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742B1 -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742B1
KR102006742B1 KR1020170147451A KR20170147451A KR102006742B1 KR 102006742 B1 KR102006742 B1 KR 102006742B1 KR 1020170147451 A KR1020170147451 A KR 1020170147451A KR 20170147451 A KR20170147451 A KR 20170147451A KR 102006742 B1 KR102006742 B1 KR 10200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inflammatory
scolopendrasin
composition
sep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610A (ko
Inventor
황재삼
김인우
이준하
배외식
박유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70147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7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또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또는 IL-6(interleukin-6)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의 각종 염증반응을 제어하는 효과가 뛰어나 항염증용 조성물, 패혈증과 같은 각종 염증질환의 치료용 조성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Anti-inflammatory peptide Scolopendrasin-10 derived from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composition comprising it for the treatment of sepsis}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또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 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일컫는다. 원인은 기계적 상해작용, 온도, 방사선 등의 물리적 인자, 독물 등의 화학적 인자, 세균감염 등의 기생체에 의한 것 등이며 이 중 세균에 의한 것이 가장 많다. 이러한 주요 원인 외에도, 여러 부수적 요인과 개체의 소인이나 면역 등에 의하여 그 발생은 복잡하다.
또한 염증반응은 상처, 미생물 감염 등에 대항하는 숙주의 방어기제에 따른 병리학적인 기작 중 가장 중요한 반응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대식세포는 이러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가장 대표적인 면역세포로서,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eukin-6), PGE2(prostaglandin E2), NO(nitric oxide), ROS(reactive oxygen species) 등과 같은 다양한 염증성 매개체를 분비한다(Laskin, D. L. et al., 2011). 한편, 이러한 염증성 매개체의 과발현은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패혈증, 혈관질환, 암 등을 유도한다(Lawrence, T. et al., 2012).
패혈증(sepsis)은 녹농균, 대장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균 같은 미생물에 감염되었을 때 미생물이나 그 미생물이 생산한 독소에 의해 오한과 함께 고열, 관절통, 두통, 권태감 등의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면 저혈압이 동반되고 소변량이 줄며 패혈성 쇼크가 나타나기도 한다(Nat. Med. 2003, 9, 517-524). 미생물의 감염 경로를 잘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으나 맹장염, 중이염, 피부화농증, 욕창, 폐질환, 담낭염, 신우염, 골수염 등이 패혈증의 원인 병소로 알려져 있다.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뇌척수액 검사 등을 통해 패혈증을 진단할 수 있으며 백혈구 수와 급성염증성물질이 증가한 경우도 패혈증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아직까지 패혈증의 치료를 위한 근본적인 치료제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이다. 패혈증은 통상적인 염증 억제 치료 방법으로는 잘 낫지 않으며, 유일하게 FDA 승인을 받은 드로트레코긴 알파(drotrecogin alfa, Xigris, Engl. J. Med. 2012, 366, 2055-2064)조차도 임상단계에서 패혈증에 대한 치료 효과가 명확하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중단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재 패혈증은 주로 항생제나 항진균제 주사로 치료하고, 치료 약제와 기간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한다. 또 환자의 상태에 따라 혈액투석 또는 수혈을 하기도 한다. 항생제와 항진균제가 잘 들으면 패혈증은 완치되기도 하지만, 약제에 내성이 있는 미생물에 감염된 경우와 면역력이 약한 환자인 경우, 또 너무 늦게 치료를 시작한 경우 등에서는 치료가 어려워 환자가 사망하기도 한다. 또한, 패혈증의 사망률은 50~70%에 달해 매우 높은 편이며, 전세계적으로도 사망의 원인 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at. Med. 2003, 9, 517-524). 패혈증에 대한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에는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 합병증으로 뇌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신경학적 후유증이, 화농성 관절염이 함께 나타났을 경우에는 뼈 성장에 이상이 생기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신규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 항염증 효능과 패혈증 증상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가 각종 염증 질환의 치료제로서 용이하게 사용가능함을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0603호 (발명의 명칭 :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1 및 그의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7년01월23일) 한국등록특허 제10-1697179호 (발명의 명칭 : 스콜로펜드라신-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7년01월11일) 한국등록특허 제10-1625502호 (발명의 명칭 : 대장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신규 스콜로펜드라신-4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6년05월24일)
