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626B1 -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및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및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626B1
KR102004626B1 KR1020177013182A KR20177013182A KR102004626B1 KR 102004626 B1 KR102004626 B1 KR 102004626B1 KR 1020177013182 A KR1020177013182 A KR 1020177013182A KR 20177013182 A KR20177013182 A KR 20177013182A KR 102004626 B1 KR102004626 B1 KR 10200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exhaust gas
exhaust
acoustic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892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되링
Original Assignee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filed Critical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70067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interference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01N1/023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1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resonance or dead chambers or passages to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30/00Combination of silencers and other devices
    • F01N2230/02Exha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30/00Combination of silencers and other devices
    • F01N2230/04Catalyt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12Chambers having variable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내연 기관을 위한, 특히 중유 연료로 작동되는 선박의 디젤 기관을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10)로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에 의해 한정되는 배기가스 챔버(12)로서, 상기 배기가스 챔버를 통해 배기가스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며, 입구(13)를 통해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챔버 내로 유동하고 출구(14)를 통해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챔버로부터 외부로 유동하는 것인 배기가스 챔버를 포함하고, 하우징(11)에 의해 한정되며 배기가스 챔버(12)와 결합되는 음향 감쇠용 챔버(15)로서, 감쇠될 배기의 음향 주파수에 따라 좌우되는 특정 충전 레벨로 유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pourable solid)를 보유하는 것인 음향 감쇠용 챔버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및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EXHAUST GAS AFTERTREATMENT DEVICE AND EXHAUST GAS AFTER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및 배기가스 후처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로부터, 촉매 변환기 또는 배기가스 스크러버(exhaust gas scrubber)와 같은 배출 제어 디바이스 및 소음기 양자 모두가 배기가스 후처리 모듈로서 내연 기관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촉매 변환기는 특히 배기가스 중 질소의 제거 및/또는 황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이에 따른 질소 산화물 배출 및 황 산화물 배출의 저감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소음기는 소음 감소를 위해, 그리고 이에 따른 음향 배출의 감소를 위해 사용된다.
실시로부터 알려져 있는 소음기는 보통 배출 제어 디바이스의 하류에 위치 설정되며, 공명기 또는 lambda/4 소음기로서 알려져 있는 것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소음기의 챔버가, 감쇠시킬 배기 소음의 주파수에 적합한 깊이 또는 길이를 갖는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소음기는 좁은 대역의 감쇠 작용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특히 가변적인 속도로 작동되어 다양한 배기 주파수를 나타내는 엔진의 경우에는 만족스러운 배기 음향 감쇠를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배기 음향 감쇠를 위한 넓은 대역의 감쇠 작용을 나타내는 소음기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챔버를 갖춘 소음기를 구비하는 것이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이들 챔버는 밸브를 통해 구현되고, 그 결과로서, 챔버의 깊이는, 감쇠시킬 배기 음향의 주파수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소음기는, 가동 부분이 배기가스 유동 내에 위치하게 되는 단점을 나타내는데, 가동 부품은, 해당 배기 음향이 감쇠되는 내연 기관이 고유황 연료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경우 특히 강력하게 부식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소음기에서는, 단지 복수 개의 좁은 대역의 주파수 범위만이 효과적으로 음향 감쇠를 거치게 될 수 있으며, 감쇠시킬 배기 음향의 다양한 주파수 범위에 대해 소음기의 감쇠 작용을 한없이 가변적으로 적응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DE 196 11 133 A1 및 DE 196 19 173 C1은, 가동 부품이 배기가스 유동에 노출되는 것인 소음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본 발명은 신규한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및 배기가스 후처리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려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는 하우징; 이 하우징에 의해 한정되는 배기가스 챔버로서, 이 배기가스 챔버를 통해 배기가스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며 입구를 통해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챔버 내로 유동하고 출구를 통해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챔버로부터 외부로 유동하는 것인 배기가스 챔버; 상기 하우징에 의해 한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배기가스 챔버와 결합되는 음향 감쇠용 챔버로서, 상기 음향 감쇠용 챔버 내에는 유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pourable solid)가 충전 레벨로 수용되고 이 충전 레벨은 감쇠시킬 배기 음향의 주파수에 따라 좌우되는 것인 음향 감쇠용 챔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유동하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 챔버와 결합되는 상기 음향 감쇠용 챔버 내에서의 상기 유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의 충전 레벨은 한없이 가변적인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의 음향 감쇠 작용은 한없이 가변적인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상기 음향 감쇠 작용은 배기 음향 주파수의 넓은 범위에 대해 융통성있는 방식으로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배기가스 유동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요소를 갖춘,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는 소음기의 단점을 피하면서도, 심지어 넓은 범위의 엔진 속도에서 작동하는 내연 기관의 경우에도 매우 효과적인 음향 감쇠가 가능하다.
