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599B1 - 압축기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해 사용되는 쿨러 - Google Patents

압축기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해 사용되는 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599B1
KR102004599B1 KR1020167034858A KR20167034858A KR102004599B1 KR 102004599 B1 KR102004599 B1 KR 102004599B1 KR 1020167034858 A KR1020167034858 A KR 1020167034858A KR 20167034858 A KR20167034858 A KR 20167034858A KR 102004599 B1 KR102004599 B1 KR 10200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er
coolant
stages
cooling circui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835A (ko
Inventor
케어펠 스테판 폴 엠 데
Original Assignee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filed Critical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Publication of KR2017001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18/1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 F04C18/1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with helical teeth, e.g. chevron-shaped, scre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826Cooling at least part of the working fluid in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826Cooling at least part of the working fluid in a heat exchanger
    • F04D29/5833Cooling at least part of the working fluid in a heat exchanger flow schemes and regulation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28D7/160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change of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압축기 요소(2) 및 적어도 2개의 쿨러(12)를 갖고, 이들 쿨러 중에는 하나 이상의 개별 냉각 회로(20) 내에서 함께 접속되어 있는 고온 스테이지(16') 및 저온 스테이지(16") 각각인 개별의 연속적인 스테이지(16', 16")로 분할되는 적어도 2개의 분할 쿨러가 존재하여, 압축 가스가 각각의 쿨러(12)의 출구(15)에서 냉각된 가스의 온도를 최대 허용 가능한 값 미만으로 유지하고 이에 의해 전술된 냉각 회로(20) 중 적어도 하나 내의 냉각제의 원하는 온도 증가를 실현하기 위해 최소 냉각제 유량을 갖고 압축기 요소(2) 사이에서 충분히 냉각되게 된다.

Description

압축기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해 사용되는 쿨러{COMPRESSOR DEVICE AND COOLER THEREBY USED}
본 발명은 압축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 압축기 디바이스는 직렬로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압축기 요소 및 압축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쿨러, 즉 2개의 연속적인 압축기 요소의 각각 사이의 인터쿨러, 및 구성에 따라 필요하다면, 마지막 압축기 요소로부터 하류측에 있는 애프터쿨러를 포함하고, 각각의 쿨러는 냉각될 압축 가스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1차 섹션 및 1차 섹션과 열교환식으로 접촉하고 있고 냉각제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2차 섹션을 구비한다.
압축기 요소 내에서 압축되는 가스는 상당한 온도 증가를 경험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다수의 스테이지를 갖는 압축기 디바이스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압축 가스는 압축기 요소로부터 후속의 압축기 요소로 공급된다.
다단 압축기의 압축 효율은 이 다단 압축기의 각각의 압축기 요소의 입구에서 온도에 고도로 의존하고, 압축기 요소의 입구 온도가 낮을수록, 압축기의 압축 효율이 더 양호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것이 최대 냉각을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최고 가능한 압축 효율을 얻기 위해 2개의 연속적인 압축기 요소 사이에 인터쿨러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 이유이다.
그렇지 않으면 너무 고온에 기인하여 네트워크 내의 소비자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가 소비자 네트워크에 공급되기 전에 최종 압축기 요소 이후에 압축 가스를 냉각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다수의 스테이지를 갖는 공지의 압축기 디바이스에서, 냉각, 및 더 구체적으로 쿨러는 일반적으로 최대 압축 효율을 위해 최대 냉각을 위해 조화되고, 여기서 가용 냉각제, 일반적으로 물은 저온 소스로부터 병렬의 쿨러를 통해 구동되어 각각의 쿨러가 최대 냉각을 위해 동일한 저온에서 냉각제를 수용하게 된다.
