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847B1 -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847B1
KR102010847B1 KR1020170147181A KR20170147181A KR102010847B1 KR 102010847 B1 KR102010847 B1 KR 102010847B1 KR 1020170147181 A KR1020170147181 A KR 1020170147181A KR 20170147181 A KR20170147181 A KR 20170147181A KR 102010847 B1 KR102010847 B1 KR 102010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antifungal
composition
oxyyacin
antialler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472A (ko
Inventor
황재삼
김미애
안미영
김성현
김인우
서민철
이준하
백민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4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8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63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옥시야신-5 펩타이드는 세포 독성이 거의 없고 탁월한 항균, 항진균 및 항알레르기성 활성을 나타내므로 항생제, 식품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각종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벼메뚜기와 관련된 펩타이드 기술에 있어서 본 발명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된 바 없다.

Description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Oxyasin-5 peptide isolated from Oxya chinensis sinuosa and antimicrobial, antimycotic and antiallergic composition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벼메뚜기부터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벼메뚜기부터 유래하여 세포 독성이 미미하면서도 우수한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은 인간의 질병에서 가장 흔하고 치명적인 원인 중의 하나인데, 불행하게도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항생제 저항성 (resistance)이 야기되었다. 실제로, 병원성 미생물이 새로운 항생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속도는 새로운 항생제의 유사체가 개발되는 속도보다 훨씬 더 빠르다. 예를 들면,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엔테로코쿠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마이코박테리움 투버쿨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슈도모나스 아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병원성 미생물 종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항생제에 대한 저항력을 키워왔다. 항생제에 대한 내성(tolerance)은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resistance)과는 구별되는 현상인데, 1970년대에 뉴모코커스(Pneumococcus sp.)에서 최초로 발견이 되었으며 페니실린의 작용 기작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내성을 보이는 종은 통상적인 농도의 항생제 존재 하에서는 성장을 멈추지만 결과적으로 죽지는 않는다. 이러한 내성은 항생제가 세포벽 합성 효소를 저해할 때 오토라이신(autolysin) 등과 같은 세균의 자가분해(autolytic) 효소의 활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발생되는데, 이로 인해 페니실린이 내인성 가수분해 효소(endogenous hydrolytic enzym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균을 죽이며 세균은 또한 이들의 활성을 억제해서 항생제 치료 시에도 생존하는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병원성 미생물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것은 임상적으로 대단히 중요한데, 내성 미생물을 박멸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면 임상적인 감염에서 항생제 치료의 효용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내성이 생기는 것은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생기게 되는 선행 조건이라고 간주되며, 이것은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살아남는 균주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균주는 항생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새로운 유전 요소를 획득해서 항생제의 존재 하에서도 계속 성장하게 된다. 실제적으로 모든 저항성을 보이는 병원성 미생물들은 내성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이러한 항생제 저항성을 가지는 병원성 미생물을 죽일 수 있는 신규의 항생제의 개발은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항생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병원성 미생물들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며, 아울러 오토라이신 활성과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그러한 새로운 항생제를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생물체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물질들 중 일부가 각종 생물체 유래의 생리 활성 물질이다. 지금까지 수많은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각종 생물체에서 분리된 항균 펩타이드는 박테리아, 곰팡이 및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균 펩타이드들은 숙주 방어 및 선천적 면역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레르기(allergy)는 어떤 외래성 물질과 접한 생체가 그 물질에 대하여 정상과는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으로서, 생물체가 어떤 외래성 물질과 접하게 되면 항원항체반응에 의하여 생체 내에 급격한 반응 능력의 변화가 생기는데, 이를 알레르기라고 한다. 생체는 이종물질에 대해서는 그 항원(抗原)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와 림프구를 생산하고 재차 항원과 접하면 여러 가지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이 면역응답 또는 면역반응은 생체의 자기 보존을 위한 중요한 방어메커니즘의 하나인데, 보통 생체에 대해 보호적으로 작용하지만 때로는 이 메커니즘이 생체에 불리하게 작용하여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알레르기는 "과민 반응"이라는 뜻이으로서, 그리스어 낱말 allos가 어원이며, 이는 "변형된 것"을 뜻한다. 알레르기라는 용어는 1906년 프랑스 학자 폰 피르케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알러지 또는 앨러지는 영어 발음, 알레르기는 독일어식 발음으로 한국어에선 둘 다 혼용되어 통용된다.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항원은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 하며, 전형적인 알레르겐은 꽃가루, 약물, 식물성 섬유, 세균, 음식물, 염색약, 화학물질 등이 있다. 면역계에는 항원에 대항하여 신체를 지키기 위한 몇 가지 방어 메커니즘이 있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종류는 림프구로, 특정 항원에 반응하기 위해 특이화되어 있으며, B세포와 T세포가 이에 해당한다. B세포는 항원에 결합하여 항원을 파괴시키고 중화시키는 단백질인 항체를 생성한다. T세포는 항체를 생산하는 대신에 항원에 직접 결합하여 공격을 자극한다. 