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719B1 -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719B1
KR102008719B1 KR1020190052670A KR20190052670A KR102008719B1 KR 102008719 B1 KR102008719 B1 KR 102008719B1 KR 1020190052670 A KR1020190052670 A KR 1020190052670A KR 20190052670 A KR20190052670 A KR 20190052670A KR 102008719 B1 KR102008719 B1 KR 10200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tainer
fixing
loading
cylinde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호 filed Critical 정민호
Priority to KR102019005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2Weigh pans or other weighing receptacles; Weigh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4Guides or linkages for ensuring parallel motion of the weigh-p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8Frames,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6Means for damping oscillations, e.g. of weigh b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재프레임 상부에 적재되어 일측의 지지부재와 타측의 고임부재에 의해 저울시스템 정중앙에 위치하는 가스용기; 및 가스용기가 정중앙에 적재되어 가스용기에 내장된 냉매가스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 및 가스용기가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시 가스용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부재와 고임부재를 이용해 저울시스템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측정수단 상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고정수단; 및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무게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측정수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Slide loading type weighing beam system}
본 발명은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가스가 내장된 가스용기를 저울에 슬라이드 적재시킴으로 저울의 정 중앙에 안전하게 위치하고 고정되도록 함으로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저울은 물체가 중력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물체의 하중을 측정하는 장치로써, 외력에 비례하여 그 외형이 변화하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하는 것으로 무게가 측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존의 전자저울의 경우 물체가 저울의 정 중앙 위치에 놓여야만 정확한 무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물체가 저울에서 움직이거나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정확한 무게가 측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자저울은 저울 중심부에 물건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갖춰지지 않아 물건을 계량할 경우 측정자의 임의대로 대략적인 중심부에 위치시킴으로 정확한 무게 측정보단 대략적인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만 이루어짐으로 정확한 무게를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측정 시 측정할 물건이 액체 또는 유동성을 갖는 물건의 경우 흔들림에 의해 무게의 변화 폭이 커져 정확하게 측정하기에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무게를 측정하고 있어야 하는 장치의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저울이 움직이거나 충격에 의해 측정값이 변화되거나, 저울의 영점이 변화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37097
본 발명은 냉매가스가 내장된 가스용기가 저울에 적재되어 냉매가스의 충전 및 소분 시 변화되는 무게를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냉매가스가 내장된 가스용기가 저울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저울 중앙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된 가스용기적재수단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정중앙에 위치된 가스용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일측과 타측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양측에 가스용기를 밀착 고정시켜주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지진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움직임 발생시 저울 내에서 가스용기 측으로 충격 또는 진동이 감쇄될 수 있는 충격흡수패드의 구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가스용기의 적재시 저울시스템에 충격을 가하지 않고 적재되도록 하는 승하강실린더 구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은, 적재프레임 상부에 적재되어 일측의 지지부재와 타측의 고임부재에 의해 저울시스템 정중앙에 위치하는 가스용기; 및 가스용기가 정중앙에 적재되어 가스용기에 내장된 냉매가스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 및 가스용기가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시 가스용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부재와 고임부재를 이용해 저울시스템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측정수단 상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고정수단; 및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무게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측정수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수단은, 하부플레이트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 하부 각 모서리에 저울시스템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레이트스토퍼; 저울시스템을 이동시키기 위해 하부플레이트에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이송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가스용기적재부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적재프레임 중앙에 형성되는 적재부슬라이드홈; 상기 적재프레임 일측에 제1고정부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부슬라이드홈; 상기 적재프레임 타측에 제2고정부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부슬라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 형성되는 가스용기적재부; 상기 제1고정부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 형성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가스용기적재부는, 가스용기 적재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가스용기의 슬라이드 