유리한 개량에 따르면, 유체, 바람직하게는 액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바람직하게는 과립형 재료)의 음향 감쇠용 챔버에서의 충전 레벨은 음향 감쇠용 챔버의 유입량 및 음향 감쇠용 챔버의 유출량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적으로 그리고 유입량 및/또는 유출량에 의해 음향 감쇠용 챔버에 대한 충전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충전 레벨은 감쇠될 배기가스의 주파수의 함수로서, 감쇠될 주파수에 대해 적합하게 된다. 최적의 음향 감쇠를 위해 음향 감쇠용 챔버에서 요구되는 충전 레벨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레벨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감쇠될 배기가스의 주파수의 함수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효과적인 음향 감쇠를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인 유리한 개량에 따르면, 상기 음향 감쇠용 챔버는 U자형 단면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향 감쇠용 챔버의 하부 섹션에 2개의 결합된 서브 챔버(sub-chamber)를 구비하고, 제1 서브 챔버는 음향 감쇠용 챔버의 유입부 및 유출부와 연통하며, 제1 서브 챔버에 결합되는 제2 서브 챔버는 상부에서 개방되도록 또는 상부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의 음향 감쇠 작용은 여기서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제어 디바이스, 구체적으로 촉매 변환기 및/또는 배기가스 스크러버가 배기가스 챔버 내에 배치되며, 이 배기가스 챔버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동한다. 유동하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 챔버 내에 배출 제어 디바이스가 위치 설정되거나 유동하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 챔버 내에 배출 제어 디바이스가 통합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는 음향 감쇠뿐만 아니라 배출 제어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의 공간 요건은 이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배기가스 후처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14에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량은 종속 청구항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이로써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의 세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의 세부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을 위한, 구체적으로 중유 연료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선박의 디젤 내연 기관을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내연 기관을 위한, 구체적으로 중유 연료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선박의 디젤 내연 기관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10)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10)는 하우징(1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은 일측에서 배기가스 챔버(12)를 한정하는데, 상기 배기가스 챔버를 통해 배기가스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며, 입구(13)를 통해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챔버 내로 유동하고, 출구를 통해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챔버로부터 외부로 유동하며, 상기 하우징은 타측에서 음향 감쇠용 챔버(15)를 한정한다.
음향 감쇠용 챔버(15)가 배기가스 챔버(12)와 결합된다.