알레르기 반응은 즉시형 알레르기 또는 지연형 알레르기로 나타나는데, 항원이 B세포나 T세포 중 어느 세포와 반응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알레르기로 인해 일어나는 질환에는 자가면역질환, 교원병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질환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고전적 알레르기성 질환인, 아나필락시스 쇼크, 식품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 화분증, 기관지천식, 약제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들은 알레르기가 병의 원인인 질환이지만 그 발증(發症)에는 그 밖의 생체측 조건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비(非)알레르기적 메커니즘에 의해서도 동일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유래의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신규 펩타이드 옥시야신-5가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효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25875호 (발명의 명칭 : 아스퍼질러스 니듈란스로부터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출원인 : 학교법인조선대학교, 등록일 : 2006년09월12일) 한국등록특허 제10-0964136호 (발명의 명칭 : 울도하늘소유충으로부터 분리한 항균 또는 항진균 펩타이드 유전자 및 항균 또는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합성펩타이드,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0년06월09일) 한국등록특허 제10-1743113호 (발명의 명칭 :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옥시야신-1 및 그의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7년05월29일) 한국등록특허 제10-1740551호 (발명의 명칭 :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옥시야신-2 및 그의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7년05월22일) 한국등록특허 제10-1697179호 (발명의 명칭 : 스콜로펜드라신-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7년01월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로부터 분리한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효능을 갖는 옥시야신-5 펩타이드와 이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로부터 분리한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펩타이드의 유전자에서 합성된 하기 서열번호 1로 표현되는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서열번호 1: RRVGRRQR-NH2
상기 펩타이드는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대장균 0-157(Escherichia coli 0-157)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β-헥소사미노다아제(β-hexosaminidase), 히스타민(histamine)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항알레르기성 조성물은 아나필락시스 쇼크, 식품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 화분증, 기관지천식, 약제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두드러기, 습진 및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또는 장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중독 또는 장염은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대장균 0-157(Escherichia coli 0-157)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인균으로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 항진균 효과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 제제용 약학 조성물, 항생제, 식품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또는 의약품 보존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로부터 분리한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펩타이드의 유전자에서 합성된 서열번호 1로 표현되는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과 동일한 서열을 갖는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로부터 직접 분리한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펩타이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과 동일한 서열을 갖는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로부터 직접 분리한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펩타이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카르복실 말단이 -NH2 형태 또는 -OH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유래 펩타이드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벼메뚜기를 액체질소로 급속 동결하여 전체 RNA를 분리하고, 이를 RNA seq 분석법을 이용하여 벼메뚜기 전사체들에 관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며, 각각의 전사체들로부터 번역된 아미노산(펩타이드)의 서열을 바탕으로 기존의 밝혀진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펩타이드의 성질을 이용하여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로 추정되는 유니진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RRVGRRQR-NH2로 8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이를 옥시야신-5(Oxyasin-5)로 명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장염의 예방/치료용 조성물, 항생제, 식품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또는 의약품 보존제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옥시야신-5 펩타이드는, 항균 활성 대상균으로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 0-157(Escherichia coli 0-157), 항진균 활성 대상균으로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하여 RDA assay(radial diffusion assay)에서 항균 또는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옥시야신-5 펩타이드는 알레르기 질환에서 대표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인 β-헥소사미노다아제(β-hexosaminidase), 히스타민(histamine)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안전한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또한 임상투여시에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실제로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는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전달체(carrier)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팅 물질(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 또는 이와 95% 이상 상동성을 갖는 펩타이드의 총 유효량은 거환(bolus) 형태 혹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확산(infusion) 등에 의해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농도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및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의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옥시야신-5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제, 식품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를 제공한다. 