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600B1 -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 Google Patents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600B1
KR102006600B1 KR1020180167801A KR20180167801A KR102006600B1 KR 102006600 B1 KR102006600 B1 KR 102006600B1 KR 1020180167801 A KR1020180167801 A KR 1020180167801A KR 20180167801 A KR20180167801 A KR 20180167801A KR 102006600 B1 KR102006600 B1 KR 10200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module
stage device
setting
rehear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명종
Original Assignee
배명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종 filed Critical 배명종
Priority to KR102018016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05B37/02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처리 방법에 의해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연시스템의 메인콘솔 또는 이동콘솔에 설치된 플렛폼이 상부제어부와 하부제어부와 모니터링부와 리허설부와 이력관리부로 이루어져, 리허설 또는 모니터링할 때 용이하게 각각의 무대기기의 설정값 및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그 편의성이 증대되어, 국내 공연 실정에 맞는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A Platform of performance system for stage production}
본 발명은 분산 처리 방법에 의해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편의성 및 효율성이 고려된 국내 공연 실정에 맞는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에는 다양한 무대 기기들이 설치되고, 뮤지컬이나 연극의 경우에는 대략 2시간의 공연 중에 30회 정도의 막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막전환은 무대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통상적으로 상부구조물의 바튼(Batten)에 권취된 와이어의 풀림 또는 감김에 따라 승하강되는 스크린과 조명 등이 있으며, 하부구조물에는 공연자를 갑자기 등장시키기 위한 리프트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각 무대기기들은, 메인콘솔이나 이동콘솔에 의해 컨트롤되는데,
이때 상기 메인콘솔이나 이동콘솔은 외산장비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히 이를 운영하기 위한 플렛폼 역시 일본이나 미국 공연 실정에 맞게 제작된 것을 그대로 들여와 사용하면서, 국내 공연장 실정에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공연 기획자는 외산 장비와 플렛폼에 무대 공연을 맞추다보니 업무의 편의성과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였고,
특히 공연장에 시스템 구축을 완료한 후에는, 이후 유지보수시 혹은 긴급대응 및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에, 외산 플렛폼과 장비에 맞추다보니 해외 시장에 종속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무대 공연 시스템 및 관련 플렛폼이 개발되게 되었으나,
해외에서 개발된 공연 시스템 및 플렛폼을 쫓아가기 바쁘다보니, 리허설이나 모니터링 기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바튼의 상태나 그 편의성 등이 고려되지 않아, 그 성능에 부족한 측면이 많았다.
즉, 바튼에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과 스크린 등이 불규칙하게 설치되면서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동일한 속도로 그룹 세팅된 다수의 무대기기들을 승하강시킬 경우에는 바튼의 모멘트(Moment of force)가 일측으로 기울면서 와이어가 끊기는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에 설치된 수십개의 무대기기들이 반복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승하강하면서, 실재 공연장의 무대기기와 플렛폼 상에 작동하고 있는 무대기기의 움직임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종종 있었던 것이다.
KR 10-2011-0125752 A KR 10-2016-0016427 A KR 20-0396782 Y1
이에 본 발명은 외산 플렛폼에서 벗어나 국내 공연장 실정에 맞는 컨트롤 시스템의 플렛폼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특히 바튼에 설치된 다수의 무대기기 상태를, 리허설 또는 모니터링할 때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한편, 그 편의성이 증대되어, 국내 공연 실정에 맞는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시스템의 이동콘솔 또는 메인콘솔에 설치된 플렛폼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은 상부제어부, 하부제어부, 모니터링부, 리허설부, 이력관리부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부제어부는 그룹설정시, 사용할 상부구조물의 무대기기를 지정하는 한편, 각각의 무대기기 별로 이름, 액션, 상향 한계값, 현재의 위치값, 하향 한계값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하부제어부는 그룹설정시, 사용할 하부구조물의 무대기기를 지정하는 한편, 각각의 무대기기 별로 이름, 액션, 상향 한계값, 현재의 위치값, 하향 한계값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모니터링부는 가상의 무대 위에 상부제어부과 하부제어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각각의 무대기기가 아이콘화되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한편, 특정 무대기기 동작시 해당 무대기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리허설부는 무대 공연을 위한 큐설정 및 각각의 큐목록에 무대기기를 등록하고, 지정된 액션을 취하도록 하는 한편, 이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이력관리부는 컴파일러시 에러 발생일시와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콘솔 또는 이동콘솔에 설치된 플렛폼이 상부제어부와 하부제어부와 모니터링부와 리허설부와 이력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설정된 큐 목록에 맞춰 무대기기가 움직일 때, 무대기기의 설정값(하향 한계값, 상향 한계값, 위치값, 액션값 등등) 및 움직임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국내 공연 실정에 맞는 무대를 연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콘솔과 공유기와 메인콘솔스테이션 또는 무버블콘솔스테이션과, 구동모듈과, 무대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분산처리 방식에 의해 향상된 반응속도로 무대기기를 움직여 주면서 신속하게 무대 연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연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메인콘솔에 설치된 플렛폼의 블럭도.