이동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패드부착판 상측으로 형성되는 완충패드; 상기 완충패드 하측으로 가스용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패드부착판; 적재된 가스용기를 정중앙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적재부슬라이드홈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하며, 제1고정부는, 가스용기적재부에 적재된 가스용기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가스용기와 밀착되도록 적재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제1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제1고정부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1실린더고정바; 상기 제1실린더고정바와 결합되어 제1고정부재를 가스용기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키기 위해 적재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는, 가스용기적재부에 적재된 가스용기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가스용기와 밀착되도록 적재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 제2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제2고정부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재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2실린더고정바; 상기 제2실린더고정바와 결합되어 제2고정부재를 가스용기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키기 위해 적재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가스용기가 가스용기적재부에서 완전히 이탈되도록 상부플레이트 중앙 양측으로 형성된 승하강실린더를 포함하며, 저울시스템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적재프레임과 상부플레이트 사이에서 프레임고정편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충격흡수패드; 상기 가스용기적재부의 정중앙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적재프레임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표시수단은, 하부플레이트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정면으로 무게값을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무게표시패널; 상기 상태표시수단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해 케이스 정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원부; 상태표시수단의 온오프 상태와 위치센서의 감지시 소리 또는 점멸 상태로 알려주도록 케이스 일측으로 형성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가스용기가 저울에 적재되어 냉매가스의 충전 및 소분시 변화되는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가스용기가 저울에 안착시 가스용기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양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에 의해 정중앙에 위치된 가스용기를 밀착 고정시켜줌으로 움직임 없이 무게를 측정함으로 정확한 무게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진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이 충격흡수패드에 의해 감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승하강실린더를 통해 가스용기의 적재시 저울시스템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울시스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가스용기의 적재 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울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조립 상태도이다.
도 6은 가스용기적재부에 대한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울시스템의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10)은, 가스용기(100) 및 측정수단(200) 및 고정수단(300) 및 상태표시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용기(100)는, 외부로부터 냉매가스를 충전시켜 보관하거나, 보관된 냉매가스를 외부로 소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가스용기(100) 일측으로는 냉매가스를 충전하기 위해 형성된 가스주입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용기(100) 내부에 충전된 냉매가스를 외부로 소분시키기 위해 가스용기(100) 일측, 즉 가스주입부(110) 하측 방향으로 가스배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측정수단(200)은, 저울시스템(10)에 적재되어 냉매가스를 내장한 가스용기(1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수단(300)에 가스용기(100) 적재시 상태표시수단(400)을 통한 적재 완료신호에 따라 냉매가스의 무게 또는 무게에 따른 냉매가스의 양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스용기(100)에 내장된 냉매가스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수단(200)은 초기 무게를 측정하며, 냉매가스의 소분 완료시 무게를 측정하여 소분된 냉매가스의 무게 또는 무게를 환산한 냉매가스의 양을 측정한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측정수단(20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의 고정수단(300)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측정수단(200)에 볼트 또는 용접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 또는 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적재되는 가스용기(100)가 흔들리지 않고, 저울시스템(10)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수단(300)의 지지부재(311)가 가스용기(100)의 일측을 받쳐주고, 타측으로 가스용기(100)가 이동되지 않도록 가스용기(100)의 타측을 고임부재(312)가 밀착시켜 고정시킴으로 가스용기(100)가 고정된다.
상기 상태표시수단(400)은 고정수단(300)에 적재된 가스용기(100)의 무게와 가스용기(100) 내부에 내장된 냉매가스의 무게와 가스용기(100)에 내장된 냉매가스의 소분시 소분된 냉매가스의 무게가 측정수단(200)에 의해 측정시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측정수단(200) 일측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대한 가스용기(100)의 적재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측정수단(200)은 상부플레이트(210), 하부플레이트(220), 플레이트스토퍼(230), 플레이트이송바퀴(2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10)는, 상면으로 가스용기(100)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한 쌍의 고정수단(30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10)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수단(300)은 프레임고정편(313)에 의해 볼트를 통합 결합 또는 용접을 통한 접합으로 설치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20)는, 상부플레이트(210) 하측으로 결합형성되며, 고정수단(300)에 적재되는 가스용기(100)에 의해 상부플레이트(210)가 하부플레이트(220) 측으로 눌려 짐으로 무게가 측정된다.