유체, 구체적으로 액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 구체적으로 과립형 재료가 충전 레벨로 음향 감쇠용 챔버(15) 내에 수용되는데, 상기 충전 레벨은, 감쇠될 배기가스의 음향 주파수에 따라 좌우된다. 감쇠될 배기가스의 음향 주파수가 예컨대 내연기관의 부하 변화의 결과로서 변하게 된다면, 이때 배기가스 후처리 다비이스(10)의 감쇠 작용은, 음향 감쇠용 챔버(15)에서의 유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의 충전 레벨의 간단한 변경에 의해 배기가스의 음향 주파수의 변화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10)의 감쇠 범위 또는 감쇠 작용은 한없이 가변적인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정해진 충전 레벨로 음향 감쇠용 챔버(15) 내에 수용되는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유체에 대한 대안으로서, 주입 가능한 고체, 특히 과립형 재료가, 감쇠될 배기가스의 음향 주파수에 따라 좌우되는 충전 레벨로 음향 감쇠용 챔버(15) 내에 또한 수용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는 유입부(16)에 의해 음향 감쇠용 챔버(15)에 공급될 수 있으며, 유출부(17)에 의해 음향 감쇠용 챔버(15)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음향 감쇠용 챔버(15) 내부에서의 액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의 충전 레벨은 유입부(16) 및 유출부(17)에 할당되는 밸브(28, 29)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음향 감쇠용 챔버(15)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에 의해, 배기가스 챔버(12)와 결합된다. 도 1에 따르면, 배기가스 챔버(12) 및 음향 감쇠용 챔버(15)는 공통의 하우징 벽(18)에 의해 또는 하우징(11)의 하우징 벽 섹션에 의해 분리되며, 배기가스 챔버 및 음향 감쇠용 챔버는 하우징 벽(18)에 리세스(31; recess)로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도 1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31)는 이러한 경우에 하우징 벽(18) 내에 도입되는데, 음향 감쇠용 챔버(15) 내의 액체 또는 과립형 재료의 충전 레벨보다 높게 리세스가 위치 설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도입된다.
제어 디바이스(26)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감쇠될 배기가스의 음향 주파수의 함수로서, 음향 감쇠용 챔버(15) 내부의 액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에 대한 음향 감쇠에 관한 최적의 충전 레벨을 자동적으로 결정하며, 밸브(28, 29)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최적의 충전 레벨을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감쇠될 배기가스의 음향 주파수는 예컨대 모델을 이용하여 제어 디바이스(26)에 의해 산술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측정 디바이스(30)의 도움을 받아, 감쇠될 배기가스의 음향 주파수를 측정하는 것, 그리고 측정된 대응 값을 제어 디바이스(26)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측정 디바이스(30)는 예컨대 마이크로폰 또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10)의 배기가스 챔버(12)에 할당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제어 디바이스(27)는 하우징(11)의 배기가스 챔버(12) 내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배기가스 챔버를 통해 배기가스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며, 상기 배출 제어 디바이스는 예컨대 촉매 변환기 또는 달리 배기가스 스크러버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배출 제어 디바이스(27)가 배기가스 챔버(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가스 스크러버가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10)의 하우징(11)의 배기가스 챔버(12) 내에 통합된다면,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10)의 하우징(11)의 음향 감쇠용 챔버(15)는 음향 감쇠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특히 물로 충전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배기가스 온도는 음향 감쇠용 챔버(15) 내에 수용되는 물의 끓는점보다 상당히 낮으며, 이에 따라 더 높은 배기가스 온도에서 발생하는, 음향 감쇠용 챔버(15)에서의 물의 증발 또는 기화는 덜 중요하다. 배기가스 온도가 높은 경우, 음향 감쇠용 챔버(15)에서의 충전 레벨을 이용하여 원하는 주파수 범위에서 원하는 음향 감쇠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음향 감쇠용 챔버(15)에서는 주입 가능한 고체, 특히 과립형 재료가 사용된다.