쿨러의 이러한 병렬 공급은 최적의 압축 효율을 위해 고도로 적합하지만, 각각의 쿨러로의 냉각제의 충분한 공급을 위한 비교적 높은 냉각제 유동을 필요로 하는 데, 이는 이러한 병렬 공급이 요구된 냉각 회로 및 쿨러의 요구된 펌핑 파워 및 크기에 관련하여 최적화되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다른 단점은, 쿨러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제의 유량이 최대 냉각을 유도하기 위해 비교적 높게 유지되어야 하여, 압축기 디바이스를 떠날 때 냉각제의 온도가 비교적 낮게 되고 그 결과 예를 들어 고온수 등의 제공의 형태로 그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해 열악하게 적합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냉각제의 높은 유량은 또한 냉각 설비의 높은 자본 비용, 높은 작동 비용 및 높은 유지보수 비용을 야기한다. 실제로, 가열된 냉각제는 예를 들어 그 치수설정이 냉각제의 유량에 고도로 의존하는 공기-물 열교환기 내에서의 그 순환시에 냉각되어야 하고, 첨가제가 또한 물때(limescale)를 방지하고, 부식에 저항하고,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냉각수에 첨가된다.
더 양호한 열 회수의 목적으로, 쿨러를 통해 병렬로 구동되는 유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출력부에서 냉각제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선택될 수 있지만, 이는 냉각 및 따라서 압축 효율을 희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례에 따라, 압축 효율에 적은 강조를 부여하고 오히려 높은 압축 효율, 양호한 열 회수의 가능성, 및 냉각 설비의 비용의 최소화의 최적의 조합을 발견하는 관점으로부터, 또는 전술된 3개의 목적 중 2개의 최적의 조합의 관점으로부터 냉각을 고려함으로써 전술된 및 다른 단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 압축기 디바이스는 직렬로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압축기 요소 및 압축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쿨러, 즉 2개의 연속적인 압축기 요소의 각각 사이의 인터쿨러, 및 구성에 따라 필요하다면, 마지막 압축기 요소로부터 하류측에 있는 애프터쿨러를 포함하고, 각각의 쿨러는 냉각될 압축 가스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1차 섹션 및 1차 섹션과 열교환식으로 접촉하고 있고 냉각제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2차 섹션을 구비하고, 전술된 쿨러의 적어도 2개는, 그 2차 섹션이 1차 섹션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를 연속적인 단으로 냉각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개별 스테이지, 즉 적어도 쿨러의 1차 섹션 내로 유동하는 고온 가스의 제1 냉각을 위한 고온 스테이지 및 가스의 추가의 냉각을 위한 저온 스테이지 각각으로 분할되는 '분할 쿨러'이고, 쿨러의 2차 섹션의 스테이지는 하나 이상의 개별 냉각 회로 내에서 함께 접속되어 압축기 요소 사이의 압축 가스가 냉각 회로를 통과하는 최소 냉각제 유량으로 충분히 냉각되게 되어, 각각의 쿨러의 출구에서 냉각된 가스의 온도를 최대 허용 가능한 값 미만으로 유지하고 이에 의해 전술된 냉각 회로의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제의 원하는 온도 증가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 의해, 쿨러 내의 냉각은 실제로 2개의 스테이지로 분할되고, 여기서 냉각제 또는 냉각제들이 스테이지를 통해 구동되는 순서의 적합한 선택을 통해, 최선의 압축 효율이 반드시 목표가 되지 않고, 후속의 압축기 요소 내에 임의의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기 위해 각각의 쿨러가 충분한 냉각을 제공하는 것을 보장하는 최소 냉각 효율이 요구되는데, 이는 또한 더 양호한 에너지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더 높은 온도가 냉각제 내에서 실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고온 스테이지는 이에 의해 특히 냉각제의 온도의 큰 증가를 보장하고, 반면에 저온 스테이지는 주로 냉각될 가스의 최저 가능한 출구 온도를 보장한다.
이 방식으로, 원하는 온도 증가가 적어도 30℃ 정도, 또는 더 큰 열 회수가 요구되면, 적어도 40℃ 또는 심지어 이 온도를 초과하는 정도, 예를 들어 50℃ 정도에 대해 목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우에, 특정 구성의 압축기 요소 및 쿨러를 갖는 압축기 디바이스의 디자인에서, 쿨러의 2차 섹션의 저온 스테이지의 적어도 2개 이상은 냉각제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냉각 회로 내에서 직렬로 함께 접속된다.
