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097B1 - 저울 - Google Patents

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097B1
KR101137097B1 KR1020090116552A KR20090116552A KR101137097B1 KR 101137097 B1 KR101137097 B1 KR 101137097B1 KR 1020090116552 A KR1020090116552 A KR 1020090116552A KR 20090116552 A KR20090116552 A KR 20090116552A KR 101137097 B1 KR101137097 B1 KR 101137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allet
side bar
cent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075A (ko
Inventor
박성순
Original Assignee
박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순 filed Critical 박성순
Priority to KR102009011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0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8Frames,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일측 및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계량물이 안착된 파렛트를 리프트의 포크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리프트의 포크부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피계량물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를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보다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저울에 관한 것이다.
몸체, 무게측정센서, 표시부

Description

저울{WEIGHING MACHINE}
본 발명은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피계량물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저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저울은 피계량물체가 중력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피계량물체의 하중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외력에 비례하여 그 외형이 변화하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한다.
상기 전자저울은 대게, 복수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프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의 스토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셀의 상단부는 상부플레이트의 중심부를 지지하고, 상기 로드셀에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외형이 변화되어 그 저항치가 가변되는 스트레게이지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플레이트에 하중 특정대상이 되는 피계량물체가 안착될 경우 상기 로드 셀은 외형이 변회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드셀에 설치된 스트레인게이지의 외형 또한, 변화된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도선에 의해 컨트롤박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에는 상기 컨트롤박스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치가 가변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며, 변화된 전압 또는 전류의 양에 기초하여 피계량물체의 하중을 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저울은 피계량물체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심부인 정위치에 놓이지 않고, 중심부로부터 측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놓이는 경우에는 편심거리와 피계량물체의 하중의 적으로 계산되는 모멘트에 의해 로드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정위치에 놓인 경우와는 달라지게 됨으로써, 상기 피계량물체의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피계량물체가 놓여지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기 피계량물체가 놓여진 상부플레이트에 의해 중력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며, 상기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외형의 변화에 의해 그 저항치가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분력 센서를 구비한 복수의 수직분력로드셀; 각각의 상기 수직분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직분력브리지회로; 및 상기 브리지회로 내의 소정 위치에서 출력된 수직분력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피계량물에의 하중을 산출하는 하중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국내 공개특허공 보 제10-2002-0063454호)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저울의 베이스플레이트의 후측이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피계량물체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피계량물체를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안착시킨 후 측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피계량물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저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프트의 포크부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리프트의 포크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계량물이 안착된 파렛트가 올려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에 올려진 파렛트에 안착된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와; 상기 무게측정센서가 측정한 피계량물의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후측바와; 상기 후측바의 일단부에 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바와; 상기 일측바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후측바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바와; 상기 일측 및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바의 전단부 중심에 전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중심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안내공간은 상기 일측바와 상기 중 심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안내공간은 상기 중심바와 상기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몸체의 후측바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일측바 와 타측바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몸체의 일측 및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계량물이 안착된 파렛트를 리프트의 포크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리프트의 포크부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피계량물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를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보다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가 후측바, 일측바, 타측바 및 중심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안내공간은 상기 일측바와 상기 중심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안내공간은 상기 중심바와 상기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를 지게차 등 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보다 더욱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무게측정센서가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이 상기 몸체의 후측바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일측바와 타측바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이 상부면의 중심부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파렛트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올려지더라도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저울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체(10)의 저면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저울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무게측정센서(30) 및 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상부면에 리프트(도 4의 8)의 포크부(도 4의 8a)를 따라 이동하는 피계량물(도 3의 9)이 안착된 파렛트(7)가 올려지는 것이다.
상기 몸체(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리프트(8)로는 핸드파레트자키 등과 같은 수동형 리프트와 전동 리프트 등과 같은 전동형 리프트를 모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계량물(9)이란,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곡물포대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곡물 등을 의미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무게측정센서(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에 올려진 파렛트(7)에 안착된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무게측정센서(30)가 측정한 피계량물(9)의 무게를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숫자 또는 한글 등으로 LED 표시창(미도시) 등에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표시부(50)에 관한 사항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 바(110), 일측바(130), 타측바(150) 및 중심바(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후측바(1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단부 및 후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바(13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바(110)의 일단부에 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 및 타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바(15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바(13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후측바(11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 및 타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바(17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바(130, 1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바(110)의 전단부 중심에 전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 및 타다눕가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안내공간(10a)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바(130)와 상기 중심바(17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안내공간(10b)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바(170)와 상기 타측바(15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가 상기 후측바(110), 일측바(130), 타측바(150) 및 중 심바(170)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가 후측바(110), 일측바(130), 타측바(150) 및 중심바(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안내공간(10a)은 상기 일측바(130)와 상기 중심바(17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안내공간(10b)은 상기 중심바(170)와 상기 타측바(15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9)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7)를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보다 더욱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파렛트(7)의 상부면에 피계량물(9)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파렛트(7)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착판(7a), 수직판(7b) 및 삽입구(7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판(7a)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피계량물(9)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판(7b)은 상기 안착판(7a)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7c)는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가 전후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에서도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착판(7a)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수직판(7b)의 중심부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센서(30)는 무게를 받을 경우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 변형이 됨과 동시에 변형량을 디지털신호로 바꾸는 공지된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로드셀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후측바(110)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무와, 상기 일측바(130)와 타측바(150)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170)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무게측정센서(30)가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이 상기 몸체(10)의 후측바(110)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일측바(130)와 타측바(150)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170)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9)이 상부면의 중심부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파렛트(7)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올려지더라도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파렛트(7)가 몸체(1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파렛트(7)의 안착판(7a)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의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를 후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가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렛트(7)의 삽입구(7c)에 삽입되어 상기 파렛트(7)의 안착판(7a)의 저면이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의 상부면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파렛트(7)의 안착판(7a)의 저면이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의 상부면에 안착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리프트(8)를 도 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방향 즉, 상기 몸체(10)의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가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으로 인입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파렛트(7)의 수직판(7b)의 저면이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안착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파렛트(7)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올려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부면에 피계량물(9)이 안착된 파렛트(7)가 몸체(10)의 상부면에 올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파렛트(7)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올려진 경우 사용자는 상기 리 프트(8)를 전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파렛트(7)의 안착판(7a)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의 일측 및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기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9)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7)를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피계량물(9)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7)를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보다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저울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체의 저면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3은 파렛트의 상부면에 피계량물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파렛트가 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상부면에 피계량물이 안착된 파렛트가 몸체의 상부면에 올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 파렛트, 7a; 안착판,
7b; 수직판, 7c; 삽입구,
8; 리프트, 8a; 포크부,
9; 피계량물, 10; 몸체,
10a; 일측 안내공간, 10b; 타측 안내공간,
110; 후측바, 130; 일측바,
150; 타측바, 170; 중심바,
30; 무게측정센서, 50; 표시부

