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289B1 -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 Google Patents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289B1
KR102006289B1 KR1020180091980A KR20180091980A KR102006289B1 KR 102006289 B1 KR102006289 B1 KR 102006289B1 KR 1020180091980 A KR1020180091980 A KR 1020180091980A KR 20180091980 A KR20180091980 A KR 20180091980A KR 102006289 B1 KR102006289 B1 KR 10200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anel
housing
heating
panel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584A (ko
Inventor
고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시티
Priority to KR102018009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를 신속하게 양생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열하는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히팅패널을 구비한 거푸집은 패널본체(210)와 상기 패널본체를 감싸는 프레임(220)을 구비한 복수의 거푸집 패널(200a)과,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는 웨지핀으로 이루어져 상기 거푸집 패널들을 연결하는 결속부재(300a)와, 상기 결속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히팅패널(100)을 구비하며;
상기 히팅패널이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개방단(111)이 형성된 함체(110)와, 함체의 내측 양측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슬롯(120)과, 상기 개방단을 통해 슬롯에 끼워져 함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발열소켓(130)과, 상기 발열소켓이 함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함체의 개방단에 설치된 커버부재(140a)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재가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전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프레임이며;
상기 히팅패널이 함체의 개방단을 통해 슬롯에 끼워져 함체 내부로 삽입되는 소켓부(470)와, 상기 소켓부로부터 히팅패널의 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재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480)로 구성된 고정브라켓(400c)을 통해 상기 결속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Concrete form with heating pannel}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를 신속하게 양생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열하는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양생이란 타설 후의 콘크리트가 저온, 건조, 급격한 기온 변화에 따라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경화 중에 진동, 충격 및 하중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콘크리트 양생시는 초기에 습윤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초기에 건조가 진행되면 충분한 수화반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강도의 증진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수화반응은 콘크리트의 강도 증진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되며, 상기 수화반응이 온도에 영향을 받는 화학반응임을 고려할 때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은 양생온도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그러나, 겨울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낮아 물이 어는 환경에서 콘크리트 타설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동결되면 건조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양생속도가 크게 떨어지면서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도 급격히 저하된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 거의 진행되지 못하면서 전체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어려움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발열 거푸집이 국내특허 제775637호를 통해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발열 거푸집(1)은 합성수지로 제조한 거푸집 판재(10)의 내측에 전기 전도성 발열구조체(20)를 결합시켜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발열구조체(20)의 파손을 방지하는 금속보강부재(30)를 결합시킴으로써 동절기에도 정상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발열 거푸집(1)은 거푸집 판재(10)와 발열구조체(20)가 일체로 결합된 구성이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종래의 발열 거푸집(1)은 일반 거푸집과는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비용 및 관리 측면에서 부담이 크다.
둘째, 종래의 발열 거푸집(1)은 발열구조체(20)에 이상이 발생되면 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거푸집(1) 전체를 교체해야 할 수밖에 없어서 유지 및 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의 발열 거푸집(1)은 구역마다 온도제어가 불가능하므로 효율적인 히팅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경화 속도가 느리고 불필요한 전력의 사용 또한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넷째, 종래의 발열 거푸집(1)은 정상 히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어느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했는지 고장 위치와 고장시기를 파악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역마다 온도제어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유지 보수 및 고장위치의 파악이 용이한 히팅 패널 을 구비한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히팅패널을 구비한 거푸집은 패널본체와 상기 패널본체를 감싸는 프레임을 구비한 복수의 거푸집 패널과,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는 웨지핀으로 이루어져 상기 거푸집 패널들을 연결하는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히팅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히팅패널이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개방단이 형성된 함체와, 함체의 내측 양측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슬롯과, 상기 개방단을 통해 슬롯에 끼워져 함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발열소켓과, 상기 발열소켓이 함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함체의 개방단에 설치된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재가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전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프레임이며; 상기 히팅패널이 함체의 개방단을 통해 슬롯에 끼워져 함체 내부로 삽입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로부터 히팅패널의 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재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로 구성된 고정브라켓을 통해 상기 결속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인접하는 히팅패널들의 발열소켓들끼리는 연결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히팅패널의 커버부재에는 발열소켓의 전원부와 연통되는 접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커버부재의 접속공에 삽입되어 발열소켓의 전원부에 접속되는 접속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케이블에는 통전시 발광하는 램프가 구비되어 발열소켓들 사이의 통전 여부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히팅패널이 거푸집의 결속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히팅패널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해당 히팅패널만 교체하면 되므로 정비가 간편하고 유지 및 관리비용이 매우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팅패널이 탈거되는 경우 일반 거푸집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거푸집 패널과 결속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거푸집의 제작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히팅패널을 구성하는 발열소켓이 히팅패널의 함체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착탈되므로 히팅패널의 정비가 간편하고 고장 발생시 해당 발열소켓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측면에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케이블을 이용하여 인접하는 히팅패널들끼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히팅패널들의 전기적 연결구성에 따라서 거푸집의 위치별로 온도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타설 속도와 타설 위치에 따라 거푸집의 온도를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경화속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에너지 사용량도 크게 절감시킬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결케이블에 램프가 구비되는 경우, 발열소켓들 사이의 통전 여부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고장유무를 매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된 해당 히팅패널만 교체해 주면 되므로 정비가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열구조체를 가진 유로폼 타입의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히팅패널의 후방분해사시도.