적어도 2개의 저온 스테이지의 직렬 접속에 기인하여, 충분한 냉각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제한된 냉각제 유량을 갖고 연속적인 쿨러 내에서 실현될 수 있다.
요구된 냉각제 유량은 예를 들어 압축기 요소의 입구에서 압축 가스의 최고 가능한 온도로 조정될 수 있어, 압축기 요소의 양호한 작동을 위한 최대 허용 가능한 온도, 예를 들어 터보압축기의 작동이 '서지' 현상의 발생에 기인하여 불안정하게 되는 온도 또는 스크류의 코팅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류 압축기의 최대 출구 온도를 고려한다.
여기서, 냉각제는 바람직하게는 의도적으로 고려된 쿨러의 출구에서 압축 가스의 온도가 그 직후의 압축기 스테이지의 입구에서 최대 허용 가능한 온도에 가장 근접한 이 쿨러의 저온 스테이지를 통해 먼저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설계 페이즈에서, 쿨러의 2차 섹션의 고온 스테이지의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는 냉각제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냉각 회로 내에서 직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고, 여기서 특히 냉각제는 의도적으로 최고 출구 온도를 갖는 압축기 스테이지 직후의 쿨러의 고온 스테이지를 통해 마지막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쿨러의 2차 섹션의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모든 저온 스테이지 및 쿨러의 2차 섹션의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모든 고온 스테이지는 냉각제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냉각 회로 내에서 직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고, 여기서 냉각제는 먼저 저온 스테이지를 통해 그리고 이어서 이 냉각 회로 내의 고온 스테이지를 통해 안내된다.
압축기 디바이스의 의도된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의 개별 냉각 회로에 대해 쿨러의 스테이지를 함께 접속하도록 선택될 수 있고, 여기서 하나의 냉각 회로는 최대 열 회수를 위해 냉각제의 최고 가능한 출구 온도를 얻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반면에 다른 냉각 회로가 인터쿨러 내에서 냉각될 가스의 충분히 낮은 출구 온도를 주로 보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에 사용을 위한 쿨러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이 쿨러는 분할 또는 비분할 쿨러로서 구성 가능한 이러한 방식으로 모듈형 조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 쿨러는 그를 통해 냉각제를 안내하기 위한 튜브를 갖는 튜브 번들을 구비한 튜브 쿨러이고, 여기서 이 튜브 번들은 튜브가 그를 통해 돌출하는 단부판에 의해 튜브의 단부에서 튜브 번들을 차단하는 셸을 갖는 하우징 내에 부착되고, 여기서 이 하우징은 튜브 위에 그리고 주위에 냉각될 가스를 안내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여기서 튜브 번들은 이들 튜브를 통해 냉각제를 채널링하기 위한 튜브의 하나 이상의 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격실로 분할하는 격벽을 갖고 커버에 의해 그 단부에서 커버되어 있고, 여기서 이들 격벽은 격벽과 전술된 단부판 사이에 밀봉부를 구비하여 상호 격실 내의 유동을 분리하고, 여기서 적어도 2개의 분리 격벽은, 제거 가능하고, 그 존재시에 튜브 번들을 냉각제를 위한 2개의 개별 채널로 분할하여 분할 쿨러를 형성하고, 그 결여시에 이들 2개의 채널 사이에 상호접속부를 형성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채널을 형성하여 단일의 비분할 쿨러를 형성하는 밀봉부를 구비한다.
이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쿨러는 밀봉부를 간단히 끼워맞추거나 제거함으로써 종래의 단일의 쿨러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이중 쿨러로 변환될 수 있다.
실용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격벽은 이들이 실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제공하는 직선형 격벽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동일한 커버가 사용되고, 여기서 각각의 커버는 전술된 분리 격벽의 동일한 측에 모두 위치된 입력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고, 또는 전술된 분리 격벽의 어느 일 측에 위치된 냉각제를 위한 2개의 입력부 또는 2개의 출력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2개의 냉각제를 위한 분할 쿨러로서의 구성 및 단지 하나의 냉각제를 위한 비분할 쿨러의 구성의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단지 하나의 유형의 커버만이 요구되고, 여기서 이 경우에 하나의 입력부 및 하나의 출력부가 플러깅된다.
