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121B1 -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 - Google Patents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121B1
KR102011121B1 KR1020180016430A KR20180016430A KR102011121B1 KR 102011121 B1 KR102011121 B1 KR 102011121B1 KR 1020180016430 A KR1020180016430 A KR 1020180016430A KR 20180016430 A KR20180016430 A KR 20180016430A KR 102011121 B1 KR102011121 B1 KR 10201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bile generator
generator
fue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애영
Original Assignee
(주)디오코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오코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디오코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8001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02B77/084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indicating econom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의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에 따르면 발전기 내부에 구비된 연료 탱크의 연료 변동량을 원격지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발전기 관리자가 해당 발전기의 연료의 잔여량 및 연료의 소모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Portable Generator having Remaining Fuel Amount Confirmation Means}
본 발명은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기 내부에 구비된 연료 탱크의 연료 변동량을 원격지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발전기 관리자가 해당 발전기의 연료의 잔여량 및 연료의 소모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발전기는 엔진 및 발전모듈을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 내에 수납하여, 이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이동 핸들을 잡고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 핸들을 잡고 발전기를 들어 올리면, 케이스 저부에 중량물인 엔진 및 발전모듈의 중량이 가해지기 때문에, 케이스에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하여 변형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케이스 그 자체의 강성을 높이도록 하면, 케이스 중량이 증가하여 이동식 발전기 전체가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형상이나 재질의 설계 자유도도 제한된다.
그래서 전/후 한 쌍의 루프 형상의 틀체의 상부간 및 하부간을 각각 이동 핸들 및 저카버로서 연결하여 견고한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프레임에 엔진 및 발전모듈을 지지함으로써 프레임을 덮는 커버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식 발전기는 전력은 필요하지만, 전력 공급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전력 사용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 생산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캠핑장 등에서 선풍기, 히터 등과 같은 각종 전력 사용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 생산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건설 현장에서 작업등, 용접기 등과 같은 각종 전력 사용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 생산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에서 조명등, 히터, 냉/온풍기 등과 같은 각종 전력 사용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 생산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이동식 발전기는 통상적으로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소모량, 즉 소모유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탱크에 설치되는 유량계 혹은 유량센서를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동식 발전기의 연료탱크에 유량계나 유량센서를 설치하여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 및 잔여량을 확인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이동식 발전기에 구비된 표시창을 육안으로 확인하여야만 하므로, 이동식 발전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는 이동식 발전기 연료의 잔여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 연료의 부족으로 인한 전력 사용기기의 사용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8-16851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전기 내부에 구비된 연료 탱크의 연료 변동량을 원격지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발전기 관리자가 해당 발전기의 연료의 잔여량 및 연료의 소모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는 엔진 및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모듈이 일체화되어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하부의 언더커버와, 상기 언더커버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하단이 언더커버에 결합되어서 좌우의 사이드 커버의 내면에 따라서 상방으로 뻗고, 상단이 상호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보강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내측에 연료탱크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프레임에 연료펌프 및 연료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좌우 한 쌍의 보강프레임의 상단이 결합부를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한 이동핸들을 함께 체결하고, 좌우 한 쌍의 보강프레임 사이에 연료탱크를 구비하여,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단위 소모 유량당 정격 발전용량을 나타내는 이동식 발전기이며; 상기 이동식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단위 시간당 정격 전력 소모량을 나타내는 전력 사용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수집하여, 전력 사용기기의 작동 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된 작동 시간 대비 해당 전력 사용기기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량 대비 해당 전력 사용기기의 작동을 위해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을 산출하여, 소모 유량에 따른 연료의 잔여량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식 발전기는 상기 발전모듈에 연결된 제어유닛에서 소모 유량에 따른 연료의 잔여량 정보를 산출하는 것으로,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한 특정 시간 간격으로 전력 사용기기의 사용 시간을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한 특정 시간 간격으로 산출한 후, 산출된 사용 시간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한 후, 산출된 소비 전력량 대비 해당 전력 사용기기의 작동을 위해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을 산출하여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한 특정 시간 간격으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이동식 발전기에 연결된 전력 사용기기의 전원스위치 온/오프 상태를 수신하여, 전원스위치가 온 상태로 감지되면 해당 전력 사용기기의 사용 시간을 별도의 저장 장치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에 따르면 발전기 내부에 구비된 연료 탱크의 연료 변동량을 원격지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발전기 관리자가 해당 발전기의 연료의 잔여량 및 연료의 소모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의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5-5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6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7-7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8은 도 3의 8-8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의 9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10은 도 3의 10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11-11선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5의 12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3은 엔진 발전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에서 잔여 연료량 확인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에 구비된 제어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에서 잔여 연료량을 확인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는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E)에서 발전모듈(G)를 구동하여 발전을 행하는 이동식 발전기의 외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케이스(11)는 좌 사이드 커버(12), 우 사이드 커버(13), 프론트 커버(14), 리어커버(15) 및 언더커버(16)로 구성된다.