도 4 내지 도 10은 플렛폼의 화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인콘솔의 조작에 따라 무대기기가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 공연 시스템은, 분산 처리 방식에 의해 향상된 반응속도로 신속하게 무대 연출이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하여,
공연장의 상부와 하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무대기기(1)가 설치되고, 각각의 무대기기에는 무대(2)로부터 승/하강되면서 지정된 무대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동모듈(3)이 설치되고, 각각의 구동모듈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공유기(4)에 연결되고, 상기 공유기에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메인콘솔(5)이 연결되고, 상기 공유기(4)에는 각 구동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메인콘솔(5)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들였을 때, 각각의 구동모듈이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는 메인콘솔스테이션(6) 또는 무버블콘솔스테이션(7)이 연결되어,
분산 처리 방식에 의해 향상된 반응속도로 신속하게 무대 연출이 이루어 지게 구축되어 있다.
이때 메인콘솔(5)은, 실시 예에 따라 웹서버(8)와 연결되고, 상기 웹서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9)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을 디바이스를 통해 공연 기획자가 조정실로부터 벗어나 직접 무대 위의 상태를 확인해 가면서 그리고 전체 상황을 원격 모니터링하면서 구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인콘솔(10)과, 메인콘솔스테이션(20) 또는 무버블콘솔스테이션(30)과, 구동모듈(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인콘솔(10)은 공연장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무대기기를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하단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무대 위나 조정실 밖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콘솔로 구성되거나 혹은 별도의 이동콘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메인콘솔(10) 또는 이동콘솔은, 데스크 위에 무대기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와 함께, 복수의 레버와 버튼들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콘솔(10)에는 각각의 무대기기를 컨트롤하기 위한 플렛폼(100)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플렛폼(100)은, 공연장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무대기기의 이름, 상향 이동 한계값(이하, 상향 한계값이라고 함), 하향 이동 한계값(이하, 하향 한계값이라고 함), 현재의 위치값(이하, 위치값이라고 함) 등의 설정값을 등록한 후,
이를 기반으로 큐목록을 작성한 다음, 리허설 또는 공연시 큐목록에 등록된 각각의 무대기기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기획한 대로 무대 공연이 연출되게 구성한다.
또한, 메인콘솔스테이션(20) 또는 이동콘솔스테이션(30)은, 분산 처리 방식에 의해 구동모듈(40)을 통해 움직이는 각 무대기기의 위치값을 실시간으로 혹은 일정한 주기로 확인하는 한편, 상기 메인콘솔(10)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았을 때, 각각의 구동모듈(40)이 지정된 동작을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의 메인콘솔스테이션(20) 또는 이동콘솔스테이션(3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메인부(21,31)를 중심으로 하위에 복수의 D/I부(22,32)와 D/O부(23,33)와 A/부(24,34)가, 멀티 드랍(Multi-Drop)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부(21,31)가 복수의 D/I부(22,32)와 D/O부(23,33)와 A/I부(24,34)들 중 어떤 것과 통신을 할것인지 결정하게 되면, 해당 D/I부 또는 D/O부 또는 A/I부가 호출되면서, 상기 D/I부 또는 D/O부 또는 A/I부가 응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지게 구성한다.
이때의 메인부(21)는 통신연결 및 분배에 관여하고, 특히 이더넷 통신모듈과 RS422통신모듈이 포함되어져, 외부로부터 구동모듈(40)의 엔코더 값을 받아들여 그 위치값을 상기 D/I부 또는 D/O부 또는 A/I부를 통해 처리되게 구성하고, 그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구동모듈(40)을 움직여 무대기기가 움직이게 구성한다. 이때 A/I부(24)는 복수의 Analog Input 채널을 일정시간마다 스캔하여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통신메모리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메인부의 요청이 있을 때 그 값을 전송한다. 더불어 상기 D/I부(22)는 복수의 Digital Input 채널을 일정시간마다 Scan하여 Digital Input값을 읽어들여 통신메모리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메인부의 요청이 있을 때 그 값을 전송한다. 또한, D/O부(23)는 복수의 Digital Out 채널을 일정시간마다 Scan하여 Digital Out 상태를 읽어서 통신메모리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메인부의 요청이 있을 때 그 값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출력된 값들은 관리자가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각각(D/I부, D/O부, A/I부)의 LCD 창에 hexadecimal형태로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더불어 상기 D/I부(22,32)와 D/O부(23,33)와 A/I부(24,34)는, 메인부(21,31)와 멀티 드럽(Multi-Drop)으로 연결될 때 통신 충돌(Interlock)을 방지하는 한편 올바른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설정된 키(Key)값을 읽어들여 파라미터(Parameter)값을 바꿀 수 있도록 키(Key)값을 감시한다.