본 발명의 특징을 더 양호하게 나타내는 의도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및 그와 함께 적용 가능한 쿨러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어떠한 한정의 성질 없이, 예로서 이하에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쿨러의 2개의 변형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도 1의 것과 같은, 그러나 도 2의 것들과 같은 쿨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도 4에 사용된 바와 같은 압축기 요소의 전형적인 특징 곡선을 도시하고 있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의 상이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도 2의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쿨러의 실용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도 10의 라인 XI-XI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도 10에 F12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커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 F13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4는 도 10의 쿨러의 변형예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15는 도 10 및 도 14에 따른 3개의 쿨러가 함께 접속되어 있는 쿨러 블록의 실용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파이프(3)에 의해 입구(4)와 출구(5) 사이에 직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는 3개의 압축기 요소, 각각 2a, 2b 및 2c를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의 압축기 디바이스(1)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압축기 요소(2)로부터 하류측에는, 압축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쿨러(6), 각각 압축기 요소(2a, 2b) 사이의 인터쿨러(6a), 압축기 요소(2b, 2c) 사이의 인터쿨러(6b), 및 최종 압축기 요소(2c) 후의 애프터쿨러(6c)가 존재한다.
인터쿨러(6a, 6b)는 이에 의해 후속의 압축기 요소(2)에 의해 흡인되기 전에 이전의 압축기 요소(2)로부터 압축 가스의 온도의 최대값으로 냉각되도록 의도되는 데, 이는 압축기 내의 압축의 효율이 최적이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애프터쿨러(6c)는 출구(5)를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1)를 떠나기 전에 압축 가스의 냉각을 보장하는 데, 이는 접속된 소비자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쿨러(6)는, 화살표(A)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각될 압축 가스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1차 섹션(7)과, 화살표(B)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차 섹션(7)과 열교환식으로 접촉하고 냉각제가 그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안내되는 2차 섹션(8)을 구비한다.
압축기 디바이스(1)는 입구(10) 및 출구(11)를 갖는 단일의 냉각 회로(9)를 구비한다.
도 1의 종래의 압축기 디바이스에서, 냉각제는 쿨러(6)의 2차 섹션(8)을 통해 병렬로 냉각 회로(9)를 통해 안내되고, 여기서 냉각제 공급물이 따라서 3개의 쿨러(6)에 걸쳐 분배되고, 여기서 각각의 쿨러(6)는 따라서 동일한 입력 온도를 갖는 냉각제를 수용한다.
냉각 회로(9)는 각각의 인터쿨러(6a, 6b) 내의 최대 냉각을 갖는 최대 압축 효율을 실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종래의 압축기 디바이스에서, 통상적으로 오일 쿨러 또는 모터의 냉각 회로로의 접속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열교환 구성요소가 냉각 회로에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냉각 회로의 총 열교환 용량의 이들의 몫은 비교적 작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단점은, 최대 냉각이 또한 냉각제의 높은 가용 유량 및 따라서 냉각 회로(9)의 연계된 높은 자본 비용, 작동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다른 특징은 출구(11)에서의 냉각제의 온도가 비교적 낮고, 따라서 다른 용례를 위해 또는 그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해 사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회로는 전술된 병렬 접속과는 상이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할 쿨러'(12)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도 2에 따른 분할 쿨러(12)는, 압축 가스를 위한 입구(14) 및 출구(15)를 갖는, 종래의 쿨러(6)와 같은 1차 섹션(13), 및 이 경우에 종래의 쿨러(6)에 대조적으로, 화살표(C, C")의 방향에서, 압축 가스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그를 통해 냉각제를 구동하기 위한 개별 입력부(17) 및 출력부(18)를 각각 갖는 2개의 개별 스테이지(16', 16")로 분할되는 2차 섹션(16)을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냉각제에 의한 압축 가스의 냉각은 2개의 연속적인 스테이지(16', 16"), 즉 입력부(14)를 거쳐 1차 섹션(13) 내로 유동하는 고온 가스의 제1 냉각을 위한 '고온 스테이지'(16'), 및 이 더 냉각된 가스가 출력부(15)를 거쳐 1차 섹션(13)을 떠나기 전에 가스를 더 냉각하기 위한 '저온 스테이지'(16")로 분할된다.
