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702A - 각도 및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 - Google Patents

각도 및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702A
KR20150063702A KR1020130148376A KR20130148376A KR20150063702A KR 20150063702 A KR20150063702 A KR 20150063702A KR 1020130148376 A KR1020130148376 A KR 1020130148376A KR 20130148376 A KR20130148376 A KR 20130148376A KR 20150063702 A KR20150063702 A KR 2015006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weight
measured
load cell
meas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3014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702A/ko
Publication of KR2015006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70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01G3/1414Arrangements for correcting or for compensating for unwanted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02Means for correcting for obliquity of m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Forc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기준하중이 내장되고 상기 기준하중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 로드셀; 적재물이 적재되어 상기 적재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상단의 제2 로드셀; 및, 상기 기준하중의 측정된 무게와 원래 무게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무게측정 센서의 기울기에 의한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적재물의 측정된 무게에 상기 보정치로 보정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에 의하여, 2개의 로드셀을 상하 2단으로 구성하여 기울기 보정을 위한 기준하중의 측정과, 측정대상인 적재물의 무게 측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센서 또는 저울이 기울어지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보정절차 없이 바로 무게 측정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제고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 및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 { A weight sensor with ability of correcting errors occurred by its angle and height and a weight scale thereof }
본 발명은 로드셀의 각도 변화 또는 하중의 높이 편차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드셀(Load Cell)은 전자기계식 힘 변환기로서, 보통 하중 힘의 변환이 전기값으로 결정되도록 사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하중 유닛(weighing unit)의 표시 장치 상에서 판독하거나 또는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하중 유닛에서 측정된 값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형태로 전기값이 처리된다.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로드셀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에 근거한다[특허문헌 1].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드셀(1)은 가는(thin) 바(BAR) 형태의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2)를 가진다. 스트레인 게이지(3)는 로드셀(1)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고, 로드셀(1)의 체결을 위하여 본체(2)의 일측에 체결홈(4)이 형성된다. 체결홈(4)은 로드셀(1)을 구속하는 면 또는 구속면(8)에 볼트 등에 체결되어, 로드셀(1)이 구속면에 고정된다.
체결홈(4)이 구비된 일측의 본체(2) 하단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본체(2)의 중앙 하단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지지풋(5)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풋(5)은 구속면(8)과 밀착이 되고, 지지풋(5) 이외의 본체(2)의 나머지 부분(밑면)은 구속면(8)과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다.
또한, 지지풋(5)의 대각선 방향의 로드셀 본체(2)의 상단면에는 상단쪽으로 돌출되어 본체(2)의 중앙 상단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가압면(6)이 형성된다. 가압면(6)은 하중이 인가되어 하중의 무게 힘(W)을 받는 부분이다.
즉, 하중이 로드셀의 가압면(6)에 놓여지면 가압면(6)에는 하중에 의한 무게 힘(중력)(W)이 아래로 수직하게 받게 되고, 가압면(6)과 대각선에 위치하는 지지풋(5)에는 수직항력(N)이 위쪽으로 수직하게 작용한다. 즉, 서로 반대 방향인 한 쌍의 힘(무게 중력 W와 수직항력 N)이 평행하게 작용되고,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3)에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스트레인 게이지(3)는 상기 전단 응력을 감지함으로써 가압면(6)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드셀(1)은 기울기가 기울어진 구속면(8)에서 하중의 무게를 측정하는 경우, 기울어진 각도(θ) 만큼 하중이 로드셀(1)에 수직으로 가하는 무게 중력(W)의 크기가 줄어든다. 따라서 하중의 원래 무게에 비하여 적은 무게로 측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울기나 진동 등에 대한 보상값을 설정한 다음, 측정하려는 하중의 무게를 측정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2]. 그 일례로서,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전에 무게가 알려진 기준 하중(또는 샘플 하중)(7)을 로드셀(1)에 올려놓고 무게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무게와 원래의 알려진 무게와의 차이를 통해 보정값을 설정한다.
