향으로 교번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조탄성체, 상기 보조탄성체의 상측부를 덮도록 발포되는 보조상부발포층, 및 상기 보조탄성체의 하측부를 덮도록 발포되는 보조하부발포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탄성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은, 상기 완충모듈의 탄성체의 하측으로 돌출된 산부분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에 의하면, 주거상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벽체와 슬래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어 층간소음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완충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완충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에 벽체연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에 보조완충모듈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완충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완충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에 벽체연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에 보조완충모듈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는 방수층부(100)와 완충모듈(200), 모듈연결부(300) 및 내장층부(400)를 포함한다.
방수층부(100)는 벽체(1)와 일체로 형성되는 슬래브(2)의 상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완충모듈(200)은 일정 사이즈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배관을 갖고,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방수층부(100)의 상측으로 적층되되, 방수층부(100)의 상면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된다.
이 완충모듈(200)은 공장에서 제조되어 현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일정 사이즈별로 미리 제조된 후, 작업자가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듈연결부(300)는 배열된 완충모듈(200)을 연결시키되, 보일러와 연결되기 위해 선택된 해당 배관을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내장층부(400)는 모듈연결부(300)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완충모듈(200)의 상측에 적층된다.
이러한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에 의하면, 내장층부(40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은 완충모듈(200)에 의해 분산되어 완화됨에 따라, 벽체(1)와 슬래브(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시킴에 따라, 층간소음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장층부(400)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일정수준 충격을 자체 흡수 내지 분산이 가능하도록, 스티렌 함량이 15%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60∼70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20%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30∼40중량부로 조성된 SBR계 라텍스 40중량% 및 희석제 60중량%로 이루어진 라텍스혼합액 70중량%와 물 30중량%로 이루어진 제1성분 1중량부에, 포틀랜드 시멘트 20~50중량%, 모래 10~20 중량%, 코코피트 20~50중량%, 시멘트혼화재[혼화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고로슬래그 20~40중량%, 바텀애쉬 30~60중량%, 산성백토 10~20중량%, 산화칼슘 1~10 중량%, 2-데실옥시벤조익애씨드데실에스터 0.1~0.2중량%, 1,3-비스-헥실옥시벤젠 0.1~0.2중량%, 칼슘실리케이트 0.1~0.2중량%, 메틸셀룰로즈 0.1~0.2중량%,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0.1~0.2중량%로 조성] 1~10중량%, 휘석 0.5~2.0 중량%, 흑운모 1.0~2.0 중량%, 카올리나이트 0.1~0.5 중량%, 벤토나이트 0.1~0.2중량%, 헥토라이트 0.1~0.2중량%, 및 베이델라이트 0.1~0.2중량%로 조성된 제2성분 5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6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조성의 내장층부를 사용한 경우, 종래 일반적인 조성의 내장층부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할 때, 소음측정기로 측정할 경우 대략 15db 수준의 층간소음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를 위한, 완충모듈(2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완충모듈(210)과 제2완충모듈(220)을 포함한다.
제1완충모듈(210)은 내부에 복수의 제1배관(214)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제2완충모듈(220)은 내부에 복수의 제1수평배관(224)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개방방향이 각 제1수평배관(224)의 개방방향과 직교되되, 각 제1수평배관(224)의 타단부와 연통되는 제2수평배관(225)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완충모듈(21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탄성체(211)와 제1상부발포층(212), 제1하부발포층(213) 및 제1배관(214)을 포함한다.
제1탄성체(211)는 상하방향으로 교번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상부발포층(212)은 제1탄성체(211)의 상측부를 덮도록 발포된다.
제1하부발포층(213)은 제1탄성체(211)의 하측부를 덮도록 발포된다.
또한 제1배관(214)은 제1상부발포층(212)과 제1하부발포층(21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복수 개 위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 제1배관(214)은 제1탄성체(211)의 골부분에 위치된다.
이 골부분은 제1탄성체(211)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을 말하며, 산부분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각 제1배관(214)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제1완충모듈(210)의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내부 중공이 외측방향으로 개방된다.
또한 제2완충모듈(22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탄성체(221)와 제2상부발포층(222), 제2하부발포층(223), 제1수평배관(224), 제2수평배관(225) 및 제2밸브(226)를 포함한다.
제2탄성체(221)는 상하방향으로 교번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상부발포층(222)은 제2탄성체(221)의 상측부를 덮도록 발포된다.
제2하부발포층(223)은 제2탄성체(221)의 하측부를 덮도록 발포된다.
또한 제1수평배관(224)은 제2상부발포층(222)과 제2하부발포층(22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복수 개 위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각 일단부는 외측으로 개방되고, 각 타단부는 해당 발포층(222, 223)의 내부에 위치된다.
제2수평배관(225)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되, 제1수평배관(224)의 개방방향과 직교되며, 각 제1수평배관(224)의 타단부와 해당 위치에서 연통된다.
그리고 제2밸브(226)는 복수 개로, 제1수평배관(224)과 제2수평배관(225)이 연통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된다.