분할 쿨러(12)의 대안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데, 여기서 이 경우에 쿨러(12)는 2개의 서브쿨러(12', 12")로 분할되고, 여기서 이 경우에 1차 섹션(13)은 또한 실제로는 하나의 연속적인 1차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직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스테이지(13', 13")로 분할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19)는 도 2의 것들과 같은 분할 쿨러(12)에 의해 대체되는 단일의 쿨러(16)에 의해 도 1의 종래의 디바이스(1)와는 상이하고, 여기서 2차 섹션(16', 16")은 냉각제를 위한 입력부(21) 및 출력부(22)를 갖는 하나의 단일의 냉각 회로(20) 내로 합체된다.
냉각 회로(20)는 냉각제가 압축기 디바이스(19)의 구성 및 의도된 목적의 함수인 특정 순서로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모든 스테이지(16', 16")를 통해 연속적으로 직렬로 안내되도록 설계된다.
도 4의 경우에, 냉각제는 가스의 유동에 관하여 동일한 순서로 쿨러(12)의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먼저 안내되는 데, 여기서 달리 말하면 냉각제는 인터쿨러(12a)를 통해 먼저 그리고 이어서 순서대로 제2 인터쿨러(12b) 및 애프터쿨러(12c)를 통해 구동된다.
다음에, 냉각제는 고온 스테이지(16')를 통해, 이 때에는 가스가 쿨러(12)를 통해 유동하는 순서의 역순으로, 따라서 먼저 애프터쿨러(12c)를 통해, 이어서 제2 인터쿨러(12b)를 통해, 그리고 이어서 제1 인터쿨러(12a)를 통해 연속적으로 안내된다.
이 방식으로, 압축기 디바이스(19)의 효율을 최적화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 없이, 이 최대 온도가 초과되면 예를 들어 압축기 디바이스(19)의 하류측 섹션에 대해 가능한 손상 결과의 발생 및 최소 제어 마진을 고려하는 부과된 최대값 미만으로 각각의 쿨러(12)의 출력부(15)에서 냉각된 가스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모든 쿨러(12)가 충분히 냉각되는 것이 보장된다.
달리 말하면, 이들 압축기 요소(2b, 2c)의 최적 효율을 위해 요구될 것인 것보다 더 높은 압축기 요소(2b, 2c)에 의해 흡인되는 가스의 온도가 허용된다.
이는 도 1의 것과 같은 종래의 압축기 디바이스(1)의 경우에서보다 더 낮은 냉각제 유량이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냉각 회로(20)의 비용 및 복잡성 면에서 유리하다.
더욱이, 이 방식으로, 냉각제의 더 높은 온도 증가가 또한 냉각 회로(20)의 입력부(21)와 출력부(22) 사이에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열이 종래의 압축기 디바이스(1)의 경우에서보다 더 효율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의도적으로, 냉각 회로는 예를 들어, 예로서 고온 냉각수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30℃ 정도, 더 양호하게는 또한 적어도 40℃ 정도, 또는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50℃ 초과의 크기인 냉각제의 원하는 온도 증가가 얻어지도록 치수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제는 의도적으로 최저 입구 온도를 필요로 하는 압축기 요소(2)의 직전의 쿨러(12)의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먼저 안내된다. 도 4의 예에서, 이는 제2 압축기 요소(2b) 및 바로 이전의 인터쿨러(12a)이다.
냉각제가 쿨러(12)를 통해 구동되는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이 기준은 또한 2개의 스테이지의 모든 조합에 적용된다. 이는 도 4의 경우에, 냉각제가 이어서 제2 최저 요구 입구 온도 등을 갖는 압축기 요소(2c)의 직전의 쿨러(12b)의 스테이지(16")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의미한다.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진행한 후에,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냉각제는 의도적으로 최고 출구 온도를 갖는 압축기 요소(2)의 직후의 쿨러(12)의 고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마지막으로 안내된다. 도 4의 예의 경우에, 이는 쿨러(12a) 및 압축기 요소(2a)이다.