일체로 결합된 좌 사이드 커버(12) 및 우 사이드 커버(13)의 상부에는 이동식 발전기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17)의 내부에는 보강용 리브(17)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 사이드 커버(12)에는 점화플러그 교환용 리드(121) 및 슬릿형상의 냉각풍 도입구(123)가 형성되며, 우 사이드 커버(12)에는 유지용 리드(131)가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14)에는 조작패널(18)의 뒷부분에 설치되어서 엔진(E) 및 발전모듈(G)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9)과, 제어유닛(19)의 뒷부분에 설치되어서 발전모듈(G)의 출력주파수를 제어하는 인버터 유닛(20)을 설치한다.
리어커버(15)에는 엔진(E)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가스 배출구(151)와 냉각풍을 케이스(11)로부터 배출하는 냉각풍 배출구(152)가 설치된다.
언더커버(16)에는 이동식 발전기를 설치할 때에 지면이나 마루면에 접촉하는 4개의 고무 재질의 지지다리(21)가 설치된다.
프론트 커버(14)에 이동식 발전기의 제어 계통을 구성하는 조작패널(18), 제어유닛(19) 및 인버터유닛(20)을 얽어서 배치하였으므로, 와이어 하네스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커버(14)를 떼어낸 것만으로 제어계통의 유지를 일괄하여 행할 수가 있다.
케이스(11)의 앞부분에는 각각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된 FRP 재질의 보강프레임(26) 및 우 보강프레임(27)이 설치된다.
하단을 볼트(28)를 통하여 언더커버(16)의 좌측면에 고정된 좌 보강프레임(25)은 좌 사이드 커버(12)의 내면에 따라서 상방 및 좌우 방향 내측에 세우고, 그 상단에 위를 향하여 꺾어진 부착부(261)가 형성된다.
또, 하단을 볼트(29)를 통하여 언더커버(16)의 우측면에 고정된 우 보강프레임(27)은 우 사이드 커버(13)의 내면에 따라서 상방 및 좌우 방향 내측에 세우고, 그 상단에 위를 향하여 꺾어진 부착부(271)가 형성된다.
좌 보강프레임(27) 및 우 보강 프레임(27)은 전체로서 문(門)형을 형성하였으며, 중합된 부착부(261, 271)가 손잡이(17)의 앞부분에서 좌 사이드 커버(12) 및 우 사이드 커버(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 사이드 커버(12)측으로부터 삽입한 볼트(30a)를 우 사이드 커버(13)의 매설너트(30b)에 틀어넣어서 함께 체결한다.
좌 사이드 커버(12), 우 사이드 커버(13) 및 프론트 커버(14)의 상면이 합치는 부분에 고무 재질의 씰부재(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인버터 유닛(20)의 상부에 배치된 연료탱크(32)의 급유구(321)가 씰부재(31)의 개구(311)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관통하여 착탈이 자유로운 캡(33)으로서 개폐되도록 한다.
연료탱크(32)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한 돌기(322, 323)가 각각 좌우 보강프레임(26, 27)에 형성한 연료탱크 지지부(262, 272)에 완만하게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연료탱크(32)가 흔들리지 않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인버터 유닛(20)의 상면에 설치된 고무 재질의 하부 방진부재(34)가 연료탱크(32)의 하면에 작은 틈이 존재하여 대향되도록 구비된다.
연료를 공급한 연료탱크(32)가 팽창하고, 또한 중량때문에 밑을 향하여 변형하면, 연료탱크(32)의 하면이 하부 방진부재(34)의 상면에 접촉하여, 그 중량이 인버터 유닛(2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32)가 좌 사이드 커버(13) 및 우 사이드 커버(12)에 좌우로부터 끼워져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의 착탈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좌 사이드 커버(12) 및 우 사이드 커버(13)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연료탱크(32)를 착탈할 수가 있다.
그러나 연료탱크(32)는 좌우 보강프레임(26, 27)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가해진 충격에 대하여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좌우 보강프레임(26, 27)은 이동식 발전기의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량의 대폭 증가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우 보강프레임(27)의 상부 내면에 연료탱크(32) 내의 연료를 엔진(E)에 송급(送給)하는 전동식 연료펌프(35)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 외측면에는 엔진(E)에 송급하는 연료를 차단하는 연료탱크(36)와 엔진 스위치(42)가 설치된다.
연료콕(36)을 개폐하는 조작노즐(361)은 우 사이드 커버(13)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해 있다.