이 각 제2밸브(226)는 해당 제1수평배관(224)을 제2수평배관(225)의 어느 한 단부와 연통시키거나 해당 제1수평배관(224)을 기준으로 제2수평배관(225)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통시킨다.
각 제1수평배관(224)은 제2탄성체(221)의 골부분에 위치되고, 제2수평배관(225)은 제2탄성체(221)의 산부분과 골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되, 제2수평배관(225)이 가로지르는 제2탄성체(221)의 산부분은 다른 산부분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 골부분은 제2탄성체(221)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을 말하며, 산부분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는 벽체연결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 벽체연결부(500)는 탄성을 갖고, 적층된 복수의 완충모듈(200)과 방수층부(100), 내장층부(400)의 가장자리와 벽체(1)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연결시키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배열된 완충모듈(200)의 가장자리 부분은 방수층부(100)과 내장층부(400)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벽체연결부(500)는 연결공간부(510)와 연결탄성체(520)를 포함한다.
연결공간부(510)는 완충모듈(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벽체(1)에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탄성체(520)는 탄성을 갖고, 벽체(1)와 적층된 완충모듈(200)과 방수층부(100), 내장층부(400)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공간부(510)에 구비된다.
연결공간부(510)는 내측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내측 하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연결탄성체(520)는 하부탄성체(522)와 상부탄성체(524) 및 중간탄성체(526)를 포함한다.
하부탄성체(522)는 연결공간부(510)의 내측 하면을 포함한 하단부에 충진되되, 중간 내측단부에 끼움공간부(528)의 하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탄성체(524)는 연결공간부(510)의 내측 상면을 포함한 상단부에 충진되되, 중간 내측단부에 끼움공간부(528)의 상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중간탄성체(526)는 내측단부에 완충모듈(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527)을 갖고, 외측단부가 끼움공간부(528)에 끼워져 하부탄성체(522)와 상부탄성체(524)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탄성체(520)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하부탄성체(522)를 연결공간부(510)의 하단부에 설치한 후, 상부탄성체(524)를 연결공간부(510)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하부탄성체(522)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에, 하부탄성체(522)와 상부탄성체(524)의 중간 내측단부에 끼움공간부(528)가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공(527)에 완충모듈(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끼운상태에서 중간탄성체(526)를 끼움공간부(528)에 설치한다.
물론, 중간탄성체(526)를 끼움공간부(528)에 먼저설치 후, 끼움공(527)에 완충모듈(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끼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는 보조완충모듈(600)를 더 포함한다.
이 보조완충모듈(600)은 일정 사이즈로 형성되며, 완충모듈(200)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2차 완화시키도록 완충모듈(200)과 방수층부(100) 사이에 복수 개 배열된다.
이러한 보조완충모듈(600)은 보조탄성체(610)와 보조상부발포층(620) 및 보조하부발포층(630)을 포함한다.
보조탄성체(610)는 상하방향으로 교번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상부발포층(620)은 보조탄성체(610)의 상측부를 덮도록 발포된다.
보조하부발포층(630)은 보조탄성체(610)의 하측부를 덮도록 발포된다.
여기서, 보조완충모듈(600)은 해당 완충모듈(200)의 하측에 구비되거나 인접한 두 개 이상의 완충모듈(200)의 연결된 부위 하측에 위치되어 2차 완충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탄성체(6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은 완충모듈(200)의 탄성체(210)의 하측으로 돌출된 산부분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완충모듈(200)로 전달된 충격은 탄성체(210)의 변형과 각 발포층(220, 230)을 통해 1차 완화되어 보조완충모듈(600)로 전달되어 보조탄성체(610)의 변형과 각 발포층(620, 630)을 통해 2차 완화된다.
여기서, 완충모듈(200)로 전달된 충격은 탄성체(210)의 하측으로 돌출된 산부분을 통해 보조완충모듈(600)로 전달되며, 이 1차 완화된 충격은 보조탄성체(6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을 통해 전달된다.
