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694B1 - 옵스큐린 또는 티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옵스큐린 또는 티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694B1
KR102004694B1 KR1020170126232A KR20170126232A KR102004694B1 KR 102004694 B1 KR102004694 B1 KR 102004694B1 KR 1020170126232 A KR1020170126232 A KR 1020170126232A KR 20170126232 A KR20170126232 A KR 20170126232A KR 102004694 B1 KR102004694 B1 KR 102004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cardiovascular disease
early diagnosis
seq
peptide fra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839A (ko
Inventor
강민정
유영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2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6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2030/022Column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eparation mechanism
    • G01N2030/027Liquid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01N2030/8831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involving peptides or prote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2Cardiovascular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선정한 신규 바이오 마커로서, 옵스큐린과 티틴 단백질, 이들의 펩타이드 조각 (FIEDVKNQE, IVVPLKDTR)이 대상자가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UA),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SA)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갖는 경우 이들의 생체시료 내 레벨(수치)이 증가하므로, 그 레벨을 비교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급성 심근경색과 급성 심근경색 고위험군을 진단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바이오 마커가 심근경색 여부만 진단할 수 있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심근경색 발명 이전 징후인 불안정 협심증단계에서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 특이도 94% 이상 및 민감도 85% 이상을 보여 기존의 골드 스탠다드인 Troponin I 바이오 마커와 대비하여 경쟁력이 있다.

Description

옵스큐린 또는 티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A composition for early diagno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using a peptide derived from Obscurin or Titin protein, a kit for early diagno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ethod for information for early diagno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본 명세서는 옵스큐린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및 티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 질환은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는 질병으로 우리나라의 식생활 습관이 서구화되면서, 고혈압 비만과 같은 만성질환의 발병률이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심혈관 질환의 빈도도 급하게 증가하고 있다. 급성 심근경색은 발병 후 예후가 매우 좋지 않아, 재발 및 사망률이 2번째로 높은 질환으로, 관상동맥 혈류가 막히고, 취약성 경화반이 파열되어 혈전성 폐색으로 증상이 나타난다. 현재, 취약성 경화반 (vulnerable plaque)의 진단은 혈관 내심 초음파 방법 (intravascular ultrasound)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만이 심하거나 부종이 심한 경우, 초음파가 잘 통과하지 못하므로, 조기진단에 어려움이 있으며, 아직까지 조기 진단용 바이오 마커가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급성 심근경색 고위험군에 관한 조기 진단용 바이오 마커가 발굴된다면, 환자에게 위험한 급성 심근경색을 조기에 예방하거나, 심혈관 질환의 조기 단계에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 급성심근경색의 바이오 마커로 사용되고 있는 CK-MB, Myoglobin, Troponin I, Troponin T를 대체할 수 있는 민감하고 특이도가 높은 바이오 마커를 개발하는 연구 중에 발굴된 바이오 마커 후보군 중, 급성 심근경색 고위험군을 협심증 단계에서 조기에 진단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를 선별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48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3544호 미국 출원특허공보 제14/580,724호
Thrombosis Research (2009) 123: 556-564. The potential biomarkers for thromboembolism detected by SELDI-TOF-MS. Mei Hong et al. Clinica Chimica Acta (2011) 412: 10861093. Time course proteomic profiling of human myocardial infarction plasma samples: An approach to new biomarker discovery. Vivian Nogueria Silbiger et al. J. Proteomics (2016) 136: 123132. Development of a targeted selected ion monitoring assay for the elucidation of protease induced structural changes in cardiac troponin T. Alexander S. Streng et al.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생체시료에 주 단백질인 알부민 (Albumin)과, 면역글로불린 G (IgG)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50 ~ 80%의 농도의 -70℃ ~ 0℃ 온도를 갖는 냉장 아세톤 수용액을 넣고 원심 분리하거나, 상업적 키트인 ProteExtract™를 사용하였고, 정상인과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환자의 혈장 시료에서 Albumin과 IgG 제거 후, 얻은 소량의 단백질들을 트립신으로 분해하고 염을 제거하여, 고분해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LTQ Orbitrap)로 펩타이드를 정성분석하고, 이를 마스코트 (Mascot)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정상인과 환자에게서 차이가 나게 발현된 단백질을 발굴하였다. 이렇게 스크리닝된 바이오마커 후보군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LC-MS/MS)의 Multi Reaction Monitoring (MRM) 방법으로 정량 분석하여, AMI의 바이오 마커로 활용 가능한지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ELISA Kit를 구매하여, 바이오 마커 후보군의 혈중 농도에 대해서, 정상인과 심혈관 환자군을 비교 분석한 결과,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또는 심근경색 발병 이전 징후인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UA) 또는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SA) 단계에서 정상인과 구별되어 조기에 급성 심근경색 환자 위험 군을 진단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진단하거나, 협심증 단계에서 AMI를 조기에 예측하는 진단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급성 심근경색 진단용 키트 또는 AMI 고위험군 예측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성 심근경색 고위험군 환자를 협심증 단계에서 조기에 진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옵스큐린과 티틴 단백질 또는 이들의 트립신 분해 후 펩타이드 조각 (FIEDVKNQE, IVVPLKDTR)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급성 심근경색 진단용 또는 협심증 단계에서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급성 심근경색 진단 키트 또는 AMI 고위험군 예측용 조기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체시료 특히, 혈장에서 80% 이상 존재하는 다량 단백질을 제거하고, 미량의 단백질을 추출한 후, 정상인과 환자군(대상자)의 시료 속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 농도의 증감을 비교하여,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조기진단에 유용한 신규 바이오 마커를 발굴하였다.
