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912B1 -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 Google Patents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912B1
KR102006912B1 KR1020170147581A KR20170147581A KR102006912B1 KR 102006912 B1 KR102006912 B1 KR 102006912B1 KR 1020170147581 A KR1020170147581 A KR 1020170147581A KR 20170147581 A KR20170147581 A KR 20170147581A KR 102006912 B1 KR102006912 B1 KR 102006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thruster
shaft
gea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682A (en
Inventor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912B1/en
Publication of KR2019005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6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4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the main transmitting element, e.g. shaft, being substantially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6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a single propulsion pow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the sealing action depending on movements; pressure difference, temperature or presence of leak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 내부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는,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 상부 모터와 연결되며 그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상승시켜 상기 프로펠러를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인입 상태로 만들거나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하강시켜 상기 선체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만드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펠러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는 상기 인입 상태에서는 인라인(in-line)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돌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펠러가 회동하여 베벨 기어를 통한 교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having a structure inserted into and descending a space inside a trunk provided in a hull includes a propeller providing a propulsion force according to rotation; A thruster shaft connected to an upper motor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ropeller rotatably coupled to an end thereof; And an elevating device for raising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the propeller enter an inlet state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or for lowering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protrud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ull. Including, the propeller and the thruster shaft is coupled in an in-line structure in the retracted state, in the protruding state, the propeller may be rotated to cross-link through the bevel gear.

Description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본 발명은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일반적으로,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 천연가스 등의 연료가스 혹은 원유의 부유식 생산 및 저장설비로서, 해상에서 연료가스 혹은 원유의 채굴, 저장, 하역 등이 가능하며, 해상에서의 이동도 가능한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다. FSU(Floating Storage Unit)는 부유식 원유저장 해양구조물로서, 원유의 저장, 하역 등이 가능하며, 해상에서의 이동도 가능하다. Generally,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is a floating production and storage facility for fuel gas or crude oil such as natural gas, and it is possible to mine, store, and unload fuel gas or crude oil at sea. It is also possible offshore floating structure. Floating Storage Unit (FSU) is a floating crude oil storage offshore structure, which can store and unload crude oil, and can move on the sea.

이러한 해양 구조물의 경우 바람의 방향으로 자유로이 스핀하도록 하는 웨더베이닝(weather vaning)용 쓰러스터가 장착되어 있는데, 조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방향이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아지무스 쓰러스터(Azimuth Thruster)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아지무스 쓰러스터는 이외에도 선박의 메인(Main) 추진에도 사용되는 핵심적인 장비이다. Such an offshore structure is equipped with a weather vaning thruster which freely spins in the direction of the wind. To improve the maneuverability, the azimuth sludge Azimuth Thruster is widely used. Azimus thrusters are also essential equipment for the main propulsion of ships.

기존 아지무스 쓰러스터는 상부 모터의 축과 프로펠러의 축 2개로 구동이 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The existing Azimus thruster is driven by two shafts of the propeller and the shaft of the upper motor.

모터와 프로펠러가 인라인(In-line)이 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되어야 할 사항도 많으며, 복잡성이 올라가고 유지보수 공간 및 전체 부피가 커지게 된다. Since the motor and propellers are not in-line, there is a lot of maintenance to be done, which increases complexity, maintenance space and overall volume.

한국등록특허 10-1444146호 (2014.09.18 등록)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44146 (registered Sep. 18, 2014)-Vessel equipped with retractable thruster

본 발명은 유압 방식의 피스톤 타입으로 실링(sealing)을 유지하면서도 상하 운동이 가능하고, 하부에서 프로펠러가 회동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갖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movement i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sealing (sealing) in the hydraulic type, the propeller rotates to generate a thrust in the lower portion.

본 발명은 자기위치 제어 시에는 선체 외부로 돌출되고, 운항 중에는 선체 내부로 인입되어 저항을 낮춤으로써 선박의 운항효율을 향상시키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that protrudes out of the hull during the control of the magnetic position, and is introduced into the hull during operation to lower the resistance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vessel.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 내부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로서,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 상부 모터와 연결되며 그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상승시켜 상기 프로펠러를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인입 상태로 만들거나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하강시켜 상기 선체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만드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펠러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는 상기 인입 상태에서는 인라인(in-line)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돌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펠러가 회동하여 베벨 기어를 통한 교차 결합이 이루어지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having a structure which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inside the trunk provided in the hull, and lifts, a propelle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A thruster shaft connected to an upper motor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ropeller rotatably coupled to an end thereof; And an elevating device for raising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the propeller enter an inlet state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or for lowering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protrud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ull. Including, but the propeller and the thruster shaft is coupled in an in-line structure in the retracted state, the propeller is rotated in the protruding state, the cross-linking through the bevel gear is made,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Is provided.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는 메인 구동축과 상기 메인 구동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메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구동축과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프로펠러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프로펠러 기어는 원뿔 형상의 베벨 기어일 수 있다.The thruster shaft includes a main drive shaft and a main gear coupled to an end of the main drive shaft, and the propeller includes a propeller drive shaft and a propeller gear coupled to an end of the propeller drive shaft, wherein the main gear and the propeller gear include It may be a conical bevel gear.