이 선택의 결과로서, 냉각 회로(20)의 출력부(22)에서 최고 온도가 얻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19)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여기서 이 경우에 의도적으로 압축기 요소(2c)는 최저 입구 온도를 필요로 하고, 여기서 의도적으로 제2 압축기 요소(2b)는 제1 압축기 요소(2a)보다 더 높은 출구 온도를 가져, 따라서 도 4의 역 상황을 갖는다.
냉각제가 직렬로 스테이지(16', 16")를 통해 안내되는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도 4에 대한 것과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여, 도 5의 경우에 선택된 순서는 쿨러(12a, 12b)와 관련하여 역전된다.
다른 직렬 접속이 따라서 디자인 단계에서 개별 압축기 요소(2)의 원하는 입구 온도 및 상이한 출구 온도에 따라 가능하다. 2개의 쿨러(12)를 통한 냉각수 유동의 순서는 원하는 입구 온도 및/또는 출구 온도가 동등하면 자유롭게 선택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스테이지(16', 16")가 직렬로 함께 접속되는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기준은, 특정 압축기 요소(2)가 펌핑할 것인 위험성에 기초하는데, 이는 입구에서 가스의 특정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터보압축기에서 명시될 수 있고, 여기서 가스 유동은 심각한 진동 및 손상의 위험 및 압축기 요소(2) 내의 증가된 온도와 결합하여, 발진하거나 심지어 역류할 수 있다.
그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터보압축기의 특징 곡선에서, 이 현상은 소정의 입구 압력 및 압축기 요소(2)를 가로지르는 압력비에 대한 압축기 요소를 통한 유량의 함수로서 최대 허용 가능한 입구 온도(tmax)를 결정하는 '서지 라인'(23)으로서 표현된다.
특정 유량(QA)에 대응하는 특정 가스 유량에서, 의도적으로 특정 작동점(A)은 바로 상류측에 위치된 쿨러(12)의 출구에서 온도(tA)에서 얻어질 것이다.
작동점(A)과 서지 라인(23)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유해한 펌핑 효과의 발생의 위험이 더 크다.
이 경우에, 기준은, 의도적으로 고려된 쿨러(12)의 출구(15)에서 압축 가스의 온도는 그 직후의 압축기 스테이지(2)의 입구에서 최대 허용 가능한 서지 온도에 가장 근접한 이 쿨러(12)의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또는 달리 말하면 최고 서지의 위험을 갖는 압축기 요소(2) 이전의 쿨러(12)의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냉각제를 먼저 안내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직렬 접속이 2개의 압축기 요소(2) 사이의 충분한 냉각을 위해 부적절한 것으로 판명되면, 또는 후냉각 후에 또는 냉각수 측을 따른 압력 강하가 너무 크면, 필요하다면, 직렬로 나머지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진행하기 전에 냉각제가 하나의 단일의 냉각 회로(20) 내에 적어도 2개의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평행하게 먼저 구동되는 도 7의 예에서 해당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저온 스테이지(16")와 2개 이상의 고온 스테이지(16')를 서로 평행하게 접속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압력 강하의 이유로, 적어도 2개의 고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병렬로 그리고 나머지 고온 스테이지(16')를 통해 직렬로 냉각수를 구동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냉각 회로의 비용의 최소화가 덜 중요하게 되기 때문에, 동일한 냉각제 등을 갖고,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개별 냉각 회로(20', 20")를 선택하도록 의도적으로 또한 선택될 수 있고, 여기서 냉각 회로(20") 내의 적어도 2개의 저온 스테이지(16")는 직렬로 또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병렬로 접속되고 냉각 회로(20') 내의 적어도 2개의 고온 스테이지(16')는 직렬로 또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병렬로 함께 접속되고, 여기서 직렬 접속의 순서는 도 4의 경우에서와 같이 동일한 기준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도 역시, 저온 스테이지(16")의 적어도 2개를 통해 병렬로 그리고 나머지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냉각수를 구동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는 고온 스테이지(16')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이 방식으로, 냉각 회로(20")는 압축기의 최선의 가능한 압축 효율 및 최고의 가능한 작동 범위를 얻기 위한 충분한 냉각과 관련하여 최적화될 수 있고, 냉각 회로(20')는 예를 들어 최대 열 회수를 위해, 냉각제의 최고 가능한 온도 상승을 얻도록 조정될 수 있다.