또한, 구동모듈(40)은 상기 메인콘솔(10)의 제어명령을 받은 메인콘솔스테이션(20) 또는 이동콘솔스테이션(30)을 통해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의 무대기기를 움직여 주는 한편, 각각의 무대기기 상태를 메인콘솔스테이션 또는 이동콘솔스테이션에 보고하여, 메인콘솔이 각 무대기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구동모듈(40)은 축 컨트롤러(Axis-Control)의 구동모터(41)와, 리미트 스위치(42), 앱솔루트 엔코더(43), 백터 인버터(44)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전자접촉기(45)와 전자식 과전류계전기(46)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모듈(40)은 전자접촉기(45)에 의해 구동모터(41)가 On/Off 되면서 무대기기의 움직임이 컨트롤되고, 특히 구동모터(41)에 의해 무대기기가 승하강되어질 때 인버터(44)에 의해 구동모터의 속도가 조절되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의 속도는 앱솔루트 엔코더(43)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구동모터(41)와 전자접촉기(45) 사이에는, 구동모터에 흐르는 과전류를 감지하였을 때 전자접촉기(45)를 컨트롤하여 구동모터(41)를 보호하기 위한 전자식 과전류계전기(46)를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각각의 구동모듈(40)이 무대기기를 움직여 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각각의 구동모듈(40)이 공유기에 연결되어 프로피버스(PROFIBUS) 네트워크를 형성하였을 때, 각각의 벡터 인버터는 별도로 또 다른 네트워크를 형성하되,
상기 네트워크에는 별도의 보조 인버터(47)가 설치되어, 특정 구동모터의 벡터 인버터 고장났을 때, 상기 보조 인버터(47)가 해당 구동모터를 움직여줘서, 무사히 무대 공연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플렛폼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렛폼(100)은, 상부제어부(110)와 하부제어부(120)와 모니터링부(140)와 리허설부(130)와 이력관리부(150)로 나누어져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의 상부제어부(110)는, 그룹설정시 사용할 상부구조물의 무대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호출모듈(111)과, 상기 호출모듈에 의해 지정된 각각의 무대기기 별로 이름, 액션, 상향 한계값, 현재의 위치값, 하향 한계값 등의 설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모듈(112)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특정 무대기기를 활성화시켰을 때 각각의 설정값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모듈(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제어창(110a)의 좌측 상부에에 형성되어 있는 페이지 버튼(111a)을 눌러 그룹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우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그룹열기 버튼(111b) 혹은 그룹추가 버튼(111c) 혹은 선택해제 버튼(111d) 혹은 전체 PASS 버튼(111e)을 눌러 사용할 무대기기를 지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부제어창(110a)에는, 그룹설정시 지정된 무대기기 별로 이름(112a) 사용할 메인콘솔의 레버를 나타내는 A레버 버튼 (112b) 혹은 B레버 버튼(112c) 혹은 UP버튼(112d) 혹은 STOP버튼(112e) 혹은 DOWN버튼(112f), 상향 한계값(112g), 현재의 위치값(112h), 하향 한계값(112i) 등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상부제어창(110a)을 통해 보여지는 다수의 무대기기들 중 특정 무대기기의 상향 한계값, 현재값, 하향 한계값을 클릭하게 되면, 표시창(113a)이 활성화되면서 해당 무대기기의 설정값을 등록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표시창(113a)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하려는 기기를 선택/해제하는 버튼(113b)과, A레버 또는 B레버 중 어느 버튼으로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는 버튼(113c)과, 해당 무대기기를 UP(OPEN)시키거나 혹은 STOP시키거나 혹은 DOWN(CLOSE)시키기 위한 액션버튼(113d)과,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할 수 있는 한계값을 입력할 필요없이 리미트 스위치가 동작할 때까지 움직이게 하는 PASS버튼(113e)과, 이전 등록된 데이터를 위치값으로 입력하는 이전 데이터 입력버튼(113f)과, 해당 무대기기의 현재의 위치값을 상향 이동 한계값 또는 하향 이동 한계값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현재값 입력버튼(113g)과, 그룹 설정된 무대기기가 같은 속도로 승강 또는 하강되게 하는 동기버튼 또는 그룹 설정된 무대기기가 일측부터 비례되는 속도로 승강 또는 하강되게 하는 비례버튼(113h)과, 설정된 값을 개별적으로 혹은 전체 적용되게 하는 적용버튼(113i)과,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트(113j)와 함께, 해당 무대기기가 상향 이동할 수 있는 한계값(113k)과, 해당 무대기기가 하향 이동할 수 있는 한계값(113l)과 해당 무대기기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한께 