선별한 세종의 신규 바이오 마커 후보군은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과 불안정 협심증 (Unstable Angina, UA) 환자의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기존 바이오 마커 대비 10% 이상 향상된 특이도 및 민감도를 보여 경쟁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은 정상인과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혈장 시료를 발명한 주단백질 제거 (albumin, IgG), 염 제거 후, 트립신을 활용한 단백질 분해를 거쳐, 고분해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시료를 분석하여 얻은 크로마토그램이다. 화살표로 표시된 머무름 시간에서 급성 심근경색 바이오 마커 후보군인 옵스큐린, 티틴,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이 도출되었다. (A) Healthy Control (정상인) (B) AMI patient (급성 심근경색 환자).
도 2는 도 1과 같이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혈장 시료로부터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Mascot database search를 거쳐 얻은 단백질 list 이다. 이 실험에서, p 값이 26보다 큰 경우 단백질 동정 결과가 유의미하다는 통계 결과를 얻었고, p 값이 26이상인 단백질의 펩타이드 조각에 대하여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급성 심근경색 환자 시료에서는 총 40개의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Titin의 경우, 크로마토그램상에서 정상인과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서 피크면적의 차이가 확연하여, p 값이 기준을 넘지 못하였으나, 확인된 단백질 리스트에 포함하였다.
도 3은 정상인과 급성 심근경색 환자 시료에 대해 차이가 나게 발현된 증가 바이오 마커 후보군의 마스코트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도 3a) 단백질과 트립신 분해 후 정량 분석한 펩타이드의 질량 (m/z), 충돌 에너지로 충돌하여 얻은 조각 이온의 질량 (m/z), 그리고 머무름 시간 (min) (도 3b) 마스코트에서 검출된 단백질의 트립신 분해 후 펩타이드 리스트, z값 (분자의 전하량), 그리고 intensity의 증감 유무이다.
도 4는 정상인과 급성 심근경색 환자 시료에 대해 차이가 나게 발현된 증가 바이오 마커 후보군을 면역학적 어세이 (ELISA Kit)로 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정상인 22명과 급성심근경색 환자군 14명의 혈장시료를 정량분석하고 t-test로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도 4a) 옵스큐린 (Obscurin) (도 4b) 티틴 (Titin) (도 4c)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 (alpha-1-acid glycoprotein 1)의 세종 바이오 마커의 정량분석 결과, 옵스큐린은 협심증환자 (UA, SA)와 급성 심근경색 환자 (AMI) 에게서 모두 정상인과 유의성 있게 차이가 남을 확인하였고, 티틴의 경우, 불안정형 협심증환자와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서만 정상인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의 경우,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정량분석 결과와는 달리, 정상인과 환자의 정량분석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도 5는 정상인과 급성심근경색 환자 시료에 대해 차이가 나게 발현된 증가 바이오 마커 후보군의 ROC (Receiver Operating Curve) 결과이다. 정상인 22명과 급성심근경색 환자군 14명의 혈장시료를 정량 분석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5a) 옵스큐린 (Obscurin) (도 5b) 티틴 (Titin) (도 5c) 알파-1-에시드-글라이코프로테인 1 (alpha-1-acid glycoprotein 1)의 세종 바이오 마커에 대하여 정상인과 모든 심혈관 환자 (UA, SA, AMI) 비교결과, 정상인과 SA, AMI의 비교결과, 정상인과 AMI환자의 비교결과를 보여주는 ROC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발굴한 바이오 마커인 옵스큐린과 티틴을 기존의 골드 스탠다드인 트로포닌 I (Troponin I)와 비교하여 ELISA Kit로 분석한 것이다. 민감도, 특이도, AUC (Area Under Curve), 정확도, 진단의 기준 (Cut-off value (ng/ml)을 보여준다. 발굴한 옵스큐린과 티틴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모두 트로포닌 I 보다 높았고, 이 둘을 조합 할 경우, 급성 심근경색 진단에 매우 우수한 진단결과를 (특이도 100%, 민감도 86%)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도 7은 발굴한 옵스큐린과 티틴의 심장 조직에서의 역할을 Scheme으로 작성한 것이다. 티틴은 Z-band로부터 I, A, M band를 통과하여 actin, myosin, myomesin과 α-actin을 연결시키고, 옵스큐린은 Sarcoplasmic reticulum 또는 T-tubule과 actin, α-actin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로, 기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골드 스탠다드인 트로포닌과 함께 심장 근육의 구조를 이루는 단백질이어서, 심근조직에 이상이 생기면서 혈중으로 방출되는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심혈관 질환 환자의 혈장에서 증가되어 발현한 신규 바이오 마커로서, 옵스큐린과 티틴 단백질 또는 이들의 트립신 분해 후 펩타이드 조각 (FIEDVKNQE, IVVPLKDTR)이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환자의 혈장시료에서, 이들의 생체시료 내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므로, 그 농도를 비교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급성 심근경색을 진단할 수 있다. 