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957B1 -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957B1
KR102004957B1 KR1020170147652A KR20170147652A KR102004957B1 KR 102004957 B1 KR102004957 B1 KR 102004957B1 KR 1020170147652 A KR1020170147652 A KR 1020170147652A KR 20170147652 A KR20170147652 A KR 20170147652A KR 102004957 B1 KR102004957 B1 KR 10200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etal plate
outer frame
low frequency
propagation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715A (ko
Inventor
이진우
이수
안창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Priority to KR102017014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9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3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with at least one gas spr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두 부품 간에 또는 한 개 부품 내에 삽입되어 한쪽에서 발생한 진동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하거나 진동 크기가 줄어서 전달되게 하는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는 외곽프레임, 금속 플레이트 그리고 유체층을 포함한다. 외곽프레임은 진동의 전파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전파되는 진동이 투과되어 가는 공간을 가진다. 금속 플레이트는 외곽프레임에 결합되고 공간에 진동의 전파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 구비되며, 진동의 전파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유체층은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채워지는 유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STRUCTURE FOR LOW FREQUENCY VIBRATION REDUCTION}
본 발명은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부품 간에 또는 한 개 부품 내에 삽입되어 한쪽에서 발생한 진동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하거나 진동 크기가 줄어서 전달되게 하는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전달 차단 기술은 각종 장비, 건축물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진동 전달 차단 기술이 장비에 적용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차량이나 선박용 배기파이프의 진동 전달을 차단하거나, 발전기, 모터와 같은 동력원의 진동 전달을 차단하거나, 에어컨,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의 진동을 차단하는 용도에 이르기까지 적용범위는 다양하다.
또한, 건축물에 적용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구조물에서 층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거나, 벽체 사이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는 용도가 있을 수 있다.
진동은 진동 자체로 인해 구조적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진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고주파의 소음이나 저주파의 소음을 유발한다.
통상적으로,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거나 저감하기 위한 장치들은 완충재를 사용하거나, 구성품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거나, 공압 또는 유압이 적용된 댐퍼를 사용하는 등의 완충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완충재는 소재 자체가 완충기능을 가지도록 되어 있어 진동이 발생되는 부분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부분에 적용하기도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완충재의 형상 변형, 노후화 등으로 인해 진동 전달 차단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공압 또는 유압이 적용된 댐퍼는 차단하고자 하는 진동의 종류에 따라 크기, 내부 구조 등이 조절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적용 대상에 따라 적절한 설계 변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거나 저감하기 위한 장치로는 흡음재를 사용하는 흡음형 소음저감장치와, 공명기를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등이 있다.
흡음형 소음저감장치는 일반적으로 고주파영역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지만 저주파 영역에서는 성능이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공명기를 이용한 소음저감장치는 배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공명기를 배관에 설치하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그런데 울림공간이 작은 공명기는 고주파영역을 가지고 울림공간이 큰 공명기는 저주파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저주파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큰 크기의 공명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는 저주파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저주파 진동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9695호(2014.04.28.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 부품 간에 또는 한 개 부품 내에 삽입되어 한쪽에서 발생한 진동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하거나 진동 크기가 줄어서 전달되게 하는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진동의 전파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전파되는 상기 진동이 투과되어 가는 공간을 가지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상기 진동의 전파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의 전파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채워지는 유체로 이루어지는 유체층을 포함하는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전파방향으로의 상기 유체층의 두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적어도 표면 일부에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고유주파수가 조정되도록 하는 요철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적어도 표면 일부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고유주파수가 조정되거나,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통해 전파되는 진동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더 부착되는 고무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은 내주면에 상기 유체층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체층의 고유주파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격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플레이트 및 유체층이 반복되도록 배치되어 저주파수의 진동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의 시험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시험예에 따른 진동 차단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의 시험예에 따른 진동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의 금속 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의 외곽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외곽프레임이 적용된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의 단면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는 외곽프레임(110), 금속 플레이트(120) 그리고 유체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프레임(110)은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의 틀을 형성할 수 있다. 외곽프레임(110)은 진동의 전파 방향(1)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곽프레임(110)은 내측에 전파되는 진동이 투과되어 가는 공간(111)을 가질 수 있다. 