Cianciulli, A. et al., PI3k/Akt signalling pathwa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urcumin in LPS-activated microglia., Int Immunopharmacol., 2016, 36, 282-290. Guma, M. et al., Pro-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s of the p38 pathway in rheumatoid arthritis: Advantages of targeting upstream kinases MKK3 or MKK6. Arthritis Rheum. 2012, 64(9), 2887-2895. Lawrence, T. et al., Anti-inflammatory lipid mediators and insights into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Nat. Rev. Immunol., 2002, 2, 787-795. Maeng, Y. S. et al., ERK is an anti-inflammatory signal that suppresses expression of NF-kappaB-dependent inflammatory genes by inhibiting IKK activity in endothelial cells., Cell Signal. 2006, 18(7), 994-1005. Riedemann, N. C. et al., Novel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sepsis., Nat. Med. 2003, 9, 517-524. Ranieri, V. M. et al., Drotrecogin alfa (activated) in adults with septic shock., Engl. J. Med. 2012, 366, 2055-2064.
본 발명의 목적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또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로부터 분리한 항염증성 펩타이드의 유전자에서 합성된 하기 서열번호 1로 표현되는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서열번호 1: MKKFHCLKKICKGLCAKL-NH2
상기 펩타이드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또는 IL-6(interleukin-6)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를 포함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로부터 분리한 항염증성 펩타이드의 유전자에서 합성된 서열번호 1로 표현되는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과 동일한 서열을 갖는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로부터 직접 분리한 항염증성 펩타이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과 동일한 서열을 갖는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로부터 직접 분리한 항염증성 펩타이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카르복실 말단이 -NH2 형태 또는 -OH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 펩타이드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왕지네를 액체질소로 급속 동결하여 전체 RNA를 분리하고, 이를 RNA seq 분석법을 이용하여 왕지네 전사체들에 관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며, 각각의 전사체들로부터 번역된 아미노산(펩타이드)의 서열을 바탕으로 기존의 밝혀진 항염증성 펩타이드의 성질을 이용하여 항염증성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로 추정되는 유니진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MKKFHCLKKICKGLCAKL-NH2로 18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이를 스콜로펜드라신-10(Scolopendrasin-10)으로 명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또한 임상투여시에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실제로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는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전달체(carrier)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팅 물질(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 또는 이와 95% 이상 상동성을 갖는 펩타이드의 총 유효량은 거환(bolus) 형태 혹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확산(infusion) 등에 의해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농도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및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의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또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또는 IL-6(interleukin-6)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의 각종 염증반응을 제어하는 효과가 뛰어나 항염증용 조성물,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가 마우스 호중구 세포에서 칼슘이온 유리 및 세포 이동에 반응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가 Vector-, FPR1- 또는 FPR2- 발현 RBL-2H3 세포에서 칼슘이온 유리 및 세포 이동에 반응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 중 도 2A는 상단에서 하단의 순차적으로 Vector-, FPR1- 또는 FPR2- 발현 RBL-2H3 세포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가 마우스 호중구 세포 내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가 마우스 호중구 세포 내에서 탈과립 방출량 조절 효과 및 반응성 산소 생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가 마우스 호중구 세포 내에서 신호전달 분자를 활성화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왕지네 유래 항염증성 펩타이드 유전자 선발>
왕지네로부터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왕지네를 액체질소로 급속 동결하여 전체 RNA를 분리하였고, 이를 RNA seq 분석법을 이용하여 왕지네 전사체들에 관한 유전자 정보를 확인 하였으며 각각의 전사체들로부터 번역된 아미노산의 서열을 바탕으로 기존의 생리활성 펩타이드 성질을 참고하여 유니진 전체를 filtration 하였으며 그 결과 새로운 생리활성 펩타이드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선별된 아미노산 서열은 MKKFHCLKKICKGLCAKL-NH2으로 18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스콜로펜드라신-10(Scolopendrasin-10)로 명명하였다(표 1).