상기 인입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이 일직선 상에 놓여지고,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프로펠러 기어가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놓여져 전자석 혹은 유압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력이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프로펠러 기어를 통해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에 전달될 수 있다.In the retracted state, the main drive shaft and the propeller drive shaft ar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main gear and the propeller gea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coupled by an electromagnet or a hydraulic bolting method,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shaft is the main gear. And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peller drive shaft through the propeller gear.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이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허브에 형성되며, 수직홈과 곡선홈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이 이동하여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의 연장선이 상기 메인 구동축의 연장선과 교차하고 상기 프로펠러 기어의 기어치가 상기 메인 기어의 기어치와 치합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력이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프로펠러 기어를 통해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에 전달될 수 있다.A guide protrusion formed with the propeller drive shaft; It is formed in the hub, and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consisting of a vertical groove and a curved groove, the propeller drive shaft is moved so that the guide projection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in the protruding state so that the extension line of the propeller drive shaft of the main drive shaft Intersect the extension line and the gear teeth of the propeller gear is engaged with the gear teeth of the main gea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shaft can be transmitted to the propeller drive shaft through the main gear and the propeller gear.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와 함꼐 승강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과 상기 공간부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해수 유입 방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ealing part installed around the thruster shaft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thruster shaft; And a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install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상기 해수 유입 방지 모듈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상승 시에 닫혀 있어 상기 공간부로의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해수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해수 유입 방지부는,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제1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힌지점에서 수평선을 기준으로 음(-)의 경사각을 갖는 제1 메인바디와, 상기 제1 메인바디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제1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하방 절곡판과; 상기 제1 메인바디의 중간과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과 제1 유압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includes a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ortion closed when the thruster shaft is raised to prevent inflow of seawater into the space portion, wherein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ortion is locat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 first main body rotatably installed about a first hinge point, the first main body having a negativ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at the first hinge point, and a first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main body A downward bending plate including one subbody; It may include a first spring and a first hydraulic rod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상기 제1 유압로드는 유압에 의해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하강 시에 상기 제1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겨내고 상기 하방 절곡판을 풀링할 수 있다.The first hydraulic rod may overcome the resistance of the first spring when the thruster shaft is lowered by hydraulic pressure and pull the downward bending plate.

상기 제1 메인바디의 길이는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과 상기 공간부의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길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main body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또한, 상기 해수 유입 방지 모듈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하강 시에 닫혀 있어 상기 공간부로의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제2 해수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해수 유입 방지부는,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제2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힌지점에서 수평선을 기준으로 양(+)의 경사각을 갖는 제2 메인바디와, 상기 제2 메인바디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제2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상방 절곡판과; 상기 제2 메인바디의 중간과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과 제2 유압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may include a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portion that is closed when the thruster shaft is lowered to prevent inflow of seawater into the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 second main body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second hinge point, and has a positiv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at the second hinge point, and is bent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main body An upper bending plate including a second subbody; It may include a second spring and a second hydraulic rod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of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상기 제2 유압로드는 유압에 의해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상승 시에 상기 제2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겨내고 상기 상방 절곡판을 풀링할 수 있다.The second hydraulic rod may pull up the upper bending plate while surmounting the resistance of the second spring when the thruster shaft is lifted by hydraulic pressure.

상기 제2 메인바디의 길이는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과 상기 공간부의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길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econd main body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방식의 피스톤 타입으로 실링을 유지하면서도 상하 운동이 가능하고, 하부에서 프로펠러가 회동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sealing in the piston type of the hydraulic system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peller rotates in the lower portion to generate a thrust.

또한, 자기위치 제어 시에는 선체 외부로 돌출되고, 운항 중에는 선체 내부로 인입되어 저항을 낮춤으로써 선박의 운항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gnetic position control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during operation is introduced into the hull to lower the resistanc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sh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하강할 때의 실링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상승할 때의 실링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각 위치에서의 쓰러스터 샤프트와 프로펠러 샤프트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in a first posi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in a second posi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sealing part when the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desce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ling portion when the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ises,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shaft at each posi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하강할 때의 실링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가 상승할 때의 실링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각 위치에서의 쓰러스터 샤프트와 프로펠러 샤프트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irst position, and FIG. 2 is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cond posi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ling portion when the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Figure 4 is retrac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anded view of the sealing part when a piston type thruster raises, and FIG. 5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shaft in each position.

도 1 내지 도 5에는 선체(1), 바닥면(5), 트렁크(10), 공간부(12),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100), 승강 장치(130), 쓰러스터 샤프트(120), 고정부재(132), 프로펠러(110), 회동부(112), 실링부(140), 해수 유입 방지 모듈(150), 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 제1 힌지점(200), 하방 절곡판(210), 제1 스프링(220), 제1 유압로드(230), 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 제2 힌지점(250), 상방 절곡판(260), 제2 스프링(270), 제2 유압로드(280), 허브(300), 메인 구동축(310), 프로펠러 구동축(320), 메인 기어(312), 프로펠러 기어(322), 가이드 돌기(330), 가이드 홈(340)이 도시되어 있다. 1 to 5, the hull 1, the bottom surface 5, the trunk 10, the space portion 12,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100, elevating device 130, thruster shaft 120 , The fixing member 132, the propeller 110, the rotating part 112, the sealing part 140, the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150,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151, the first hinge point 200, Lower bending plate 210, the first spring 220, the first hydraulic rod 230,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2, the second hinge point 250, the upper bending plate 260, the second spring 270, the second hydraulic rod 280, the hub 300, the main drive shaft 310, the propeller drive shaft 320, the main gear 312, the propeller gear 322, the guide protrusion 330, the guide groove ( 340 is shown.