공간(111)은 진동의 전파 방향(1)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의 전파 방향(1)에 수직한 외곽프레임(110)의 단면 형상이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플레이트(120)는 외곽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20)는 외곽프레임(110)의 공간(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20)는 외곽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G)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 플레이트(120)는 진동의 전파 방향(1)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G)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120)는 외곽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 플레이트(120)는 진동의 전파 방향(1)과 수직한 평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철,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120)는 제1두께(D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곽프레임(110)의 내주면에는 금속 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결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2)은 외곽프레임(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곽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2)은 제1두께(D1)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112)의 이격 간격은 후술할 유체층(130)의 제2두께(D2)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외곽프레임(110)은 제1프레임(110a) 및 제2프레임(11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110a) 및 제2프레임(110b)에는 결합홈(1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0a) 및 제2프레임(110b)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110a)의 결합홈(112)에 각각 금속 플레이트(120)가 삽입되고, 이후, 제1프레임(110a) 및 제2프레임(110b)이 결합되어 금속 플레이트(120)가 외곽프레임(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110a) 및 제2프레임(110b)은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외곽프레임(110)은 단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외곽프레임(110)은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120)가 이격된 상태로 마련된 상태에서 몰딩, 사출 등의 공정을 통해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12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외곽프레임(110)과 금속 플레이트(120)의 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외곽프레임(110)과 금속 플레이트(120)는 결합홈 대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외곽프레임(110)에 삽입되는 금속 플레이트(120)의 개수는 특정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체층(130)은 금속 플레이트(120) 사이에 채워지는 유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층(130)을 이루는 유체는 공기 등을 포함하는 기체와, 물 등을 포함하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층(130)은 제2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제2두께(D2)는 금속 플레이트(120) 사이의 간격(G)에 대응될 수 있다. 유체층(130)의 제2두께(D2)는 금속 플레이트(120)의 제1두께(D1)보다 클 수 있다.
유체층(130)의 제2두께(D2)가 금속 플레이트(120)의 제1두께(D1)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유체층(130)이 차지하는 공간에 금속이 채워져 있는 경우보다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20)의 두께, 높이, 너비, 진동의 전파 방향(1)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 금속 플레이트(120)의 소재 종류, 영률(Young’s modulus), 밀도, 유체층(130)을 이루는 유체의 종류 등은 적용하고자 하는 금속 플레이트(120)의 고유주파수(fs) 및 유체층(130)의 고유주파수(fa)에 따라 실험을 거쳐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요소를 조절하여 적용하는 것에 의해 진동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감시키고자 하는 특정 주파수대의 저주파를 타겟으로 하여 진동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이 저감된다는 것은 진동의 전달이 줄어드는 의미뿐만 아니라, 진동의 전달이 차단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의 시험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시험예에 따른 진동 차단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4의 시험예에 따른 진동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먼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의 일측면에 제1봉(10)이 밀착되고,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의 타측면에는 제2봉(20)이 밀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1봉(10)에 저주파를 가지는 제1진동(11)이 발생하도록 하여 제1진동(11)이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를 통과한 후 제2봉(20)에 발생하는 제2진동(21)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진동(11) 중에 0~105Hz 구간에서 발생한 진동은 제2진동(21)에서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에 의해 0~105Hz 구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즉, 저주파 진동이 저감 및 차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서, x축은 주파수(Frequency), y축은 제2진동(21) 변위(qN) / 제1진동(11) 변위(qO)를 나타낸다.
도 6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진동(11)에 의해 생성되는 주파수 중에 105Hz 보다 낮은 주파수인 40Hz 및 80Hz의 진동은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의 전단, 즉, 제일 왼쪽의 금속 플레이트(120a)로부터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의 후단, 즉, 제일 오른쪽의 금속 플레이트(120b)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진동(11)에 의해 생성되는 주파수 중에105Hz 보다 큰 주파수인 120Hz의 진동은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의 전단으로부터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의 후단 방향으로 가더라도 저감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는 두 개의 구성 사이에 삽입되어 한쪽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100)는 하나의 구성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으로 유입되는 진동이 타측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금속 플레이트(120)의 고유주파수 조절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술한 요소가 조절되는 방법뿐만 아니라, 금속 플레이트(120)의 표면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하거나, 금속 플레이트(120)에 다른 소재의 구성이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의 금속 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먼저,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120)의 적어도 표면 일부에는 요철(121)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금속 플레이트(120)의 고유주파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요철(121)은 금속 플레이트(120)의 일면의 일부, 또는 일면의 전부에 형성되거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121)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요철(121)은 기둥(Pillar), 구멍(Hole)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선(Line)을 포함하는 패턴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각각의 금속 플레이트에는 동일한 형태의 요철(1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120)는 적어도 표면 일부에 더 부착되는 고무부재(140)를 가질 수 있다.