이와 같이 우 보강프레임(27)을 이용하여 연료펌프(35) 및 연료콕(36)을 지지하였으므로, 특별한 지지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점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가 있다.
그럼에도, 연료탱크(32), 연료펌프(35), 연료콕(36) 등의 연료공급 계통이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에서는 없고, 좌우 보강프레임(26, 27)에 얽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연료공급 계통을 유지할 때에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을 간단히 떼어낼 수가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도면 부호 37은 연료탱크(32)에서 연료콕(36)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튜브, 38은 연료콕(36)에서 연료펌프(3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튜브, 39는 연료펌프(35)에서 기화기(41)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튜브, 40은 엔진(E)의 크랭크 케이스 내압의 맥동을 연료펌프(35)내의 타이어 프레임에 전달하여 연료펌프(35)를 구동하기 위한 튜브이다.
엔진(E) 및 발전모듈(G)를 일체화한 발전유닛(46)의 구조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축(47)의 축선을 전후방향으로 배치한 4사이클 단기통의 엔진(E)은 크랭크 케이스(48)와, 실린더 블록(49)과, 실린더 헤드(50)와, 헤드커버(51)를 구비한다.
크랭크 케이스(48)는 크랭크축(47)의 축선에 대하여 45ㅀ 경사진 분할면(481)에서 전후로 2분할된 볼트(52)로서 결합되어 있으며, 그 크랭크 케이스(48)의 앞반부분과, 실린더 블록(49)과, 실린더 헤드(50)가 일체로 성형된다.
헤드커버(51)는 실린더 헤드(50)에 4개의 볼트(53)로서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된다.
크랭크 케이스(48)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크랭크축(47)의 축단에 한쪽을 고정시킨 형상으로 설치된 아우터 로터형의 발전모듈(G)은 크랭크 케이스(48)의 전면에 고정된 코일(54)로 된 스타터와, 크랭크축(48)에 고정된 플라이 휠(55)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54)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영구자석(56)으로된 로터로 구성된다.
플라이 휠(55)의 전면에는 냉각팬(57)이 동축에 고정된다.
엔진(E)의 실린더 헤드(50)의 우측면에 상기 기화기(41)가 배치되고, 또, 그 전방에는 흡기관(58)을 개재하여 에어크리너(59)가 접속된다.
또, 엔진(E)의 실린더 헤드(50)의 좌측면에서 후방으로 뻗은 배기관(60)의 후단에 접속된 상자형 마후라(61)가 3개의 볼트(62, 62, 63)로서 엔진(E)의 후면에 고정된다.
마후라(61)의 뒷면에 형성한 배기구(611 )가 리어커버(15)의 배기가스 배출구(151 )에 접촉하고 있다.
엔진(E)의 주위를 덮는 합성수지 재질의 슈라이드(shroud)는 좌 슈라우드 반체(67) 및 우 슈라우드 반체(68)로 2분할되어 있으며, 좌 슈라우드 반체(67)는 2개의 볼트(69, 69)로서 엔진(E)의 크랭크 케이스(48) 및 실린더 블록(49)의 좌측면에 체결되고, 우 슈라우드 반체(68)는 2개의 볼트(70, 70)로서 엔진(E)의 크랭크 케이스(48) 및 실린더 블록(49)의 우측면에 체결된다.
슈라우드(66)는 앞면 및 뒷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뒷면의 개구는 마후라(61)의 외주에 틈이 있어 감합함과 동시에 앞면의 개구를 덮도록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팬커버(71)가 감합한다.
발전모듈(G) 및 냉각팬(57)을 덮은 팬커버(71)는 그 상부가 볼트(72)로서 엔진(E)의 실린더 헤드(50)에 체결되고, 그 하부가 2개의 볼트(73, 73)로서 엔진(E)의 크랭크 케이스(48)에 체결된다.
팬커버(71)의 중앙의 개구부에 3개의 볼트(74)로서 코일스타터(75)는 리코일 스타터 커버(76)에 회전이 자유스럽게 지지된 릴(reel)(77)과, 일단측이 릴(77)에 감겨붙여서 타단측이 우 보강프레임(27) 및 우 커버(13)를 관통하는 케이블(78)과, 케이블(78)의 타단에 설치된 조작노브(79)와, 릴(77)에 설치되어서 냉각팬(57)과 일체의 피동부재(571)에 맞물림과 이탈이 가능한 구동부재(80)를 구비한다.
리코일 스타터 커버(76)에는 냉각풍 도입구(761)가 형성되고, 리코일 스타터 커버(76)의 하단과 슈라우드(66)의 앞 하부와의 사이에도 냉각풍 도입구(64)가 형성된다.
