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480B1 - 장약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장약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480B1
KR102009480B1 KR1020140178717A KR20140178717A KR102009480B1 KR 102009480 B1 KR102009480 B1 KR 102009480B1 KR 1020140178717 A KR1020140178717 A KR 1020140178717A KR 20140178717 A KR20140178717 A KR 20140178717A KR 102009480 B1 KR102009480 B1 KR 10200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frame
charge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234A (ko
Inventor
오재이
조세훈
임진국
오승률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480B1/ko
Priority to US14/939,233 priority patent/US9919431B2/en
Publication of KR2016007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8Loading arrangements, i.e. for bringing the ammunition into the fir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articulated grippers
    • B25J15/021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articulated grippers actuated by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5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 B25J15/02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actuated by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25J5/04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wherein the guideway is also moved, e.g. travelling crane bridg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54Cartridge guides, stops or positioners, e.g. for cartridge ex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설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그립퍼들과, 일단은 상기 그립퍼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그립퍼축들과, 상기 그립퍼들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그립퍼축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그립퍼축들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퍼축들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동력절환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그립퍼들을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장약 공급 장치{Apparatus for feeding char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약을 잔량 없이 인출하여 신속하게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장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에 있어서, 자주포는 필수적인 전투장비로 사용되며, 포탄을 적재한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진지를 이동하면서 목표물에 포탄을 발사한다. 이때, 포탄은 발사체의 후방에 장약이 결합된 것으로, 이러한 포탄은 포신 내에서 장약이 점화됨으로써 발생하는 폭발력에 의해 발사하게 된다. 따라서, 자주포의 자동 사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약 공급 또한 신속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장약을 적재하고 이송하는 과정이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력 소모가 불가피하고, 자주포에 장약을 공급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특히, 장약 적치대에 수직방향으로 적재되어 있는 장약을 이송함에 있어서 1회에 인출되지 않은 장약이 장약 적치대에 그대로 남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장약의 잔량을 인력에 의해 별도로 수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을 잔량 없이 인출하여 신속하게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장약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설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그립퍼들, 일단은 상기 그립퍼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그립퍼축들, 상기 그립퍼들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그립퍼축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그립퍼축들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퍼축들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동력절환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그립퍼들을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그립퍼축들 중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그립퍼축들 중 나머지 그립퍼축들의 각각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기어들 및 제1 기어와 제1 기어에 인접한 제2 기어의 사이와, 인접한 제2 기어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제3 기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그립퍼들 중 하나로 장약을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회전하는 이송축 및 상기 이송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이송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이송축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트레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들의 개폐 및 상기 트레이의 이송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 상기 동력절환부 및 상기 이송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을 잔량 없이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의 인출을 자동화함으로써 신속하게 장약을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적치대로부터 원하는 개수의 장약을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트레이 및 이송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에서 장약을 인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비교예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비한다(comprises)" 및/또는 "구비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트레이 및 이송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약 공급 장치(1000)는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일면에 설치된 그립퍼(200), 그립퍼(200) 및 프레임(100)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그립퍼축(300), 그립퍼(200) 및 그립퍼축(300)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의 구동부는 구동모터(400), 동력전달부(500) 및 동력절환부(540)를 구비한다.
또한, 장약 공급 장치(1000)는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립퍼(200)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트레이(600)를 구비한다. 이때, 장약 공급 장치(1000)는 트레이(600)를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축(700) 및 이송모터(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장약 공급 장치(1000)는 프레임 이송부(90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프레임 이송부(900)는 그립퍼(200)가 설치된 반대측 면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 이송부(900)에 의해 장약 공급 장치(1000)는 XY 평면 상에서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XY 평면 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프레임(100)은 장약 공급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100)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립퍼(200)가 원하는 개수의 장약을 인출하면, 프레임(100)은 프레임 이송부(900)에 의해 회전하거나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그립퍼(200)가 파지하는 장약을 소정의 발포 위치로 이송한다.
프레임(100)은 도면상에서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다만, 프레임(100)은 동력전달부(500), 동력절환부(540)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립퍼(200)는 프레임(100)의 일면에 설치된다. 장약 공급 장치(1000)는 복수의 장약을 신속하게 이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그립퍼(200)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그립퍼(200)는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즉 Z축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설치된다.