본 실시예에서 선박은 해저 원유를 시추하는 드릴쉽,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하는 선박,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Floating Storage Unit) 등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vessel is a drillship for drilling sea oil, vessels for transporting people or carg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FPSO), floating crude oil storage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such as floating storage units (FSUs)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100)는 자기위치 제어 시에는 선체 외부로 돌출되어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제공하고, 운항 중에는 선체 내부로 인입되어 선박의 운항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out of the hull during magnetic position control to provide a propulsion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and is introduced into the hull during operation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ship. It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100)는 선체(1)에 마련된 트렁크(10) 내부의 공간부(12)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트렁크(10)는 선체(1)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트렁크(10) 내부의 공간부(12) 중 흘수선 상부에는 정비공간(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 트렁크(10) 내부에서 쓰러스터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The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and lifts up into the space 12 inside the trunk 10 provided in the hull 1. Trunk 10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ull (1). In addition, the maintenance line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line of the space portion 12 inside the trunk 10 to perform maintenance of the thruster in the trunk 10.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100)는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110)와, 상부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프로펠러(110)에 상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쓰러스터 샤프트(120)를 포함한다. The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100 has a propeller 110 providing a propulsion force according to rotation, and a thruster shaft 120 connected to an upper motor (not shown)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pper motor to the propeller 110. It includes.

그리고 쓰러스터 샤프트(120) 및 프로펠러(110)를 승강시켜 프로펠러(110)를 선체의 바닥면(5) 아래로 돌출시키거나 트렁크(10)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승강 장치(130)를 더 포함한다. And elevating device 130 for elevating the thruster shaft 120 and the propeller 110 to protrude the propeller 110 below the bottom surface 5 of the hull or to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trunk 10. do.

승강 장치(130)는 고정부재(132)에 의해 트렁크(10) 내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승강 장치(130)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이 경우 쓰러스터 샤프트(120)는 유압 실린더에 대해 전후진(본 실시예에서는 승하강)하는 피스톤으로 기능할 수 있다. The lifting device 130 may be fixed in the trunk 10 by the fixing member 132. The elevating device 130 may be a hydraulic cylinder. In this case, the thruster shaft 120 may function as a piston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hydraulic cylinder (up and down in this embodiment).

프로펠러(110)는 인입 상태에서는 수평으로 놓여진다. 이 경우 선체(1)의 바닥면(5)에 형성된 트렁크(10)의 개구면을 막아주게 된다. 수평 상태의 프로펠러(110)는 선체(1)의 바닥면(5)과는 동일 평면 상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선박 운항 시에 바닥면(5)을 통한 해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운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opeller 110 is placed horizontally in the retracted state. In this case, the opening surface of the trunk 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5 of the hull 1 is blocked. The propeller 110 in the horizontal state is plac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5 of the hull 1, thereby minimizing the resistance to current flow through the bottom surface 5 during the ship operation to improve the navig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프로펠러(110)는 쓰러스터의 작동을 위한 돌출 상태에서는 회동부(11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하게 놓여진다. 수직하게 놓여진 프로펠러(110)가 상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Propeller 110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part 112 in the protruding state for the operation of the thruster is placed vertically. Propeller 110 placed vertically can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ship by rotating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pper motor.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둘레에는 실링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140)는 트렁크(10)의 공간부(12) 단면에 상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해수가 실링부(140)의 상부공간에까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ealing unit 14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thruster shaft 120. The sealing part 140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space part 12 of the trunk 10, thereby preventing sea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upper space of the sealing part 140.

실링부(140)에는 쓰러스터 샤프트(120)에 상응하는 설치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쓰러스터 샤프트(120)는 설치홀 내에 삽입 설치된다. The sealing part 140 has an installa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uster shaft 120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ruster shaft 12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프로펠러(110)가 돌출 상태에 있는 경우 실링부(140)의 하면이 선체(1)의 바닥면(5)과 동일 평면 상에 놓여지는 위치에 설링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propeller 110 is in the protruding state, the sealing portion 14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40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5 of the hull 1.

쓰러스터 샤프트(120)가 설치된 이후 설치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고정 설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고정 설치 작업으로는 용접,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140)는 쓰러스터 샤프트(120)가 승강 장치(130)에 의해 승강할 때 함께 승강하게 된다. 이 경우 해수가 설치홀을 통해 유입되지는 않지만, 실링부(140)가 공간부(12)의 내벽과 만나는 부분은 슬립이 발생하기에 해수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After the thruster shaft 120 is installed, a fixed install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installation hole. Fixed installation operations may include welding, adhesive bonding using an adhesive. Therefore, the sealing part 140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hen the thruster shaft 120 is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130. In this case, the seawater is not introduc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but since the sealing portion 140 meets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the seawater may flow because slip occurs.

따라서, 실링부(140)의 둘레면, 즉 실링부(140)가 공간부(12)의 내벽과 만나는 부분에는 해수 유입 방지 모듈(150)이 설치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150 may be install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art 140, that is, the part where the sealing part 140 meets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art 12.

해수 유입 방지 모듈(150)은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상승 시 닫혀 있어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와,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하강 시 닫혀 있어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를 포함한다. The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150 is closed when the thruster shaft 120 is raised to prevent the inflow of seawater, and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151 is closed when the thruster shaft 120 is lowered to prevent the inflow of seawater. It includes a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2.