더욱이 발굴된 바이오 마커는 급성 심근경색의 전단계인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UA)이나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SA) 환자에게서도 정상인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급성 심근경색 환자 위험 군을 조기에 찾아 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조기 진단 마커로, 기존의 급성 심근경색 바이오 마커인 Troponin I 나,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바이오 마커인 BNP 와 비교한 실험 결과에서 보다 높은 진단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 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생체시료에 50 ~ 80%의 농도의 -70℃ ~ 0℃ 온도를 갖는 냉장 아세톤 수용액을 넣고 원심 분리하여 주 단백질인 알부민과 IgG를 제거하거나, 종래의 상업적 키트(ProteExtract™)를 이용하여 주 단백질인 알부민과 IgG를 제거한 후, 생체시료 내에 존재하는 미량의 특정 단백질로 존재하는 바이오 마커 후보군을 발굴하는데 유용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허출원 제2016-108525호 참조).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미량의 특정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상기 기술을 이용하여, 정상인과 심혈관 질환 환자 (대상자)의 생체시료 (특히, 혈장)에서, 미량으로 존재하는 급성 심근경색 조기 진단용 바이오 마커를 발굴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냉장 아세톤 침전법 (특허출원 제2016-108525호) 또는 종래의 상업적 키트 (ProteExtract™)를 이용하여 주단백질 알부민과 면역글로불린 G (Ig G)를 제거하고, 트립신으로 단백질을 분해한 후, 다량의 염을 제거하고 고분해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LTQ Orbitrap)로 조각 펩타이드를 분석하였다. 분석하여 얻은 크로마토그램과 매스스펙트로메트리 결과를 Mascot database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단백질을 동정하고, 정상인과 환자 시료에서 차이가 나게 발현된 단백질의 조각 펩타이드 이온을 정량 분석하여, 바이오 마커 후보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지 검증하였다. 아울러, 고분해능 질량분석기 (LTQ-Orbitrap)를 사용 하면서, MS/MS scan analyzer의 조건을 FTMS를 Ion Trap으로 바꾸거나, Dynamic Exclusion Parameter를 최적화하고, Minimum Signal Threshold를 증가시켜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와 정상인의 혈장으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옵스큐린 (Obscurin); m/z 561.27 --> 861.31, 티틴 (Titin); m/z 520.82 --> 765.40,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 (alpha-1-acid glycoprotein 1); m/z 871.90--> 853.52 의 세종 유명 단백질을 선별하였고, 이들 심혈관 질환 바이오 마커들은 정상인에서보다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혈장에서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다른 한편으로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급성 심근경색 환자와 정상인의 혈장으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옵스큐린 (Obscurin); m/z 561.27 --> 861.31, 티틴 (Titin); m/z 520.82 --> 765.40,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 (alpha-1-acid glycoprotein 1); m/z 871.90--> 853.52 의 세종 단백질의 조각 펩타이드를 합성하고, 이를 MRM (multi reaction monitoring) 방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정량 분석결과, 세종의 바이오 마커 후보군이 정상인에 비해 AMI 환자 군에서 유의미하게 증가 또는 감소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진단"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진단은 심혈관 질환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거나, 나아가 질환의 진행 여부 또는 심화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굴한 바이오 마커 후보군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면역학적 에세이 (ELISA Kit)를 구매하여,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에서는 옵스큐린과 티틴만 정상인과 구별되게 AMI환자에게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 4). ELISA Kit를 구성할 때에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와 정상인의 혈장으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옵스큐린과 티틴 단백질 또는 이들의 트립신 분해 후 펩타이드 조각 (FIEDVKNQE, IVVPLKDTR)에 특이적인 항체를 메인 구성성분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 "항체"란 항원성 부위에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 클론항체, 다 클론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단 클론항체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하이브리도마 방법 (Kohler 및 Milstein(1976) 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 6:511-519), 또는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 (Clarkson et al, Nature, 352:624-628, 1991; Marks et al, J. Mol. Biol., 222:58, 1-597, 1991)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 클론항체는 상기한 단백질 항원을 동물에 주사하고 동물로부터 채혈하여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을 수득하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다 클론항체는 