그립퍼(200)가 프레임(100)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그립퍼(200)는 독립적으로 개폐된다. 그립퍼(200)를 독립적으로 개폐하기 위해서, 각각의 그립퍼(200)에는 그립퍼축(300)이 연결된다.
그립퍼축(300)의 일단은 그립퍼(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에 연결된다.
그립퍼축(300)은 그립퍼축(300)의 길이방향, 즉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그립퍼축(300)이 회전하면 그립퍼(200)가 구동하고, 그립퍼축(300)이 회전하지 않으면 그립퍼(200)는 구동하지 않는다.
그립퍼축(300)의 회전/미회전에 따라 그립퍼(200)를 구동/미구동할 수 있도록 그립퍼축(300)은 다양한 구조로 그립퍼(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립퍼축(300)은 리드스크류축일 수 있다. 즉, 그립퍼축(300)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립퍼축(300)은 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그립퍼(200)의 한쪽 돌출부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그립퍼(200)의 양 돌출부의 사이를 벌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그립퍼축(300)이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면 벌어져 있던 그립퍼(200)의 양 돌출부가 다시 원래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원될 수 있다. 한편, 그립퍼축(300)이 회전하지 않으면, 그립퍼축(300)과 연결되어 있는 그립퍼(200) 또한 작동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그립퍼축(300)은 크랭크축일 수 있다. 즉, 그립퍼축(300)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립퍼축(300)과 그립퍼(200) 사이의 연결부재(미도시)가 X축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그립퍼(20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그립퍼(200)에는 탄성부재나 유압장치가 구비되어 연결부재(미도시)의 왕복운동에 따라 기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그립퍼(200)가 개폐된다. 한편, 그립퍼축(300)이 회전하지 않으면, 그립퍼축(300)과 연결되어 있는 그립퍼(200) 또한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그립퍼(200) 및 그립퍼축(300)의 연결방식은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며, 그립퍼축(300)의 회전에 의해 그립퍼(200)가 개폐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
이하에서는 그립퍼(200) 및 그립퍼축(300)을 구동하는 구동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장약 공급 장치(1000)의 구동부는 구동모터(400), 동력전달부(500) 및 동력절환부(540)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구동부에 의해 그립퍼축(300)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써 그립퍼(200)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구동모터(400)는 그립퍼(200)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단순하게는, 각각의 그립퍼(200)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그립퍼(200)의 개수만큼의 구동모터(400)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구동모터(400)의 개수를 무작정 늘리게 되면, 구동모터(400) 자체를 구동하는 것뿐 만 아니라 무게 및 부피가 커진 장약 공급 장치(1000)를 이송함에 있어서도 전력 소모가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공급 장치(1000)는, 최소한의 구동모터(400)를 구비하여 각각의 그립퍼(200)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동력전달부(500) 및 동력절환부(540)를 구비한다.
동력전달부(500)는 구동모터(400)의 동력을 각각의 그립퍼축(300)에 전달한다.
동력전달부(500)는 제1 기어(510), 제2 기어(520) 및 제3 기어(530)를 구비하는데, 제1 기어(510)는 구동기어, 제2 기어(520)는 종동기어, 제3 기어(530)는 아이들기어에 해당한다.
제1 기어(510)는 구동모터(400)와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로서, 그립퍼축(300)에 결합되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520)는 제1 기어(510)에 의해 구동되는 종동기어로서, 제1 기어(510)가 연결된 것 외의 나머지 그립퍼축(300)에 결합된다. 제2 기어(520) 또한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1 기어(5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제3 기어(530)는 제1 기어(510)와 제1 기어(510)에 인접한 제2 기어(520)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3 기어(530)는 인접한 제2 기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어(530)는 제1 기어(510)와 제2 기어(520) 사이의 간격을 채우면서 제1 기어(510) 및 제2 기어(520)와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제1 기어(510)와 제2 기어(52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로써 그립퍼축(3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이 구동기어인 제1 기어(510)로부터 종동기어인 제2 기어(52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제1 기어(510) 및 제2 기어(520)는 그립퍼축(300)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데, 제1 기어(510)와 결합된 그립퍼축(300)은 구동모터(400)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고, 제2 기어(520)와 결합된 그립퍼축(300)은 제1 기어(510)로부터 제3 기어(530)를 거쳐 제2 기어(520)로 전달된 동력에 의해 각각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방식에 따라 하나의 구동모터(400)를 이용하여 각각의 그립퍼축(300)을 회전시키고, 각각의 그립퍼축(300)이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그립퍼(200)를 개폐할 수 있는 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각각의 그립퍼(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이 반드시 상기와 같은 기어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그립퍼(20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면 어떤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동력절환부(540)는 그립퍼축(300)의 각각에 설치되어 그립퍼축(3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한다. 즉, 개폐하고자 하는 그립퍼(200)에 연결된 그립퍼축(300)만을 회전시키고, 나머지 그립퍼축(300)은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각각의 그립퍼(200)는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장약적치대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장약을 원하는 개수만큼 파지할 수 있다.