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는 실링부(140)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제1 힌지점(20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방 절곡판(210)을 포함한다.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151 includes a lower bending plate 210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first hinge point 200 position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art 140.

하방 절곡판(210)은 제1 힌지점(200)에서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음(-)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제1 메인바디(212)와, 제1 메인바디(212)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제1 서브바디(214)를 포함한다. The lower bending plate 210 is installed on the first main body 212 to have a negativ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at the first hinge point 200, and at the end of the first main body 212. And a first subbody 214 that is bent downward.

제1 메인바디(212)의 길이는 실링부(140)의 둘레면과 공간부(12)의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하방 절곡판(210)이 제1 힌지점(200)을 중심으로 회동하더라도 제1 메인바디(212)와 제1 서브바디(214) 사이의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과는 제1 힌지점(200)보다 낮은 위치에서 만나게 된다. 하방 절곡판(210)의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과 만나는 지점이 하방 절곡판(2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 지점이 되며, 하방 절곡판(210)의 제1 메인바디(212)는 항상 음(-)의 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The length of the first main body 212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unit 140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2. Therefore, even if the lower bent plate 210 is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point 200, the bent portion between the first main body 212 and the first subbody 214 may be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2. 1 will meet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inge point (200). The point where the bent portion of the lower bending plate 210 meets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is a stop point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lower bending plate 210, the first main body 212 of the lower bending plate 210 Always has a negative inclination angle.

하방 절곡판(210)의 제1 메인바디(212) 중간과 실링부(140)의 둘레면 사이에는 제1 스프링(220)이 설치된다. 즉, 제1 스프링(220)의 일단은 하방 절곡판(210)의 제1 메인바디(212) 중간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220)의 타단은 실링부(140)의 둘레면 중 제1 힌지점(200)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1 스프링(220)은 압축 스프링으로, 하방 절곡판(210)이 가지는 음의 경사각의 절대값이 작아지는 방향, 즉 공간부(12)의 내벽 쪽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The first spring 220 is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of the first main body 212 of the lower bending plate 21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unit 140.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spring 220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first main body 212 of the lower bending plate 210, the other end of the first spring 220 is the first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40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point (200). The first spring 220 is a compression spring and applies a force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inclination angle of the lower bending plate 210 decreases.

제1 스프링(220)의 힘에 의해 하방 절곡판(210)의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과 만나도록 유지된다(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의 닫힘 상태). 따라서, 실링부(140)의 둘레면과 공간부(12)의 내벽 사이에 틈새를 없앰으로써, 하방 절곡판(210)을 기준으로 할 때 하부의 해수가 상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bending portion of the lower bending plate 210 is maintained to meet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by the force of the first spring 220 (closed state of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ortion 151). Thus, by eliminating the ga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40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the seawater of the lower portion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upper portion when the lower bending plate 210 is referred to.

이 경우 하방 절곡판(210)의 형상과 제1 스프링(220)의 연결 관계로 인해 쓰러스터 샤프트(120)가 상승할 때 하방 절곡판(210)의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에 대해 슬립이 이루어짐으로써,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상승에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으면서도 해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thruster shaft 120 rises due to the shape of the lower bent plate 210 and the first spring 220 connected, the bent portion of the lower bent plate 210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As the slip is made, the inflow of the seawater is effectively blocked without acting as a resistance to the rise of the thruster shaft 120.

다만, 쓰러스터 샤프트(120)가 하강할 때에는 하방 절곡판(210)의 형상과 제1 스프링(220)의 연결 관계로 인해 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는 큰 저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하방 절곡판(210)의 제1 메인바디(212) 중간과 실링부(140)의 둘레면 사이에는 제1 유압로드(2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유압로드(230)는 유압에 의해 제1 스프링(220)의 저항력을 이겨내고 하방 절곡판(210)을 풀링(pulling)할 수 있도록 한다. However, when the thruster shaft 120 descends,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151 may be a large resistance due to the shape of the lower bending plate 210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first spring 220. Therefore, the first hydraulic rod 2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of the first main body 212 of the lower bending plate 21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unit 140. The first hydraulic rod 230 is able to overcome the resistance of the first spring 220 by the hydraulic pressure and to pull the lower bending plate 210.

제1 유압로드(230)가 작동하면, 하방 절곡판(210)이 풀링되어 하방 절곡판(210)의 음의 경사각의 절대값이 더 커지게 되면서 그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의 열림 상태). 따라서, 하방 절곡판(210)이 더 이상 공간부(12)의 내벽과 만나지 않게 됨으로써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하강 시에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제1 유압로드(230)는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하강 시에만 작동하고, 그 외에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first hydraulic rod 230 is operated, the lower bent plate 210 is pulled to increase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inclination angle of the lower bent plate 210 while the bent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2. The gap is generated (the open state of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1). Therefore, the lower bending plate 210 no longer meets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2, so that the lower bending plate 210 does not act as a resistance when the thruster shaft 120 descends. The first hydraulic rod 230 may operate only when the thruster shaft 120 descends, and may not operate otherwise.

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가 마련된다. 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는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하강 시에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가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하강 시에는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실링부(140)의 둘레면과 공간부(12)의 내벽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단이 요구되며, 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가 그 역할을 담당한다.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2 is provided in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1.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2 is a means for preventing inflow of seawater when the thruster shaft 120 descends. When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151 lowers the thruster shaft 120, the ga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art 140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art 12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preventing the seawater from acting as a resistance is prevented. Means are required, and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2 plays its role.