이때, 식품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또는 의약품 보존제는 식품이나 의약품의 변질, 부패, 변색 및 화학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살균제, 산화방지제가 이에 포함되며 세균, 곰팡이, 효모 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식품 또는 의약품에서 부패미생물의 발육저지 또는 살균작용을 하는 등의 기능성 항생제도 포함된다. 이러한 식품 방부제, 화장품 또는 의약품 보존제의 이상적인 조건으로는 독성이 없어야 하며, 미량으로도 효과가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또는 장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중독 또는 장염은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대장균 0-157(Escherichia coli 0-157)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원인균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아나필락시스 쇼크, 식품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 화분증, 기관지천식, 약제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두드러기, 습진 및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에서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옥시야신-5 펩타이드는 세포 독성이 거의 없고 탁월한 항균, 항진균 및 항알레르기성 활성을 나타내므로 항생제, 식품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각종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벼메뚜기와 관련된 펩타이드 기술에 있어서 본 발명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효능이 있다는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된 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의 항균 또는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가 세포독성 효과가 없다는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의 β-hexosaminidase 분비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의 Histamine 분비 감소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의 TNF-α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벼메뚜기 유래 항균 펩타이드 선발>
실시예 1-1. 벼메뚜기의 면역화 및 RNA 수집
벼메뚜기로부터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벼메뚜기를 액체질소로 급속 동결하여 전체 RNA를 분리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하기의 과정을 통해 벼메뚜기를 면역화하고 RNA를 수집하였다.
벼메뚜기 성충은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제공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면역화는 E. coli를 TSB (Tryptic Soy Broth, Difco, USA) 액체 배지에서 37℃, 200rpm 조건으로 진탕배양기에서 18시간 동안 1차 배양 후,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시 2시간 30분 동안 2차 배양한 다음, 세포수가 2x106 콜로니 형성 단위(CFU: colony forming unit)가 되도록 취하여 미세주사기를 이용하여 체강에 주사하고 면역화를 유도하기 위해 25℃에서 18시간 동안 사육하였다.
다음으로는 생리활성 물질의 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상의 벼메뚜기와 E. coli로 면역화 시킨 벼메뚜기의 total RNA를 이용하여 RNA-seq를 진행하였다. 우선 정상의 벼메뚜기와 면역화 시킨 벼메뚜기를 준비한 후 조직을 최대한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이를 액체 질소로 급속 냉동시키고 막자사발에 갈아서 시료를 준비한 후 시료 800㎕ TRIZOL과 혼합하고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다. 160㎕ chroloform을 첨가하여 섞어준 후 4℃에서 12,000g로 15분간 원심분리 한뒤 상층액을 취해 500㎕ isopropan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에서 12,000 g로 10분간 원심분리한다. 침전된 RNA는 800㎕ 75% ethanol로 세척시킨 후 건조시키고 이를 멸균수에 녹여 RNA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total RNA는 Agilent 2100 Bioanalyzer 기기를 이용하여 RNA의 순도와 quality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펩타이드 선발
이렇게 얻은 이를 RNA seq 분석법을 이용하여 벼메뚜기 전사체들에 관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전사체들로부터 번역된 아미노산의 서열과 기존의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펩타이드 성질을 바탕으로 유니진 전체를 filtration 하였으며 그 결과 새로운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 펩타이드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선별된 아미노산 서열은 RRVGRRQR-NH2으로 8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옥시야신-5(Oxyasin-5)로 명명하였다(표 1).
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Oxyasin-5 RRVGRRQR-NH2
<실시예 2. 옥시야신-5 합성 및 분리 정제>
상기 실시예 1에서 확인된 벼메뚜기로부터 유래하는 옥시야신-5 펩타이드를 합성 및 분리 정제하였다.
먼저, 옥시야신-5 펩타이드를 합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Fmoc 아미노기 보호용기를 이용한 메리필드(Merrifield)의 액상 고상법(Merrifield, RB., J. Am. Chem. Soc., 85, 2149, 1963)을 사용하여 펩타이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펩타이드 합성의 방법은 Fmoc(9-fluorenylmethoxycarbonyl)를 아미노산의 Nα-아미노 그룹(amino group)의 보호기(protecting group)로 사용하는 고상법(solid phase method)으로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카르복실 말단이 -NH2 형태인 펩타이드는 Rink Amide MBHA-Resin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카르복실 말단이 -OH 형태의 펩타이드는 Fmoc-아미노산-Wang Resin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다. Fmoc-아미노산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한 펩타이드 사슬의 연장(elongation)은 DCC(N-hydroxybenzo-triazole(HOBt)-dicyclo-hexylcar-bodiimide)법을 사용하였다.