동력절환부(540)는 클러치를 구비할 수 있는데, 즉 그립퍼축(300)의 각각에 클러치를 결합하여 상기의 기어열에 의해 전달된 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시킬 수 있다. 이때, 클러치는 기계식 클러치일 수도 있고, 전자식 클러치일 수도 있다.
트레이(600)는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즉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트레이(600)는 후술할 이송축(700)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트레이(600)는 그립퍼(200)를 통과하면서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써 파지된 장약이 트레이(600)의 일면에 놓인 채로 목표하는 그립퍼(200)의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즉, 파지된 장약을 비어 있는 그립퍼(200)로 이동시킨 후 새로운 장약을 파지함으로써 장약적치대에 장약의 잔량이 계속 남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송축(700)은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즉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송축(700)에는 트레이(600)가 결합되어 파지된 장약을 소정의 그립퍼(20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송축(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레이(600)가 움직이게 된다.
이송축(700)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이송모터(800)가 이송축(7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축(700)은 리드스크류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이송축(700)이 Z축을 중심으로 1회 회전하면 트레이(600)가 소정의 피치만큼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축(700)의 둘레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트레이(600)는 이송축(700)과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610)를 구비한다. 결합부(610)의 내부는 상기와 같은 이송축(700)의 스크류가 이송축(700)의 회전과 동시에 이송축(700)의 길이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이송축(700)의 스크류를 안내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이송축(700)의 스크류와 결합부(610)의 내부 요철이 치합하여 이송축(700)의 회전운동이 트레이(60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즉, 이송축(700)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Z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송축(700)에 결합된 트레이(600)를 Z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때, 프레임(100)에는 결합부(610)의 측면을 구속하는 가이드(710)가 이송축(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트레이(600)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Z축 방향을 따라 직선운동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레이(600)의 결합부(61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구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축(700)은 리드스크류의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 이송모터(800)가 선형모터로서 이송축(700)에 결합된 트레이(600)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이송축(70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축(700)이 트레이(600)를 이송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그립퍼(200)가 장약을 파지한 상태에서 재차 새로운 장약을 파지하도록 요구되는 경우, 상기의 그립퍼(200)가 파지하던 기존 장약은 트레이(600)에 올려져 다른 그립퍼(200)의 위치로 이송되고, 상기의 그립퍼(200)는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새로운 장약을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각각의 구성요소의 간섭 없이 유기적으로 진행되려면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필요하다.
도 3은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장약 공급 장치(1000)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C)는 모터 구동부(40), 동력절환부(540) 및 이송모터(8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터 구동부(40)는 구동모터(400)를 구동시키고, 이송 구동부(80)는 이송모터(8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먼저, 제어부(C)가 모터 구동부(40)를 향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모터 구동부(40)가 구동모터(400)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고, 이로써 구동모터(400)는 각각의 그립퍼(200)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구동모터(400) 및 동력전달부(50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각각의 그립퍼축(300)은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C)는 동력절환부(540)를 향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장약을 파지하지 않는 그립퍼(200)에 연결된 그립퍼축(300)에 동력이 제공되는 것을 중단한다. 이로써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유지하는 그립퍼축(300)에 연결된 그립퍼(200)만이 장약을 파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C)가 이송 구동부(80)를 향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이송 구동부(80)가 이송모터(800)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고, 이로써 이송모터(800)의 동력을 전달받은 이송축(700)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송축(700)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트레이(600)는 Z축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장약 공급 장치(1000)가 장약적치대의 장약을 인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에서 장약을 인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인출 과정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에 구동모터(400), 제1 내지 제3 기어(510,520,530) 및 기타 구성요소들이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400)에 직접 연결된 그립퍼(200)만이 독립적으로 개폐되어 장약(10)을 파지한다.