조작노즐(79)에서 케이블(78)을 당겨서 릴(77)을 회전시키면, 캠기구(미도시)에서 작동한 구동부재(80)가 피동부재(571)에 맞물리어서 냉각팬(57)을 회전시키고, 냉각팬(57)에 플라이 휠(55)을 개재하여 접속된 크랭크축(47)을 크랭킹하여 엔진(E)을 시동할 수가 있다.
조작노브(79)를 놓으면 구동부재(80)가 피동부재(571)에서 이탈하고, 릴(77)은 케이블(78)을 감어 빼면서 복귀스프링(미도시)으로서 역회전하여 원위치에 복귀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 슈라우드 반체(671), 우 슈라우드 반체(68) 및 팬커버(71)에 따라서 포위하도록 장방형의 개구(8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811)를 통하여 엔진(E)의 헤드커버(52)가 슈라우드(66)의 외부에 돌출된다.
헤드커버(51)의 앞부분에는 앞하방으로 경사지게 뻗은 바람유도판(5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바람유도판(511)과 실린더 헤드(50)의 앞부분 상면에 형성한 노치(501)와의 사이에 바람유도로(82)를 구성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유도판(511)의 중앙부에 형성한 점화플러그 착탈구멍(512)에, 점화플러그(83)를 실린더 헤드(50)에 착탈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84)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부재(84)의 상단개구는 착탈이 자유로운 캡(841)에 의하여 개폐된다.
더구나, 점화플러그(83)에 접근한 팬커버(71)의 상단에 점화 코일(65)이 설치된다.
가이드부재(84)는 좌 사이드 커버(12)의 점화플러그 교환용 리드(121)에 향하여 있기 때문에, 그 점화플러그 교환용 리드(121)를 열어서 캡(841)을 떼어낸 것만으로, 점화플러그 착탈구멍(512)을 개재하여 점화플러그(83)의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좌 사이드 커버(12) 및 우 사이드 커버(13)를 떼어내면 좌 슈라우드 반체(67) 및 우 슈라우드 반체(68)를 떼어내지 않고 슈라우드(66)에서 노출하는 헤드커버(51)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이 헤드커버(51)에 덮어진 동적밸브 기구의 유지는 예컨대, 태핏 틈새(tappet clearance)의 조정 등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도 7,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의 헤드커버(51)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뻗은 판형상의 지지부(513)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이 지지부(513)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지지구멍(514)에 좌우 한 쌍의 고무부시(85, 85)가 감합되어 있으며, 그것들의 내부에 칼라(86)가 통하게 끼워진다.
손잡이(17)의 뒷부분에 있어서 좌 사이드 커버(12)측에서 삽입된 볼트(87a)가 우 사이드 커버(13)에 설치된 매설너트(87b)에 체결되어 있으며, 이 볼트(87a)의 근방의 좌 사이드 커버(12) 및 우 사이드 커버(13)의 내면에 각각 보스(122, 132 )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좌우 고무부시(85, 85)의 양단에 와셔(88, 88)를 배치한 상태에서 이것들 와셔(88, 88) 및 상기 칼라(86)를 관통하는 연결핀(89)의 양단이 좌 사이드 커버(12) 및 우 사이드 커버(13)의 보스(122, 132)에 감합한다.
도 6, 도 7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E)의 크랭크 케이스(48)의 뒷하부에 2개의 볼트(90, 90)로서 부착브래킷(91)이 고정된다.
부착브래킷(91)은 슈라우드(66)의 뒷하부의 개구(812 )로부터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거기에 좌우 한 쌍의 고무부시(92, 92)가 감합된다.
케이스(11)의 언더커버(16)의 뒷부분 상면에 좌우 한 쌍의 부착 리브(161, 161)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들 한 쌍의 부착 리브(161, 161) 사이를 가교하는 칼라(93)의 중앙부 외주에 상기 고무부시(92, 92)가 좌우 한 쌍의 와셔(95, 95)를 개재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우 사이드 커버(13)의 보스(133)에서 삽입되어 칼라(93)를 관통하는 볼트(94a)를 좌 사이드 커버(12)의 보스(123)에 설치된 매설너트(94b)에 체결함으로써, 슈라우드(66)에서 노출하는 엔진(E) 뒷하부가 고무부시(92, 92)를 개재하여 언더커버(16)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커버(71)의 뒷부분에 부착브래킷(7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브래킷(711)이 언더커버(16)의 앞부분 상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부착리브(162, 162)에 볼트(94a)를 개재하여 탄성 지지된다.