위치값(113m)과, 속도 가변형 무대기기의 속도값(113n)과, 동기버튼 선택시 마스터가 될 무대기기의 번호(113o)와, 스텝값(113p)을 입력하여, 각각의 무대기기의 설정값을 등록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표시창(113a) 및 상부제어창(110a)의 버튼들은, 램프화되어 각가의 버튼이 눌려졌을 때, 특정 색상으로 빛을 발하면서 해당 버튼이 눌려진 사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공연장의 설치된 실재 무대기기와 가상의 무대위에 움직이는 무대기기 아이콘이 이동거리를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부제어부(120)는 그룹설정시 하부구조물의 무대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하부 무대기기 호출모듈(121)과, 상기 호출모듈에 의해 지정된 하부구조물의 무대기기 별로 이름, 액션, 상향 한계값, 현재의 위치값, 하향 한계값 등의 설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하부 무대기기 출력모듈(122)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특정 무대기기를 활성화시켰을 때 설정값을 등록할 수 있는 하부 무대기기 등록모듈(123)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제어부(120)는 하부제어창(120a)의 좌측 상부의 페이지 버튼(121a)을 통해 그룹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우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그룹열기 혹은 그룹추가 혹은 선택해제 혹은 전체 PASS 버튼(121b)을 눌러 사용할 하부 무대기기를 지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하부제어창(120a)에는 그룹설정시 지정된 각 무대기기 별로 이름(122a), 사용할 메인콘솔의 레버를 나타내는 A레버 버튼(122b) 혹은 B레버 버튼(122c) 혹은 UP버튼(122d) 혹은 STOP버튼(122e) 혹은 DOWN버튼(122f), 상향 한계값(122g), 현재의 위치값(122h), 하향 한계값(122i), PASS버튼(122j), 이동될 위치(예, 1F, 2F, 3F 등등)나 회전각도 버튼(122k) 등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하부제어창(120a)을 통해 보여지는 다수의 무대기기들 중 특정 무대기기의 상향 한계값 또는 현재값, 하향 한계값을 클릭하게 되면, 표시창이 활성화되게 구성한다.
참고로 이때의 표시창은 상부제어창의 표시창(113a)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실시 예에 따라 층위치(예, F1, F2, F3 등등)나 회전각도(예, 90, 180, 270 등등)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이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허설부(130)는 리허설창(130a) 오픈시 큐목록을 작성하기 위한 편집모드 또는 이를 실행하기 위한 리허설모드 또는 실재 공연을 위한 자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구성하고,
특히, 상기 편집모드는 리허설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리허설 생성모듈(131)과, 큐 목록 설정시 사용될 각각의 무대기기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한편, 각 무대기기의 명칭, 하향 한계값, 상향 한계값, 액션, 위치, 속도 등의 설정값을 지정하기 위한 큐 설정모듈(132)과, 상기 큐 설정모듈을 통해 등록된 무대기기의 명칭, 액션, 하향 한계값, 상향 한계값, 위치, 속도 등을 리스트화하여 보여주는 한편, 리스트화된 특정 무대기기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큐 설정모듈을 호출하여 해당 무대기기의 설정값들을 수정할 수 있게 구성된 리스트모듈(133)과, 상기 리스트모듈을 통해 보여지는 각각의 무대기기가 가상의 무대 위에 아이콘화되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한편, 그 위치 및 이동범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 관찰모듈(1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큐 설정을 완료한 후 리허설모드로 전환하면, 큐 설정모듈은 큐목록에 등록된 각 무대기기를 설정값대로 액션을 취하도록 지시하는 재생모듈(135)로 전환되고,
상기 리스트모듈(133)은 재생모듈(135)을 통해 지정된 액션을 취하는 각 무대기기의 설정값과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한편, 관찰모듈을 통해 각 무대기기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허설창(130a)은, 리허설 생성모듈(131)과 큐 설정모듈(132)과 리스트모듈(133)과 관찰모듈(134)에 의해, 하나의 화면이 큐목록창(132a)과 리스트창(133a)과 화면창(134a)으로 레이아웃되고,
상기 리허설창(130a)의 우측 상단에 형성된 탭 버튼(131a)에 의해 편집모드 또는 리허설모드 또는 자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편집모드는, 리허설창(130a)의 좌측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새 리허설/불러오기/저장하기/저장 버튼(131b)을 이용해 리허설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큐목록창(132a)의 큐추가 버튼/큐복사 버튼/큐 삭제버튼/큐붙임 버튼/큐이동(132b) 등을 이용해 용이하게 큐 설정을 실행한 후,
기기추가버튼 혹은 기기삭제버튼 혹은 전체삭제버튼(132c)을 이용해 각각의 큐 별로 사용할 무대기기를 설정 등록하는 것이다.