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는 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와 비교할 때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152 has a symmetrical structure when compared to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151.

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는 실링부(140)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제2 힌지점(25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방 절곡판(260)을 포함한다.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2 includes an upper bending plate 260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second hinge point 250 position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unit 140.

상방 절곡판(260)은 제2 힌지점(250)에서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양(+)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제2 메인바디(262)와, 제2 메인바디(262)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제2 서브바디(264)를 포함한다. The upper bending plate 260 has a second main body 262 which is installed to have a positiv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at the second hinge point 250, and at the end of the second main body 262. A second subbody 264 bent upward.

제2 메인바디(262)의 길이는 실링부(140)의 둘레면과 공간부(12)의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방 절곡판(260)이 제2 힌지점(250)을 중심으로 회동하더라도 제2 메인바디(262)와 제2 서브바디(264) 사이의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과는 제2 힌지점(250)보다 높은 위치에서 만나게 된다. 상방 절곡판(260)의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과 만나는 지점이 상방 절곡판(26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 지점이 되며, 상방 절곡판(260)의 제2 메인바디(262)는 항상 양(+)의 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The length of the second main body 262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40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Therefore, even i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is rotated about the second hinge point 250, the bent portion between the second main body 262 and the second subbody 264 is differen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2. 2 will mee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inge point (250). The point where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meets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is a stop point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the second main body 262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Always has a positive tilt angle.

상방 절곡판(260)의 제2 메인바디(262) 중간과 실링부(140)의 둘레면 사이에는 제2 스프링(270)이 설치된다. 즉, 제2 스프링(270)의 일단은 상방 절곡판(260)의 제2 메인바디(262) 중간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270)의 타단은 실링부(140)의 둘레면 중 제2 힌지점(250)의 상부에 연결된다. 제2 스프링(270)은 압축 스프링으로, 상방 절곡판(260)이 가지는 양의 경사각의 절대값이 작아지는 방향, 즉 공간부(12)의 내벽 쪽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A second spring 270 is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of the second main body 262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unit 140. That is,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270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second main body 262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270 is the second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40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inge point (250). The second spring 270 is a compression spring, which applies a force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decreases.

제2 스프링(270)의 힘에 의해 상방 절곡판(260)의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과 만나도록 유지된다(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의 닫힘 상태). 따라서, 실링부(140)의 둘레면과 공간부(12)의 내벽 사이에 틈새를 없앰으로써, 상방 절곡판(260)을 기준으로 할 때 하부의 해수가 상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bending portion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is maintained to meet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by the force of the second spring 270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ng portion 152). Thus, by eliminating the ga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40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2, the seawater of the lower portion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based on the upper bending plate 260.

이 경우 상방 절곡판(260)의 형상과 제2 스프링(270)의 연결 관계로 인해 쓰러스터 샤프트(120)가 하강할 때 상방 절곡판(260)의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에 대해 슬립이 이루어짐으로써,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하강에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으면서도 해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thruster shaft 120 descends due to the shape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and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spring 270,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is formed in relation to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2. As the slip is made, the inflow of the seawater is effectively blocked without acting as a resistance to the lowering of the thruster shaft 120.

다만, 쓰러스터 샤프트(120)가 상승할 때에는 상방 절곡판(260)의 형상과 제2 스프링(270)의 연결 관계로 인해 큰 저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방 절곡판(260)의 제2 메인바디(262) 중간과 실링부(140)의 둘레면 사이에는 제2 유압로드(28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유압로드(280)는 유압에 의해 제2 스프링(270)의 저항력을 이겨내고 상방 절곡판(260)을 풀링할 수 있도록 한다. However, when the thruster shaft 120 is raised, the resistance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may be large due to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spring 270 and the second spring 270. Therefore, the second hydraulic rod 28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of the second main body 262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unit 140. The second hydraulic rod 280 is able to overcome the resistance of the second spring 270 by the hydraulic pressure and to pull the upper bending plate 260.

제2 유압로드(280)가 작동하면, 상방 절곡판(260)이 풀링되어 상방 절곡판(260)의 양의 경사각의 절대값이 더 커지게 되면서 그 절곡부가 공간부(12)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의 열림 상태). 따라서, 상방 절곡판(260)이 더 이상 공간부(12)의 내벽과 만나지 않게 됨으로써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상승 시에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제2 유압로드(280)는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상승 시에만 작동하고, 그 외에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second hydraulic rod 280 is operated, the upper bending plate 260 is pulled so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bending plate 260 becomes larger while the bent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2. The gap is generated (the open state of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2). Therefore, the upper bending plate 260 no longer meets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2, so that the upper bending plate 260 does not act as a resistance when the thruster shaft 120 rises. The second hydraulic rod 280 may operate only when the thruster shaft 120 rises, and may not operate otherwise.

즉, 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는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상승 시에는 닫히고 하강 시에 열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는 쓰러스터 샤프트(120)의 하강 시에는 닫히고 상승 시에는 열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승 및 하강이 완료된 때에는 제1 해수 유입 방지부(151) 및 제2 해수 유입 방지부(152)가 모두 닫히게 된다. That is,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1 has a structure that is closed when the thruster shaft 120 is raised and opened when it is lowered. In addition,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152 has a structure that is closed when the thruster shaft 120 is lowered and opened when it is raised. When the ascent and descent is completed, both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1 and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2 are closed.