다음으로,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의 그립퍼(200)가 새로이 파지할 수 있도록 이송축(700)에 나사 결합된 트레이(600)가 트레이(600)의 일면에 장약(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소정의 다른 그립퍼(200)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후, 장약(10)을 운반했던 트레이(600)는 처음에 장약을 파지하던 그립퍼(200)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Z축 방향으로 장약들이 적층되어 있는 장약적치대 컬럼(L) 중 한 칸에 잔량의 장약(20)이 남아 있다. 일례로, 장약적치대 컬럼(L)은 6개의 장약이 칸막이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어 저장된다. 전술한 도 4b 및 4c의 단계에서 기존 장약(10)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 그립퍼(200), 즉 구동모터(400)에 직접 연결된 그립퍼(200)는 장약적치대 컬럼(L)으로부터 상기의 잔량의 장약(20)을 새로이 파지한다. 이로써 장약적치대 컬럼(L)에 잔량의 장약(20)이 계속 남지 않아 장약적치대의 모든 장약을 자동으로 소진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비교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1000´)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1000)와 마찬가지로 축 방향으로 장약들이 적층되어 있는 장약적치대 컬럼(L)을 복수 개 구비하고 있다. 이때, 장약(10´)을 발포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 그립퍼(200´)가 3~6개의 장약(10´)을 상기의 장약적치대 컬럼(L)으로부터 동시에 인출하게 된다. 만일 1회에 어느 장약적치대 컬럼(L)으로부터 3개의 장약(10´)이 인출된 경우, 해당 장약적치대 컬럼(L)에는 인출되지 않은 3개의 장약(10´)이 남게 된다. 이후 6개의 장약(10´)이 인출되어야 한다면, 전술한 장약(10´)의 3개의 잔량은 인출되지 못하고, 다른 장약적치대 컬럼(L)으로 이동하여 6개의 장약(10´)을 한꺼번에 인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각각의 장약적치대 컬럼(L)마다 장약(10´)의 잔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잔량은 추후 인력에 의해 별도로 수거된다. 따라서, 장약(10´)을 발포 위치로 이송하는 데에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이 투입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는 자주포 사격의 자동화 및 신속화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전술한 비교예(1000´)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장약 공급 장치(1000)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공급 장치(1000)는 장약을 잔량 없이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장약 공급 장치(1000)는 장약의 인출을 자동화함으로써 신속하게 장약을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장약 공급 장치(1000)는 장약적치대로부터 원하는 개수의 장약을 인출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0: 장약 공급 장치 1000´: 비교예
100: 프레임 200: 그립퍼
300: 그립퍼축 400: 구동모터
500: 동력전달부 540: 동력절환부
600: 트레이 700: 이송축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설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그립퍼들;
    일단이 상기 각각의 그립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그립퍼축들;
    상기 그립퍼들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그립퍼축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각각의 그립퍼축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그립퍼축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복수 개의 동력절환부들;
    상기 프레임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그립퍼들을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트레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 형태의 이송축;
    상기 이송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이송모터;
    상기 이송축과 나사 결합하여 상기 이송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트레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결합부; 및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각각의 동력절환부를 제어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각각의 그립퍼의 개폐 구동을 수행하고, 상기 이송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트레이의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약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그립퍼축들 중의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그립퍼축들 중의 나머지 그립퍼축들의 각각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기어들; 및
    제1 기어와 제1 기어에 인접한 제2 기어의 사이와, 인접한 제2 기어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제3 기어들;을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그립퍼들 중의 하나로 장약을 이송하는 장약 공급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78717A 2014-12-11 2014-12-11 장약 공급 장치 KR10200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717A KR102009480B1 (ko) 2014-12-11 2014-12-11 장약 공급 장치
US14/939,233 US9919431B2 (en) 2014-12-11 2015-11-12 Charge feeding system and charge gripp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717A KR102009480B1 (ko) 2014-12-11 2014-12-11 장약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234A KR20160071234A (ko) 2016-06-21
KR102009480B1 true KR102009480B1 (ko) 2019-10-21