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Scolopendrasin-10 MKKFHCLKKICKGLCAKL-NH2
<실시예 2. 스콜로펜드라신-10 합성 및 분리 정제>
상기 실시예 1에서 확인된 왕지네로부터 유래하는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를 합성 및 분리 정제하였다.
먼저, 스콜로펜드라신-10 펩타이드를 합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Fmoc 아미노기 보호용기를 이용한 메리필드(Merrifield)의 액상 고상법(Merrifield, RB., J. Am. Chem. Soc., 85, 2149, 1963)을 사용하여 펩타이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펩타이드 합성의 방법은 Fmoc(9-fluorenylmethoxycarbonyl)를 아미노산의 Nα-아미노 그룹(amino group)의 보호기(protecting group)로 사용하는 고상법(solid phase method)으로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카르복실 말단이 -NH2 형태인 펩타이드는 Rink Amide MBHA-Resin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카르복실 말단이 -OH 형태의 펩타이드는 Fmoc-아미노산-Wang Resin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다.
Fmoc-아미노산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한 펩타이드 사슬의 연장 (elongation)은 DCC(N-hydroxybenzo-triazole(HOBt)-dicyclo-hexylcar-bodiimide)법에 의하였다.
각 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의 Fmoc-아미노산을 커플링 시킨 후, 20% 피페리딘/N-메틸피롤리돈(NMP)용액으로 Fmoc기를 제거하고 NMP 및 디클로로메탄(DCM)으로 여러 번 씻어준 다음 질소 가스로 말렸다.
여기에 TFA(trifluoroacetic acid)-phenol-thioanisole-H2O-triisop- ropylsilane (85: 5: 5: 2.5: 2.5, vol./vol.) 용액을 가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켜 보호기의 제거 및 레진으로부터 펩타이드를 분리시킨 다음, 디에틸에테르로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조(crude) 펩타이드는 0.1% TFA가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농도 구배(acetonitrile gradient)로 하여 정제형 역상-HPLC(reverse phase-HPLC) column (Delta Pak, C18 300Å, 15μm, 19.0 mm x 30mm , Waters)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합성 펩타이드를 6 N-HCl로 110℃ 에서 24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후, 얻어진 잔사를 감압농축 한 뒤, 0.02 N-HCl에 녹여서 아미노산 분석기(Hitachi 8500 A)로 아미노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합성된 펩타이드의 시퀀스(sequence)를 바탕으로 분자량을 계산하였고, MALDI 질량 분석법(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mass spectrometer)을 이용하여 정확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분자량과 계산된 분자량이 일치하므로 정확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항균 펩타이드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FPR2 agonist로 사용된 WKYMVm, MMK-1, WRWWWW(WRW4) 펩타이드도 상기 방법으로 동일하게 합성하였다. LPS(lysophosphatidylserine)는 Avanti Polar Lipids, fMLF(FPR1 agonist)는 sigma 제품을 구입하였다.
