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831B1 -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831B1
KR102010831B1 KR1020170126710A KR20170126710A KR102010831B1 KR 102010831 B1 KR102010831 B1 KR 102010831B1 KR 1020170126710 A KR1020170126710 A KR 1020170126710A KR 20170126710 A KR20170126710 A KR 20170126710A KR 102010831 B1 KR102010831 B1 KR 10201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clematis
leu
present
petu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417A (ko
Inventor
이수영
박부희
박필만
안혜련
강윤임
최윤정
이영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2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8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Abstract

본 발명은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을 변형시키는 활성을 갖으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고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클레마티스 유래의 신규 유전자, 이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화훼식물, 및 이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 화훼식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전자는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을 변형시킬 수 있어 형질전환을 통해 새로운 특징의 꽃을 피우는 화훼식물을 개발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페튜니아를 형질전환할 경우, 암술머리 밑 색이 자주색이며 화형이 너플너플형인 기존 페튜니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새로운 특징을 갖는 페튜니아를 얻을 수 있어, 화단, 가로변 등의 조경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Novel gene from Clematis having function of differentiating stigma bottom color and flower shape of flowering plant}
본 발명은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을 변형시키는 활성을 갖으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고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클레마티스 유래의 신규 유전자, 이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화훼식물, 및 이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 화훼식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꽃은 본래 곤충이나 새를 불러들여 수분을 매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화려한 색상과 향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람 또한 이러한 꽃을 통해 아름다움을 느끼며 마음의 안정감을 찾기도 하므로, 꽃을 피우는 식물, 즉 화훼식물을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많은 천연의 꽃이 본연의 아름다운 색과 모양을 갖고 있지만, 보다 아름다운 꽃 또는 기존에는 없었던 특징을 갖는 새로운 꽃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육종학의 발전으로 교배를 통한 새로운 화훼식물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교배를 이용하는 방법은 교배가 가능한 식물이 매우 제한되고 또한 식물 고유의 유전적인 능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개발에 한계가 있다.
이에 유전공학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푸른 장미이다. 본래 장미는 푸른색을 나타내게 하는 색소를 생산할 수 없지만, 푸른색과 관련된 유전자를 도입하는 연구를 통해 푸른 장미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유전공학을 이용한 방법, 특히 외래 유전자를 도입하여 새로운 색이나 형태를 갖는 꽃을 생산하는 식물을 개발하는 것이 성공하면서 화훼분야에서 큰 이슈가 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화훼식물의 색이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유전자원을 탐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존의 화훼식물과는 다른 특징의 꽃을 피우는 새로운 화훼식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0930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화훼식물의 색이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새로운 유전자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기존의 화훼식물과는 다른 특징의 꽃을 피울 수 있는 새로운 화훼식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새로운 화훼식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을 변형시키는 활성을 갖으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고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클레마티스 유래의 신규 유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로 형질전환되어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이 변형된 형질전환 화훼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 화훼식물에 있어서, 상기 화훼식물은 페튜니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 화훼식물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가 35S 프로모터 및 NOS 터미네이터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 발현 벡터로 화훼식물을 형질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이 변형된 형질전환 화훼식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 화훼식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훼식물은 페튜니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 화훼식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 발현 벡터는 상기 유전자가 35S 프로모터 및 NOS 터미네이터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전자는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을 변형시킬 수 있어 형질전환을 통해 새로운 특징의 꽃을 피우는 화훼식물을 개발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페튜니아를 형질전환할 경우, 암술머리 밑 색이 자주색이며 화형이 너플너플형인 기존 페튜니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새로운 특징을 갖는 페튜니아를 