이 부착브래킷(711)의 지지구조는 도 5에서 설명한 부착 브래킷(91)의 지지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발전유닛(46)은 상측의 헤드커버(51)가 고무부시(85, 85)를 개재하여, 손잡이(17)에 탄성 지지되고, 뒷부분 하측의 크랭크 케이스(48)가 고무부시(92, 92)를 개재하여, 언더커버(16)에 탄성 지지되고, 앞부분 하측의 팬커버(71)가 고무부시(92, 92)를 개재하여 언더커버(16)에 탄성 지지되므로, 발전유닛(46)의 중량을 케이스(11)의 각부분에 분산하여, 이 케이스(11)의 일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럼에도, 고무부시(85, 85, 92)의 진동흡수 작용에 의하여 엔진(E)의 진동이 손잡이(17)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E)의 진동으로 케이스(11)가 공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이동식 발전기를 운반하여야 할 손잡이(17)를 들어 올릴 때 엔진(E) 및 발전모듈(G)를 포함하는 발전유닛(46)의 중량의 대부분은, 헤드커버(51)의 지지부(513)에서 고무부시(85, 85), 연결핀(89) 및 보스(122, 132)를 견고하게 케이스(11)의 손잡이(17)에 지지된다.
즉, 발전유닛(46)은 손잡이(17)에 직접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되어, 케이스(11) 자체에서 발전유닛(46)의 중량을 지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손잡이(17)의 하방으로 늘어선 케이스(11)의 두께를 감소시켜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11)의 형상이나 재질의 설계 자유도가 대폭 증가한다.
그럼에도, 슈라우드(66)의 상면의 개구(811)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헤드커버(51)를 손잡이(17)에 지지하였으므로, 헤드커버(51)를 슈라우드(66)로 완전히 덥고, 그 슈라우드(66)의 상단을 손잡이(17)에 지지할 경우에 비해서, 이동식 발전기의 모든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그런데, 손잡이(17)을 들어 올릴 때, 발전유닛(46)의 중량의 대부분은 엔진(E)의 헤드커버(51)를 개재하여 손잡이(17)의 뒷부분에 가해지기 때문에 손잡이(17) 및 그 근방의 케이스(11)에 구부림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발전유닛(46)의 하부에, 결국 팬커버(71)의 하부 및 크랭크 케이스(48)의 하부를 지지하는 언더커버(16)의 앞부분이 고강성의 좌 보강프레임(26) 및 우 보강프레임(27)을 개재하여 손잡이(17)의 앞부분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 사이드 커버(12) 및 우 사이드 커버(13)에 하중을 부담시킴이 없이 손잡이(17)의 전후에 하중을 분산시키고, 손잡이(17) 및 근방의 케이스(11)에 가해진 구부림 하중을 경감할 수가 있다.
또,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팬커버(71)를 크랭크 케이스(48) 및 실린더 헤드(50)에 체결하여 블록화하고, 그 외주를 덮은 슈라우드(66)에서 돌출하는 크랭크 케이스(48)의 부착브래킷(91) 및 팬커버(71)의 부착브래킷(711)을, 각각 고무부시(92, 92)를 개재하여 언더커버(16)의 부착리브(161, 162)에 지지하였으므로, 엔진헤드와 같은 특별의 지지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발전유닛(46)을 언더커버(16)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또, 이동식 발전기를 지도 또는 마루면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발전유닛(46)의 중량의 대부분은 지지다리(21)를 구비한 언더커버(16)에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좌 사이드 커버(12) 및 우 사이드 커버(13)의 강성을 낮게 설정하여도 하중에 의한 변형은 발생할 수가 없다.
또한, 이동식 발전기를 지면 또는 마루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4개의 볼트(30a, 87a, 94a, 94a)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좌 사이드 커버(12) 및 우 사이드 커버(13)를 언더커버(16)에서 분리할 수가 있으므로 이동식 발전기를 옆으로 쓰러뜨리지 않게 하여, 엔진(E)이나 발전모듈(G)을 노출시켜서 용이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고무부시(85, 92)는 방진부재에 대응한다.
이어서, 이동식 발전기의 냉각에 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E)을 운전하여 발전모듈(G)를 구동하면, 발전모듈(G)의 플라이 휠(55)에 설치한 냉각팬(57)이 슈라우드(66)내에서 회전한다.
냉각팬(57)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부압으로 외부의 공기가 프론트 커버(14)의 냉각풍 도입개구(141)를 통과하여 케이스(11)의 내부에 냉각풍으로서 도입시킨다.
더욱이 미설명 부호 143은 냉각풍 도입개구(142)에서 도입된 냉각풍의 가이드이다.
냉각풍은 리코일 스타터 커버(76)에 형성한 냉각풍 도입구(761)와, 리코일 스타터 커버(76)의 하방에 형성한 냉각풍 도입구(64)를 통과하여 팬커버(71) 및 슈라우드(66)의 내부에 도입되고, 거기에 수납된 발전모듈(G), 엔진(E) 및 마후라(61)를 냉각한 후에, 슈라우드(66) 및 마후라(61)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리어커버(15)에 형성한 냉각풍 배출구(152)로부터 케이스(11)의 외부에 배출된다.