애프터쿨러(12c)가 압축기 디바이스(19)의 효율에 일반적으로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대안적으로 직렬의 또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병렬인 압축 스테이지(2)로부터 상류측의 인터쿨러의 저온 스테이지(16")가 제1 냉각제를 구비하고, 애프터쿨러의 나머지 스테이지(16', 16") 및 인터쿨러의 고온 스테이지(16')는 직렬로 또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병렬로 함께 접속되어 냉각 회로(20")의 냉각수가 최고 출구 온도를 갖는 압축 스테이지로부터 하류측에 위치된 이 쿨러의 고온 스테이지를 통해 마지막으로 유동하게 되는 개별 냉각 회로(20")가 선택될 수 있다(도 9 참조).
도 9의 예에서, 애프터쿨러(12c)는 또한 도 4, 도 5 및 도 7의 애프터쿨러(12c)에 대해 해당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단일의 쿨러(6)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10은 분할 쿨러(12)로서 또는 비분할 단일의 쿨러(6)로서 대안적으로 구성 가능한 이러한 방식으로 모듈형 조성을 갖는 쿨러(24)의 실용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쿨러(24)는 쿨러(24)의 2차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그를 통해 냉각제를 안내하기 위한 일련의 튜브(26)를 갖는 튜브 번들(25)을 갖는 튜브 쿨러로서 구성되고, 여기서 튜브 번들(25)은 튜브(26)가 그를 통해 이들의 단부에 의해 돌출하는 단부판(28)에 의해 튜브(26)의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는 셸(27)을 갖는 하우징 내에 부착된다.
셸(27)은 냉각될 가스를 위한 입력부(14) 및 출력부(15)를 구비하고, 여기서 하우징은 쿨러(24)의 1차 섹션(13)을 형성하기 위해 튜브(26) 위로 그리고 주위로 가스를 안내하는 채널을 형성한다.
튜브(26)는 도 11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로부터 거리(L)에 위치되어 있는 2개의 일련의 서브번들(25', 25")로 그룹화된다.
튜브 번들(25)은 커버(29, 30 각각)에 의해 그 단부에서 커버되고, 여기서 이 경우에 이들 커버는 동일하고, 이들 튜브(26)를 통해 냉각제를 채널링하기 위해 튜브(26)의 하나 이상의 단부를 커버하는 격실(32)로 커버(29, 30)를 분할하는 격벽(31)을 구비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이들 격벽(31)은, 상호 격실(32) 내의 유동을 분리하기 위해 고려된 격벽(31)과 전술된 단부판(28) 사이에 밀봉부(34)가 부착될 수 있는 시트(33)를 구비하는 직선형 병렬 격벽이다.
밀봉부(34)가 모든 격벽(31) 내에 제공되어 있는 도 10의 구성에서, 격벽(31) 중 2개는 각각의 커버(29, 30) 내에 분리 격벽(31')을 형성하고, 여기서 각각의 커버(29, 30) 내의 이 분리 격벽(31')은 서브번들(25', 25") 사이의 분리부를 형성하고, 여기서 이 경우에 밀봉부(34)는 서브번들(25', 25) 사이에서 단부판(28)의 중앙 섹션(35)과 이러한 분리 격벽(31') 사이에 부착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커버(29, 30)는 냉각제를 위한 입력부(17', 17" 각각) 및 출력부(18', 18" 각각)를 구비하고, 여기서 각각의 커버의 이 입력부 및 출력부는 모두 전술된 분리 격벽(31')의 동일한 측에 위치된다.
도 10의 구성에서, 커버(29, 30)는, 하나의 커버(29)의 입력부(17') 및 출력부(18')가 화살표(C)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서브번들(25') 중 하나를 통해 냉각제를 채널링하기 위해 하나의 서브번들(25')에 대향하여 제공되고, 반면에 다른 커버(30)의 입력부(17") 및 출력부(18")는 화살표(C")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다른 서브번들(25")을 통해 동일한 또는 상이한 냉각제를 채널링하기 위해 다른 서브번들(25")에 대향하여 제공되도록 부착된다.