즉, 본 발명은 피측정물체(또는 하중)를 측정하기에 앞서 로드셀(1)의 초기상태(기울기나 진동 등)를 고려한 1차 측정이 수행되고, 이러한 1차 측정을 통해 로드셀(1)의 초기상태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한 다음, 실제 피측정물체를 측정한다. 이때의 측정을 2차 측정이라 하고 2차 측정시 계측된 하중을 상기 1차 측정을 통해 설정된 보정값에 따라 보상하여 주어 실제 피측정물체의 하중값을 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2차례에 걸친 측정을 해야하기 때문에 측정 절차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로드셀(1)을 이용하여 더 크고 무거운 하중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로드셀(1)을 2개 이상 이격하여 배치하고, 다수의 로드셀(1)의 가압면(6) 상에 측정 플레이트(9)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측정 플레이트(9) 위에 하중을 올려 놓고, 각 로드셀(1)에서 개별적으로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취합하여 하중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다수의 로드셀(1)은 평행하게 배치되어야 하고 구속면(8)에서 가압면(6)까지의 높이가 동일해야 한다. 만약 도 2(c)와 같이 그 높이가 동일하지 않으면, 로드셀(1)에 무게의 중력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하중의 무게 측정시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8845호 (2011.01.19.공고)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2003-0086444호 (2003.11.10.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하중을 내장한 로드셀과, 측정대상인 적재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 등 2개의 로드셀들을 상하 2단으로 구성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물이 적재되는 측정 플레이트와, 하중의 힘이 가해지는 로드셀의 가압면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게측정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기준하중이 내장되고 상기 기준하중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 로드셀; 적재물이 적재되어 상기 적재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상단의 제2 로드셀; 및, 상기 기준하중의 측정된 무게와 원래 무게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무게측정 센서의 기울기에 의한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적재물의 측정된 무게에 상기 보정치로 보정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측정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물의 측정된 무게에, 상기 기준하중의 측정 무게 대비 원래 무게의 비율을 곱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에 의하면, 2개의 로드셀을 상하 2단으로 구성하여 기울기 보정을 위한 기준하중의 측정과, 측정대상인 적재물의 무게 측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센서 또는 저울이 기울어지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보정절차 없이 바로 무게 측정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에 의하면, 로드셀의 가압면 부분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적재물의 하중이 어느 하나에 집중되지 않고 모든 로드셀에 고르게 분포함으로써, 스트레인 게이지의 파괴 또는 로드셀의 탄성 한계를 넘어서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로드셀의 구성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로드셀이 경사진 곳에서의 측정을 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의 기울기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의 무게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에 의한 무게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저울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저울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10)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10)는 2단의 로드셀(20,30) 및 제어회로(40)로 구성된다. 즉, 하단의 제1 로드셀(20)과 상단의 제2 로드셀(30)로 구성된다.
제1 로드셀(20)은 가는(thin) 바(BAR) 형태의 직육면체 형상의 제1 본체(21)를 가진다(원기둥 등의 형태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배치나 체결 상의 효율성을 생각할 때 바 형태의 직육면체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1 스트레인 게이지(22)는 제1 본체(21)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고, 제1 로드셀(20)의 체결을 위하여 제1 본체(21)의 일측(이하 좌측)에 제1 체결홈(23)이 형성된다.
제1 본체(21)의 좌측 하단에는 아래쪽으로 돌출 연장되어 제1 본체(21)의 중앙 하단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제1 지지풋(24)이 형성된다. 제1 지지풋(24) 내에도 제1 체결홈(23)이 연장되어 관통된다. 따라서 제1 지지풋(24)은 구속면(50)과 밀착이 되고, 제1 지지풋(24) 이외의 제1 본체(21)의 나머지 부분(밑면)은 구속면(50)과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다.
또한, 제1 지지풋(24)의 대각선 방향의 제1 로드셀 본체(21)의 상단면에는 기준하중(25)이 구비된다. 즉, 기준하중(25)은 제1 본체(21)의 다른 일측(또는 우측) 상단에 구비된다. 기준하중(25)은 사전에 하중 또는 무게가 알려진 것으로서, 로드셀(20,30)의 기울어짐에 의한 오차를 보정하는데 이용된다.