플라이 휠(55) 및 냉각팬(57)에는 개구(9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96)를 통과하여 발전모듈(G)내의 가열된 공기가 슈라우드(71)안으로 빨아낸다.
슈라우드(66)의 내부를 냉각풍이 흐를 때, 엔진(E)의 헤드커버(51)에 일체로 형성한 바람유도판(511)이 팬커버(711), 좌 슈라우드 반체(67) 및 우 슈라우드 반체(68)와 협동하여 도풍로(82)를 구성하였으므로, 슈라우드(66)내의 냉각풍의 흐름을 부드럽게 하여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구나, 엔진(E)에 연결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재질의 팬커버(71)의 내부를 냉각풍이 직접 흐르므로, 팬커버(71)가 히트 싱크의 기능을 발휘하여 엔진(E)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냉각풍이 케이스(11)의 내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략 직선상으로 흐르는 사이에 발열체인 발전기(G), 엔진(E) 및 마후라(61)를 냉각하므로, 냉각풍의 유통 저항을 억제하여 냉각 저항을 향상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팬(57)의 개수를 1개로 억제하여 부품 비용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또, 엔진(E)이나 냉각팬(57)이 발하는 소음은, 그것들을 2중으로 덮은 슈라우드(66) 및 케이스(11)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저감되고, 이동식 발전기의 조용한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발전기가 구비되면, 하나 이상의 전력사용기기를 이동식 발전기에 연결하여, 이동식 발전기로부터 발전되는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전력사용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발전기(10)는 도 5에 발전모듈(G)에 연결된 제어유닛(19)을 통하여 연료탱크(32)로부터 공급되는 단위 소모 유량당 정격 발전용량(Kw/ℓ 혹은 W/ℓ)을 나타내고, 하나 이상의 전력사용기기는 이동식 발전기의 전력을 공급받아 단위 시간(h)당 정격 전력소비량(Kw 혹은 W)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전력사용기기에 구비된 작동스위치를 온 위치로 변경하여 구동한다.
상기 전력사용기기는 어선에서 사용되는 집어등이나 히터, 혹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등이나 용접기, 혹은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에서 사용되는 조명등이나 히터, 냉온풍기, 캠핑장에서 사용되는 선풍기, 온풍기, 히터, 전열기기 등과 같이 이동식 발전기가 설치, 사용되는 장소에서 상기 이동식 발전기의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력사용기기이다.
상기 제어유닛(19)은 전력사용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수집하여, 전력사용기기의 작동 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된 작동 시간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량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을 위해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을 산출하여, 소모 유량에 따른 연료의 잔여량 정보를 RFID, Zigbee, CDMA, TDMA, 무선랜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제어유닛(19)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통신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70), 전력사용기기에 구비된 작동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감지부(120), 전력사용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수집하는 전력소모량 수집부(130), 이동식 발전기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50), GPS 수신기 및 자이로 센서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으로 이동식 발전기의 수평 상태 및 설치된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160), 발전모듈(G)을 구동시키는 발전모듈 구동부(110), 이동식 발전기의 각종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80), 무선통신을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140), 이동식 발전기의 각종 제어를 수행하며, 수집된 전력사용기기의 정격 전력소비량과 산출된 전력사용기기의 작동 시간을 이용하여, 산출된 작동 시간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량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을 위해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을 산출하여, 소모 유량에 따른 연료의 잔여량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메뉴 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마이콤(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콤에는 이동식 발전기를 제어하고, 이동식 발전기의 주요 구성 부분을 체크하여 운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이 알고리즘에 따라 이동식 발전기(20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로 프로세서 등이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로는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Ferro-electric 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위치감지부(120)에서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물리적인 감지방식, 전기의 사용 유무 판단방식, 자기장 측정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물리적인 감지방식은 스위치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스위치 안에 삽입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전기의 사용 유무 판단방식은 전압, 전류, 저항 3개의 인자에 대하여 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스위치가 동작하였는지 여부를 알아내는 방식으로, 'V=IR' 공식에 의하여 전압, 전류, 저항 어느 한가지 이상만 감지하면 측정 가능한 방식이며, 보통 전류(I)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측정 방식은 도선에 전기가 흐르게 되면 도선 주위에 미세한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센서를 통하여 자기장의 형성 여부를 가지고 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상기 제어유닛(190)의 제어부(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감지부(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스위치의 온/오프 상태가 수신되면,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정격 전력소비량(Kw 혹은 W) 및 수량과, 전력사용기기의 사용 시간을 근거로 상기 산출된 사용 시간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소비전력량을 산출한 다음, 상기 이동식 발전기의 정격 발전용량(Kw/ℓ 혹은 W/ℓ)을 근거로 상기 산출된 소비전력량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을 위해 