이때, 보조탄성체(610)는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으로 전달된 1차 완화된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2차 완화되어 층간소음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조완충모듈(600)이 더 설치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벽체연결부(500)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벽체연결부(500)에 의해 완충모듈(200)과 보조완충모듈(6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또한 보조완충모듈(600)은 한 개 층 이상 구비될 수도 있고, 완충모듈(200)의 상측으로 적층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1 : 벽체 2 : 슬래브
100 : 방수층부 200 : 완충모듈
210 : 제1완충모듈 220 : 제2완충모듈
300 : 모듈연결부 400 : 내장층부
500 : 벽체연결부 510 : 연결공간부
520 : 연결탄성체 600 : 보조완충모듈

Claims (7)

  1.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슬래브의 상측에 형성되는 방수층부;
    일정 사이즈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배관을 갖고,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방수층부의 상측으로 적층되되, 방수층부의 상면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완충모듈;
    상기 배열된 완충모듈을 연결시키되, 보일러와 연결되기 위해 선택된 해당 배관을 연결시키는 모듈연결부; 및
    상기 모듈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복수의 완충모듈의 상측에 적층되는 내장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층부는,
    스티렌 함량이 15%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60∼70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20%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30∼40중량부로 조성된 SBR계 라텍스 40중량% 및 희석제 60중량%로 이루어진 라텍스혼합액 70중량%와 물 30중량%로 이루어진 제1성분 1중량부에, 포틀랜드 시멘트 20~50중량%, 모래 10~20 중량%, 코코피트 20~50중량%, 시멘트혼화재[혼화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고로슬래그 20~40중량%, 바텀애쉬 30~60중량%, 산성백토 10~20중량%, 산화칼슘 1~10 중량%, 2-데실옥시벤조익애씨드데실에스터 0.1~0.2중량%, 1,3-비스-헥실옥시벤젠 0.1~0.2중량%, 칼슘실리케이트 0.1~0.2중량%, 메틸셀룰로즈 0.1~0.2중량%,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0.1~0.2중량%로 조성] 1~10중량%, 휘석 0.5~2.0 중량%, 흑운모 1.0~2.0 중량%, 카올리나이트 0.1~0.5 중량%, 벤토나이트 0.1~0.2중량%, 헥토라이트 0.1~0.2중량%, 및 베이델라이트 0.1~0.2중량%로 조성된 제2성분 5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6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모듈은,
    내부에 복수의 제1배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제1완충모듈; 및
    내부에 복수의 제1수평배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개방방향이 상기 각 제1수평배관의 개방방향과 직교되되, 각 제1수평배관의 타단부와 연통되는 제2수평배관을 갖는 제2완충모듈;을 포함하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모듈은,
    상하방향으로 교번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체;
    상기 제1탄성체의 상측부를 덮도록 발포되는 제1상부발포층;
    상기 제1탄성체의 하측부를 덮도록 발포되는 제1하부발포층; 및
    상기 제1상부발포층과 제1하부발포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복수 개 위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1배관;을 포함하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16676A 2018-09-30 2018-09-30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KR10201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76A KR102011222B1 (ko) 2018-09-30 2018-09-30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76A KR102011222B1 (ko) 2018-09-30 2018-09-30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158A Division KR102107336B1 (ko) 2019-08-05 2019-08-05 내장층부를 갖고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222B1 true KR102011222B1 (ko) 2019-08-14

Family

ID=6762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676A KR102011222B1 (ko) 2018-09-30 2018-09-30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382A (en) * 2020-02-25 2021-09-01 British Harlequin Plc Performance floor assembly an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7961A (ja) * 2006-06-27 2008-01-17 Bridgestone Corp 緩衝材及び床仕上材
KR20100089157A (ko) * 2009-02-03 2010-08-12 민병창 온돌 시공구조
KR20110110688A (ko) * 2010-04-01 2011-10-07 조창제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온돌패널 및 그 조립체
KR101639555B1 (ko) * 2016-02-24 2016-07-22 이방열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패드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7961A (ja) * 2006-06-27 2008-01-17 Bridgestone Corp 緩衝材及び床仕上材
KR20100089157A (ko) * 2009-02-03 2010-08-12 민병창 온돌 시공구조
KR20110110688A (ko) * 2010-04-01 2011-10-07 조창제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온돌패널 및 그 조립체
KR101639555B1 (ko) * 2016-02-24 2016-07-22 이방열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패드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382A (en) * 2020-02-25 2021-09-01 British Harlequin Plc Performance floor assembly and system
GB2592382B (en) * 2020-02-25 2022-04-13 British Harlequin Plc Performance floor assembly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2011222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KR100788746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KR101903938B1 (ko) 3중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체
KR101528779B1 (ko) 다기능 층간소음 저감장치
KR102011223B1 (ko) 걸레받이구조물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방지장치
KR102011221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벽체연결구조
KR200378667Y1 (ko) 공동주택의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바닥구조
CN202227514U (zh) 高隔声墙体
KR102107336B1 (ko) 내장층부를 갖고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용 바닥완충구조
KR20140101523A (ko)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102011224B1 (ko) 해충방지부를 갖는 걸레받이구조물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방지장치
KR200390291Y1 (ko) 방진고무 마운트가 부착된 방진패드를 이용한 중량충격음저감 바닥구조
KR101395608B1 (ko) 플라이애쉬 층을 포함하는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2107099B1 (ko) 해충 이탈방지부를 갖는 걸레받이구조물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방지장치
KR100810502B1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102409190B1 (ko)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
KR101732536B1 (ko) 공동주택의 증축 시공 방법
KR100758599B1 (ko) 건축바닥 층간 소음차단 시설구조
KR102642937B1 (ko) 트레이형 층간 소음 저감 구조
KR101838656B1 (ko) 구조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소음과 비내력벽 이음부를 통한 공기전달음을 저감시키는 벽체의 시공방법
CN203795676U (zh) 二氧化硅纳米保温毡楼地面木地板面保温结构
KR200315831Y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차단 구조
CN103526867A (zh) 二氧化硅纳米保温毡楼地面木地板面保温结构及施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