Family

ID=5611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717A KR102009480B1 (ko) 2014-12-11 2014-12-11 장약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19431B2 (ko)
KR (1) KR102009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9234B2 (en) * 2017-09-11 2019-09-03 Applied Robotics, Inc. Self-locking rotary handwheel assembly for a robotic parallel gripper assembly
CN108145732B (zh) * 2017-12-25 2021-07-02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调式夹持移动机械手
CN108098803B (zh) * 2017-12-25 2021-07-06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多规格夹持装置
CN110562740A (zh) * 2019-10-10 2019-12-13 苏州铁近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轴承防尘盖上料装置
KR102401098B1 (ko) * 2020-10-05 2022-05-23 국방과학연구소 단위 장약 자동 적재 및 이송 시스템
CN112775926A (zh) * 2020-12-25 2021-05-11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攀梯机构的三轴夹取搬运机器人
CN113734669B (zh) * 2021-08-04 2022-11-15 苏州艾斯达克智能科技有限公司 双机械手半导体智能仓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5106A1 (en) * 2003-02-13 2004-12-30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Lift truck for tires with mechanical means of gripping and transporting a vertically divided load for better visi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2065A (en) * 1955-07-08 1957-02-19 Shell Dev Co Material handling mechanism for lift trucks
US2978126A (en) * 1957-08-19 1961-04-04 Dempster Brothers Inc Transporting and dumping equipment
JPH0616312Y2 (ja) 1986-04-24 1994-04-27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弾薬ホルダ
US5292219A (en) * 1990-02-23 1994-03-08 Auramo Cargo Systems Oy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handling of loads
FR2702551B1 (fr) 1993-03-12 1995-05-12 Giat Ind Sa Système de stockage et d'alimentation de charges propulsives destinées à être introduites dans la chambre du canon d'une arme de moyen ou de gros calibre d'un véhicule blindé.
US5823737A (en) * 1995-10-31 1998-10-20 Lucent Technologies Probemat handler
US6328520B1 (en) * 1998-08-10 2001-12-11 Thomas B. Maclay Vehicle mounted large bale loading, transporting and unloading system
KR100702939B1 (ko) 2000-06-01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포탄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탄 이송 방법
KR100651795B1 (ko) 2000-09-07 2006-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포탄 운반 차량
US20060056947A1 (en) * 2004-09-13 2006-03-16 Posly Louis M Water bottle lifting, rotating, and moun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5106A1 (en) * 2003-02-13 2004-12-30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Lift truck for tires with mechanical means of gripping and transporting a vertically divided load for better visi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19431B2 (en) 2018-03-20
US20160167878A1 (en) 2016-06-16
KR20160071234A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480B1 (ko) 장약 공급 장치
JP2018079930A (ja) 無人機のドック及びその電池交換装置
CN107132736B (zh) 一种显影盒的传动装置以及显影盒
JP6581601B2 (ja) ペイロード射出システム
CN103807398A (zh) 一种复合式运动机构
KR101380918B1 (ko) 볼트 공급장치
CN106225554A (zh) 一种迫击炮自动输弹装置
US3021762A (en) Device for feeding rounds of ammunition from a magazine to the ramming position of a gun
JP2019162695A (ja) 物品移載装置
US20190176347A1 (en) Conveyance device
JP5933196B2 (ja) 爆発雷管のための電子プログラミングシステム
KR20110133446A (ko) 양탄기
US9383150B2 (en) Charge feeding apparatus
CN103528451B (zh) 一种灭雷炸弹自动输弹机
KR102142194B1 (ko) 화물 이송용 셔틀
KR101809745B1 (ko) 크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CN110170819A (zh) 一种用于射孔弹装配的自动上下料装置
US20140326099A1 (en) Driving mechanism
CN103386518A (zh) 螺母制造用攻丝装置
KR100430056B1 (ko) 자동 탄 이송장치
CN203615842U (zh) 一种灭雷炸弹自动输弹机
JP2020037468A (ja) 搬送装置
US20210033374A1 (en) Anti-backlash mechanism
RU2013140414A (ru)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установки детали в требуемой ориентации, и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робот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указанной системы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CN107571247A (zh) 一种两自由度转动解耦并联机器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