소모된 상기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을 산출하여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동식 발전기에 채워져 전력사용기기가 작동되지 않았을 때의 유량과, 전력사용기기가 작동을 위해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을 통하여, 그 차이로 인한 이동식 발전기에 남아있는 잔여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유닛(19)은 하나 이상의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을 위하여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과 이들의 총합으로 구한 이동식 발전기의 전체 소모 유량이 산출되어 저장되고 나면, 저장된 소모 유량 정보 및 잔여량 정보, 이동식 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이동식 발전기의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의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300)에는 제어유닛(19)의 전력소모량수집부(130)를 통하여 수집된 전력소모량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되도록 하는 전력소모량수집부(310), 제어유닛(19)의 제어부(100)로부터 산출되어 전달되는 잔여량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잔여량 표시부(320), 제어유닛(19)의 온도감지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온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온도표시부(330), 제어유닛(19)의 위치감지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정보부(340), 이동식 발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제어유닛(19)으로 전송하기 위한 구동표시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이동식 발전기의 관리자는 상기 이동식 발전기의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전력사용기기에 대하여 전력소모량, 이동식 발전기 연료의 잔여량, 이동식 발전기의 현재 온도, 이동식 발전기의 현재 위치 등을 원격지에서 혹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이동식 발전기 연료의 잔여량이 일정 범위 이하로 판단이 되면, 이에 따른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연료탱크(32)에 연료를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이동식 발전기의 동작을 위한 명령을 이동식 발전기에 전달하고, 이동식 발전기의 구동상태를 감지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며, 구동상태 정보와 이상 발생 정보를 제어 휴대용 단말기(300)에 전달함으로써, 이동식 발전기 관리자는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하거나,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이동식 발전기의 상태를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300)는 구동표시부(350)를 통하여 원격으로 이동식 발전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발전된 전력을 전력사용기기로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동식 발전기 관리자가 이동식 발전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원격지에 위치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이동식 발전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식 발전기가 작동되어 발전이 진행되는 중 이동식 발전기의 과부하, 과전류, 과전압, 과주파수, 저주파수, 오일 온도, 오일 압력, 전압 불평형과 같은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전송받은 이동식 발전기 관리자는 즉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동식 발전기의 고장 및 화재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에 따르면 발전기 내부에 구비된 연료 탱크의 연료 변동량을 원격지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발전기 관리자가 해당 발전기의 연료의 잔여량 및 연료의 소모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G: 발전모듈 19: 제어유닛
100: 제어부 110: 발전모듈 구동부
120: 스위치 감지부 130: 전력소모량 수집부
140: 송신부 150: 온도감지부
160: 위치감지부 170: 수신부
180: 표시부 300: 휴대용 단말기
310: 전력소모량 수집부 320: 잔여량 표시부
330: 온도표시부 340: 위치정보부
350: 구동표시부

Claims (3)

  1.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단위 소모 유량당 정격 발전용량을 나타내는 이동식 발전기이며;
    이동식 발전기는 발전모듈에 연결된 제어유닛에서 소모 유량에 따른 연료의 잔여량 정보를 산출하는 것으로, 제어유닛은 무선통신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전력사용기기에 구비된 작동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감지부, 전력사용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수집하는 전력소모량 수집부, 이동식 발전기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GPS 수신기 및 자이로 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으로 이동식 발전기의 수평 상태 및 설치된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발전모듈을 구동시키는 발전모듈 구동부, 이동식 발전기의 각종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 이동식 발전기의 각종 제어를 수행하며, 수집된 전력사용기기의 정격 전력소비량과 산출된 전력사용기기의 작동 시간을 이용하여, 산출된 작동 시간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량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을 위해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을 산출하여, 소모 유량에 따른 연료의 잔여량 정보를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한 특정 시간 간격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감지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스위치의 온/오프 상태가 수신되면,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정격 전력소비량 및 수량과, 전력사용기기의 사용 시간을 근거로 산출된 사용 시간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소비전력량을 산출한 다음, 이동식 발전기의 정격 발전용량을 근거로 산출된 소비전력량 대비 해당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을 위해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을 산출하여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이동식 발전기에 채워져 전력사용기기가 작동되지 않았을 때의 유량과, 전력사용기기가 작동을 위해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을 통하여, 그 차이로 인한 이동식 발전기에 남아있는 잔여 유량을 산출하고;