다음으로, 제2 로드셀(30)은 제1 로드셀(20)의 위에 포개되어 구성된다. 제2 로드셀(30)은 제1 로드셀(20)과 마찬가지로, 제2 본체(31), 제2 본체(31)의 중앙 부분에 구비된 제2 스트레인 게이지(32)로 구성된다.
또한, 제2 본체(31)의 좌측 하단에 제2 지지풋(34)이 돌출 연장되는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31)의 좌측 및 그 연장부인 제2 지지풋(34)을 관통하는 제2 체결홈(33)이 형성된다.
제2 체결홈(33)은 제1 체결홈(23)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 로드셀(20,30)이 포개지면 제1 및 제2 체결홈(23,33)은 일직선으로 관통된다. 즉, 제2 지지풋(34)은 제1 로드셀 본체(21)의 좌측 상단면에 놓이게 되고, 제1 및 제2 체결홈(23,33)은 일직선으로 관통된다. 따라서 하나의 볼트 등을 통해 제1 및 제2 체결홈(23,33)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로드셀(20,30)이 구속면(50)에 하나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 체결홈(23,33)이 형성된 제1 및 제2 로드셀(20,30)의 본체 좌측과, 그 연장부인 제1 및 제2 지지풋(24,34)은 결합된 하나의 일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풋(34)은 충분히 연장되게 구성되어, 제2 로드셀 본체(31)의 우측 하단면과, 제1 로드셀 본체(21)의 우측 상단면에 형성된 기준하중(25)과 소정의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제2 지지풋(34)의 대각선 방향의 제2 로드셀 본체(31)의 상단면(또는 우측 상단면)에는 상단쪽으로 돌출되어 제2 본체(31)의 중앙 상단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가압면(35)이 형성된다. 가압면(35)은 하중이 인가되어 하중의 무게 힘(W)을 받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제어회로(40)는 제1 및 제2 로드셀(20,30)로부터 측정된 무게를 입력받아 적재물의 최종 무게를 계산한다. 제1 로드셀(20)로부터 측정된 기준하중의 무게와 원래 무게를 이용하여 보정치를 계산하고, 구해진 보정치를 제2 로드셀(30)의 측정된 무게에 적용하여 보정한다. 제어회로(40)의 제어부는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전용 반도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적재물(W)이 제2 로드셀의 가압면(35)에 놓여지면 제2 로드셀(30)에서 상기 적재물(W)의 하중 또는 무게(W)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1 로드셀(20)은 로드셀에 내장된 기준하중(W0)을 측정한다. 기준하중의 측정된 무게(W0')와 원래 무게(W0) 사이의 오차를 계산하고, 상기 오차를 이용하여 적재물의 측정된 하중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적재물(W)이 제2 로드셀의 가압면(35)에 놓여지면 가압면(35)에는 하중에 의한 무게 힘(중력)(W)이 아래로 수직하게 받게 되고, 가압면(35)과 대각선에 위치하는 제2 지지풋(34)에는 수직항력(N)이 위쪽으로 수직하게 작용한다. 즉, 서로 반대 방향인 한 쌍의 힘(무게 중력 W와 수직항력 N)이 평행하게 작용되고, 이때 제2 스트레인 게이지(32)에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제2 스트레인 게이지(32)는 상기 전단 응력을 감지함으로써 가압면(35)에 가해지는 적재물의 하중 또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로드셀(20)에 내장된 기준하중(W0)이 제1 본체(21)의 우측 상단면을 아래로 수직하게 가압하고, 제1 지지풋(24)에는 수직항력(N0)이 위쪽으로 수직하게 작용한다. 즉, 기준하중(W0)에 해당하는 한쌍의 힘이 제1 스트레인 게이지(22)에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기준하중(W0)의 무게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10)에 구비되는 제어회로(40)의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10)의 제어회로(40)는 A/D컨버터부(41), 저장부(42), 제어부(43), 및 출력부(44)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입력부(45), 및, 통신 인터페이스(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D컨버터부(41)는 기준하중을 측정하여 보상용 데이터(또는 보정비율)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로드셀(20)과, 가압면(35)에 올려지는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는 제2 로드셀(30)로부터 아날로그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43)는 