얻을 수 있어, 화단, 가로변 등의 조경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한 클레마티스(Clematis patens) 'The President'의 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egenerate PCR (nested PCR)의 결과 (F-first PCR, S1~3-second PCR, 좌)와 E. coli DH5α에 형질전환 후, insert check PCR한 결과(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레마티스 F3'5'H의 아미노산 서열과 Aconitum carmichaelii (AEY80043)의 F3'5'H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보라색-클레마티스 F3'5'H 서열과 일치하는 영역)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 RACE-PCR (1-first PCR, 2-Second PCR)의 결과(좌)와 E. coli DH5α에 형질전환한 후, T7과 M13R primer를 이용하여 insert check PCR한 결과(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레마티스 F3'5'H의 아미노산 서열과 Aconitum vilmorinianum (AFL91704)의 F3'5'H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보라색-클레마티스 F3'5'H 서열과 상동성이 높은 영역)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 RACE-PCR (3-first PCR, 4-Second PCR)의 결과(좌)와 E. coli DH5α에 형질전환한 후, T7과 M13R primer를 이용하여 insert check PCR한 결과(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레마티스 F3'5'H의 아미노산 서열과 Aconitum carmichaelii (AEY80043)의 F3'5'H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보라색-클레마티스 F3'5'H 서열과 상동성이 높은 영역)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T-PCR에 의해 증폭된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가 pGEM-T easy vector 내에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 삽입 pGEM-T easy vector의 T7과 M13R primer를 이용한 insert check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과 Aconitum carmichaelii의 F3'5'H 유전자(AEY80043)의 아미노산 서열 비교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레마티스에서 동정된 ClF3'5'H 유전자 삽입 제작 벡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lF3'5'H 유전자 도입 후 선발배지에서 재분화된 후 발근중인 페튜니아 식물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lF3'5'H 유전자 도입이 확인된 페튜니아 식물체의 서던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lF3'5'H 유전자 도입이 확인된 형질전환체의 순화(좌) 및 온실 이동(우)한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lF3'5'H 유전자 도입이 확인된 페튜니아 형질전환체의 화형(좌) 및 암술머리 밑 색(우)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lF3'5'H 형질전환 페튜니아의 도입유전자 발현분석(노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lF3'5'H 형질전환 페튜니아의 발현분석(RT-qPCR)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전자는 클레마티스(Clematis)로부터 유래된 유전자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고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전자는 Aconitum carmichaelii의 flavonoid-3',5'-hydroxylase 유전자(AEY80043)의 아미노산 서열과 79%의 상동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유전자는 클레마티스 'The president'의 유전체를 주형으로 하는 PCR을 통해 수득할 수 있으며, 통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합성 방법을 통해서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자로 화훼식물을 형질전환하면 화색 또는 화형이 변형된 형질전환 식물체를 수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유전자로 페튜니아를 형질전환하면 암술머리 밑 색이 자주색이고, 화형이 너플너플형인 형질전환 페튜니아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은 통상의 식물 형질전환 방법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질전환을 위해 본 발명의 유전자가 함유된 재조합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벡터는 형질전환시킬 식물의 종류 또는 프로모터, 선별마커 등을 고려하여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벡터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벡터로 식물의 형질전환에 많이 이용되는 아그로박테리움 바이너리 벡터(Agrobacterium binary vector)인 pCAMBIA2300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벡터는 카나마이신 저항 유전자(kanamycin-resistance gene)를 함유하고 있어 이를 선별마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자로 화훼식물을 형질전환할 때 본 발명의 유전자가 35S 프로모터 및 NOS 터미네이터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은 구성으로 형질전환용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고, 이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은 통상의 유전자 재조합 방법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RT-PCR을 이용한 클레마티스의 플라보노이드 3', 5'-하이드록실레이즈(Flavonoid 3',5'-hydroxylase) 유전자의 클로닝
기존에 보고되어 있지 않은 클레마티스의 플라보노이드 3', 5'-하이드록실레이즈(이하, F3'5'H로 약기)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동정하기 위해, Clematis patens 'The president' (도 1 참조) 꽃잎의 cDNA, degenerate PCR과 RACE-PCR을 이용하여 F3'5'H 유전자의 부분 염기서열을 확인하고, 부분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설계한 gene-specific primer와 PCR을 이용하여 클레마티스의 F3'5'H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동정하였다.
1-1.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의 중간영역 염기서열 동정
클레마티스의 F3'5'H 염기서열을 동정하기 위해, 클레마티스의 꽃잎의 cDNA와 degenerate primer를 이용하여 중간영역의 염기서열을 동정한 후,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CBI)에서 제공하는 blastx로 검색한 결과, Aconitum carmichaelii (AEY80043)의 F3'5'H의 아미노산 서열과 82%의 상동성이 확인되었다(도 2 및 3 참조).