    제어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력사용기기의 작동을 위하여 소모된 이동식 발전기의 소모 유량과 이들의 총합으로 구한 이동식 발전기의 전체 소모 유량이 산출되어 저장되고 나면, 저장된 소모 유량 정보 및 잔여량 정보, 이동식 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이동식 발전기의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어유닛은 이동식 발전기에 연결된 전력 사용기기의 전원스위치 온/오프 상태를 수신하여, 전원스위치가 온 상태로 감지되면 해당 전력 사용기기의 사용 시간을 별도의 저장 장치에 저장시키고;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유닛의 전력소모량수집부를 통하여 수집된 전력소모량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되도록 하는 전력소모량수집부, 제어유닛의 제어부로부터 산출되어 전달되는 잔여량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잔여량 표시부, 제어유닛의 온도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온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온도표시부, 제어유닛의 위치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정보부, 이동식 발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구동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동식 발전기의 관리자는 이동식 발전기의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전력사용기기에 대하여 전력소모량, 이동식 발전기 연료의 잔여량, 이동식 발전기의 현재 온도, 이동식 발전기의 현재 위치를 원격지에서 혹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이동식 발전기 연료의 잔여량이 일정 범위 이하로 판단이 되면, 이에 따른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연료탱크에 연료를 보충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부는 이동식 발전기의 동작을 위한 명령을 이동식 발전기에 전달하고, 이동식 발전기의 구동상태를 감지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며, 구동상태 정보와 이상 발생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함으로써, 이동식 발전기 관리자는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하거나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이동식 발전기의 상태를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해지고;
    휴대용 단말기는 구동표시부를 통하여 원격으로 이동식 발전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발전된 전력을 전력사용기기로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하여, 이동식 발전기 관리자가 이동식 발전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원격지에 위치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이동식 발전기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16430A 2018-02-09 2018-02-09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 KR102011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30A KR102011121B1 (ko) 2018-02-09 2018-02-09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30A KR102011121B1 (ko) 2018-02-09 2018-02-09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121B1 true KR102011121B1 (ko) 2019-08-16

Family

ID=6780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430A KR102011121B1 (ko) 2018-02-09 2018-02-09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9637A1 (en) * 2021-09-17 2023-03-23 ASF Technologies (Australia) Pty Ltd Remote control gen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265A (ko) * 1999-07-12 2001-02-26 가와모토 노부히코 엔진 발전기
JP2008168512A (ja) 2007-01-11 2008-07-24 Tombow Pencil Co Ltd 固形糊繰出用容器
KR20100107353A (ko) * 2009-03-25 2010-10-05 (주) 에코센스 이동식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29071A (ja) * 2016-01-21 2017-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消費量推定装置、燃料消費量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265A (ko) * 1999-07-12 2001-02-26 가와모토 노부히코 엔진 발전기
JP2008168512A (ja) 2007-01-11 2008-07-24 Tombow Pencil Co Ltd 固形糊繰出用容器
KR20100107353A (ko) * 2009-03-25 2010-10-05 (주) 에코센스 이동식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29071A (ja) * 2016-01-21 2017-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消費量推定装置、燃料消費量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9637A1 (en) * 2021-09-17 2023-03-23 ASF Technologies (Australia) Pty Ltd Remote control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056B2 (en) Generator including vertically shafted engine
KR102011121B1 (ko) 잔여 연료량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발전기
JP2003061431A (ja) 電動芝刈機
JP2003061439A (ja) 電動芝刈機
CN102102584B (zh) 用于运行带有诊断装置的工作装置的方法
US20080218363A1 (en) Electric generator protection system
JP2001027128A (ja) エンジン発電機
JP5058232B2 (ja) 炊飯器
KR100811221B1 (ko) 액체 살포용 분무장치
US201901456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rtable air heater
KR101937602B1 (ko) 엔진, 셀프 스타터 유닛, 및 엔진의 사양 변경 방법
US20220275601A1 (en) Swiveling working machine
JP2013170471A (ja) エンジン作業機
US20110259454A1 (en) Shower nozzle holder device having water temperature monitoring mechanism
CN208291009U (zh) 充电桩和充电站
JP2007056840A (ja) エンジン装置における燃料タンクの燃料蒸気排出構造
JP6599280B2 (ja) 加熱調理器
CN213020009U (zh) 用于调节窗式空调底盘中水量的装置及窗式空调
KR102011122B1 (ko) 이동식 발전기가 내장되는 케이스 장치
KR20090069420A (ko)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TWI589412B (zh) 操作上螺栓器具的方法
Basunia et al. Improvement of grass cutting machine commonly used in Brunei
CN210949373U (zh) 一种含电池驱动型应急操作装置的液压启闭机
JP6334110B2 (ja) 洗濯機
CN117378917A (zh) 用于蒸汽烹饪设备的蒸汽发生器的测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