이때 큐 목록 상의 무대기기는, 기기추가버튼이 활성화되었을 때, 별도로 오픈된 설정창(132d)을 통해, 각각의 무대기기의 이름, 액션값, 하향 이동 한계값, 상향 이동 한계값, 위치값, 속도 등의 설정값을 등록하고,
우측 하부에 형성된 리스트창(133a)을 통해, 각각의 무대기기 및 이의 설정값들이 리스트화되어 보여지게 구성하는 한편, 특정 무대기기의 이름이나 설정값을 선택하였을 때 설정창(132d)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해당 무대기기의 설정값들을 수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활성화된 설정창(132d)은 큐 목록을 작성하기 위한 기기추가버튼(132c)이 눌려졌을 때 오픈되는 설정창과 동일한 창으로, 기기의 명칭, 액션값, 상향 한계값, 하향 한계값, 위치 지정(리스트 사용시 이의 층수), 반복횟수(예, UP->DOWN->UP), 지연시간, 속도, 동기, 비례, 마스터번호, 등을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향 한계값과 하향 한계값은 공연장의 설치된 실재 무대기기와 가상의 무대위에 움직이는 무대기기 아이콘이 이동거리를 일치시기 위한 것이고, 지연시간, 속도, 비례속도는 바튼에 편중되는 부하를 고려하여 안전하게 무대기기가 승하강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큐목록의 무대기기를 설정 등록할 때, 단위별 공연시간 및 전체적인 공연 연출시간에 맞추어 큐 목록을 설정하기 위한 스톱위치모듈(13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모드 진행시, 화면창(134a)에 별도로 오픈된 스톱워치창(136a)의 시작버튼(136b)을 눌러 공연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스톱워치창의 기록버튼(136c)을 눌러 지정된 때에 특정 무대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간을 기록하여, 표시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공연하는 가수나 배우의 액션에 맞춰 특정 무대기기를 동작시기 위한 큐목록을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의 스톱위치모듈은 실시 예에 따라 상부제어창이나 하부제어창 혹은 모니터링창에 별도로 오픈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무대기기의 설정 등록이 완료되면, 리스트창(133a) 상부에 형성된 화면창(134a)에, 가상의 무대(134b)를 형성한 후, 큐목록 상에 등록된 각각의 무대기기가 아이콘(134c)화 되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아이콘화된 각 무대기기의 위치 및 이동 가능한 범위가 수치화되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무대기기 아이콘(134c)은 상단에 해당 무대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이 형성된 박스(134d)를 형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134e)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무대기기가 승하강되는 모습으로 구성하고, 이때 무대기기는 현재의 위치값을 수치화하여 보여줄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버튼을 눌러 리허설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상기 큐 설정모듈(132)에 의해 형성된 큐목록창(132a)이, 큐 실행 버튼/큐 중지/큐 복귀/큐 이동 버튼(135b)을 포함하고 있는 재생창(135a)으로 전환되고,
리스트창(133a)에는 큐목록에 등록된 각각의 무대기기가 리스트화되어 보여지면서 설정된 액션을 취하는 각 무대기기의 설정값과 작동상태를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화면창(134a)에는 리스트창에 대응하는 각각의 무대기기 아이콘(134c)이 설정된 액션 대로 움직이면서 연출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링부(140)은 모니터링창(140a)에 관찰모듈(141)을 통해 보여지는 가상의 무대와 각각의 무대 아이콘을 화면 전체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한편, 각각의 무대기기 아이콘을 활성화시켰을 때 상부제어부/하부제어부의 등록모듈(142)이 활성화되면서 해당 무대기기의 설정값을 등록하고, 활성화모듈(143)에 의해 각각의 무대기기 아이콘에 설정값을 시각화하여 보여줄 수 있게 구성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창(140a)은 리허설창(130a)의 화면창(134a)을 화면 전체로 확대시켜,
가상의 무대(141a) 위에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141b)을 형성한 후,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에 각각의 무대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이 형성된 박스(141c)를 형성하고, 각각의 박스를 기준으로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141d)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무대기기 아이콘(141e)이 승하강되는 모습을 보여주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각각의 무대기기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때, 상부제어부 또는 하부제어부의 표시창(113a, 123a)이 오픈되면서 해당 무대기기의 설정값(예, 명칭, 하향 이동 한계값, 상향 이동 한계값, 액션값, 위치, 속도 등)을 등록하거나, 지정된 동작을 취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상기 모니터링창의 아이콘은 등록된 설정값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버튼화하거나 램프화한다.