1-2.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의 5' 영역의 염기서열 동정
클레마티스의 F3'5'H 유전자의 중간영역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설계한 gene-specific primer와 RACE-PCR kit를 이용하여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의 5' 영역 염기서열을 동정한 후, NCBI의 blastx로 검색한 결과, Aconitum vilmorinianum (AFL91704)의 F3'5'H의 아미노산 서열과 82%의 상동성이 확인되었다(도 4 및 5 참조).
1-3.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의 3' 영역 염기서열 동정
클레마티스의 F3'5'H 유전자의 중간영역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설계한 gene-specific primer와 RACE-PCR kit를 이용하여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의 3' 영역 염기서열을 동정한 후, NCBI의 blastx로 검색한 결과, Aconitum carmichaelii (AEY80043)의 F3'5'H의 아미노산 서열과 81%의 상동성이 확인되었다(도 6 및 7 참조).
1-4.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의 전체영역 염기서열 동정
클레마티스의 F3'5'H 유전자의 5′ 및 3′ 영역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설계한 gene-specific primer를 이용하여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의 전체 염기서열을 동정하였다(도 8 내지 10 참조). 전체 염기서열을 NCBI의 blastx로 검색한 결과, Aconitum carmichaelii의 F3'5'H 유전자(AEY80043)의 아미노산 서열과 79%의 상동성이 확인되었다(도 11 참조).
실시예 2. 페튜니아에 클레마티스 F3'5'H 유전자의 도입
2-1. 식물 형질전환용 벡터 제작
클레마티스에서 동정한 F3'5'H 유전자(이하, ClF3'5'H로 약기) 전장의 암호화 영역의 유전자를 binary vector pCAMBIA2300의 cloning site에 삽입하였으며(도 12 참조), 숙주로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GV3101을 이용하였다.
2-2. 아그로박테리움 공동배양에 의한 페튜니아 형질전환
기내 파종 후 80 ~ 90일 경과한 페튜니아 'Dream's Red' 묘의 어린잎을 5㎜×5㎜로 절단한 110개의 절편체를 전배양 배지에서 1일간 배양한 후, ClF3'5'H 유전자가 삽입된 아그로박테리움과 공동배양을 실시하였다. 2일 후, 영양배지로 옮겨 7일간 배양하였고, 이후 각각 kanamycin 50㎎/ℓ와 100㎎/ℓ이 포함된 1, 2차 선발배지로 옮겨 재분화 식물체를 선발하였다. 단계별 배양에 사용된 배지의 조성 및 배양기간은 표 1과 같다. 2차 선발배지에서 발근된 51개체의 목표유전자 도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 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입유전자 copy 수를 확인하고자 서던분석을 실시하였다. PCR분석을 위한 DNA 추출은 DNeasy Mini Plant Kit(Qiagen, USA)를 이용하였고, 정량은 NanoVue (GE imagination at work)를 이용하였다. PCR 반응은 DNA 40 ~ 100ng, dNTP 0.2mM, primer 10pmoles, Taq 0.2U 등을 혼합한 20㎕를 95℃ 1분, 55℃ 또는 60℃ 1분, 72℃ 1분으로 35 또는 40회 증폭한 후, loading star(DYNE BIO, Korea)를 섞어 1%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여 UV 하에서 유전자 도입여부를 확인하였다. 서던분석을 위한 DNA농도는 NanoVue(GE healthcare)로 측정하였고, 각 샘플당 40㎍의 DNA를 사용하였고, 100units의 EcoRI으로 자른 후 DNA를 0.9% agarose gel에 0.5X TBE 용액에 30V로 17시간 running하였다. DNA는 nylon HybondTM-N+ membrane(Amersham Life science, UK)에 capillary transfer 방법으로 블롯팅하였다. 목표유전자 탐침은 유전자 유래 PCR 산물 DNA 30ng을 시료로 RedyprimeIITM Random Prime labeling System(Amersham Life science, UK)을 사용하여 제작(labeling) 하였다. Hybridization과 blot 세척은 표준화된 방법에 따랐다. 표지인식을 위해서는 BAS-1800II Bio-Imaging analyzer (FUJIFILM, Japan)을 사용하였다. PCR 분석 결과, 51개체 중 49개체가 목표유전자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서던분석 결과, 22개체 모두 1 ~ 3개의 유전자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2, 도 13 및 14 참조).