각 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의 Fmoc-아미노산을 커플링 시킨 후, 20% 피페리딘/N-메틸피롤리돈(NMP) 용액으로 Fmoc기를 제거하고 NMP 및 디클로로메탄(DCM)으로 여러 번 씻어준 다음 질소 가스로 말렸다. 여기에 TFA(trifluoroacetic acid)-phenol-thioanisole-H2O-triisop-ropylsilane(85:5:5:2.5:2.5, vol./vol.) 용액을 가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켜 보호기의 제거 및 레진으로부터 펩타이드를 분리시킨 다음, 디에틸에테르로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조(crude) 펩타이드는 0.1% TFA가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농도 구배(acetonitrile gradient)로 하여 정제형 역상-HPLC(reverse phase-HPLC) column(Delta Pak, C18 300Å, 15μm, 19.0 mmx30 mm, Waters)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합성 펩타이드를 6 N-HCl로 110℃ 에서 24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후, 얻어진 잔사를 감압농축 한 뒤, 0.02 N-HCl에 녹여서 아미노산 분석기(Hitachi 8500 A)로 아미노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합성된 펩타이드의 시퀀스(sequence)를 바탕으로 분자량을 계산하였고, MALDI 질량 분석법(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mass spectrometer)을 이용하여 정확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분자량과 계산된 분자량이 일치하므로 정확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펩타이드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옥시야신-5 항균 펩타이드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또는 항진균 활성 조사>
옥시야신-5 펩타이드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RDA(radial diffusion assay)를 수행하였다. 이때 꿀벌로부터 분리된 강력한 항균 펩타이드인 멜리틴(Melittin)을 본 발명에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옥시야신-5 펩타이드는 -20℃에 보관하며, 멸균된 3차 증류수에 녹여서 사용하였다.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병원성 세균인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 0-157(Escherichia coli 0-157)을 3 %(w/v) TSB(trypticase soy broth)에서 37℃, 200rpm 조건으로 18시간 배양한 후, 다시 동일한 조건에서 4x106 CFU(colony forming units)/㎖ 농도가 되도록 2시간 30분간 2차 배양하였다.
그 후 시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버퍼(Citrate phosphate buffer; 9 mM sodium phosphate, 1 mM sodium citrate, pH 7.4)와 1%(w/v) typeⅠ(low electroendosmosis) 아가로스, 0.03 % TSB로 구성된 멸균된 언더레이 겔(underlay gel)에 배양된 세균(4x106 colony forming units/㎖)을 넣고 혼합해준 뒤 사각플레이트에 붓고, underlay gel이 굳으면 지름 3 mm의 구멍을 내어 농도별 펩타이드(peptide)를 5㎕ 씩 구멍에 넣었다.
펩타이드가 확산되도록 37℃ 에서 3시간 배양한 후, 오버레이 겔(Overlay gel; 6 % TSB, 1 % agarose) 10 ㎖을 붓고 37℃ 에서 다시 배양하여 클리어 존(CLEAR ZONE)의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펩타이드의 항진균 활성의 측정에는 병원성 진균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YPD 배지(1 % yeast extract, 2 % peptone, 2 % dextrose) 에서 30℃, 200 rpm 조건으로 밤새 키운 후, 이를 새 배지에 접종하여 2시간 키워 대수기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Citrate phosphate buffer(9 mM sodium phosphate, 1 mM sodium citrate, pH 7.4)와 1%(w/v) type(low electroendosmosis) agarose, 0.03% TSB로 구성된 멸균된 underlay gel에다 배양된 세균(4x106 colony forming units/㎖)을 넣고 혼합해준 뒤 사각플레이트에 붓고, underlay gel이 굳으면 지름 3 mm의 구멍을 내어 농도별 펩타이드(peptide)를 5 ㎕씩 구멍에 넣었다.