도 5의 도 3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고정브라켓이 적용된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히팅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팅패널을 구비한 거푸집은 복수의 거푸집 패널(200a)들과, 상기 거푸집 패널(200a)들을 연결하는 결속부재(300a)와, 상기 결속부재(300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히팅패널(100)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이중, 상기 히팅패널(100)은 외관을 이루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 내부에 형성된 슬롯(120)과, 상기 슬롯(120)에 끼워지는 발열소켓(130)과, 상기 함체(110)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40a)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발열소켓(1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로 발열소켓(1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단(111)을 가진다.
상기 슬롯(120)은 함체(110) 내부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슬롯(120)은 발열소켓(130)이 함체(110) 내부에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함체(110)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해 준다.
상기 함체(110)의 후면에는 함체(110) 내부로 삽입된 발열소켓(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함체(110)의 후면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1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발열소켓(13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구리선, 니크롬선, 철선 등을 포함하는 히팅코일일 수도 있고, 면상의 전도성 발열체 위에 금속전극을 양끝에 설치한 후 절연재로 절연처리한 면상발열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함체(110)의 내부에는 단열소켓(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소켓(150)은 발열소켓(130)으로부터 발산되는 열기가 함체(110)의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시켜 준다.
커버부재(140a)는 함체(110)의 개방단(111)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140a)는 함체(110)의 개방단(111)의 전 구간을 커버하는 커버부(143)와, 상기 커버부(143)의 양단으로부터 함체(11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고정부(144)를 구비하여 발열소켓(130) 및 단열소켓(150)이 함체(1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발열소켓(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개방단(111)을 통해 빠져나가거나 먼지나 기타 이물이 함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히팅패널(100)은 거푸집 패널(200a)과 상기 거푸집 패널(200a)들을 연결하는 결속부재(300a)를 통해 거푸집패널(200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 패널(200a)이 패널본체(210)와 패널본체(210)를 감싸는 프레임(220)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히팅패널(100)은 별도의 고정브라켓(400a)을 통해 상기 결속부재(300a)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속부재(300a)는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200a)들의 프레임(220)에 관통 결합되는 웨지핀이 적당하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220) 및 끼움편(410)에는 웨지핀이 끼워지는 결합공(230,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400a)은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200a)들의 사이로 끼워져 상기 결속부재(300a)를 통해 고정되는 끼움편(410)과, 히팅패널(100)이 거푸집 패널(200a)의 프레임(220)에 밀착되는 경우에 히팅패널(100)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끼움편(410)의 단부로부터 거푸집 패널(200a)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지지면(420)을 구비한다.
한편, 인접하는 히팅패널(100)들의 발열소켓(130)들끼리는 연결케이블(5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140a)의 상단에는 발열소켓(130)과 연결케이블(500)을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공(14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케이블(500)은 상기 접속공(146)에 삽입되어 발열소켓(130)의 전원부에 접속되는 접속단(501)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연결케이블(500)의 양단부를 인접하는 히팅패널(100)의 접속공(146)에 각각 삽입하면 연결케이블(500)과 발열소켓(1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인접한 히팅패널(100)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히팅패널(10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히팅패널(100)들의 전기적 연결구성에 따라서 거푸집의 위치별로 온도제어가 가능해지므로 콘트리트의 양생속도를 위치별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경화속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에너지 사용량도 크게 절감시킬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케이블(500)에는 통전시 발광하는 램프(5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열소켓(130)들 사이의 통전 여부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램프(510)의 발광여부를 통해 고장이 발생된 히팅패널(100)을 매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고장이 발생된 해당 히팅패널(100)만 교체해 주면 되므로 정비가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히팅패널을 구비한 거푸집은 거푸집 패널(200a)들 사이에 고정브라켓(400a)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230,411)으로 결속부재(300a)를 끼워 인접한 거푸집 패널(200a)들과 고정브라켓(400a)을 동시에 연결한 다음, 고정브라켓(400a)의 지지면(420)에 히팅패널(100)을 끼우고 커버부재(140a)에 형성된 접속공(146)에 연결케이블(500)의 단부를 삽입하여 인접한 히팅패널(100)들의 발열소켓(130)끼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400b)은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200a)의 사이로 끼워져 상기 결속부재(300a)를 통해 고정되는 끼움편(430)과 상기 끼움편(430)의 단부로부터 거푸집 패널(200a)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후크편(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편(440)에는 지지블럭(460)이 끼워진다. 상기 지지블럭(460)은 고정브라켓(400b)이 인접한 거푸집 패널(100)들 사이로 설치가 완료된 후 히팅패널(100)이 거푸집 패널(200a)의 프레임(22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편(440)에 끼워져 인접하는 히팅패널(100)의 전면을 동시에 지지한다.