페튜니아 형질전환체 획득에 사용된 배지 조성과 배양기간
구분 조성 배양기간
전배양 MS배지 +IAA 2 mg/L + BAP 1 mg/L (pH 5.7) 1일
공동배양 전배양 배지 (pH 5.2) 2일(암배양)
영양배양 전배양 배지 + cefotaxime 400mg/L (pH 5.7) 7일
1차 선발 영양선발 배지 + kanamycin 50mg/L (pH 5.7) 4주
2차 선발 영양선발 배지 + kanamycin 100mg/L (pH 5.7) 2~4주
발근 MS배지+ cefotaxime 200mg/L 2~3주
ClF3'5'H 유전자 도입 후 재분화된 페튜니아 식물체 선발 및 유전자 도입 확인
2차 선발배지에서 발근된 식물체 수 PCR분석 서던분석
분석 식물체 수 ClF3‘5’H 도입 확인 식물체 수 분석 식물체 수 도입 유전자 copy 수
51 51 49 22 1~3
2-3. ClF3'5'H 유전자 도입 페튜니아 형질전환체의 개화특성 확인
PCR 및 서던분석에 의해 ClF3'5'H 유전자 도입이 확인된 49개체를 순화시킨 후 온실로 이동하였으며(도 15 참조), 재배관리를 통해 개화 시 특성을 조사하였다. Color Chart (Royal Horticultural Society, Fifth Edition)를 이용하여 비형질전환체와 개화 특성을 비교한 결과, ClF3'5'H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들의 암술머리 끝 색이 White group (155C)에서 Purple group (77B, 77D, 79A, 79C, 79D)으로, 꽃잎이 너플너플형으로 변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6 참조).
2-4. ClF3'5'H 유전자 도입 페튜니아 형질전환체의 도입 유전자 발현분석
도입유전자의 정상적인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노던분석을 실시하였다. RNA 추출은 Trizol(Invitrogen)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22계통의 잎으로부터 추출하였다. RNA농도는 NanoVue(GE healthcare)로 측정하였고, 각 샘플당 30㎍의 RNA를 1× MOPS buffer와 6.3%(w/v) formaldehyde가 포함된 1%(w/v) agarose gel에서 100V로 1시간 전개시켰다. RNA는 nylon HybondTM-N+ membrane (Amersham Life science, UK)에 capillary transfer 방법으로 블롯팅하였다. 30ng의 ClF3'5'H 유전자로부터 유래한 PCR 산물 DNA는 RedyprimeIITM Random Prime labeling System (Amersham Life science, UK)을 사용하여 labeling 하였다. Hybridization과 blot 세척은 표준화된 방법에 따랐다(Sambrook et al. 1989). 표지인식을 위하여 BAS-1800II Bio-Imaging analyzer (FUJI FILM)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22계통 모두 ClF3'5'H의 정상적인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7 참조).