음향 감쇠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챔버들, 즉 배가가스 챔버(12) 및/또는 음향 감쇠용 챔버(15) 또는 하우징을 한정하는 하우징의 하우징 벽에는 흡착제가 마련될 수도 있고 이들에는 흡착제가 내부에 및/또는 외부에 피복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10)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는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모듈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단지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만이 이하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감쇠용 챔버(15)는 2개의 서브 챔버(19, 20)를 포함하며, 이들 서브 챔버는 U자형 단면을 갖는 음향 감쇠용 챔버의 형성을 이용하여 하위 영역(21, 22)에서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음향 감쇠용 챔버(15)의 제1 서브 챔버(20)는 유입부(16) 및 유출부(17)와 연통하고, 하우징 벽(18)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31)에 의해 배기가스 챔버(12)와 연결되는데, 상기 하우징 벽은 제1 서브 챔버(20)를 배기가스 챔버(12)로부터 분리시킨다. 하위 섹션(21)에서 제1 서브 챔버(20)와 결합되는 제2 서브 챔버(19)는, 도 2의 상위 단부(23)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액체, 예컨대 물이 음향 감쇠용 챔버(15) 내에 수용되어 있다면, 충전 레벨은 음향 감쇠용 챔버(15)의 양 서브 챔버(19, 20)에 형성된다. 하우징(11)의 배기가스 챔버(12)를 통해 유동하는 배기가스는 음향 감쇠용 챔버(15) 내의 액체를 여기하여 진동시키며, 여기서 제2 서브 챔버(19) 내에 위치하는 액체 컬럼(liquid column)이 대기에 대해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유동 챔버(15)의 제2 서브 챔버(19)는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부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진동하는 액체 컬럼에 의해 진동하는 배기가스 컬럼으로부터 운동 에너지가 나오게 되며, 그 결과로서 음향 배출은 감소하게 된다.
복수 개의 소음기 챔버(15)가 하우징(11)과 결합될 수 있으며, 자유 경로 길이는, 개별적인 챔버(15)에서 유체 또는 과립형 재료보다 높게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주파수가 감쇠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배기가스 챔버(12)를 통한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은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향하게 되며, 도 2에서는, 상기 유동 방향이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음향 감쇠용 챔버(15)를 배기가스 챔버(12)와 연결시키는 리세스(31)는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에서 볼 때 배출 제어 디바이스(27)의 하류에 위치 설정된다. 도 2에 있어서, 이러한 리세스(31)는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에서 볼 때 배출 제어 디바이스(27)의 상류에 위치 설정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는 제2 서브 챔버(19)가 상위 단부(23)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되는데, 도 3에서는 제2 서브 챔버(19) 내의 액체 컬럼이 제2 서브 챔버(19) 내에 둘러싸인 가스 기포에 대항하여 작용하고, 도 4에서는 제2 서브 챔버(19) 내의 액체 컬럼이 스프링 요소(25)에 의해 로딩(loading)되는 플로트(24; float)에 대항하여 작용한다. 그 결과로서, 진동하는 배기가스 컬럼으로부터 훨씬 더 많은 운동 에너지가 나오게 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감쇠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10 :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11 : 하우징
12 : 배기가스 챔버
13 : 입구
14 : 출구
15 : 음향 감쇠용 챔버(sound damping chamber)
16 : 유입부
17 : 유출부
18 : 하우징 벽
19 : 서브 챔버
20 : 서브 챔버
21 : 섹션(section)
22 : 섹션(section)
23 : 단부
24 : 플로트(float)
25 : 스프링 요소
26 : 제어 디바이스
27 : 배출 제어 디바이스
28 : 밸브
29 : 밸브
30 : 측정 디바이스
31 : 리세스(recess)

Claims (14)

  1. 내연 기관을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10)로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에 의해 한정되는 배기가스 챔버(12)로서, 상기 배기가스 챔버를 통해 배기가스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며, 입구(13)를 통해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챔버 내로 유동하고 출구(14)를 통해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챔버로부터 외부로 유동하는 것인 배기가스 챔버;
    하우징(11)에 의해 한정되며 배기가스 챔버(12)와 결합되는 음향 감쇠용 챔버(15)로서, 음향 감쇠용 챔버 내에는 유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pourable solid)가 충전 레벨로 수용되며, 상기 충전 레벨은 감쇠될 배기의 음향 주파수에 따라 좌우되는 것인 음향 감쇠용 챔버
    를 구비하고,