여기서,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전자저울에 사용되는 구성 방식으로 형성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플레이트스토퍼(230)는 저울시스템(10)이 지면에 고정되어 무게 측정시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기 위함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저울시스템(10)을 이동시키며 이동이 완료된 위치에서 플레이트스토퍼(230)를 회전시켜 지면 측과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트스토퍼(230)는 하부플레이트(220) 하면에 복수개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하부플레이트(220) 하면 각 모서리에 형성시킨다.
상기 플레이트이송바퀴(240)는 저울시스템(10)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부플레이트(220) 하면에 복수개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트스토퍼(230) 일측방향에 각각 형성시킨다.
따라서, 저울시스템(10)은 플레이트이송바퀴(240)에 의해 작업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이 완료된 위치에서 플레이트스토퍼(230)를 회전시킴으로 지면과 고정되도록 하여 저울시스템(1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태표시수단(400)은, 지지프레임(410), 케이스(420), 무게표시패널(430), 전원부(440), 알람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측정수단(200) 일측,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플레이트(220) 일측으로 결합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일측으로 케이스(420)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420)는 측정되는 수치값을 나타내주며, 가스용기(100)의 정중앙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420)는 지지프레임(410)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내부의 측정에 대한 제어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무게표시패널(430)은 작업자에게 현재 측정된 무게값 즉, 냉매가스의 무게 또는 냉매가스의 양 중 어느 하나의 표시를 수치로 표시해준다.
냉매가스의 무게 또는 냉매가스의 양은 작업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전원부(440)는 저울시스템(10)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케이스(420)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알람부(450)는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점멸 등의 빛으로 작업자에게 알려주며, 위치센서(370)에 의해 센싱되는 가스용기적재부(330)의 위치가 정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소리를 통해 알려주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울시스템(1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구성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대한 구성간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10)은, 고정수단(300)은 적재부슬라이드홈(320), 제1고정부슬라이드홈(321), 제2고정부슬라이드홈(322), 가스용기적재부(330), 제1고정부(340), 제2고정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슬라이드홈(320)은, 한 쌍으로 형성된 고정수단(300) 더욱 상세히는 적재프레임(310) 상부 중앙에 형성된다.
적재프레임(310)에 형성된 적재부슬라이드홈(320)은 가스용기적재부(330)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적은 힘에도 가스용기(100)가 적재부슬라이드홈(320)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적재부슬라이드홈(320)을 따라 이동되는 가스용기적재부(330)는 복수의 롤러가 형성된 레일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방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상기 제1고정부슬라이드홈(321)은, 한 쌍으로 형성된 고정수단(300) 더욱 상세히는 적재프레임(310) 상부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슬라이드홈(321)에는 제1고정부(340)가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 제1고정부(340)가 제1고정부슬라이드홈(321)을 따라 가스용기(10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슬라이드홈(322)은, 한 쌍으로 형성된 고정수단(300) 더욱 상세히는 적재프레임(310) 상부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슬라이드홈(322)에는 제2고정부(350)가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 제2고정부(350)가 제2고정부슬라이드홈(322)을 따라 가스용기(10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가스용기적재부(330)는 완충패드(331), 패드부착판(332), 슬라이드바(333)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패드(331)는, 가스용기(100)의 적재시 가스용기(100)가 가스용기적재부(33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가스용기(100)의 적재시 완충패드(331)가 일부 눌려짐으로 가스용기(100) 면에 완벽하게 밀착된다.