ClF3'5'H 페튜니아 형질전환체의 암술머리 밑 색의 변형된 특성이 도입유전자인 ClF3'5'H의 발현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실시간 유전자 발현분석(RT-qPCR)을 실시하였다. RNeasy Mini Plant Kit(Qiagen, USA)를 이용하여 형질전환체와 ClF3'5'H 형질전환체의 7계통의 암술기관(암술머리~암술대)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한 후, 추출액에 혼입된 genomic DNA(gDNA) 제거 및 cDNA를 합성하기 위해 RT reagent Kit with gDNA Eraser(Takara, Japan)를 사용하였다. gDNA를 제거하기 위하여 매뉴얼의 지시에 따라 반응액 10㎕에 1㎍의 total RNA, 1㎕ 5× gDNA Erager, 2㎕ RNase-Free DNase을 혼합하여 42℃에서 2분 처리하였다. gDNA를 제거한 total RNA를 이용하여 매뉴얼의 지시에 따라 20㎕의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50배 희석하여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PCR (RT-qPCR)에 이용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서열을 기반으로 프라이머를 다자인하여 발현분석에 이용하였다. 최종 반응액 20㎕에 1× SYBR premix EX taq Ⅱ(TaKaRa, Japan), 0.25μM 포워드 프라이머, 0.25μM 리버스 프라이머, 3㎕의 희석 cDNA를 혼합하여 준비한 후 CFX96(BioRad, USA)을 이용하여 RT-qPCR을 수행하였다. 반응조건은 95℃에서 30초간 initial denaturation을 수행 후, 95℃ 5초, 58℃ 30초 과정을 45반복하였다. 그 후 95℃에서 30초 premelting과 65℃에서 95℃까지 5초마다 0.5℃씩 온도를 높여가며 melting curve 분석을 수행하였다. Housekeeping 유전자 ACTIN의 Ct값으로 normalization하였으며, 상대정량값의 계산은 ΔΔCt법을 이용하였고, 식물 3반복의 상대정량값으로 평균과 표준오차를 계산하였다. RT-qPCR 결과, 형질전환체 7계통 모두 비 형질전환체보다 암술기관에서의 ClF3'5'H 유전자의 발현이 훨씬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8 참조).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Novel gene from Clematis having function of differentiating stigma bottom color and flower shape of flowering plant <130> PA-D17319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10 <212> PRT <213> Unknown <220> <223> Clematis patens <400> 1 Met Val Ile Asn Met Phe Val Leu Arg Glu Leu Ser Tyr Ala Phe Ile 1 5 10 15 Leu Phe Phe Ile Thr His Ile Phe Gly Arg Ser Leu Leu Ser His Tyr 20 25 30 Ala Arg Lys Leu Pro Pro Gly Pro Thr Gly Phe Pro Val Val Gly Ser 35 40 45 Leu Pro Phe Leu Gly Ser Met Pro His Val Ala Leu Ala Glu Met Ser 50 55 60 Lys Lys Tyr Gly Pro Ala Met Tyr Leu Lys Leu Gly Ser Arg Gly Met 65 70 75 80 Val Val Ala Ser Thr Pro Asp Ser Ala Arg Ala Phe Leu Lys Thr Leu 85 90 95 Asp Leu Asn Phe Ser Asn Arg Pro Thr Asp Ser Gly Ala Thr His Met 100 105 110 Ala Tyr Asp Ser Gln Asp Met Val Phe Ala Asp Tyr Gly Pro Arg Trp 115 120 125 Lys Leu Leu Arg Arg Val Ser Asn Leu His Met Leu Gly Gly Lys Ala 130 135 140 Leu Glu Asp Trp Thr Asn Val Arg Lys Asn Glu Val Gly His Met Leu 145 150 155 160 Gln Ala Met His Glu Ser Ser Cys Arg Gly Glu Pro Val Val Val Ala 165 170 175 Asp Met Leu Val Tyr Ala Met Ala Asn Met Ile Gly Gln Val Ile Leu 180 185 190 Ser Arg Arg Val Phe Val Thr Lys Gly Thr Glu Leu Asn Glu Phe Lys 195 200 205 Glu Met Val Val Glu Leu Met Thr Ser Ala Gly Leu Phe Asn Val Gly 210 215 220 Asp Tyr Ile Pro Ser Ile Ala Trp Met Asp Leu Gln Gly Ile Val Arg 225 230 235 240 Gly Met Lys Ser Leu His Asn Lys Phe Asp Val Leu Leu Asn Lys Met 245 250 255 Leu Lys Glu His Glu Ser Thr Arg His Glu Arg Lys Glu Lys Pro Asp 260 265 270 Leu Leu Asp Val Leu Leu Glu Asn Arg Asp Asn Lys Ala Val Gly Glu 275 280 285 Glu Arg Ile Thr Asp Thr Asn Ile Lys Ala Leu Leu Leu Asn Leu Phe 290 295 300 Thr Ala Gly Thr Asp Thr Ser Ser Ser Ser