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693B1 - 가변 교체형 샤클 - Google Patents

가변 교체형 샤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693B1
KR102006693B1 KR1020170148872A KR20170148872A KR102006693B1 KR 102006693 B1 KR102006693 B1 KR 102006693B1 KR 1020170148872 A KR1020170148872 A KR 1020170148872A KR 20170148872 A KR20170148872 A KR 20170148872A KR 102006693 B1 KR102006693 B1 KR 10200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in member
support
insertion hole
sha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974A (ko
Inventor
김정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6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가변 교체형 샤클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은 중량물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각각 상이한 길이와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핀부재 및 상기 핀부재가 설치되며 설치되는 상기 핀부재의 길이에 따라 상기 핀부재가 설치되는 양 끝단의 폭이 가변되는 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중량물의 무게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핀부재를 교체 가능하다.

Description

가변 교체형 샤클{Adjustable and Changeable Shackle}
본 발명은 가변 교체형 샤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 인양하여 이동 시 중량물과 인양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중량물을 인양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가변 교체형 샤클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중량물인 다수의 철판들이 조립되는 과정을 거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하고, 이들 블럭이 다시 조립되어 선박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작업을 위해 철판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중량물들이 크레인(Crane)과 같은 인양장치에 의해 인양 후 이송되게 된다.
이 경우, 중량물은 크레인 후크와 와이어 및 슬링벨트를 통해 리프팅될 수 있는데, 이때 중량물과 와이어 및 슬링벨트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샤클(Shackle)이 사용된다.
보통 샤클(Shackle)은 도 1에서와 같이, 대략 '∩' 형상을 갖는 샤클본체(1)와, 샤클본체(1)의 개방된 양단에 끼워져 나사체결되는 샤클핀(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슬링벨트 샤클본체(1)에 걸리고, 수하물을 결속한 와이어를 포함한 결속부재가 상기 샤클핀(2)에 걸리도록 한 다음 크레인으로 슬링벨트를 들어 올리게 되면 샤클본체(1)가 리프팅 되면서 샤클핀(2)에 걸린 결속부재를 당겨 결속부재가 결속하고 있는 중량물을 들어 올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샤클은 중량물의 종류가 바뀌면 슬링벨트의 종류 또한 중량물의 하중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며, 이 경우 슬링텔트의 폭 및 중량물의 하중에 적합하도록 샤클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샤클 전체를 매번 교체하는데 따른 번거로움과, 샤클의 무게에 의한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324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222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샤클 전체를 매번 교체하는데 따른 번거로움과, 샤클의 무게에 의한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가변 교체형 샤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은 중량물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각각 상이한 길이와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핀부재 및 상기 핀부재가 설치되며, 설치되는 상기 핀부재의 길이에 따라 상기 핀부재가 설치되는 양 끝단의 폭이 가변되는 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중량물의 무게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핀부재를 교체 가능하다.
상기 바디는 제 1 링크, 일단이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과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와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제 2 링크,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지지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의해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에는 상기 핀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홀이 지면과 수평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핀부재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 2 삽입홀이 상기 제 1 삽입홀과 동일한 중심축 상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의 양 측에는 상기 제 1 삽입홀 및 상기 제 2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 및 제 2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삽입부와 상기 제 2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중량물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핀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및 직경은 서로 상이하되, 상기 제 1 삽입부 및 상기 제 2 삽입부의 직경은 상기 제 1 삽입홀 및 상기 제 2 삽입홀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에는 배치되는 제 3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 3 링크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제 3 링크에 대하여 상대회전 함으로써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은 길이와 직경이 다른 복수의 핀부재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바디에 의해 하나의 바디에 중량물에 적합한 핀부재를 교체 결합 가능하여, 중량물의 종류가 바뀌는 경우 샤클 전체가 아닌 핀부재만 교체할 수 있다. 이로써, 샤클 전체를 매번 교체하는데 따른 번거로움과, 샤클의 무게에 의한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샤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의 바디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의 복수의 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의 바디에 다양한 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는 슬링벨트의 폭 또는 중량물의 하중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의 핀부재를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의 바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의 복수의 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의 바디에 다양한 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슬링벨트의 폭 또는 중량물의 하중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의 핀부재를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은 다양한 형태의 중량물들이 크레인(Crane)과 같은 인양장치에 의해 인양 및 이송 시, 중량물과 와이어 및 슬링벨트(1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가변 교체형 샤클은 바디(100) 및 핀부재(2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후술할 핀부재(200)가 설치되며, 핀부재(200)가 설치되는 양 끝단의 폭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는 제 1 링크(110), 제 2 링크(120), 제 3 링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링크(110)와 제 2 링크(120)는 제 3 링크(130)의 양 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링크(110)와 제 2 링크(120)가 제 3 링크(130)에 대하여 상대회전 함으로써 제 1 링크(110)와 제 2 링크(12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 3 링크(130)는 상시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제 1 링크(110)와 