A/D컨버터부(41)로부터 입력되는 제1 로드셀(20) 또는 제2 로드셀(30)로부터 입력되는 하중 신호를 입력받고, 제1 로드셀(20)로부터 입력되는 기준하중의 하중값을 검출하여 보정비율을 구하고, 제2 로드셀(30)로부터 입력되는 적재물의 하중값을 검출하여 검출된 하중값에 상기 보정값(또는 보정비율)을 적용(보상)시켜 최종 실제 하중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43)는 센서(10)의 기울기가 제로, 즉, 수평 상태에서의 기준하중의 원래 하중(또는 초기 하중)을 검출하여, 검출된 원래 하중 또는 초기 하중을 저장부(42)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제1 로드셀(20)로부터 입력되는 하중값으로 보정비율을 구할 때, 저장된 기준하중의 초기 하중을 가져와서 계산한다.
제어부(43)는 마이컴,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전용 반도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42)는 제어부(43)에 연결되고 제1 로드셀(20)로부터 검출된 기준하중의 초기 하중 또는 원래 하중을 저장하여 제어부(43)의 호출에 따라 해당 기준하중의 초기 하중을 제공한다.
또한, 출력부(44)는 산출된 하중을 신호로 출력하거나, 프린터와 같은 인쇄장치나 화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나 인쇄 용지에 하중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45)는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제어부(43)로 소정의 기능 키 입력을 수행한다. 입력부(45)는 다수개의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는데, 전원스위치, 저장부(42)에 기록되는 기준하중의 초기 하중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스위치, 하중의 변화속도를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는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인터페이스(46)는 제어부(43)에 연결되어 제어부(43)에서 출력되는 정보(신호)를 외부기기로 출력하거나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제어부(43)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43)는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로드셀(20)을 통해 입력되는 기준하중을 단위시간당 복수횟수 검출하고, 이때 검출된 하중의 평균치를 초기 하중값으로 사전에 설정해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당 100회의 하중을 검출하고 이때 각각 검출된 하중값을 평균하여 최종 하중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하중값에 따른 초기 하중값을 저장부(42)로부터 제공받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적재물의 하중을 보정하는 방법을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울기가 θ인 경사면에서 적재물(W)이 놓이면, 경사면에서 수직으로 받는 힘은 W×cosθ이다. 즉, 경사면에서 받는 힘은 원래의 무게 W에 비하여 cosθ의 비율만큼 작아진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게측정 센서(10)가 기울기가 θ인 경사면에 놓이는 경우 하중을 보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 제1 로드셀(20)에 내장되어 가해지는 기준하중의 원래 무게는 W0이고, 제2 로드셀(30)에 가해지는 적재물의 원래 무게는 W이다.
제1 로드셀(20)에서 측정되는 무게는 W0' = W0×cosθ이고, 제2 로드셀(30)에서 측정되는 무게는 W' = W×cosθ이다. 상기 2개의 수식을 정리하면, 적재물의 무게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단, △W0 는 기준하중의 측정 무게 대비 원래 무게의 비율이다.
즉, 적재물의 보정된 무게는 적재물의 측정 무게에 기준하중의 측정 무게 대비 원래 무게의 비율을 곱하여 구해진다. 다시 말하면, 적재물의 무게는 제2 로드셀(30)에서 측정된 무게에, 제1 로드셀(20)의 측정 무게 대비 기준하중의 원래 무게의 비율을 곱하여 구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센서(10)에 의해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는 방법은 (a) 기준하중의 초기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S10), (b) 제1 및 제2 로드셀에 의한 기준하중 및 적재물의 무게 측정 단계(S20), (c) 제1 로드셀의 측정값으로부터 보정값을 설정하고, 제2 로드셀의 측정값을 보정값으로 보상하는 단계(S30), 및 (d) 보상된 측정값을 출력하는 단계(S40)로 구성된다.