<실시예 3. 실험 대상 세포의 준비>
실시예 3-1. 마우스 호중구의 분리
마우스 골수 호중구(neutrophils)는 이전 보고에 따라 분리되었다. 보다 자세하게는 다음의 방법을 따라 수행하였다. 대퇴골 및 경골에서 분리한 마우스 골수 세포를 HBSS-EDTA 용액에 부유시켰다. 4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재현탁된 세포를 조심스럽게 52%/69%/78% Percoll gradient로 loading하고 1500g에서 3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69%/78% interface layer에서 세포를 분리하고 hypotonic lysis를 통해 적혈구를 제거하였다. 분리된 세포는 flow cytometry(BD FACSCanto II)로 분석하여 95 % 이상의 Ly6G 양성으로 확인되어 호중구의 분리가 잘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2. 벡터-, FPR1- 또는 FPR2- 발현 RBL-2H3 세포
basophilic leukemia cells 인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FPR1- 또는 FPR2- 유전자 발현 세포주를 제작하였다(대조군으로 벡터- RBL-2H3 세포주 제조). 상기 세포주의 제작은 [J Immunol. 2000 Oct 15;165(8):4598-4605]를 참고하여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4. 호중구 내 칼슘 이온 농도 확인 및 세포 이동 확인>
호중구를 포함한 면역세포의 활성화는 많은 경우 세포내 칼슘이온의 증가를 수반한다. 세포내 칼슘이온의 증가는 세포의 이동성 조절, 증식 조절, 염증조절 등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매개할 수 있다. 호중구는 감염균의 생체 내 침입시에 가장 먼저 감염부위로 이동하여 선천면역 반응을 개시하는 면역세포임으로 호중구의 활성화 과정에서 세포 내의 칼슘 이온의 유리가 수반된다. 따라서 호중구 내의 칼슘이온 반응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Scolopendrasin-10이 갖은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기에, Scolopendrasin-10으로 인해 호중구 내의 칼슘이온이 유리되는지를 조사하였다.
호중구는 감염균의 생체 내 침입시에 가장 먼저 감염부위로 이동하여 선천면역 반응을 개시하는 면역세포임으로 호중구의 활성화 과정에서 세포 내의 칼슘 이온의 유리가 수반된다. 이를 위해 Scolopendrasin-10으로 인해 호중구 내의 칼슘이온이 유리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fura-2/AM(Fura-2 pentaacetoxymethylester)을 이용한 Grynkiewicz의 방법으로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측정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다음의 방법을 따라 수행하였다. 3μM fura-2/AM를 새로운 무혈청 RPMI 1640 배지에 있는 마우스 호중구에 loading하여 37℃에서 50분 동안 반응시켰다. Fura-2/AM이 loading된 세포(1x107)를 로크 용액(154 mM NaCl, 5.6 mM KCl, 1.2 mM MgCl2, 5 mM HEPES[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pH 7.3, 10 mM glucose, 2 mM CaCl2, 및 0.2 mM EGTA[Ethylene Glycol Tetraacetic Acid])에 분주하였다. Scolopendrasin-10 100㎍/㎖, WKYMVm 1μM로 세포를 자극한 후에즉각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을 확인하였는데, 340 nm와 380 nm의 dual excitation 파장과 500 nm의 emission 파장에서 형광 변화가 측정되었다.
그 결과, Scolopendrasin-10 100㎍/㎖ 농도에 의해서 호중구 내의 칼슘이온 유리가 유도되는 것이 확인된다(도 1A).
호중구의 이동성은 감염 질환 및 염증질환에서 면역반응을 개시하는 핵심과정으로서, Scolopendrasin-10에 의한 호중구의 이동성이 촉진되는지 조사하였다.
마우스 골수 호중구에 대한 이동성은 주화성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multiwell Boyden chamber를 사용하여 이전의 보고에 따라 수행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37℃에서 90분(RBL-2H3 세포의 경우 4시간) 동안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마우스 호중구 기공 크기 3μm, RBL-2H3 세포의 경우 기공 크기 8μm)에 적용되었다. 이동된 세포를 hematoxylin(Sigma, St. Louis, MO, USA)으로 염색한 다음 보고된 방법대로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계수했다. 이 때 Scolopendrasin-9와 WKYMVm은 각각 Scolopendrasin-8 0.1~100㎍/㎖, WKYMVm 1μM의 농도로 37℃에서 90분 동안 처리하였다.
그 결과, Scolopendrasin-10 0.1~100㎍/㎖의 농도에서 호중구의 이동성이 촉진됨을 확인되었다(도 1B).