제 2 링크(120)가 제 3 링크(130)에 대하여 각각 양 측으로 동일 각도만큼 회전하면 제 1 링크(110)와 제 2 링크(120)의 끝단에 연결되는 핀부재(200)도 지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바디(100)는 제 1 링크(110)와 제 2 링크(120)의 타단, 즉 제 3 링크(130)와 연결되지 않는 끝단에는 각각 제 1 링크(110) 밀 제 2 링크(1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링크(110) 및 제 2 링크(120)가 이루는 각도가 변하면 제 1 지지부(112)와 제 2 지지부(122)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2)에는 제 1 삽입홀(114)이 형성되며, 제 2 지지부(122)에는 제 2 삽입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삽입홀(114)에는 핀부재(200)의 일측이 삽입되며, 제 1 삽입홀(114)은 지면과 수평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삽입홀(124)에는 핀부재(200)의 타측이 삽입되며, 제 2 삽입홀(124)은 제 1 삽입홀(114)과 동일한 중심축 상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핀부재(200)는 슬링벨트(10)에 의해 중량물(미도시)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핀부재(200a, 200b, 200c)는 각각 상이한 길이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핀부재(200)의 양 측은 바디(100)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핀부재(200)의 양 측은 각각 제 1 삽입홀(114)과 제 2 삽입홀(124)에 삽입되어 제 1 지지부(112)와 제 2 지지부(122)에 의해 슬링벨트(10), 중량물(미도시) 및 핀부재(200)의 자체적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200)의 양 측에는 상기 제 1 삽입홀(114) 및 제 2 삽입홀(124)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삽입부(202)와 제 2 삽입부(204) 사이에는 슬링벨트(10)가 연결되는 연결부(20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핀부재(200a, 200b, 200c)는 연결부(206a, 206b, 206c)의 길이 및 직경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되,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의 직경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의 직경은 제 1 삽입홀(114) 및 제 2 삽입홀(124)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바디(100)에 복수의 핀부재(200)를 교체 결합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2)와 제 2 지지부(122) 사이의 거리는 핀부재(200a, 200b, 200c)의 길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핀부재(200a, 200b, 200c)는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의 직경은 동일하되, 연결부(206a, 206b, 206c)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a)와 같이 연결부(206a)의 직경이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b)와 같이 연결부(206b)의 직경이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와 동일할 수도 있고, 도 3의 (c)와 같이 연결부(206c)의 직경이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a)와 같이 연결부(206a)의 직경이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를 제 1 지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에 삽입 시 연결부(206)의 단부에 의해 제 1 지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가 지지되어 더 이상의 삽입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도 3의 (b)나 (c)와 같이 연결부(206b, 206c)의 직경이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연결부(206)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제 1 지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부(206b, 206c)의 직경이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와 연결부(206b, 206c) 사이에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212)가 형성될 수 있다. 핀부재(200)가 제 1 지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에 삽입 시 스토퍼(212)에 의해 지지되어 삽입되는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핀부재(200)의 양 측, 즉 제 1 삽입부(202) 및 제 2 삽입부(204)의 외측에는 제 1 지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결합부(108) 및 제 2 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결합부(108) 및 제 2 결합부(210)에는 각각 체결부재(300)가 결합됨으로써 핀부재(200)가 바디(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300)로는 너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핀부재(20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너트의 외경은 제 1 삽입홀(114) 및 제 2 삽입홀(12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결합부(108) 및 제 2 결합부(210)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며, 복수의 핀부재(200)의 제 1 결합부(108)와 제 2 결합부(210)의 직경 또한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가지 종류의 체결부재(300)로 다양한 핀부재(200)의 결합이 가능하다.
이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 및 다양한 직경을 갖는 핀부재(200)를 하나의 바디(100)에 교체하여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중이 큰 중량물(미도시)을 인양 시에는 폭이 넓은 슬링벨트(10)를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길이가 길고 직경이 큰 핀부재(200a)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폭이 넓은 슬링벨트(10a)를 사용하여 하중이 큰 중량물을 인양하는 경우에는 제 1 링크(110)와 제 2 링크(120)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제 1 링크(110)와 제 2 링크(120)가 이루는 각도가 크게 하여 제 1 지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 사이의 거리를 핀부재(200a)의 길이보다 멀게 넓힐 수 있다. 그리고, 핀부재(200a)의 제 1 삽입부(202)를 제 1 지지부(1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 2 링크(120)를 내측으로 회전시키며 제 2 삽입부(204)를 제 2 지지부(122)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결합부(108) 및 제 2 결합부(210)에 체결부재(300)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슬링벨트(10a)의 폭에 대응되는 핀부재(200)를 사용함으로써 중량물(미도시)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직경이 큰 핀부재(200a)를 사용함으로써 중량물(미도시)의 하중에 의해 핀부재(200a)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하중이 작은 중량물(미도시)을 인양 시에는 폭이 좁은 슬링벨트(10c)를 사용하게 되며, 직경이 작은 핀부재(200c)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중이 큰 중량물(미도시)을 인양하다가, 다시 하중이 작은 중량물(미도시)을 인양 시, 또는 하중이 더 큰 중량물(미도시)을 인양 시에는 체결부재(300)를 풀고 제 1 링크(110)와 제 2 링크(120) 사이의 각도를 벌려 원래 바디(100)에 결합되어 있는 핀부재(200a)를 분리하고, 슬링벨트(10c)의 폭 및 중량물(미도시)의 하중에 적합한 핀부재(200c)를 다시 결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체형 샤클은 길이와 직경이 다른 복수의 핀부재(200)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바디(100)에 의해 하나의 바디(100)에 중량물(미도시)에 적합한 핀부재(200)를 교체 결합 가능하여, 중량물(미도시)의 종류가 바뀌는 경우 샤클 전체가 아닌 핀부재(200)만 교체할 수 있다. 이로써, 샤클 전체를 매번 교체하는데 따른 번거로움과, 샤클의 무게에 의한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바디(100)는 일자형으로 완전히 펼쳐지거나, 'ㄷ'형으로 접히기 때문에 보관 공간에 따라 형상을 변형 가능하므로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바디 110: 제 1 링크
112: 제 1 지지부 114: 제 1 삽입홀
120: 제 2 링크 122: 제 2 지지부
124: 제 2 삽입홀 130: 제 3 링크
200: 핀부재 202: 제 1 삽입부
204: 제 2 삽입부 206: 연결부
208: 제 1 결합부 210: 제 2 결합부
212: 스토퍼 300: 체결부재