먼저, 사용자가 무게측정 센서(10)를 수평인 곳에 놓고 무게측정 센서(10)에 기준하중의 초기 하중을 측정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무게측정 센서(10)는 기준하중의 무게를 측정하여 메모리(또는 저장부)에 측정된 무게를 기준하중의 초기 하중으로 저장하여 설정한다(S10).
이때 제1 로드셀(20)을 통해 계측된 아날로그형 중량데이터는 A/D컨버터부(41)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43)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43)는 현재 제1 로드셀(20)로부터 입력되는 하중값을 초기 하중으로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43)는 제1 로드셀(20)로부터 입력되는 기준하중의 무게 측정을 단위시간당 복수회 검출하고 이에 평균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1초당 100회의 하중 검출을 수행하고, 측정된 무게를 합산한 다음 100으로 나누어 평균치를 산출하게 된다. 이는 무게측정 센서(10)의 동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여러 번의 측정을 시도하고 이에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오차를 줄이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측정된 기준하중(25)의 초기 하중은 수평 상태에서 측정된 하중으로서, 기준하중(25)의 원래 하중을 나타낸다. 그리고 설정된 기준하중의 초기 하중은 저장부(42)에 저장되고, 나중에 보상비율을 산정할 때, 기준하중의 초기 하중으로 제공된다. 제어부(43)는 초기하중 평균치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저장부(70)를 통해 독출하여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무게측정 센서(10)의 제어회로(40)는 제1 및 제2 로드셀(20,30)로부터 기준하중(25) 및 측정대상인 적재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입력받는다(S20). 사용자는 무게측정 센서(10)의 위(즉, 제2 로드셀(30)의 가압면(35))에 적재물을 적재하고, 무게측정 센서(10)에 의해 무게를 측정한다. 이때, 제1 로드셀(20)에 의해 측정되는 무게는 제1 로드셀(20)에 내장된 기준하중(25)이고, 제2 로드셀(20)에 의해 측정되는 무게는 상기 적재물의 무게이다.
다음으로, 제1 로드셀(20)에 의해 측정된 기준하중의 측정 무게를 이용하여 보상비율 또는 보정값을 결정하고, 제2 로드셀(20)에 측정된 적재물의 무게에 상기 보상비율(또는 보정값)을 곱하여 적재물의 무게를 보상한다(S30). 이때, 보상비율(또는 보정비율)은 기준하중의 측정 무게 대비 원래 무게의 비율로 계산된다.
다음으로, 적재물의 보상된 측정값을 적재물의 실제 무게로서 출력한다(S40). 적재물의 보상된 무게는 출력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또는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중 측정판을 구비한 무게 측정 저울의 구성에 대하여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 저울은 적어도 2개의 무게측정 센서(10)와, 상기 무게측정 센서(10)의 상단에 설치된 측정 플레이트(60)로 구성된다.
측정 플레이트(60)의 상부에 측정할 적재물이 놓여지고, 측정 플레이트(60)에 가해지는 하중은 다수의 무게측정 센서(10)로 분산되어 가압된다. 다수의 무게측정 센서(10)에서 각각 측정되는 무게들을 합하여,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한다.
이때, 각 무게측정 센서(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의 기울임에 따라 측정된 무게를 기준하중의 측정값에 의해 보정한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무게측정 센서(10)의 가압면(35)에는 강력 스프링 등 탄성부재(70)가 구비된다. 즉, 각 무게측정 센서(10)의 가압면(35)과, 측정 플레이트(60) 사이에 탄성부재(70)가 구비된다.