펩타이드가 확산되도록 37 ℃에서 3시간 배양한 후, Overlay gel(6 % TSB, 1 % agarose) 10 ㎖을 붓고 37 ℃에서 다시 배양하여 클리어 존(CLEAR ZONE)의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고하면, 옥시야신-5 펩타이드는 그람 음성균과 양성균에 대한 활성이 있음을 확인되며 이는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유해 균주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사용 가능함을 보여준다. 또한 항진균 활성 측정의 결과에서도 클리어 존(CLEAR ZONE)이 형성됨을 확인하였으며 그람 음성균/양성균과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한다.
<실시예 4. 옥시야신-5의 세포 독성 확인>
염증 및 알레르기 관련 세포로 알려진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37℃, 5% CO2 배양기에서 항생제 (100units/㎖ penicillin, 100㎍/㎖ streptomycin)와 10% 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 medium을 이용하여 배양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포독성 확인은 MTS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96-well 배양용기에 2x104cell/well 세포를 100㎕ 씩 분주한 후 옥시야신-5를 농도 의존적으로 24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10㎕ CellTiter 96
Figure 112017110225081-pat00001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MTS) (Promega, USA)를 첨가하고 3 ~ 4 시간 반응시켜 색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이를 multi detecter (Beckman DTX8800)를 이용하여 450nm 파장에서 흡광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는데, 도 2를 참고하면, 옥시야신-5가 처리된 군의 세포 생존율이 무처리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이 확인된다. 따라서, 옥시야신-5는 최대 농도인 200㎍/㎖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옥시야신-5의 항알레르기 활성 확인>
실시예 5-1. β-hexosaminidase release assay
옥시야신-5 펩타이드의 항알레르기 활성을 측정할 수있는 또 다른 방법으로 RBL-2h3세포에서의 β-hexosaminidase의 분비량을 확인하였다. 세포를 106cell/㎖ 준비한 후 24well에 200㎕씩 분주하고 IgE를 처리한 뒤 overnight하였다. 준비된 세포에 옥시야신-5를 처리하고 30분 반응시켰다. 그 후 알레르기를 유발하기 위해 DNP를 이용하여 각 well당 10㎍/㎖ 농도로 3시간 처리한 후 상등액을 수거하여 β-hexosaminidase release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고하면 옥시야신-5 펩타이드가 β-hexosaminidase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5-2. Histamine release assay
옥시야신-5 펩타이드의 항알레르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RBL-2h3 세포에서의 histamine의 분비량을 확인하였다. 세포를 106cell/㎖ 상태로 준비한 후 24 well에 200㎕씩 분주하고 IgE를 처리한 뒤 overnight하였다. 준비된 세포에 옥시야신-5를 처리하고 30분 반응시켰다. 그 후 알레르기를 유발하기 위해 DNP를 이용하여 각 well당 10㎍/㎖ 농도로 3시간 처리한 후 상등액을 수거하여 histamine release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고하면 옥시야신-5 펩타이드가 histamine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5-3. TNF-α 저해능 확인
옥시야신-5 펩타이드의 항알레르기 활성 메커니즘을 구명하기 위해 알레르기가 유발되는 과정에서 분비된다고 알려져 있는 TNF-α의 분비 저해능을 실험을 통해 확인 하였다. 방법으로는 세포를 106cell/㎖ 준비한 후 24well에 200㎕씩 분주하고 IgE를 처리한 뒤 overnight하였다. 준비된 세포에 옥시야신-5를 처리하고 30분 반응시켰다. 그 후 알레르기를 유발하기 위해 DNP를 이용하여 각 well당 10㎍/㎖ 농도로 3시간 처리한 후 상등액을 수거하여 TNF-α 분비량을 ELISA로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고하면 옥시야신-5 펩타이드가 비만세포로부터 TNF-α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옥시야신-5 펩타이드가 세포 독성이 미미할 뿐 아니라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어, 안전한 항생제, 식품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의약품,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가능함을 의미한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Oxyasin-5 peptide isolated from Oxya chinensis sinuosa and antimicrobial, antimycotic and antiallergic composition comprising it <130> 240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8 <212> PRT <213> Unknown <220> <223> Oxya chinensis sinuosa <400> 1 Arg Arg Val Gly Arg Arg Gln Arg 1 5

Claims (9)

  1.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로부터 유래한 하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로서, 상기 펩타이드가 대장균 0-157(Escherichia coli 0-157)에 대한 항균 효능,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효능 또는 항알레르기성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서열번호 1: RRVGRRQR-NH2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β-헥소사미노다아제(β-hexosaminidase), 히스타민(histamine)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5. 제1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나필락시스 쇼크, 식품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 화분증, 기관지천식, 약제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두드러기, 습진 및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7. 제1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0-157(Escherichia coli 0-157)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8. 제1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용 조성물.