백혈구 세포의 이동성을 조절하는 케모카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PTX(pertussis toxin)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는 Gi 단백질을 통해서 chemotaxis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Gi protein의 저해제인 PTX를 처리하여 Scolopendrasin-8에 의한 호중구 chemotaxis 촉진효과가 PTX(pertussis toxin)-민감 G-protein coupled receptor을 통해서 작용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에 마우스 골수 호중구를 준비하고, PTX는 1㎍/㎖의 농도로 4시간 동안 먼저 반응한 다음 Scolopendrasin-10 0.1~100㎍/㎖을 90분 동안 처리하였다. WKYMVm는 별도로 1μM을 Scolopendrasin-10 처리시에 반응시켰다.
그 결과 호중구의 chemotaxis가 PTX에 의해 완전히 저해되는 것이 확인된다(도 1B). 이는 Scolopendrasin-10에 의한 호중구의 chemotaxis 촉진효과가 PTX-민감 G-protein coupled receptor을 통해서 매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5. formyl peptide receptor 2 기능확인을 통한 면역 세포 내 칼슘이온 유리 조절 효과 및 이동성 확인>
Formyl peptide receptor(FPR)는 호중구의 chemotaxis 조절을 하는 여러 가지 수용체 중 대표적 것으로서, 호중구 내의 칼슘 이온 상태를 Scolopendrasin-10의 처리를 통한 FPR 하위 신호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마우스에서 분리한 호중구 대신 vector-, FPR1 및 FPR2-expressing RBL-2H3 세포주에 Scolopendrasin-10을 반응시켜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 농도를 측정하여 도 2A에 나타내었다(상단에서 하단의 순차적으로 Vector-, FPR1- 또는 FPR2- 발현 RBL-2H3 세포의 결과이다). 이 때, LPS 1μM,fMLF 1μM, MMK-1 1μM를 각각 처리군에 따라 동시에 반응시켰다.
도 2A를 참고하면, Scolopendrasin-10 처리시 FPR2-expressing RBL-2H3 세포주에서만 선택적으로 칼슘이온의 변화가 확인된다.
마찬가지로 Scolopendrasin-10이 직접적으로 FPR2을 통해 호중구의 chemotaxis를 유도할 수 있는지 테스트하기 위해 vector- 및 FPR2-expressing RBL-2H3 세포주에 실시예 4의 방법으로 Scolopendrasin-10을 반응시켜 세포의 이동성을 확인하여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를 참고하면, FPR2-expressing RBL-2H3 세포주에서 Scolopendrasin-10 5~100㎍/㎖의 농도에서 세포의 이동성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호중구에서의 사이토카인 생성 조절 효과 확인>
호중구에서의 사이토카인 생성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2% 혈청 RPMI 1640 배지에 있는 마우스 호중구(5x105)에 Scolopendrasin-20 1~100㎍/㎖을 처리한 다음 LPS처리 군에 30분 뒤 1㎍/㎖의 LPS를 처리하여 24시간 후에 상층액을 얻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먼저 ELISA plate에 사용할 사이토카인의 포획 항체(capture antibody)를 하룻밤 부착시킨 다음 호중구로부터 얻은 상층액을 넣어 반응을 시킨다. biotin이 결합되어있는 사이토카인의 detection antibody, avidin-HRP,기질용액을 순서대로 처리한 후 산성용액으로 반응을 중지시켜 spectrophotometer로 OD 450nm에서 측정하였다.
감염질환 및 염증질환에서 호중구는 외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을 생성하여 주위의 다른 세포의 활성을 조절한다. Scolopendrasin-10의 처리로 마우스 호중구에서 사이토카인 생성이 촉진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LPS 처리/비처리 군의 호중구에서 각각 ELISA 법으로 CCL2, IL-6, TNF-α 등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확인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LPS(Lipopolysaccharide)는 호중구를 자극하여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을 생성하여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물질로서, 도 3을 참고하면 Scolopendrasin-10 자체는 호중구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았지만, LPS가 처리된 호중구에서 발현된 IL-6, TNF-α, CCL2 등의 사이토카인이 Scolopendrasin-10 처리시 감소되는 것이 확인된다.