각 무게측정 센서(10)의 높이에 차이가 있어서 측정 플레이트(60)와 각 가압면(35) 간의 이격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물이 적재된 측정 플레이트(60)의 하중 압력이 각 무게측정 센서(10)마다 다르게 가압될 수 있다. 이때,탄성부재(70)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불균형한 가압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무게측정 센서
20 : 제1 로드셀 21 : 제1 본체
22 : 제1 스트레인 게이지 23 : 제1 체결홈
24 : 제1 지지풋 25 : 기준하중
30 : 제2 로드셀 31 : 제2 본체
32 : 제2 스트레인 게이지 33 : 제2 체결홈
34 : 제2 지지풋 35 : 가압면
50 : 구속면
60 : 측정 플레이트 70 : 탄성부재

Claims (2)

  1. 무게측정 센서에 있어서,
    기준하중이 내장되고 상기 기준하중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 로드셀;
    적재물이 적재되어 상기 적재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상단의 제2 로드셀; 및,
    상기 기준하중의 측정된 무게와 원래 무게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무게측정 센서의 기울기에 의한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적재물의 측정된 무게에 상기 보정치로 보정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측정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물의 측정된 무게에, 상기 기준하중의 측정 무게 대비 원래 무게의 비율을 곱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측정 센서.
KR1020130148376A 2013-12-02 2013-12-02 각도 및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 Withdrawn KR20150063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76A KR20150063702A (ko) 2013-12-02 2013-12-02 각도 및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76A KR20150063702A (ko) 2013-12-02 2013-12-02 각도 및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702A true KR20150063702A (ko) 2015-06-10

Family

ID=5350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376A Withdrawn KR20150063702A (ko) 2013-12-02 2013-12-02 각도 및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7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26B1 (ko) * 2015-07-15 2017-01-03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이중 계량장치를 구비한 침대
KR20170003612U (ko) * 2017-09-14 2017-10-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셀을 구비한 3d프린터
KR20190066403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토브스 가축 무게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N114441024A (zh) * 2022-01-27 2022-05-06 中国计量大学 双孔悬臂梁传感器电子秤全周倾斜称重误差的补偿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26B1 (ko) * 2015-07-15 2017-01-03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이중 계량장치를 구비한 침대
KR20170003612U (ko) * 2017-09-14 2017-10-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셀을 구비한 3d프린터
KR20190066403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토브스 가축 무게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N114441024A (zh) * 2022-01-27 2022-05-06 中国计量大学 双孔悬臂梁传感器电子秤全周倾斜称重误差的补偿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437B2 (en) Weight applying unit for calibration and weight applying method for calibration
US20090057038A1 (en) Load cell-type electronic balance
CN101646926A (zh) 称重装置
US10704951B2 (en) Low-profile load cell assembly with vertical weight adapter
US8383965B2 (en) Top-pan balance with an overload safety mechanism and a corner load sensor
US5050693A (en) Balance and process for calibrating and operating the balance
KR20150063702A (ko) 각도 및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무게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무게측정 저울
US6621015B2 (en) Electronic balance
JPH0579930A (ja) ロードセル
CN113932905B (zh) 力传感器的校准机构的配置方法及其力传感器
JPH06103212B2 (ja) 重量検出装置
JP2014109438A (ja) 起歪体、ロードセル、及び計量装置
KR100388940B1 (ko) 편심 및 경사에 의한 오차의 보상이 가능한 전자저울
KR101832111B1 (ko) 분해 조립식 톤백 저울
WO2000075617A1 (fr) Capteur de force
KR20110066655A (ko) 중량 측정장치
US98040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length and weight of a body
KR20080094522A (ko) 지지하중이 표시되는 레벨링장치
JP2013108792A (ja) ロードセル
CN211225914U (zh) 一种轿厢侧载力测试结构
KR100449780B1 (ko) 로드셀을 이용하여 경사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장치를 이용하여 경사에 의한 측정오차를 보상하는전자저울 및 보상된 하중측정방법
KR200272132Y1 (ko) 하중 감지기가 장착된 다리의 교좌장치
KR100317841B1 (ko) 전자저울용로드셀및플랫폼
CN219301787U (zh) 一种双剪切梁传感器
KR102538936B1 (ko) 개선된 정밀도를 갖는 전자 저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