상기 완충패드(331)는, 가스용기(100)를 밀착시켜 고정해주는 것 뿐만아니라 외부의 지진으로 인한 진동 발생시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 가스용기적재부(330)에서 가스용기(100)가 흔들리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패드부착판(332)은, 완충패드(331)가 부착되는 판으로 완충패드(331)가 패드부착판(332) 상면에 접착제를 통합 접합 또는 볼트를 통한 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패드부착판(332)은 하측으로 슬라이드바(333)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바(333)는 적재부슬라이드홈(320)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가스용기적재부(330)가 이탈되지 않고 적재부슬라이드홈(320)을 따라서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고정부(340)는, 제1고정부재(341), 제1실린더고정바(342), 제1실린더(343)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재(341)는, 제1고정부(340)의 전진시 가스용기(100)와 밀착 형성되는 것으로, 가스용기(100)가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1고정부재(341)는 제1고정부슬라이드홈(321)을 따라 이동되며, 제1고정부재(341)는 제1실린더(343)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한다.
상기 제1실린더고정바(342)는 제1고정부재(341)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고정부슬라이드홈(321)에 삽입되어 제1실린더(343)의 작동시 제1고정부슬라이드홈(321)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1실린더고정바(342)는 제1실린더(343)와 나사결합 되거나, 제1실린더(343)의 축이 제1실린더고정바(342)를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1실린더(343)는 적재프레임(3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된다. 제1실린더(343)는 적재프레임(310)에 볼트를 이용한 결합 또는 용접을 통한 접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린더(343)는 적재프레임(310) 일측을 기준으로 가스용기(100) 측으로 제1고정부재(341)를 이동시켜 밀착 형성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2고정부(350)는 제2고정부(350)는, 제2고정부재(351), 제2실린더고정바(352), 제2실린더(353)를 포함한다.
제2고정부재(351)는, 제2고정부(350)의 전진시 가스용기(100)와 밀착 형성되는 것으로, 가스용기(100)가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고정부재(351)는 제2고정부슬라이드홈(322)을 따라 이동되며, 제2고정부재(351)는 제2실린더(353)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한다.
상기 제2실린더고정바(352)는 제2고정부재(351)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고정부슬라이드홈(322)에 삽입되어 제2실린더(353)의 작동시 제2고정부슬라이드홈(322)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2실린더고정바(352)는 제2실린더(353)와 나사결합 되거나, 제2실린더(353)의 축이 제2실린더고정바(352)를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2실린더(353)는 적재프레임(3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된다. 제2실린더(353)는 적재프레임(310)에 볼트를 이용한 결합 또는 용접을 통한 접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2실린더(353)는 적재프레임(310) 일측을 기준으로 가스용기(100) 측으로 제2고정부재(351)를 이동시켜 밀착 형성한다.
도 3,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10)은, 충격흡수패드(360), 위치센서(370), 승하강실린더(380)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흡수패드(36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방진효과가 높은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충격흡수패드(360)는 적재프레임(310)과 상부플레이트(2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지진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가스용기(100)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위치센서(370)는 가스용기적재부(330)가 정중앙에 위치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용기적재부(330)에 가스용기(100) 적재시 적재되는 위치가 정중앙에 위치할 때 위치센서(370)의 센싱으로 알람부(450) 측으로 신호를 보내 가스용기(100)의 위치를 알려준다.