Claims (8)

  1. 중량물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각각 상이한 길이와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핀부재; 및
    상기 핀부재가 설치되며, 설치되는 상기 핀부재의 길이에 따라 상기 핀부재가 설치되는 양 끝단의 폭이 가변되는 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중량물의 무게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핀부재를 교체할 수 있고,
    상기 바디는 제 1 링크, 일단이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과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와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제 2 링크,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지지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는 가변 교체형 샤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에는 상기 핀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홀이 지면과 수평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핀부재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 2 삽입홀이 상기 제 1 삽입홀과 동일한 중심축 상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가변 교체형 샤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의 양 측에는 상기 제 1 삽입홀 및 상기 제 2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 및 제 2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삽입부와 상기 제 2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중량물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가변 교체형 샤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및 직경은 서로 상이하되, 상기 제 1 삽입부 및 상기 제 2 삽입부의 직경은 상기 제 1 삽입홀 및 상기 제 2 삽입홀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가변 교체형 샤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링크를 포함하는 가변 교체형 샤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 3 링크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제 3 링크에 대하여 상대회전 함으로써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가변 교체형 샤클.
  8. 제 1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가변 교체형 샤클.
KR1020170148872A 2017-11-09 2017-11-09 가변 교체형 샤클 KR10200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72A KR102006693B1 (ko) 2017-11-09 2017-11-09 가변 교체형 샤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72A KR102006693B1 (ko) 2017-11-09 2017-11-09 가변 교체형 샤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74A KR20190052974A (ko) 2019-05-17
KR102006693B1 true KR102006693B1 (ko) 2019-08-02

Family

ID=6667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72A KR102006693B1 (ko) 2017-11-09 2017-11-09 가변 교체형 샤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371A (ko) 2019-10-23 2021-05-03 여운석 반자동 샤클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779U (ko) * 1990-03-31 1991-12-19
KR20140083245A (ko) 2012-12-26 2014-07-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크레인 샤클의 고정핀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 샤클
KR20160142227A (ko)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성진 배전선로용 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371A (ko) 2019-10-23 2021-05-03 여운석 반자동 샤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74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5314B2 (ja) クレーンサスペンション組立体を支柱に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6588714B2 (en) Cable protector and support
EP3424867B1 (en) A bearing
US20090072561A1 (en) Spreader Assembly
KR102006693B1 (ko) 가변 교체형 샤클
JP5191890B2 (ja) チェーン搬送装置
EP3114070B1 (en) Adjustable length tensioning member
WO2008082447A1 (en) Edge protector for use with a sling
US20100320787A1 (en) Lifting device
US20150184359A1 (en) Bucket lift ring for loader and backhoe buckets
KR101634798B1 (ko) 크레인의 보조붐 연결구조
US10385535B2 (en) Bracket assembly for linkage assemblies of machines
US20160152449A1 (en) Triangular lift frame with load blocks
US9788471B2 (en) Link assembly
US2289450A (en) Rotary clothes drying rack
US5716088A (en) Multiple use trunnion connection for lift spreader
KR102007663B1 (ko) 인양용 러그 장치
US5775754A (en) Chain coupling device
US20140271067A1 (en) End fitting assembly for chain hoist
JP6256805B2 (ja) 吊りクランプ用幅調整治具
FI126405B (fi) Ketjulukko
US20190106858A1 (en) Bracket for reversibly mounting an excavator bucket on an articulated arm
JP3225269U (ja) 吊りピース
KR101541427B1 (ko) 중량물 취급 장치
JP6540653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シリンダ固定装置、および、作業機械におけるシリンダ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