Ile Glu Trp Ala Leu Ala 305 310 315 320 Glu Met Met Lys Asn Pro Ser Ile Phe Lys Arg Ala His Val Glu Met 325 330 335 Asp His Val Ile Gly Asn Asn Arg Arg Leu Glu Glu Ser Asp Ile Pro 340 345 350 Asn Leu Pro Tyr Leu Gln Ala Ile Cys Lys Glu Thr Phe Arg Lys His 355 360 365 Pro Ser Thr Pro Leu Asn Leu Pro Arg Glu Ala Val Glu Ser Cys Glu 370 375 380 Val Asn Gly Tyr Tyr Ile Pro Lys Gly Thr Arg Leu Ser Val Asn Ile 385 390 395 400 Trp Gly Met Gly Arg Asp Pro Asn Val Trp Glu Asn Pro Leu Glu Phe 405 410 415 Asn Pro Asp Arg Phe Leu Arg Val Glu Thr Met Lys Ile Asp Pro Arg 420 425 430 Gly Asn His Phe Glu Leu Ile Pro Phe Gly Ala Gly Arg Arg Ile Cys 435 440 445 Ala Gly Ser Arg Met Ala Ile Val Leu Val Glu Tyr Met Leu Gly Thr 450 455 460 Leu Val His Ser Phe Asp Trp Asn Leu Ala Asp Gly Val Glu Leu Asn 465 470 475 480 Met Asp Glu Ser Phe Gly Leu Ala Leu Gln Lys Ala Val Pro Leu Val 485 490 495 Ala Ile Val Thr Pro Arg Leu Pro Pro Ser Val Tyr Tyr Val 500 505 510 <210> 2 <211> 153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Clematis patens <400> 2 atggtgatca atatgtttgt tctgagagag ctcagttatg catttatctt gtttttcatc 60 acccatattt ttggtcgtag cttgctttcg cactatgcac gtaaacttcc cccaggtcca 120 acaggtttcc cagttgttgg gtcattgcca tttctcggat ccatgcctca tgttgcgctg 180 gctgagatgt caaagaagta cgggccagct atgtacctca aattaggttc gcgagggatg 240 gtggttgcat ccactccaga ttcagctcgt gcttttctga aaaccctaga ccttaatttc 300 tcaaatcgcc caactgattc aggtgcaacc catatggcct atgactcaca agacatggtg 360 tttgctgatt atggaccacg atggaagttg ctacgtagag tgagcaactt acatatgctt 420 ggtgggaagg ctctagagga ttggactaat gtaagaaaaa atgaagttgg gcacatgctt 480 caggctatgc atgagtcaag ctgcagagga gaacctgtgg tggtggcaga catgttggtt 540 tacgctatgg ctaacatgat tgggcaggtg atattgagtc gccgtgtgtt tgtcaccaaa 600 ggcacggaac tgaacgagtt caaagaaatg gtggttgagc tcatgacgtc agctggcctt 660 tttaacgttg gtgactacat cccttctatt gcatggatgg atttgcaagg aattgtacga 720 ggcatgaaga gtttgcataa taagtttgac gtacttttga acaaaatgct caaggaacat 780 gagtcaacga ggcatgagag gaaggagaag ccagacttgc tggatgtctt gcttgagaac 840 agagataaca aggctgtagg ggaggagagg attactgaca ccaacatcaa ggctcttctt 900 ctgaacttgt tcacagctgg gaccgatacc tcctccagct caattgaatg ggcacttgct 960 gaaatgatga agaacccaag catctttaaa cgtgcgcatg tagagatgga tcatgtcatt 1020 ggaaacaacc gtagacttga agagtctgac ataccaaacc tcccatactt acaagccata 1080 tgcaaagaaa cattcaggaa acacccttcg acaccactca atcttccaag agaagctgtg 1140 gaatcatgtg aagtgaatgg atactacatc cccaaaggaa ccagactcag tgtaaatata 1200 tggggcatgg ggagagaccc gaatgtgtgg gagaatccac tggaattcaa tccggatagg 1260 ttcttgcgag tggaaactat gaaaatcgat ccacggggaa atcattttga gcttatacca 1320 tttggggcgg gaagaaggat atgtgcgggg agtagaatgg caattgttct tgttgagtac 1380 atgttgggga cacttgtgca ttcatttgat tggaatttag ctgatggtgt agagctaaat 1440 atggatgaat catttggact tgcactccaa aaggctgtcc cacttgtagc tattgtcacc 1500 cctcgcttac cacctagtgt ttattatgtt taa 1533

Claims (7)

  1. 클레마티스 유래의 신규 유전자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페튜니아의 암술머리 밑 색을 변형시키는 활성을 나타내고,
    상기 변형에 의해 상기 암술머리 밑 색이 자주색을 나타내고,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클레마티스 유래의 신규 유전자.