여기서, 알람부(450)에서 소리를 통한 알람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가스용기(100)는 정중앙에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제1고정부(340)와 제2고정부(350)의 작동으로 가스용기적재부(330)를 정중앙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위치센서(370)의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380)는 가스용기를 저울시스템(10)에 적재시 이동수단에 의해 가스용기를 이동시켜 가스용기적재부(330)에 적재시킬 때, 저울시스템(10)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저울시스템(10) 중앙 양측으로형성되며, 승하강실린더(380)이 작동하여 승강된 상태로 유지시 가스용기가 적재되며, 승하강실린더(380)의 하강으로 가스용기적재부(330)에 안착된다. 따라서, 가스용기적재부(330)에 바로 적재시 저울시스템(10) 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스용기적재부(330)에 대한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스용기적재부(330)가 (A)와 같이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는 위치센서(370)가 가스용기적재부(330)의 슬라이드바(333)를 센싱하지 않아 알람부(450)를 통한 알림이 확인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측정수단(200)을 통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가스용기적재부(330)가(B)와 같이 정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센서(370)가 가스용기적재부(330)의 슬라이드바(333)를 센싱함으로 알람부(450)를 통한 알림이 이루어지고, 측정수단(200)을 통한 측정이 이루어진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1고정부(340)와 제2고정부(350)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스용기적재부(330)가 정중앙에 위치할 때,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고정부(340)의 제1실린더(343)가 작동하여 제1실린더고정바(342)를 밀어 줌으로 제1실린더고정바(342)는 제1고정부슬라이드홈(321)을 따라 가스용기(100) 측으로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제2고정부(350)의 제2실린더(353)가 작동하여 제2실린더고정바(352)를 밀어 줌으로 제2실린더고정바(352)는 제2고정부슬라이드홈(322)을 따라 가스용기(100) 측으로 이동된다.
도 7은 제1고정부(340)와 제2고정부(350)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를 참조하면,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고정부(340)가 먼저 작동하고,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후 제2고정부(350)가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7과 같이 제1고정부(340)와 제2고정부(350)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제1고정부(340) 이동 후 제2고정부(350)가 이동하도록 시간 차를 두고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가스용기(100)가 정중앙에 위치 하지 않는 경우, 제1고정부(340)만 작동하거나, 제2고정부(350)만 작동하여 가스용기(100)가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작동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저울 시스템
100 : 가스용기 110 : 가스주입부
120 : 가스배출부
200 : 측정수단 210 : 상부플레이트
220 : 하부플레이트 230 : 플레이트스토퍼
240 : 플레이트이송바퀴
300 : 고정수단 310 : 적재프레임
311 : 지지부재 312 : 고임부재
313 : 프레임고정편 320 : 적재부슬라이드홈
321 : 제1고정부슬라이드홈 322 : 제2고정부슬라이드홈
330 : 가스용기적재부 331 : 완충패드
332 : 패드부착판 333 : 슬라이드바
340 : 제1고정부 341 : 제1고정부재
342 : 제1실린더고정바 343 : 제1실린더
350 : 제2고정부 351 : 제2고정부재
352 : 제2실린더고정바 353 : 제2실린더
360 : 충격흡수패드 370 : 위치센서
380 : 승하강실린더
400 : 상태표시수단 410 : 지지프레임
420 : 케이스 430 : 무게표시패널
440 : 전원부 450 : 알람부

Claims (2)

  1. 적재프레임 상부에 적재되어 일측의 지지부재와 타측의 고임부재에 의해 저울시스템 정중앙에 위치하는 가스용기; 및
    가스용기가 정중앙에 적재되어 가스용기에 내장된 냉매가스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 및
    가스용기가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시 가스용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부재와 고임부재를 이용해 저울시스템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측정수단 상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고정수단; 및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무게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측정수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수단은, 하부플레이트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 하부 각 모서리에 저울시스템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레이트스토퍼; 저울시스템을 이동시키기 위해 하부플레이트에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이송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가스용기적재부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적재프레임 중앙에 형성되는 적재부슬라이드홈; 상기 적재프레임 일측에 제1고정부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부슬라이드홈; 상기 적재프레임 타측에 제2고정부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부슬라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 형성되는 가스용기적재부;
    상기 제1고정부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 형성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가스용기적재부는, 가스용기 적재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가스용기의 슬라이드 이동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패드부착판 상측으로 형성되는 완충패드; 상기 완충패드 하측으로 가스용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패드부착판; 적재된 가스용기를 정중앙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적재부슬라이드홈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하며,