염소, 토끼, 양, 원숭이, 말, 돼지, 소, 개 등의 임의의 동물 종 숙주로부터 제조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에는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인간항체 등의 특수항체도 포함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급성 심근경색 고위험군 예측용 조기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마커로서, 급성 심근경색 환자 또는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안정형 협심증) 환자를 정상인의 혈장으로부터 구별하여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옵스큐린과 티틴 단백질 또는 이들의 트립신 분해 후 펩타이드 조각 (FIEDVKNQE, IVVPLKDT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례로, 본 발명에서의 키트는 환자 시료 내 상기 이종의 특정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뿐만 아니라, 적합한 한 종류 이상의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트는 항체의 면역학적 검출을 위하여 기질, 적당한 완충용액, 검출 라벨로 표지 된 2차 항체, 및 발색 기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급성 심근경색 조기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로부터 채취한 생체시료로부터 급성 심근경색 환자와 정상인의 혈장으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옵스큐린 (Obscurin); m/z 561.27 --> 861.31, 티틴 (Titin); m/z 520.82 --> 765.40,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 (alpha-1-acid glycoprotein 1); m/z 871.90--> 853.5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액체크로마트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기 단백질의 함량을 정상 대조 군과 대비하여 심혈관 질환이 있다고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 대상자의 급성 심근경색 환자 또는 와 정상인의 혈장으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옵스큐린과 티틴 단백질 또는 이들의 트립신 분해 후 펩타이드 조각 (FIEDVKNQE, IVVPLKDTR) 중 하나 이상의 수치가 정상 대조 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게 발현되어 있는 바이오 마커로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유무/ 급성 심근경색 고위험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생체시료는 혈장(plasma), 뇨(urine), 객담(sputum), 세럼(serum)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혈장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심혈관 질환은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또는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바이오 마커 후보군로서 급성 심근경색 환자와 정상인의 혈장으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옵스큐린과 티틴 단백질 또는 이들의 트립신 분해 후 펩타이드 조각 (FIEDVKNQE, IVVPLKDTR)을 각각 또는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민감도 85% 이상, 특이도 94% 이상의 높은 예측 적중률을 얻을 수 있는 진단 키트로 제공될 수 있으며(도 5, 도 6), 이는 급성 심근경색을 불안정형 협심증 또는 안정형 협심증 단계에서 조기에 예측, 진단하는데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도 6).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열번호 1(FIEDVKNQE)의 펩타이드 조각 및 서열번호 2(IVVPLKDTR)의 펩타이드 조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서열번호 1: FIEDVKNQE
서열번호 2: IVVPLKDTR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단백질은 생체시료에 50 ~ 80%의 농도의 -70℃ ~ 0℃ 온도를 갖는 냉장 아세톤 수용액을 넣고 원심 분리하여 주단백지인 알부민과 IgG를 제거하여 추출된 시료로부터 선별된 것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생체시료는 혈장(plasma), 뇨(urine), 객담(sputum), 세럼(serum)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및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에 대하여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옵스큐린(Obscurin) 단백질이며,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티틴(Titin) 단백질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서열번호 1(FIEDVKNQE)의 펩타이드 조각 및 서열번호 2(IVVPLKDTR)의 펩타이드 조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특이적인 항체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서열번호 1(FIEDVKNQE)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및 서열번호 2(IVVPLKDTR)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특이적인 항체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서열번호 1(FIEDVKNQE)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및 서열번호 2(IVVPLKDTR)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특이적인 항체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옵스큐린(Obscurin) 단백질이며,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티틴(Titin)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항체는 