    상기 음향 감쇠용 챔버(15)는 단면에 있어서 U자형이 되도록 구성되며, 음향 감쇠용 챔버의 하위 섹션(21, 22)에서 2개의 결합된 서브 챔버(19, 20; sub-chambe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쇠용 챔버(15)에서의 충전 레벨은 음향 감쇠용 챔버(15)의 유입부(16) 및 음향 감쇠용 챔버(15)의 유출부(17)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7)가 음향 감쇠용 챔버(15)에 대한 충전 레벨을 자동적으로 결정하며, 유입부(16), 유출부(17), 또는 양자 모두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충전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충전 레벨은, 감쇠될 주파수의 함수로서, 감쇠될 주파수에 적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챔버(12) 및 음향 감쇠용 챔버(15)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챔버(12) 및 음향 감쇠용 챔버(15)는 공통의 하우징 벽(18)에 의해 또는 하우징 벽 섹션에 의해 분리되며, 배기가스 챔버 및 음향 감쇠용 챔버는 하우징 벽(18) 또는 하우징 벽 섹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8; recess)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서브 챔버(20)는 음향 감쇠용 챔버(15)의 유입부(16) 및 유출부(17)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쇠용 챔버(15)의 상기 제1 서브 챔버(20)는 배기가스 챔버(1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챔버(20)와 결합되는 제2 서브 챔버(19)가 상부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챔버(20)와 결합되는 제2 서브 챔버(19)가 상부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챔버(19)에서의 충전 레벨은 스프링 요소(25)에 의해 로딩(loading)되는 플로트(24; float)에 대항하여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 제어 디바이스(27)가 배기가스 챔버(12) 내에 배치되며, 이 배기가스 챔버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소음기 챔버(15)가 하우징(11)과 결합되며, 자유 경로 길이는 개별적인 챔버(15) 에서 유체 또는 과립형 재료 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배기가스 후처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챔버(12)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동하며, 배기가스 챔버(12)와 결합되는 음향 감쇠용 챔버(15)는, 음향 감쇠용 챔버(15)에서의 충전 레벨이 감쇠될 배기의 음향 주파수에 따라 좌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체 또는 주입 가능한 고체(pourable solid)로 충전되는 것인 배기가스 후처리를 위한 방법.
KR1020177013182A 2014-11-06 2015-10-21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및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KR102004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6448.9 2014-11-06
DE102014016448.9A DE102014016448A1 (de) 2014-11-06 2014-11-06 Abgasnachbehand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gasnachbehandlung
PCT/EP2015/074365 WO2016071112A1 (de) 2014-11-06 2015-10-21 Abgasnachbehand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gasnachbehand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892A KR20170067892A (ko) 2017-06-16
KR102004626B1 true KR102004626B1 (ko) 2019-07-26

Family

ID=5433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182A KR102004626B1 (ko) 2014-11-06 2015-10-21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및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50911B2 (ko)
EP (1) EP3215724B1 (ko)
JP (1) JP6594969B2 (ko)
KR (1) KR102004626B1 (ko)
CN (1) CN107075994B (ko)
DE (1) DE102014016448A1 (ko)
DK (1) DK3215724T3 (ko)
WO (1) WO2016071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1693B2 (en) * 2018-01-18 2021-03-09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Vehicle frame with acoustic volume for an exhaust system
US20190292955A1 (en) * 2018-03-20 2019-09-26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Method of providing a leak free acoustic volume for a vehicle frame member
CN111434901A (zh) * 2019-01-14 2020-07-21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消声器组合试验方法
US11698008B2 (en) * 2020-02-14 2023-07-1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device
CN112611106A (zh) * 2020-12-31 2021-04-06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降噪装置、空调器及其降噪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982A (ja) * 2000-05-26 2002-05-09 Alstom Power Nv 燃焼器内の音響振動を減衰するための装置
WO2009151135A1 (ja) * 2008-06-13 2009-12-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車両、船舶、およびエンジンの排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7046A (en) * 1939-08-25 1942-09-29 Maxim Silencer Co Means for preventing shock excitation of acoustic conduits or chambers
GB537040A (en) * 1939-11-30 1941-06-06 Ove Peters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wo stroke 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5531293B2 (ko) * 1974-08-19 1980-08-16
JPS61129414A (ja) 1984-11-27 1986-06-1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適応型消音装置