고무부재(140)는 금속 플레이트(120)의 일면의 일부, 또는 일면의 전부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금속 플레이트(120)의 고유주파수가 다양하게 조정되거나, 금속 플레이트(120)를 통해 전파되는 진동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고무부재(140)의 형상, 부착되는 고무부재(140)의 개수 및 부착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고무부재(140)는 부틸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20)의 표면에 요철(121)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금속 플레이트(120)의 표면에 고무부재(140)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저감시키고자 하는 특정 주파수 범위의 진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의 외곽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외곽프레임이 적용된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의 단면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110)은 내주면에 격벽(113)을 가질 수 있다.
격벽(113)은 외곽프레임(110)의 내주면에 유체층(130)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격벽(113)은 외곽프레임(110)의 내주면에서 결합홈(11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격벽(113)은 유체층(13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유체층(130)의 고유주파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격벽(113)의 형상, 돌출 길이, 두께, 너비, 격벽(113)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113)은 외곽프레임(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벽(113)은 외곽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된 후 외곽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110: 외곽프레임
113: 격벽
120: 금속 플레이트
121: 요철
130: 유체층
140: 고무부재

Claims (5)

  1. 진동의 전파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전파되는 상기 진동이 투과되어 가는 공간을 가지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상기 진동의 전파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의 전파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채워지는 유체로 이루어지는 유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적어도 표면 일부에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고유주파수가 조정되도록 하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2. 진동의 전파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전파되는 상기 진동이 투과되어 가는 공간을 가지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상기 진동의 전파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의 전파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채워지는 유체로 이루어지는 유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적어도 표면 일부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고유주파수가 조정되거나,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통해 전파되는 진동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부착되는 고무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전파방향으로의 상기 유체층의 두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은 내주면에 상기 유체층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체층의 고유주파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격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KR1020170147652A 2017-11-07 2017-11-07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KR10200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652A KR102004957B1 (ko) 2017-11-07 2017-11-07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652A KR102004957B1 (ko) 2017-11-07 2017-11-07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715A KR20190051715A (ko) 2019-05-15
KR102004957B1 true KR102004957B1 (ko) 2019-07-29

Family

ID=6657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652A KR102004957B1 (ko) 2017-11-07 2017-11-07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9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194A (ja) * 2003-09-22 2005-04-07 Daiwa House Ind Co Ltd 住宅の制振装置
JP2007040348A (ja) 2005-08-01 2007-02-15 Polymatech Co Ltd 粘性流体封入ダンパー
JP4307294B2 (ja) * 2004-03-09 2009-08-0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階段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9695A (ko) 2012-10-18 2014-04-28 (주)보원 유동 안정화 구조를 이용한 저주파소음 저감 소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194A (ja) * 2003-09-22 2005-04-07 Daiwa House Ind Co Ltd 住宅の制振装置
JP4307294B2 (ja) * 2004-03-09 2009-08-0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階段構造
JP2007040348A (ja) 2005-08-01 2007-02-15 Polymatech Co Ltd 粘性流体封入ダン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715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361B2 (en) Solid-borne sound reducing structure
JP2008009014A (ja) 多孔質防音構造体
US20080128200A1 (en) Double-Wall Structure
KR101960917B1 (ko) 방음터널용 방음판 고정장치
RU2451781C1 (ru) Штучный звукопоглотитель
KR102004957B1 (ko)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JP5052980B2 (ja) 固体音低減構造
JP5219976B2 (ja) 騒音低減構造体
JP4145278B2 (ja) 吸音体
KR20200040947A (ko) 진동 및 소음 저감장치
JP2008111538A (ja) 制振材料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方法
CN105529021B (zh) 用于旋转机器的热声学保护结构
JP2003216159A (ja) ダクト消音装置
RU2648726C1 (ru) Шумопоглощающая панель
JP6232356B2 (ja) 船体の吸音構造、船舶及び吸音構造の施工方法
JP6635837B2 (ja) 立坑構造
RU2655112C1 (ru) Панель шумопоглощающая
KR101430164B1 (ko) 차음 구조체
JP4303183B2 (ja) 二重壁構造体
JP2015155604A (ja) 床構造および床構造の組み立て方法
US20230377546A1 (en) Flexural wave absorption system
JP4623513B2 (ja) 面材の遮音下地構造
KR101158666B1 (ko) 원통형 방음벽
JP7239755B1 (ja) 防振装置
KR101118621B1 (ko) 가설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