단 클론항체 또는 다 클론항체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심혈관 질환은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UA) 및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SA)중 어느 하나 이상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로부터 채취한 생체시료로부터 서열번호 1(FIEDVKNQE)의 펩타이드 조각 및 서열번호 2(IVVPLKDTR)의 펩타이드 조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함량을 측정하고 정상 대조 군과 대비하여 심혈관 질환이 있다고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및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함량을 측정하고 정상 대조 군과 대비하여 심혈관 질환이 있다고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옵스큐린(Obscurin) 단백질이며,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티틴(Titin) 단백질인,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대상자의 생체시료 내에 서열번호 1(FIEDVKNQE)의 펩타이드 조각 및 서열번호 2(IVVPLKDTR)의 펩타이드 조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치가 정상 대조 군에 비하여 높으면 심혈관 질환이 있다고 진단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펩타이드 조각은 생체시료에 50 ~ 80%의 농도의 -70℃ ~ 0℃ 온도를 갖는 냉장 아세톤 수용액을 넣고 원심 분리하여 주 단백질인 알부민과 IgG를 제거하여 추출된 시료로부터 선별된 것인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생체시료는 혈장(plasma), 뇨(urine), 객담(sputum), 세럼(serum)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심혈관 질환은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UA) 및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SA)중 어느 하나 이상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단백질의 함량 측정은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상기 단백질의 발현량 측정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면역학적 에세이 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성 심근경색 환자, 협심증 환자와 정상인의 혈장으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옵스큐린, 티틴,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 이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진단 바이오 마커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실험대상 선정 및 재료 준비
정상인과 심근경색 환자의 혈장시료 (44 ~ 75세, 남, 여 혼합)를 준비하였다. 정상인 22명, 급성심근경색환자 14명, 불안정 협심증 환자 14명, 안정 협심증 환자 14명의 혈장시료를 고대 병원에서 받았다. 모든 환자의 동의를 받아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고려대 병원의 Institutional Review Board (KUGH12118-005)로부터 심혈관 진단 바이오 마커 발굴에 관한 허가를 받았다. 혈장에 존재하는 알부민 (Albumin)과 면역글로불린 G (Immunoglobulin G)를 제거하기 위해 ProteoExtract™ Albumin/IgG removal kit (EMD bioscience, Darm stadt, Germany)를 구입하였다. 아울러, 특허출원 제2016-108525호에 따른 냉장 아세톤 침전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아세톤 (Duksan Pure Chemicals, Ansan, Korea)을 구입하였다. 트립신 분해에 필요한 암모니윰 바이카보네이트 (Ammonium bicarbonate), DL-디티오트레이톨 (DL-Dithiothreitol), 요오드아세트아미드 (Iodoacetamide), 및 트립신 (trypsin)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2. 혈장으로부터 주 단백질인 알부민과 IgG의 제거
2-1. 종래의 상업적 키트인 ProteoExtract ™ Albumin/ IgG removal kit 이용하여 알부민과 IgG를 제거
정상인 22명과 심혈관 질환 환자 42명의 혈장 35 μl을 각각 준비하고 ProteoExtract™ Albumin/IgG removal kit에서 제공된 바인딩 버퍼 (binding buffer)로 혈장시료를 10배 희석한 후, 컬럼에 주입하여 중력으로 흘러내려가게 하였다. 여기에 바인딩 버퍼 (binding buffer) 600 μl씩 2번 주입하여 알부민, 또는 면역글로불린G의 항체에 결합하지 않은 미량의 단백질들을 씻어서 분리하였다. 두 번 추출하여 모아진 샘플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밤새 말린 후, 분석 전까지 - 20℃ 냉동고에 넣어 보관하였다.
2-2. 냉장 아세톤 침전법을 이용하여 알부민과 IgG를 제거
농도가 70%인 아세톤을 만들어 -20℃에 보관한 -10℃ 온도를 갖는 차가운 아세톤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정상인 22명과 심혈관 질환 환자 42명의 혈장시료 1.8 ml에 아세톤 수용액 7.2 ml을 넣고 잘 섞은 후, -20℃에 시료를 2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이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3000 g, 4℃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층 액은 따로 분주하였고 펠렛은 아세톤수용액 3.6 ml로 세척하여 같은 조건으로 원심분리를 한 후 분리된 상층 액을 첫 번째 분주한 상층 액과 혼합하였다. 펠렛은 위의 방법으로 다시 한번 세척하여 분리된 상층 액은 첫 번째, 두 번째 상층 액과 혼합하여 기체질소(Sinyang, Seoul, Korea)로 아세톤을 증발시키고 동결건조기(Freeze-Dryer)로 수용액을 밤새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20℃에 분석 시까지 보관하였다. 펠렛은 상온에서 5 ~ 10분 동안 말린 후, -20℃에서 분석 시까지 보관하였다.