즉, 도 8a,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기기의 박스(141c)를 버튼화하여, 선택/해제여부를 표시하는 무대기기의 이름(143a), PASS(143b), 상부 또는 하부 리미트 스위치 동작 상태(143c), 선택된 레버(143d), 트립상태(143e)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 후, 해당 무대기기 동작시 각각의 버튼(143a, 143b, 143c, 143d, 143e)에 불이 들어오면서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력관리부(150)는 메인콘솔의 플렛폼(100)을 통해 특정 무대기기를 동작시켰을 때 대응하는 공연장의 무대기기가 대응하는 액션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파일모듈(151)과, 컴파일시 에러파일을 생성하고 이의 에러메시지를 안내하기 위한 에러확인모듈(152)과, 상기 에러메시지를 토대로 에러 해소여부를 확인하고 복구시기를 안내하는 안내모듈(1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력관리부(150)는 오픈된 이력관리창(150a)에 순번항목(152a)과 함께 에러 발생일시을 디스플레이하는 항목(152b)을 형성하고, 더불어 어떤한 무대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안내하는 항목(152c)을 형성하는 한편,
각각의 에러메시지를 가반으로 에러 해소여부를 체크하고, 그 복구일시를 디스플레이하는 항목(153a)과, 이를 지정된 경로에 저장/삭제/인쇄하는 버튼(153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에러 이력 및 그 원인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환경설정부(160)는 환경창 오픈시 설계파일, 태그파일, 에러파일이 위치할 경로를 지정하기 위한 경로설정모듈(161)과, 각각의 구동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메인콘솔스테이션 혹은 무버블콘솔스테이션과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IP와 Port설정하기 위한 연결설정모듈(162)을 포함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창(160a)의 일반설정 탭(161a)을 선택하게 되면 메인콘솔의 설계파일이 위치한 경로(161b)와, 태그파일이 위차한 장소(161c)와, 에러파일이 위치한 장소(161d)를 지정할 수 있다. 더불어 동기/비례 사용여부(161e)와, 모니터링창의 특정 무대기기가 동작할 때 해당 무대기기의 와이어의 굵기(161f)가 특정 색상(161g)로 선택 변환되면서 용이하게 식별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리허설 반복 방식(161h)과, 로드셀의 사용여부(161i)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환경창(160a)의 PLC탭(162a)을 선택하게 되면, 메인콘솔스테이션 혹은 무버블콘솔스테이션과의 통신연결방식(162b)을 설정할 수 있고, 이더넷 연결시에는 IP주소(162c)와 Port번호(162d)를 설정하고, 광통신시에는 국번호(162e)와 네트워크 번호(162f)를 입력하여, 구동모듈을 컨트롤하는 메인콘솔스테이션 혹은 무버블콘솔스테이션와 메인콘솔이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콘솔의 플렛폼이 상부제어부와 하부제어부와 모니터링부와 리허설부와 이력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무대기기가 작동할 때 그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국내 공연 실정에 맞는 무대를 연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콘솔과 공유기와 메인콘솔스테이션 또는 무버블콘솔스테이션과, 구동모듈과 무대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분산처리 방식에 의해 향상된 반응속도로 무대기기를 움직여 주면서, 신속하게 무대 연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1:무대기기 2:무대
3:구동모듈 4:공유기
5:메인콘솔 6:메인콘솔스테이션
7:무버블콘솔스테이션 8:웹서버
9:모바일 디바이스 10:메인콘솔
20:메인콘솔스테이션 21:메인부
22:D/I부 23:D/O부
24:A/I부
30:무버블콘솔스테이션 40:구동모듈
41:구동모터 42:리미트 스위치
43:엔코더 44:인버터
45:전자접촉기 46:전기식 과전류계전기
47:보조 인버터 100:플렛폼
110:상부제어부 110a:상부제어창
111:호출모듈 112:출력모듈
113:등록모듈 120:하부제어부
120a:하부제어창 121:하부 무대기기 호출모듈
122:하부 무대기기 출력모듈 123:하부 무대기기 등록모듈
130:리허설부 130a:리허설창
131:리허설 생성모듈 132:큐 설정모듈
133:리스트모듈 134:관찰모듈
135:재생모듈 136:스톱워치모듈
140:모니터링부
140a:모니터링창 141:관찰모듈
142:등록모듈 143:활성화모듈
150:이력관리부 150a:이력관리창
151:컴파일모듈 152:에러확인모듈
153:안내모듈 160:환경설정부
160a:환경창 161;경로설정모듈
162:연결설정모듈

Claims (8)