JPS6424109A (en) 1987-07-20 1989-01-26 Sanshin Kogyo Kk Exhaust muffler structure of marine vessel propeller
US5014816A (en) * 1989-11-09 1991-05-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ilencer for gas induction and exhaust systems
US5426269A (en) * 1992-06-02 1995-06-20 Donaldson Company, Inc. Muffler with catalytic converter arrangement; and method
US5732740A (en) * 1995-05-16 1998-03-31 Otis Elevator Company Smart accumulator to attenuate pulses in a hydraulic elevator
GB9522724D0 (en) * 1995-11-06 1996-01-10 Acts Ltd A noise attenuator for an induction system or an exhaust system
DE19611133A1 (de) 1996-03-21 1997-09-25 Eberspaecher J Schalldämpfer-Anordnung
DE19619173C1 (de) 1996-05-11 1997-07-24 Gillet Heinrich Gmbh Schalldämpfer mit variabler Dämpfungscharakteristik
US7655001B2 (en) * 2001-03-23 2010-02-02 Petrakis Dennis N Temperature responsive systems
JP3992948B2 (ja) * 2001-07-02 2007-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ジェット推進艇の排気構造
US6808433B1 (en) * 2003-02-26 2004-10-26 Polaris Industries Inc. Exhaust system located on one side of the hull of a personal watercraft
US20050194207A1 (en) * 2004-03-04 2005-09-08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sound attenuation in a system employing a VSD and a quarter-wave resonator
DE102008020721A1 (de) * 2008-04-23 2009-10-29 J. Eberspächer GmbH & Co. KG Schalldämpferbaugruppe für eine Abgasleitung
GB201108917D0 (en) * 2011-05-27 2011-07-13 Rolls Royce Plc A Hydraulic damping apparatus
DE102012217931A1 (de) * 2012-10-01 2014-04-03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Unterseebo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982A (ja) * 2000-05-26 2002-05-09 Alstom Power Nv 燃焼器内の音響振動を減衰するための装置
WO2009151135A1 (ja) * 2008-06-13 2009-12-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車両、船舶、およびエンジンの排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5724B1 (de) 2018-12-12
JP2017531758A (ja) 2017-10-26
DK3215724T3 (da) 2019-03-18
WO2016071112A1 (de) 2016-05-12
US20170314434A1 (en) 2017-11-02
CN107075994B (zh) 2020-02-28
JP6594969B2 (ja) 2019-10-23
US10450911B2 (en) 2019-10-22
DE102014016448A1 (de) 2016-05-12
EP3215724A1 (de) 2017-09-13
KR20170067892A (ko) 2017-06-16
CN107075994A (zh)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626B1 (ko) 배기가스 후처리 디바이스 및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US10196947B2 (en) Muffler
CN104995378A (zh) 具有共振阻尼的车辆排气系统
JP2015048845A (ja) 凝縮物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を有する排気系
US8215450B2 (en) Exhaust muffler device
CN111133176A (zh) 排气系统热端的声容积
RU138053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двс
CN107524495B (zh) 用于发动机的排气系统
JP6169035B2 (ja)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JP2006200511A (ja) 排ガス浄化装置
US20080041043A1 (en) Exhaust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sound using the exhaust treatment devices
JP6491224B2 (ja) 排ガス後処理装置
KR101647750B1 (ko) 디젤엔진 배기소음 감쇠를 위한 능동형 소음기
JP2007270687A (ja) トルクアップレゾネータ
CN113474202A (zh) 用于控制计量阀的方法、贮箱排气系统和机动车
US11808187B2 (en) Noise attenuation components
KR101272262B1 (ko) 밸브 장치
RU177232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а ДВС горно-шахт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RU2575501C1 (ru) Двухконтурный акуст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лушитель шума
RU54096U1 (ru) Компенс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выхлопа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RU81531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пуск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136094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Talegaonkar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tunable exhaust muffler for race car
RU2064071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0872644B1 (ko) 연료 맥동 저감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