3. 단백질의 트립신 분해
상기 2-1에서 얻은 시료 (알부민, IgG제거 혈장 단백질)와 상기 2-2에서 얻은 시료인 분말상태의 상층 액과 펠렛을 각각 50 mM 암모니윰 바이카보네이트 버퍼 (ammonium bicarbonate buffer) 100 μl와 1 ml로 녹였다. 500 mM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을 준비하여 시료에 넣어 최종농도를 20 mM로 만든 후, 60℃에서 한 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이후, 1 M 요오드아세트아미드 (Iodoacetamide)를 만들어 최종농도가 40 mM이 되도록 시료에 넣어준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어두운 곳에서 보관하였다. 다시 500 mM 디티오트레이톨 (Dithiothreitol)의 최종농도가 10 mM이 되도록 시료에 넣은 후, 트립신 (trypsin)을 1:30 비율(트립신: 단백질, w/w)로 처리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24시간 반응 후에는 분석 전까지 20℃에 보관하였다.
4. 염의 제거
상기 3에서 트립신 처리된 시료를 10% 아세토나이트릴 (J.T Baker, Center Valley, PA, USA)로 10배 희석한 후, 14000 g, 4℃에서 5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펠렛을 제거하였다. Oasis®1 cc extraction cartridges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USA)는 1 ml 메탄올 (J.T Baker, Center Valley, PA, USA)과 1 ml 증류수 (Millipore, Mosheim, France)를 주입하여 먼저 활성화시켰다. 준비된 시료를 주입하여 천천히 흘러내려가게 한 후, 1 ml 증류수로 두 번 세척하였다. 1 ml 의 50% 메탄올로 시료를 천천히 추출하여 분주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동결건조기로 밤새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20℃에 분석 시까지 보관하였다.
5. 고분해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LC-MS/MS)를 이용한 분석
상기 4에서 준비된 시료인 알부민과 IgG가 제거되고 트립신으로 분해된 혈장시료를 0.2% 포름산 (formic acid, Sigma-Aldrich, St. Louis, MO, USA)가 포함된 증류수 35 μl로 녹인 후, LTQ Orbitrap Velos Pro 질량분석기 (Thermo Fisher Scientific, Sunnyvale, CA, USA)와 연결된 Ultimate 3000 액체크로마토그래피 (Thermo Fisher Scientific,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용매는 0.2% 포름산(formic acid)과 아세토나이트릴 (acetonitrile, ACN)이 포함된 90% 증류수와 0.2% 포름산 (formic acid)이 포함된 10% 증류수를 제조하였다. 컬럼 (Aeris widepore 3.6 μm XB-C18, 100 x 1.7 mm)은 SUNGMOON SYSTECH LTD., CO. (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연결하였고, 두 용매는 0.350 ml/min으로 30분 동안 흘려주었다. 사용된 용매는 A: 10 % ACN with 0.2 % FA; B: 90 % ACN with 0.2 % FA 였고, 용매의 조성과 이동속도는 아래 표 1과 같다.
LC 분리를 위한 시간에 따른 용매의 조성(%) 및 이동속도(ml/min)
Time (min) Flow (ml/min) Solvent A (%) Solvent B (%)
0 0.35 100 0
1 0.35 100 0
8 0.35 80 20
10 0.35 65 35
12 0.35 60 40
17 0.35 0 100
25 0.35 0 100
27 0.35 100 0
30 0.35 100 0
정상인과 환자시료의 정량분석을 위해서는 multi reaction monitoring (MRM) 방법이 사용되었고, 표 2에서 보여진 것처럼 parent ion을 잡아서 collision energy 25~35%로 fragment ions를 만든 후, 가장 intensity가 높은 fragment ion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정량분석을 진행하였다.
MRM 분석을 위한 바이오 마커 후보물질의 모 이온, 조각이온, 충돌에너지
모 이온
(Parent Ion, m/z)
충돌에너지
(Collision Energy, CE)
조각이온
(Fragment Ion, m/z)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 871.90 25 853.52
옵스큐린 561.27 35 861.31
티틴 334.73 30 456.32
도면 1은 위의 방법으로 측정한 정상인과 AMI 환자시료의 크로마토그램이다.
6. Mascot를 이용한 단백질 및 펩타이드 동정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통해 검출된 피크는 Mascot (Matrix science Inc. Boston, MA,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백질 동정을 실시하였다. NCBI human data base를 사용하였고, 서로 다른 그룹간의 통계적 처리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고, 정상인과 환자 군의 바이오 마커 조각 펩타이드의 측정값을 비교하는 그래프는 Tukey multiple comparison을 사용하였다. 특이도 (specificity), 민감도 (sensitivity), 및 ROC (receiver operating curves)는 MedCalc ver 7.0 (MedCalc Software, Mariakerke, Belgium)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P값은 student's-test를 사용하였고, 계산된 P값이 0.05보다 작으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였다.