  1.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시스템의 메인콘솔 또는 이동콘솔에 설치된 플렛폼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은 상부제어부 또는 하부제어부 또는 모니터링부 또는 리허설부 또는 이력관리부 또는 환경설정부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제어부가 선택되어졌을 때에 오픈된 상부제어창을 통해 상부구조물의 무대기기를 지정하는 한편, 각각의 무대기기 별로 이름, 액션, 상향 한계값, 현재의 위치값, 하향 한계값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제어부가 선택되어졌을 때에 오픈된 하부제어창을 통해 하부구조물의 무대기기를 지정하는 한편, 각각의 무대기기 별로 이름, 액션, 상향 한계값, 현재의 위치값, 하향 한계값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부가 선택되어졌을 때에 오픈된 모니터링창을 통해 가상의 무대 위에 상부제어부과 하부제어부을 통해 확인된 각각의 무대기기가 아이콘화되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한편, 특정 무대기기 동작할 때 해당 무대기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리허설부가 선택되어졌을 때에 오픈된 리허설창을 통해 편집모드 또는 리허설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편집모드는 리허설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리허설 생성모듈(131)과, 상기 리허설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리허설 파일을 토대로 큐 목록 설정 및 사용될 각각의 무대기기를 추가 또는 삭제하여 큐 목록을 작성하는 한편 각 무대기기의 설정값을 지정하기 위한 큐 설정모듈(132)과, 상기 큐 설정모듈을 통해 등록된 무대기기의 명칭, 액션, 하향 한계값, 상향 한계값, 위치, 속도들을 리스트화하여 보여주는 한편 리스트화된 특정 무대기기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큐 설정모듈을 호출하여 해당 무대기기의 설정값들을 수정할 수 있게 구성된 리스트모듈(133)과, 상기 리스트모듈을 통해 보여지는 각각의 무대기기가 가상의 무대 위에 아이콘화되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주는 한편 각 무대기기의 위치 및 이동범위를 시각화하여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 관찰모듈(13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리허설모드 진행시 상기 큐 설정모듈은 각 무대기기를 설정값대로 지정된 액션을 취하도록 지시하는 재생모듈(135)로 전환되는 한편, 상기 리스트모듈은 큐목록에 등록된 각 무대기기의 설정값을 수치화하여 보여주고, 관찰모듈은 상기 재생모듈을 통해 지정된 액션을 취하는 특정 무대기기의 위치 및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이력관리부는 메인콘솔의 플렛폼을 통해 특정 무대기기를 동작시켰을 때 대응하는 공연장의 무대기기가 대응하는 액션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파일모듈과, 상기 컴파일모듈이 컴파일을 하였을 때 에러파일을 생성하고 이의 에러메시지를 안내하기 위한 에러확인모듈과, 상기 에러메시지를 토대로 에러 해소여부를 확인하고 복구시기를 안내하는 안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환경설정부는 설계파일, 태그파일, 에러파일이 위치할 경로를 지정하기 위한 경로설정모듈과, 각각의 무대기기를 움직여주기 위한 구동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메인콘솔스테이션 혹은 이동콘솔스테이션과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연결설정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 설정모듈을 통해 무대기기의 설정값을 지정할 때, 그룹설정된 무대기기들이 동일한 속도로 승하강되게 하는 동기속도 혹은 일측에 위치한 무대기기부터 순차적으로 승하강되게 하는 비례속도를 지정하는 한편, 각각의 무대기기가 반복하여 승하강되는 횟수 또는 지연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모니터링창에 가상의 무대 위에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을 형성한 후,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에 각각의 무대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이 형성된 박스를 형성하고, 각각의 박스를 기준으로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무대기기 아이콘이 승하강되는 모습을 보여주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각각의 무대기기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때, 상부제어부 또는 하부제어부의 표시창이 오픈되면서 해당 무대기기의 설정값을 등록하거나,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모니터링창의 아이콘 박스에 등록된 설정값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버튼화하고, 해당 무대기기 동작시 각각의 버튼에 불이 들어오면서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4. 제1항에 있어서,
    큐 목록의 무대기기를 설정 등록할 때, 배우들의 액션 및 단위별 공연시간과 전체적인 공연 연출시간에 맞추어 큐 목록상에 특정 무대기기를 설정하기 위한 스톱위치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67801A 2018-12-21 2018-12-21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KR10200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01A KR102006600B1 (ko) 2018-12-21 2018-12-21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01A KR102006600B1 (ko) 2018-12-21 2018-12-21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600B1 true KR102006600B1 (ko) 2019-08-01