  2. 제 1항의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 페튜니아.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35S 프로모터 및 NOS 터미네이터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는 것인 형질전환 페튜니아.
  5. 제 1항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 발현 벡터로 페튜니아를 형질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형질전환 페튜니아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35S 프로모터 및 NOS 터미네이터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는 것인 형질전환 페튜니아.
KR1020170126710A 2017-09-29 2017-09-29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201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10A KR102010831B1 (ko) 2017-09-29 2017-09-29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10A KR102010831B1 (ko) 2017-09-29 2017-09-29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17A KR20190037417A (ko) 2019-04-08
KR102010831B1 true KR102010831B1 (ko) 2019-08-16

Family

ID=6616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710A KR102010831B1 (ko) 2017-09-29 2017-09-29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8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27348T1 (de) 2003-08-13 2011-10-15 Suntory Holdings Lt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rose mit veränderter farbe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EY80043.1
GenBank: JN635708.1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4 (Suppl II) October 2016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p. 208, No.411
Plant Cell Rep., (2001), vol. 20, p. 456-4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17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66824B (zh) 一套用于水稻的碱基编辑人工系统
CN107641627B (zh) 一种调控番茄i型腺毛形成的h基因、h蛋白及其应用
CN114107370A (zh) 利用Cas12i在大豆中进行基因编辑的方法
CN110592134B (zh) 一种sdg40基因或其编码蛋白的应用
CN107630020A (zh) 棉花GhTCP4基因及其在改良棉纤维长度中的应用
KR102010833B1 (ko) 화훼식물의 꽃잎, 암술기관 및 화심 색 변형 기능 매발톱꽃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
CN101302523B (zh) 生理时钟调控蛋白lhy在培育耐逆植物中的应用
CN110117318B (zh) 通过下调eIFiso4G1基因和eIFiso4G2基因提高植物对干旱耐受性的方法
CN109468334A (zh) 一种烟草蛋白激酶基因NtCIPK25-1及其克隆方法与应用
KR102010831B1 (ko) 화훼식물의 암술머리 밑 색 및 화형 변형 기능 클레마티스 유래 신규 유전자 및 이의 용도
NL2032335B1 (en) Use of sweet potato ibsap15 gene in regulating leaf shape and flower shape of sweet potato
JP3054694B2 (ja) 植物の形態を変化させる転写因子の遺伝子およびその利用
AU784725B2 (en) Genes encoding proteins regulating pH of vacuoles
CN112851779B (zh) 一种培育花青苷含量提高的转基因植物的方法
CN114230651A (zh) 一种利用DhMYB2基因瞬时改变石斛兰花色的方法
CN110079548B (zh) eIFiso4G1蛋白在调控植物抗旱性中的应用
EP1484403B1 (en) Gene participating in the synthesis of brassinosteroid
CN107384953B (zh) 拟南芥糖基转移酶ugt84a2在调节植物开花时间中的应用
CN106995490A (zh) 一种调控植物蛋白酶体活性的方法
CN108017696A (zh) 菊花CmTFL1c基因及其应用
CN114736278B (zh) 一种马铃薯花色素苷生物合成负调控基因、转录因子及应用
CN104911157A (zh) 一种水稻组蛋白赖氨酸甲基转移酶及其编码基因与应用
CN114539370B (zh) 苹果MYB转录因子MdMYB90-like及其应用
CN114774440B (zh) 一种柱花草多聚半乳糖醛酸酶基因SgPG1及其应用
CN108070026A (zh) 菊花CmTFL1a基因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