<실시예 7. 호중구의 탈과립 방출량 조절 효과 및 반응성 산소 생성 효과 확인>
호중구의 탈과립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beta-hexosaminidase assay의 방법으로 탈과립현상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호중구(1x107/ml)를 타이로드 용액(137mM NaCl, 12mM NaHCO3, 5.6mM glucose, 2.7mM KCl, 1mM CaCl2, 0.5mM MgCl2, 0.4mM NaH2PO4, 0.1g/100mlBSA, 25mM HEPES, pH7.4) 분주한 후 Scolopendrasin-10 1~100㎍/㎖ 또는 WKYMVm 1μM를 세포에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상층액와 세포를 분리하여 세포에만 세포용해 용액(0.6% Triton X-100 in PBS)을 넣어 용해한다. 각각의 상층액와 세포에 기질 용액(5mM 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dide in 0.1M citrate buffer(pH 3.8))을 넣고 37℃, 5% CO2 조건에서 2시간 반응시킨다. 0.4M Na2CO3용액으로 반응을 중단 시킨 후 spectrophotometer로 OD 405nm에서 측정하였다.
염증매개체를 생산하여 과립내 저장하고 있는 면역세포는 염증 반응으로 활성화가 되면 탈과립(degrannlation) 방출이 되어 반응을 일으킨다. Scolopendrasin-10에 의한 호중구의 탈과립 방출량을 확안하여 도 4A에 나타내었다. 도 4A를 참고하면, Scolopendrasin-10 1~100㎍/㎖으로 처리된 호중구에서 탈과립 방출량이 의미있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된다.
호중구의 중요 기능인 반응성 산소 생성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ytochrome c reduction assay를 통하여 superoxide anion 생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microtiter 96-웰 플레이트 ELISA 판독기(Bio-Tek instruments, EL312e,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cytochrome c 저감 분석을 측정하였다. 분리된 마우스 호중구(1x106 cells/96 well plate, well당 100 ㎕의 RPMI 1640 배지)를 50 μM cytochrome c와 5 μM cytochalasin B의 존재 하에서 Scolopendrasin-10 1~10㎍/㎖ 또는 WKYMVm 1μM로 자극했다. superoxide 생성은 550 nm에서 1분 간격으로 10분에 걸쳐 측정하여 광 흡수 변화를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도 4B에 나타내었다(도 4B의 하단 그림은 상단 그래프 결과의 5분째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Scolopendrasin-10 1~10㎍/㎖의 농도에서 superoxide anion 생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호중구의 세포신호전달 분자 활성화 효과 확인>
MAPK 및 Akt는 다양한 세포신호전달에서 기본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며, 이들에 의해 항-염증반응이 조절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결과로서, Akt에 의한 항-염증반응 조절 기능은 [Int Immunopharmacol., 2016, 36, 282-290] 등에 보고되어 있으며, ERK에 의한 항-염증반응 조절에 대해서는 [Cell Signal., 2006, 994-1005] 등에, p38에 의한 항-염증반응 조절 기능은 [Arthritis Rheum., 2012, 64(9), 2887??2895] 등에 보고된 바 있다.
호중구의 세포신호전달 분자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롯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마우스에서 분리한 호중구를 무혈청 RPMI 1640 배지에 분주시킨다음 scolopendrasin 100㎍/㎖을 0~30분동안 37℃에서 반응시켰다. 그 세포만 얻어 세포용해용액(20mM Tris, pH7.2, 100mM NaCl, 10mM EDTA, 50mM NaF, 2.5mM NaVO4, 1% Triton X-100)에 분주하여 ice에서 1시간 용해 과정을 거친 후 상층액을 얻어 SDS 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을 분리하고 membrane에 고정시킨다음 Akt, p38, ERK 항체를 처리한다. 이어 2차 항체를 처리하고 ECL(enhanced chemiluninescence) 용액으로 원하는 세포신호전달 분자를 검출하여 이에 대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고하면 Scolopendrasin-10 100㎍/㎖의 농도로 처리 후 2분에서 10분까지 Akt, ERK 및 p38의 인산화가 의미있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된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Anti-inflammatory peptide Scolopendrasin-10 derived from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composition comprising it for the treatment of sepsis <130> 262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8 <212> PRT <213> Unknown <220> <223>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400> 1 Met Lys Lys Phe His Cys Leu Lys Lys Ile Cys Lys Gly Leu Cys Ala 1 5 10 15 Lys Leu

Claims (5)

  1.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하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염증성 펩타이드.