도면 2은 위의 방법으로 발견한 단백질의 조각 펩타이드 리스트이다. 심혈관 질환 환자와 정상인의 혈장으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옵스큐린 (Obscurin); m/z 561.27 --> 861.31, 티틴 (Titin); m/z 520.82 --> 765.40,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 (alpha-1-acid glycoprotein 1); m/z 871.90--> 853.52 가 정상인에 비해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서 높게 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스코트를 사용하여 동정한 바이오 마커 후보군 중에 정상인과 환자시료를 MRM을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한 후, 의미 있는 바이오 마커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7-1. 바이오 마커 후보군 선정
정상인과 환자 군의 시료를 1-4의 방법으로 전처리 한 후, 레벨의 증감을 LC-MS/MS MRM (multi reaction monitoring)으로 정량 분석 하여, 유의미하게 증가한 단백질을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도 3에 나타내었다. 옵스큐린 (Obscurin); m/z 561.27 --> 861.31, 티틴 (Titin); m/z 520.82 --> 765.40,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 (alpha-1-acid glycoprotein 1); m/z 871.90--> 853.52 의 세종의 단백질의 조각 펩타이드를 측정했을 때, P값이 0.0001보다 작고, 특이 도와 민감도가 높은 통계결과를 보여주었다 (표 3).
[표 3] 바이오 마커 후보군의 정상인과 환자에서의 MRM 정량분석 결과
Figure 112017095309075-pat00001
7-2. 면역학적 에세이를 통한 바이오 마커 후보군의 정량분석
본 발명에서 선정한 상기 세종의 심혈관 질환 바이오 마커 후보군 중 ELISA Kit를 구매할 수 있는 옵스큐린 (Obscurin), 티틴 (Titin),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 (alpha-1-acid glycoprotein 1)의 농도를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보면, 바이오 마커 후보군 중 옵스큐린 티틴은 단백질이 정상인 (Healthy Controls)에 비해, 급성심근경색(AMI), 안정형 협심증 (SA), 불안정형 협심증(UA) 환자 군에서 유의미하게 증가되었음을 보여준다. 옵스큐린은 협심증환자 (UA, SA)와 급성 심근경색 환자 (AMI) 에게서 모두 정상인과 유의성 있게 차이가 남을 확인하였고, 티틴의 경우, 불안정형 협심증환자와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서만 정상인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알파-1-에시드 글라이코프로테인 1의 경우, 정상인과 환자의 정량분석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바이오 마커인 옵스큐린 (Obscurin)과 티틴 (Titin)은 단백질은 각각 또는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민감도 80% 이상, 특이도 90% 이상의 높은 정확도와 불안정 협심증 단계에서의 높은 예측 적중률 (70% 이상)을 얻을 수 있는 진단 키트로 제공될 수 있으며, 건강검진 단계에서 심혈관 질환 특히 급성 심근경색 고위험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험결과를 도면에 보이지는 않았지만,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BNP를 본 발명에 사용한 정상인과 심혈관 질환 환자 시료를 활용하여 정량 분석한 결과, 정상인에 대한 심혈관 질환 환자의 민감도는 60%, 특이 도는 80%이고, 이는 협심증 단계에서 민감도 73%, 특이도 100%를 보인 옵스큐린에 비해 심혈관 질환 예측율이 낮은 편이다.
<1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A composition for early diagno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using a peptide derived from Obscurin or Titin protein, a kif for early diagno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ethod for information for early diagno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130> K09040_DP-2017-00289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of the Obscurin protein <400> 1 Phe Ile Glu Asp Val Lys Asn Gln Glu 1 5 <210> 2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of the Titin protein <400> 2 Ile Val Val Pro Leu Lys Asp Thr Arg 1 5

Claims (17)

  1.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 및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UA) 및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S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생체시료에 50 ~ 80%의 농도의 -70℃ ~ 0℃ 온도를 갖는 냉장 아세톤 수용액을 넣고 원심 분리하여 주 단백질인 알부민과 IgG를 제거하여 추출된 시료로부터 선별된 것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시료는 혈장(plasma), 뇨(urine), 객담(sputum) 또는 세럼(serum)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및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에 대하여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옵스큐린(Obscurin) 단백질이며,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티틴(Titin) 단백질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 및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특이적인 항체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단 클론항체 또는 다 클론항체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급성 심근경색, 불안정형 협심증 및 안정형 협심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키트.