    제1고정부는, 가스용기적재부에 적재된 가스용기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가스용기와 밀착되도록 적재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제1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제1고정부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1실린더고정바; 상기 제1실린더고정바와 결합되어 제1고정부재를 가스용기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키기 위해 적재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는, 가스용기적재부에 적재된 가스용기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가스용기와 밀착되도록 적재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 제2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제2고정부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재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2실린더고정바; 상기 제2실린더고정바와 결합되어 제2고정부재를 가스용기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키기 위해 적재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가스용기가 가스용기적재부에서 완전히 이탈되도록 상부플레이트 중앙 양측으로 형성된 승하강실린더를 포함하며,
    저울시스템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적재프레임과 상부플레이트 사이에서 프레임고정편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충격흡수패드; 상기 가스용기적재부의 정중앙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적재프레임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표시수단은, 하부플레이트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정면으로 무게값을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무게표시패널; 상기 상태표시수단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해 케이스 정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원부; 상태표시수단의 온오프 상태와 위치센서의 감지시 소리 또는 점멸 상태로 알려주도록 케이스 일측으로 형성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2. 삭제
KR1020190052670A 2019-05-06 2019-05-06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KR10200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70A KR102008719B1 (ko) 2019-05-06 2019-05-06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70A KR102008719B1 (ko) 2019-05-06 2019-05-06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719B1 true KR102008719B1 (ko) 2019-08-08

Family

ID=6761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670A KR102008719B1 (ko) 2019-05-06 2019-05-06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7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809A (ja) * 1999-08-02 2001-02-16 Osaka Taiyuu:Kk 計量手段及び反転手段を具えたリフト
JP2006175961A (ja) * 2004-12-21 2006-07-06 Denso Facilities Corp 円筒状重量物支持装置
KR101137097B1 (ko) 2009-11-30 2012-04-20 박성순 저울
KR101397099B1 (ko) * 2012-10-12 2014-05-19 주식회사 카스이앤씨 이동형 리프트저울
KR20180016824A (ko) * 2016-08-08 2018-02-20 주식회사 그린스케일 라인 겸용 이동식 전자저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809A (ja) * 1999-08-02 2001-02-16 Osaka Taiyuu:Kk 計量手段及び反転手段を具えたリフト
JP2006175961A (ja) * 2004-12-21 2006-07-06 Denso Facilities Corp 円筒状重量物支持装置
KR101137097B1 (ko) 2009-11-30 2012-04-20 박성순 저울
KR101397099B1 (ko) * 2012-10-12 2014-05-19 주식회사 카스이앤씨 이동형 리프트저울
KR20180016824A (ko) * 2016-08-08 2018-02-20 주식회사 그린스케일 라인 겸용 이동식 전자저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37015C2 (nl) Hefinrichting en hefvoertuig.
AU2004212123C1 (en) Dimensioning system and method of dimensioning
US20120061150A1 (en) Rotary Carousel Scale
US3883021A (en) Fork level indicator for a lift truck
CN103038121A (zh) 手动起重搬运车
KR102008719B1 (ko)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KR101903350B1 (ko) 충격흡수부재의 충격흡수율 측정장비
JP5989367B2 (ja) 重心高さ測定装置
JP5571114B2 (ja) 荷重校正装置
KR101521587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이동대차
KR100825986B1 (ko) 저울이 부설된 수레
CA2714538A1 (en) Rotary carousel scale
CN112729502A (zh) 一种具有稳定装置的地磅及其稳定称重方法
US20210354967A1 (en) Weighing system for a working platform of an aerial lift having a mast
JP3968002B2 (ja) 電子秤用分銅セット
JPH05170303A (ja) 棚荷役装置
JP2000346723A (ja) ロードセル
CN109131464A (zh) 一种高效的车间货物搬运装置
JP2013011486A (ja) 低床台秤
JP2659871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重検出装置
US20050072010A1 (en) Forklift mast position indicator
CN220772333U (zh) 出货防差错称重台
KR101666166B1 (ko) 면진구조가 적용된 화물 적치대
CN221037647U (zh) 一种地磅减震装置
CN220751362U (zh) 散料秤用配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