  9. 삭제
KR1020170147181A 2017-11-07 2017-11-07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2010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81A KR102010847B1 (ko) 2017-11-07 2017-11-07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81A KR102010847B1 (ko) 2017-11-07 2017-11-07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72A KR20190051472A (ko) 2019-05-15
KR102010847B1 true KR102010847B1 (ko) 2019-08-14

Family

ID=6657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181A KR102010847B1 (ko) 2017-11-07 2017-11-07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091A (ko) * 2020-10-16 2022-04-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풀무치로부터 분리한 로커스타신-1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3922B (zh) * 2022-06-16 2023-09-05 广东赛尔生物科技有限公司 生物活性肽与干细胞外泌体在皮肤修复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113B1 (ko) 2015-11-09 2017-06-02 대한민국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옥시야신-1 및 그의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875B1 (ko) 2004-11-02 2006-09-20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아스퍼질러스 니듈란스로부터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964136B1 (ko) 2009-07-28 2010-06-21 대한민국 울도하늘소유충으로부터 분리한 항균 및 항진균 펩타이드 유전자 및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
KR101697179B1 (ko) 2014-11-14 2017-01-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스콜로펜드라신-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40551B1 (ko) * 2015-11-09 2017-06-08 대한민국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옥시야신-2 및 그의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113B1 (ko) 2015-11-09 2017-06-02 대한민국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옥시야신-1 및 그의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Microbiol. Biotechnol., Vol. 26, No. 11, pp. 1863-1870(2016.09.0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091A (ko) * 2020-10-16 2022-04-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풀무치로부터 분리한 로커스타신-1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496852B1 (ko) 2020-10-16 2023-02-08 대한민국 풀무치로부터 분리한 로커스타신-1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72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927B1 (ko) 흰점박이꽃무지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프로테티아마이신 1 및 그의 조성물
KR101700603B1 (ko)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1 및 그의 조성물
KR101629386B1 (ko) 왕지네로부터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7 및 그의 조성물
KR101889396B1 (ko) 흰점박이꽃무지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프로테티아마이신 2 및 그의 조성물
KR101953828B1 (ko) 왕귀뚜라미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테레오그릴루신 1 및 그의 조성물
KR101444257B1 (ko) 왕지네로부터 분리한 신규 스콜로펜드라신ⅱ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KR101667535B1 (ko) 왕지네로부터 분리한 항균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6 및 그의 조성물
KR101740551B1 (ko)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옥시야신-2 및 그의 조성물
KR101743113B1 (ko)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옥시야신-1 및 그의 조성물
KR101444261B1 (ko) 왕지네로부터 분리한 신규 스콜로펜드라신ⅰ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KR102010847B1 (ko)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5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2010853B1 (ko)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옥시야신-6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1953834B1 (ko) 왕귀뚜라미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테레오그릴루신 2 및 그의 조성물
KR101444256B1 (ko) 왕지네로부터 분리한 신규 스콜로펜드라신ⅲ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KR102146930B1 (ko) 왕귀뚜라미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테레오그릴루신 3 및 그의 조성물
KR101825952B1 (ko)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옥시야신-3 및 그의 조성물
KR101686428B1 (ko)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2 및 그의 조성물
KR102146935B1 (ko) 광대노린재로부터 유래된 포에실로코리신-1 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20086B1 (ko) 벼메뚜기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옥시야신-4 및 그의 조성물
KR101889404B1 (ko)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5 및 그의 조성물
KR101851134B1 (ko)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6 및 그의 조성물
KR101773351B1 (ko)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3 및 그의 조성물
KR101624688B1 (ko) 신규한 락토페리신 유사 항진균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KR101624632B1 (ko) 왕지네로부터 분리한 신규 스콜로펜드라신-5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KR101624691B1 (ko) 신규한 세크로핀 유사 항진균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