  10.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로부터 채취한 생체시료로부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 및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함량을 측정하고 정상 대조군과 대비하여 함량이 증가한 대상자를 심혈관 질환이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급성 심근경색, 불안정형 협심증 및 안정형 협심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및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함량을 측정하고 정상 대조군과 대비하여 함량이 증가한 경우 심혈관 질환이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옵스큐린(Obscurin) 단백질이며,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조각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티틴(Titin) 단백질인,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조각은 생체시료에 50 ~ 80%의 농도의 -70℃ ~ 0℃ 온도를 갖는 냉장 아세톤 수용액을 넣고 원심 분리하여 주 단백질인 알부민과 IgG를 제거하여 추출된 시료로부터 선별된 것인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생체시료는 혈장(plasma), 뇨(urine), 객담(sputum) 또는 세럼(serum)인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16. 삭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함량 측정은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상기 단백질의 발현량 측정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면역학적 에세이 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KR1020170126232A 2017-09-28 2017-09-28 옵스큐린 또는 티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KR10200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232A KR102004694B1 (ko) 2017-09-28 2017-09-28 옵스큐린 또는 티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232A KR102004694B1 (ko) 2017-09-28 2017-09-28 옵스큐린 또는 티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839A KR20190036839A (ko) 2019-04-05
KR102004694B1 true KR102004694B1 (ko) 2019-10-01

Family

ID=6610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232A KR102004694B1 (ko) 2017-09-28 2017-09-28 옵스큐린 또는 티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0295B (zh) * 2021-12-27 2023-03-31 中国医学科学院阜外医院 检测obscn基因突变位点的试剂在制备诊断心肌致密化不全的试剂盒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7643A1 (en) 2011-07-11 2013-01-17 Nordic Bioscience A/S In vitro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events by assay for neo-epitopes of titin protei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544A (ko) 2013-01-18 2014-07-28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후크
KR101494882B1 (ko) * 2013-02-21 2015-02-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급성 심근 경색 진단용 조성물,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급성 심근 경색 진단용 키트 및 급성 심근 경색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7643A1 (en) 2011-07-11 2013-01-17 Nordic Bioscience A/S In vitro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events by assay for neo-epitopes of titin protei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2012, Vol. 10, pp 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839A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8268B2 (ja) 脳内のアミロイドβペプチド蓄積状態を評価するサロゲート・バイオマーカー及びその分析方法
Kang et al. Serum protein biomarkers screening in HCC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by ICAT-LC-MS/MS
JP2006527190A (ja) ナトリウム利尿ペプチドに関連したポリペプチド、並びにこれらの同定および使用法
JP5863074B2 (ja) 膵臓癌を検出するためのマーカー
AU2006336091A1 (en) Method and 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nal diseases
US8778699B2 (en) Detection of degradation products of canine NT-proBNP
KR20200020927A (ko) 대장암을 검출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US20060286602A1 (en) Method and 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nal diseases
JP5322556B2 (ja) 新規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バイオマーカーおよび該バイオマーカーを用いた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の検出方法
JP2010534341A (ja) 早産の危険性を評価するためのバイオマーカーの同定および定量化
EP3835424A1 (en) Diagnostic drug and diagnostic method for alzheimer&#39;s disease
KR102004694B1 (ko) 옵스큐린 또는 티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Pinet et al. Predicting left ventricular remodeling after a first myocardial infarction by plasma proteome analysis
KR101864601B1 (ko)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WO2009099561A2 (en) Urinary ca125 peptides as biomarkers of ovarian cancer
EP3633378A1 (en) Chromogranin a immunoassay for diagnosis, risk assessment, risk stratification, therapy control and/or post-operative control of a neuroendocrine tumour or prostate cancer
Léger et al. Solid-phase hexapeptide ligand libraries open up new perspectives in the discovery of biomarkers in human plasma
Saito et al.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a high-quality comparative analysis strategy for the discovery and small-scale validation of low-abundance biomarker peptides in serum based on an optimized novel peptide extraction method
JP6967206B2 (ja) 認知機能障害疾患のバイオマーカー及び該バイオマーカーを用いる認知機能障害疾患の検出方法
CN111656196A (zh) 肾癌的检测方法和检查试剂
JP2017504040A (ja) 肺疾患および他の疾患用の生化学マーカー
WO2008054763A2 (en) Biomarkers for breast cancer
KR102112503B1 (ko)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및 심혈관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WO2018007555A1 (en) Method for diagnosing cancer
WO2018220106A1 (en) Biomarker molecules for sarcopenia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