    서열번호 1: MKKFHCLKKICKGLCAKL-NH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또는 IL-6(interleukin-6)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3. 제1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4. 제1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70147451A 2017-11-07 2017-11-07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KR10200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51A KR102006742B1 (ko) 2017-11-07 2017-11-07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51A KR102006742B1 (ko) 2017-11-07 2017-11-07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610A KR20190051610A (ko) 2019-05-15
KR102006742B1 true KR102006742B1 (ko) 2019-08-02

Family

ID=6657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451A KR102006742B1 (ko) 2017-11-07 2017-11-07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196B1 (ko) 2020-04-09 2023-01-06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당벌레 유충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496833B1 (ko) * 2020-10-16 2023-02-08 대한민국 왕지네 유래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2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11151B1 (ko) * 2020-10-16 2023-03-20 대한민국 왕지네 유래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3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535B1 (ko) * 2014-07-24 2016-10-20 대한민국 왕지네로부터 분리한 항균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6 및 그의 조성물
KR101629386B1 (ko) * 2014-11-07 2016-06-15 대한민국 왕지네로부터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7 및 그의 조성물
KR101625502B1 (ko) 2014-11-13 2016-05-3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대장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신규 스콜로펜드라신-4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KR101697179B1 (ko) 2014-11-14 2017-01-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스콜로펜드라신-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00603B1 (ko) 2015-06-09 2017-02-14 대한민국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1 및 그의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MB Rep., Vol. 49, No. 9, pp. 520-525(2016.09.30.)
Funct. Integr. Genomics, Vol. 14, pp. 275-283(2014.03.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610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6128B1 (en) Antimicrobial cationic peptides and methods of screening for the same
EP3275894B1 (en) A cxc chemokine receptor 4 (cxcr4) antagonistic polypeptide
KR102006742B1 (ko)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0,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KR101479148B1 (ko) 주형 고정된 펩타이드 모방체
US20100144627A1 (en) Methods for modulating set and uses thereof
US5877274A (en) Antimicrobial cationic peptides
KR100831633B1 (ko) Fpr 계열 수용체 매개 신호전달에 대하여 길항작용 하는펩티드
KR20100010338A (ko) 라이신과 프롤린 잔기 치환으로 박테리아 선택성을 높인새로운 수딘 유도체 항생 펩타이드 및 그 용도
US20100166708A1 (en)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therapies and compositions
KR102008722B1 (ko)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9,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US6358921B1 (en) Antimicrobial 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
Hayashi et al. Revisiting the potential of South American rattlesnake Crotalus durissus terrificus toxins as therapeutic, theranostic and/or biotechnological agents
Lin et al. Lipopolysaccharide neutralization by the antibacterial peptide CM4
AU2002317071B2 (en) Antimicrobial peptides
KR20070111027A (ko) 개구린 5로부터 합성 및 제조된 항생 및 항암 신규펩타이드 유도체
KR102008728B1 (ko) 왕지네 유래의 항염증성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8,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치료용 조성물
KR102010847B1 (ko)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AU2002317071A1 (en) Antimicrobial peptides
JP7340027B2 (ja) アルブミンと結合したSlit3タンパク質のLRRD2を含む骨関連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146935B1 (ko) 광대노린재로부터 유래된 포에실로코리신-1 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51474A (ko)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6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US9540423B2 (en) Plant defensins and use in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eases
KR102026769B1 (ko) 장수풍뎅이 유충에서 유래한 알로미리나신-1 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24691B1 (ko) 신규한 세크로핀 유사 항진균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KR102146937B1 (ko) 왕사마귀로부터 유래된 테노데라신-1 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