Claims (3)

  1. 리프트의 포크부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리프트의 포크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계량물이 안착된 파렛트가 올려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에 올려진 파렛트에 안착된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와;
    상기 무게측정센서가 측정한 피계량물의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는 후측바와;
    상기 후측바의 일단부에 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바와;
    상기 일측바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후측바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바와;
    상기 일측 및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바의 전단부 중심에 전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중심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안내공간은 상기 일측바와 상기 중심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안내공간은 상기 중심바와 상기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몸체의 후측바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일측바 와 타측바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
  3. 삭제
KR1020090116552A 2009-11-30 2009-11-30 저울 KR101137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52A KR101137097B1 (ko) 2009-11-30 2009-11-30 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52A KR101137097B1 (ko) 2009-11-30 2009-11-30 저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75A KR20110060075A (ko) 2011-06-08
KR101137097B1 true KR101137097B1 (ko) 2012-04-20

Family

ID=4439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552A KR101137097B1 (ko) 2009-11-30 2009-11-30 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719B1 (ko) 2019-05-06 2019-08-08 정민호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79Y1 (ko) * 2007-05-22 2008-08-21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파렛트 계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79Y1 (ko) * 2007-05-22 2008-08-21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파렛트 계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719B1 (ko) 2019-05-06 2019-08-08 정민호 슬라이드 적재식 저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75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1869B1 (en) Weight measuring apparatus for use as an input device of a game apparatus
US3910363A (en) Weighing device for fork lift truck
US7126065B2 (en) Weighing scale adapted for allowing a user to find an optical weighing position on the scale
KR101137097B1 (ko) 저울
EP1457768B1 (en) Barycentric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US6621015B2 (en) Electronic balance
US8383965B2 (en) Top-pan balance with an overload safety mechanism and a corner load sensor
EP1288636B1 (en) Electronic balance
KR101239354B1 (ko) 글로브박스 내의 기압변화 보정기능을 가지는 전자저울
JP5352385B2 (ja) 組合せ秤
WO2007143838A1 (en) Low profile load cell
JP2008101955A (ja) ロードセルおよび該ロードセルを備えた計量装置
JP2014109438A (ja) 起歪体、ロードセル、及び計量装置
KR100388940B1 (ko) 편심 및 경사에 의한 오차의 보상이 가능한 전자저울
KR20110066655A (ko) 중량 측정장치
CN2355311Y (zh) 叉车秤
KR20150063702A (ko) 각도 및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
JP2010139315A (ja) 電子平衡式はかり及び重量選別装置
KR200447459Y1 (ko) 접시형 전자저울
JP2013108792A (ja) ロードセル
JP6120606B2 (ja) 計量装置
JP5627267B2 (ja) 組合せ秤
CN213397322U (zh) 称重传感器及包含其的称重勺
JP3761392B2 (ja) ストッパー機構を有する荷重センサユニットからなる秤
JP5545638B2 (ja) 組合せ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