따라서, 프로펠러의 인입을 위해 쓰러스터 샤프트(120)가 상승하거나 프로펠러의 돌출을 위해 쓰러스터 샤프트(120)가 하강할 때 실링부(140)의 상부로는 해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thruster shaft 120 rises to draw in the propeller or the thruster shaft 120 descends to protrude the propeller, the inflow of sea water may be block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unit 140.

본 실시예에서 프로펠러(110)는 인입 상태에서는 수평하게 놓여져 있지만 돌출 상태에서는 회동부(112)를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수직하게 놓여지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peller 110 is placed horizontally in the inlet state, but is vertically placed by the pivot about the pivoting unit 112 in the protruding state.

각 상태에서 프로펠러(110)로 쓰러스터 샤프트(120)를 통한 모터의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허브 구조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A hub structure for effective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hrough the thruster shaft 120 to the propeller 110 in each state is shown in FIG. 5.

회동부(112)에 해당하는 허브(300) 내에는 쓰러스터 샤프트(120)에 구비된 메인 구동축(310)의 하단과 프로펠러(110)를 회전시키는 프로펠러 구동축(320)의 끝단이 배치된다. 메인 구동축(310)의 하단에는 메인 기어(312)가 설치되고, 프로펠러 구동축(320)의 끝단에는 프로펠러 기어(322)가 설치된다. 메인 기어(312)와 프로펠러 기어(322)는 원뿔 형상을 가지는 베벨 기어일 수 있다. In the hub 300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part 112, a lower end of the main drive shaft 310 provided in the thruster shaft 120 and an end of the propeller drive shaft 320 for rotating the propeller 110 are disposed. A main gear 312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drive shaft 310, and a propeller gear 322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ropeller drive shaft 320. The main gear 312 and the propeller gear 322 may be bevel gears having a conical shape.

인입 상태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구동축(310)과 프로펠러 구동축(320)이 일직선 상에 놓여져 있다. 따라서, 메인 기어(312)와 프로펠러 기어(322)가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놓여져 있으며, 전자석 혹은 유압 볼팅 등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구동축(310)의 회전력이 메인 기어(312)와 프로펠러(322)를 통해 프로펠러 구동축(320)에 인라인(in-line) 구조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In the retracted state, as shown in FIG. 5A, the main drive shaft 310 and the propeller drive shaft 320 ar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Therefore, the main gear 312 and the propeller gear 322 is placed in 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i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manner of electromagnets or hydraulic bolting. 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shaft 31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ropeller drive shaft 320 in an in-line structure through the main gear 312 and the propeller 322.

돌출 상태에서는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펠러 기어(322)가 메인 기어(312)로부터 이격된 후 90도 회동하여, 프로펠러 기어(322)의 기어치와 메인 기어(312)의 기어치가 서로 치합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otruding state, as shown in FIG. 5B, the propeller gear 322 is rotated 90 degrees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ain gear 312, so that the gear tooth of the propeller gear 322 and the gear of the main gear 312 are rotated. The teeth may be coupled to engage each other.

이 경우 프로펠러 구동축(320)에는 가이드 돌기(330)가 형성되어 있어, 허브(300)에 형성된 가이드 홈(340)을 따라 그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peller drive shaft 320 is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330, the movement can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340 formed in the hub (300).

가이드 홈(340)은 메인 구동축(310)과 일직선 상에 놓여진 수직홈(342)과, 수직홈(342)의 하단에서 연결되는 소정 반경을 가지는 원주의 일부분인 곡선홈(344)으로 이루어진다. 곡선홈(344)은 90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의 호일 수 있다. The guide groove 340 is composed of a vertical groove 342 placed in line with the main drive shaft 310 and a curved groove 344 which is a portion of a circumferen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conn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groove 342. The curved groove 344 may be a fan-shaped arc having a central angle of 90 degrees.

가이드 돌기(330)가 수직홈(342)을 따라 이동할 때 프로펠러 구동축(320)이 하강하여 프로펠러 기어(322)가 메인 기어(312)와 일직선 결합 상태에서 분리되고, 곡선홈(344)을 따라 이동하여 프로펠러 구동축(320)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메인 구동축(310)과는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펠러 기어(322)는 메인 기어(312)와는 90도 각도를 가지면서 교차 결합 상태가 되어 메인 구동축(310)의 회전력을 프로펠러 구동축(32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guide protrusion 330 moves along the vertical groove 342, the propeller drive shaft 320 descends and the propeller gear 322 is separated from the main gear 312 in a straight coupling state, and moves along the curved groove 344. The propeller drive shaft 320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to form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main drive shaft 310. In this case, the propeller gear 322 has a 90-degree angle with the main gear 312 to be cross-coupled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shaft 310 to the propeller drive shaft 32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100)는 인입 상태에 대응되는 일직선 결합 상태에서도 프로펠러(110)로 상부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돌출 상태에 대응되는 교차 결합 상태에서도 프로펠러(110)로 상부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Therefore, the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ransmitted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pper motor to the propeller 110 even in a straight coupling state corresponding to the inlet state, and propeller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pper motor may be transmitted to 11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선체 5: 바닥면
10: 트렁크 12: 공간부
100: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
110: 프로펠러 112: 회동부
120: 쓰러스터 샤프트 130: 승강 장치
140: 실링부 150: 해수 유입 방지 모듈
151: 제1 해수 유입 방지부 200: 제1 힌지점
210: 하방 절곡판 220: 제1 스프링
230: 제1 유압로드 152: 제2 해수 유입 방지부
250: 제2 힌지점 260: 상방 절곡판
270: 제2 스프링 280: 제2 유압로드
300: 허브 310: 메인 구동축
312: 메인 기어 320: 프로펠러 구동축
322: 프로펠러 기어
1: hull 5: bottom
10: trunk 12: space part
100: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110: propeller 112: rotating part
120: thruster shaft 130: elevating device
140: sealing unit 150: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151: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200: first hinge point
210: downward bending plate 220: first spring
230: first hydraulic rod 152: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250: second hinge point 260: upper bending plate
270: second spring 280: second hydraulic rod
300: hub 310: main drive shaft
312: main gear 320: propeller drive shaft
322 propeller gear