Family

ID=6761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801A KR102006600B1 (ko) 2018-12-21 2018-12-21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0037A (zh) * 2020-08-19 2020-09-25 北京理工大学 显示屏辅助大型人群表演虚拟编排仿真系统
KR102377972B1 (ko) * 2020-10-26 2022-03-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그네틱 트래킹을 이용하여 이동무대의 이동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공연용 이동무대의 경로 제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199A (ko) * 1996-11-21 2000-09-15 프로덕션 리소스 그룹, 엘.엘.씨 스테이지 효과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396782Y1 (ko) 2005-06-07 2005-09-27 부원엔지니어링(주) 무대장치의 콘트롤 시스템
KR100625677B1 (ko) * 2006-03-31 2006-09-20 윤종철 공연시설의 무대 기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5752A (ko) 2010-05-14 2011-11-22 부원엔지니어링(주)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60016427A (ko) 2014-08-05 2016-02-15 부원엔지니어링(주) 분산제어 방식의 공연 무대기기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199A (ko) * 1996-11-21 2000-09-15 프로덕션 리소스 그룹, 엘.엘.씨 스테이지 효과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396782Y1 (ko) 2005-06-07 2005-09-27 부원엔지니어링(주) 무대장치의 콘트롤 시스템
KR100625677B1 (ko) * 2006-03-31 2006-09-20 윤종철 공연시설의 무대 기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5752A (ko) 2010-05-14 2011-11-22 부원엔지니어링(주)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60016427A (ko) 2014-08-05 2016-02-15 부원엔지니어링(주) 분산제어 방식의 공연 무대기기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0037A (zh) * 2020-08-19 2020-09-25 北京理工大学 显示屏辅助大型人群表演虚拟编排仿真系统
KR102377972B1 (ko) * 2020-10-26 2022-03-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그네틱 트래킹을 이용하여 이동무대의 이동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공연용 이동무대의 경로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600B1 (ko) 무대 연출을 위한 공연 시스템의 플렛폼.
US10020151B2 (en) Safety relay configuration system with multiple test pulse schemes using graphical interface
US9971330B2 (en) Safety relay configuration editor
KR101047175B1 (ko) 무대장치 제어시스템
JP4522423B2 (ja) プラントの監視操作画像統合システムおよび監視操作画像統合方法
US10152030B2 (en) Safety relay configuration system with safety monitoring and safety output function blocks
KR100625677B1 (ko) 공연시설의 무대 기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891934B1 (en) Development environment for a safety relay configuration system
US20150115836A1 (en) Dimming console
US9977407B2 (en) Safety relay configuration system for safety mat device using graphical interface
JP2000508222A (ja) 舞台効果の制御方法と制御装置
CN104956381A (zh) 用于监控和可视化联络中心路由策略的图形用户界面
JP201020875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3921416A (zh) 用于注射成型机的操作单元
CN102066226A (zh) 电梯的号机配置信息编辑系统、目的地信息输入装置、显示装置以及编辑操作装置
JP4476223B2 (ja) 画面データ作成装置、画面データの編集方法及び画面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KR20110125752A (ko)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6793785B1 (ja) 操作装置
JP2018181085A (ja) 建設現場の管理情報共有システム
CN102629129A (zh) 一种舞台机械操作台
JP2006014527A (ja) 系統制御手順の自動作成方法
US11199959B2 (en) Controlling and monitoring a smoke control system
JP2019156548A (ja) 管理サーバ及び管理システム
JPH05302963A (ja) 電動機器単体試験支援装置
JPH0815486A (ja) プラント模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