따라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블럭(460)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면, 지지블럭(460)의 길이에 해당하는 다수의 히팅패널(100)들을 한번에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200b)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거푸집패널(200a)와는 달리 패널본체를 감싸는 프레임 없이 패널본체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속부재(300b)는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200b)들의 전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프레임일 수 있다. 히팅패널(100)과 히팅패널(100) 사이에는 거푸집 패널(200b)들의 전면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프레임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히팅패널(100)은 별도의 고정브라켓(400c)을 통해 상기 결속부재(300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00c)은 히팅패널(100)의 개방단(111)을 통해 슬롯(120)에 끼워져 함체(110) 내부로 삽입되는 소켓부(470)와, 상기 소켓부(470)로부터 히팅패널(100)의 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재(300b)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4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80)에는 결속부재(300b)에 밀착되는 조임볼트가 체결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140a)에는 고정브라켓(400c)의 걸이부(48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걸이부 통과홈(14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히팅패널(100)이 거푸집에 구비되면, 발열소켓(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함체(110) 후면의 통기공(113)을 통해 거푸집 패널(200a,200b)로 전달되고, 그 결과 거푸집 패널(200a,200b)이 일정온도로 상승하면서 타설된 콘트리트의 양생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히팅패널(100)은 거푸집의 결속부재(300a,300b)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히팅패널(100)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해당 히팅패널(100)만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정비가 간편하고 유지 및 관리비용이 매우 적게 소요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히팅패널(100)이 거푸집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탈거된 거푸집은 일반 거푸집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거푸집 패널(200a,200b)과 결속부재(300a,300b)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거푸집의 제작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히팅패널 110...함체
111...개방단 113...통기공
120...슬롯 130...발열소켓
140a...커버부재 143...커버부
144...고정부 146...접속공
150...단열소켓 200a...거푸집 패널
210...패널본체 220...프레임
300a,300b...결속부재 400a,400b,400c...고정브라켓
410,430...끼움편 420...지지면
460...지지블럭 470,491...소켓부
480...걸이부 500...연결케이블
501...접속단 510...램프

Claims (4)

  1. 패널본체와 상기 패널본체를 감싸는 프레임을 구비한 복수의 거푸집 패널과,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는 웨지핀으로 이루어져 상기 거푸집 패널들을 연결하는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히팅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히팅패널이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개방단이 형성된 함체와, 함체의 내측 양측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슬롯과, 상기 개방단을 통해 슬롯에 끼워져 함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발열소켓과, 상기 발열소켓이 함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함체의 개방단에 설치된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재가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전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프레임이며;
    상기 히팅패널이 함체의 개방단을 통해 슬롯에 끼워져 함체 내부로 삽입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로부터 히팅패널의 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재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로 구성된 고정브라켓을 통해 상기 결속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히팅패널들의 발열소켓들끼리는 연결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패널의 커버부재에는 발열소켓의 전원부와 연통되는 접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커버부재의 접속공에 삽입되어 발열소켓의 전원부에 접속되는 접속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에는 통전시 발광하는 램프가 구비되어 발열소켓들 사이의 통전 여부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KR1020180091980A 2018-08-07 2018-08-07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KR10200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80A KR102006289B1 (ko) 2018-08-07 2018-08-07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80A KR102006289B1 (ko) 2018-08-07 2018-08-07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10A Division KR101920049B1 (ko) 2017-02-28 2017-02-28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584A KR20180099584A (ko) 2018-09-05
KR102006289B1 true KR102006289B1 (ko) 2019-08-01

Family

ID=6359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980A KR102006289B1 (ko) 2018-08-07 2018-08-07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254B1 (ko) 2021-01-05 2021-05-21 주식회사 네오시티 히팅부를 구비한 슬립폼의 유니트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069A (ko) * 2013-11-25 2015-06-0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조립식 비계장치용 고정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254B1 (ko) 2021-01-05 2021-05-21 주식회사 네오시티 히팅부를 구비한 슬립폼의 유니트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584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49B1 (ko)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US803504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provided with electric current sensor
AU674633B2 (en) Power supply apparatus
JP4594198B2 (ja) 電気接続箱
CN102271484B (zh) 带整体式散热器的固态开关器件
WO2006115173A1 (ja) 電気接続箱
JP4445819B2 (ja) 電気接続箱
KR102006289B1 (ko)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101935883B1 (ko) 거푸집용 히팅패널
KR102478290B1 (ko) 전동기 구동장치
KR101629932B1 (ko) 차량용 프리히터 장치
KR101694712B1 (ko) 차량용 프리히터 장치
KR20190073667A (ko) 부식방지용 이종금속이 구비된 ptc 히터
JP2011258420A (ja) 照明器具
KR102011670B1 (ko) 차량용 히터
KR20110011938U (ko) 온도퓨즈가 구비된 터미널블럭
JP2012146495A (ja) 照明器具
RU2007146686A (ru) Корпус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щита
CN219832517U (zh) 一种无线继电器
CN218456597U (zh) 便于拆装的控制器外壳
WO2022054235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30053529A (ko) 히터용 제어기
KR102187076B1 (ko) 배터리캡 고정구조
WO2022054234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