Claims (11)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 내부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로서,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
상부 모터와 연결되며 그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상승시켜 상기 프로펠러를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인입 상태로 만들거나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하강시켜 상기 선체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만드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펠러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는 상기 인입 상태에서는 인라인(in-line)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돌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펠러가 회동하여 베벨 기어를 통한 교차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는 메인 구동축과 상기 메인 구동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메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구동축과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프로펠러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프로펠러 기어는 원뿔 형상의 베벨 기어이며,
상기 인입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이 일직선 상에 놓여지고,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프로펠러 기어가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놓여져 전자석 혹은 유압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력이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프로펠러 기어를 통해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에 전달되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having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a space portion inside a trunk provided in a hull and lifts up and down,
A propeller providing propulsion force due to rotation;
A thruster shaft connected to an upper motor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ropeller rotatably coupled to an end thereof; And
A lifting device which raises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the propeller enter an inlet state located in the space or lowers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a protruding state projec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ull. But
The propeller and the thruster shaft are coupled in an in-line structure in the retracted state, and the propeller rotates in the protruding state to cross-link through the bevel gear,
The thruster shaft includes a main gear coupled to the main drive shaft and the end of the main drive shaft,
The propeller includes a propeller drive shaft and a propeller gear coupled to the end of the propeller drive shaft,
The main gear and the propeller gear are conical bevel gears,
In the retracted state, the main drive shaft and the propeller drive shaft ar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main gear and the propeller gea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coupled by an electromagnet or a hydraulic bolting method,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shaft is the main gear. And a propeller type thruster which is transmitted to the propeller drive shaft through the propeller ge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 내부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로서,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
상부 모터와 연결되며 그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상승시켜 상기 프로펠러를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인입 상태로 만들거나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하강시켜 상기 선체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만드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펠러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는 상기 인입 상태에서는 인라인(in-line)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돌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펠러가 회동하여 베벨 기어를 통한 교차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는 메인 구동축과 상기 메인 구동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메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구동축과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프로펠러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프로펠러 기어는 원뿔 형상의 베벨 기어이며,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이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허브에 형성되며, 수직홈과 곡선홈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이 이동하여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의 연장선이 상기 메인 구동축의 연장선과 교차하고 상기 프로펠러 기어의 기어치가 상기 메인 기어의 기어치와 치합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력이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프로펠러 기어를 통해 상기 프로펠러 구동축에 전달되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having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a space portion inside a trunk provided in a hull and lifts up and down,
A propeller providing propulsion force due to rotation;
A thruster shaft connected to an upper motor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ropeller rotatably coupled to an end thereof; And
A lifting device which raises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the propeller enter an inlet state located in the space or lowers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a protruding state projec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ull. But
The propeller and the thruster shaft are coupled in an in-line structure in the retracted state, and the propeller rotates in the protruding state to cross-link through the bevel gear,
The thruster shaft includes a main gear coupled to the main drive shaft and the end of the main drive shaft,
The propeller includes a propeller drive shaft and a propeller gear coupled to the end of the propeller drive shaft,
The main gear and the propeller gear are conical bevel gears,
A guide protrusion formed with the propeller drive shaft;
Is formed in the hub, and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consisting of a vertical groove and a curved groove,
In the protruding state, the propeller drive shaft moves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extension line of the propeller drive shaft intersects the extension line of the main drive shaft and the gear value of the propeller gear meshes with the gear value of the main gear. Coupl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shaft is transmitted to the propeller drive shaft through the main gear and the propeller gear.
삭제delete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 내부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로서,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
상부 모터와 연결되며 그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상승시켜 상기 프로펠러를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인입 상태로 만들거나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하강시켜 상기 선체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만드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펠러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는 상기 인입 상태에서는 인라인(in-line)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돌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펠러가 회동하여 베벨 기어를 통한 교차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와 함께 승강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과 상기 공간부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해수 유입 방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해수 유입 방지 모듈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상승 시에 닫혀 있어 상기 공간부로의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해수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해수 유입 방지부는,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제1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힌지점에서 수평선을 기준으로 음(-)의 경사각을 갖는 제1 메인바디와, 상기 제1 메인바디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제1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하방 절곡판과;
상기 제1 메인바디의 중간과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과 제1 유압로드를 포함하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having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a space portion inside a trunk provided in a hull and lifts up and down,
A propeller providing propulsion force due to rotation;
A thruster shaft connected to an upper motor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ropeller rotatably coupled to an end thereof; And
A lifting device which raises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the propeller enter an inlet state located in the space or lowers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a protruding state projec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ull. But
The propeller and the thruster shaft are coupled in an in-line structure in the retracted state, and the propeller rotates in the protruding state to cross-link through the bevel gear,
A sealing part installed around the thruster shaft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thruster shaft; And
Further comprising a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install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The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includes a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that is closed when the thruster shaft is raised to prevent seawater inflow into the space part,
The first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A first main body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first hinge point position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art, and having a negativ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at the first hinge point, and the first main body A lower bending plate including a first subbody bent downward at an end of the sub-body;
And a first spring and a first hydraulic rod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로드는 유압에 의해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하강 시에 상기 제1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겨내고 상기 하방 절곡판을 풀링하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first hydraulic rod overcomes the resistance of the first spring when the thruster shaft is lowered by hydraulic pressure and pulls the lower bent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바디의 길이는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과 상기 공간부의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긴,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length of the first main body is longer than a distance betwee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nd an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 내부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로서,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
상부 모터와 연결되며 그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상승시켜 상기 프로펠러를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인입 상태로 만들거나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를 하강시켜 상기 선체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만드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펠러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는 상기 인입 상태에서는 인라인(in-line)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돌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펠러가 회동하여 베벨 기어를 통한 교차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와 함께 승강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과 상기 공간부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해수 유입 방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해수 유입 방지 모듈은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하강 시에 닫혀 있어 상기 공간부로의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제2 해수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해수 유입 방지부는,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제2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힌지점에서 수평선을 기준으로 양(+)의 경사각을 갖는 제2 메인바디와, 상기 제2 메인바디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제2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상방 절곡판과;
상기 제2 메인바디의 중간과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과 제2 유압로드를 포함하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
A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having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a space portion inside a trunk provided in a hull and lifts up and down,
A propeller providing propulsion force due to rotation;
A thruster shaft connected to an upper motor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ropeller rotatably coupled to an end thereof; And
A lifting device which raises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the propeller enter an inlet state located in the space or lowers the thruster shaft and the propeller to make a protruding state projec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ull. But
The propeller and the thruster shaft are coupled in an in-line structure in the retracted state, and the propeller rotates in the protruding state to cross-link through the bevel gear,
A sealing part installed around the thruster shaft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thruster shaft; And
Further comprising a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install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The seawater inflow prevention module includes a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part that is closed when the thruster shaft is lowered to prevent seawater inflow into the space part,
The second seawater inflow prevention unit,
A second main body installed rotatably around a second hinge point position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art, the second main body having a positiv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at the second hinge point, and the second main body An upper bending plate including a second subbody bent upward at an end of the upper subfolder;
And a second spring and a second hydraulic rod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of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압로드는 유압에 의해 상기 쓰러스터 샤프트의 상승 시에 상기 제2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겨내고 상기 상방 절곡판을 풀링하는,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cond hydraulic rod overcomes the resistive force of the second spring when the thruster shaft is raised by hydraulic pressure and pulls the upper bent pl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바디의 길이는 상기 실링부의 둘레면과 상기 공간부의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긴, 인입 가능한 피스톤 타입 쓰러스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length of the second main body is longer than a distance betwee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nd an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KR1020170147581A 2017-11-07 2017-11-07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KR102006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581A KR102006912B1 (en) 2017-11-07 2017-11-07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581A KR102006912B1 (en) 2017-11-07 2017-11-07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682A KR20190051682A (en) 2019-05-15
KR102006912B1 true KR102006912B1 (en) 2019-08-02

Family

ID=6657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581A KR102006912B1 (en) 2017-11-07 2017-11-07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91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1696B1 (en) 1997-08-21 2002-04-16 Russell James Eathorne Pylon servic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799U (en) * 1983-02-15 1984-08-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Lifting thruster device
KR101444146B1 (en) * 2012-12-03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KR101571287B1 (en) * 2014-04-18 2015-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raft control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1696B1 (en) 1997-08-21 2002-04-16 Russell James Eathorne Pylon servi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682A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5021B2 (en) Service space for a retractable propulsion device
US8939806B2 (en) Retractable propulsion container with thruster
KR101239321B1 (en) Drill ship
US55158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oring a vessel to a submerged mooring element
WO1997024257A1 (en) Offshore moor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0758702A (en) Retractable thruster system capable of being maintained in ship
KR102006912B1 (en) Retractable piston type thruster
US3646771A (en)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a vessel and a structure and vessel-positioning means
KR101346174B1 (en) Ship including destachable and flowable thruster
CN105730634A (en) Dredged sediment barge
KR101444146B1 (en)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KR101487679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101524159B1 (en) Thruster system for vessel
KR101456030B1 (en) Thruster system itself elevatable and vessel having the same
KR101444150B1 (en)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KR101422177B1 (en)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KR101444149B1 (en)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CN206485520U (en) A kind of shuttle tanker driven with the full people of waters one of dynamic positioning function
CN203996827U (en) A kind of improved dual-purpose ship
KR101444152B1 (en) Thruster for a vessel
KR101422824B1 (en) The vessel having rotating retractable thruster
KR101814764B1 (en) Tower fan type thruster
KR101444147B1 (en)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KR101444148B1 (en)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KR20170050379A (en) Canister type thruster for transit and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thr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