양 채널은 분리 격벽(31')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도 10의 구성에서, 쿨러(24)가 실제로 냉각될 가스를 위한 입력부(14) 및 출력부(15)를 갖는 하나의 1차 섹션, 및 2개의 스테이지에서 1차 섹션 내의 가스를 냉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냉각제를 위한, 입력부(17', 17" 각각) 및 출력부(18', 18" 각각)를 갖는 2개의 개별 채널을 갖는 2차 섹션을 갖는 분할 쿨러(12)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서브번들(25')은 압축기 요소(2)로부터 공급된 고온 가스와 접촉하고 있는 고온 스테이지(16')를 형성하고, 반면에 하부 서브번들(25")은 고온 스테이지(16') 내에서 미리 부분적으로 냉각되어 있는 더 저온 가스와 접촉하고 있는 저온 스테이지(16")를 형성한다.
도 14는 도 11의 것과 동일하지만, 단일의 비분할 쿨러의 구성의 쿨러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분리 격벽(31') 내의 밀봉부(34)는 생략되고, 입력부(17') 및 출력부(18")는 플러그(36) 또는 유사한 것으로 폐쇄되어, 단지 하나의 입력부(17") 및 하나의 출력부(18')만이 화살표(C)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 서브번들(25', 25")을 통해 하나의 단일의 냉각제를 채널링하도록 남아 있게 된다.
분리 격벽(31')의 위치에서, 이들 격벽(31') 내의 밀봉부(34)의 결여에 기인하여, 하부 서브번들(25") 내의 냉각제의 채널과 상부 서브번들(25') 내의 냉각제의 채널 사이의 내부 접속이 존재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채널이 외부 상호접속부 없이 입력부(17")와 출력부(18') 사이에 실제로 형성되게 된다는 것이 여기서 명백하다.
대안적으로, 도 10의 분할 구성에서 시작하여, 분리 격벽(31')의 위치에서 적소에 밀봉부(34)를 남겨두고 도 10의 쿨러(24)를 비분할 쿨러로 변환하기 위해 입력부(17')에 외부에서 비출력부(18")를 접속하는 것이 물론 가능할 것이다.
부수적으로, 2개의 동일한 커버(29, 30)를 절대적으로 반드시 사용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하나의 커버(29)는 예를 들어 모든 필요한 입력부 및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고, 반면에 다른 커버(30)는 완전히 폐쇄된다.
다른 가능성은, 커버(29 또는 30) 중 하나가 2개의 입력부를 구비하고, 다른 커버는 예를 들어 6개의 열의 튜브를 갖는 쿨러를 갖는 2개의 출력부를 구비한다.
개별 밀봉부(34) 없이 작업하고 격벽(31, 31')을 단부판(28)에 밀접하게 끼워맞추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분리 격벽(31')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가공 제거함으로써, 단일의 비분할 쿨러의 구성이 재차 얻어진다.
도 15는 예를 들어, 2개의 인터쿨러(12a, 12b) 및 하나의 애프터쿨러(6c)를 갖는 쿨러 블록이 어떻게 일 유형의 쿨러로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고 있는 데, 여기서 인터쿨러(12a, 12b)는 분할 쿨러로서 구성되고, 애프터쿨러(6c)는 비분할 쿨러로서 구성되고, 냉각제는 먼저 저온 부분(16")을 통해 직렬로 안내되고, 이어서 예를 들어 전술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순서로 고온 부분(16')을 통해 직렬로 구동된다.
2개 초과의 스테이지를 갖는 쿨러를 제공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하다.
냉각제가 튜브(26)를 통해 행하는 통과의 수를 더 크거나 또는 더 작게 하기 위해 더 많거나 적은 격벽(31)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명백하다.
게다가, 격벽은 반드시 직선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결코 예로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 및 그와 함께 적용 가능한 쿨러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이한 변형예에서 실현될 수 있다.
1: 압축기 디바이스 2: 압축기 요소
2a, 2b, 2c: 압축기 요소 3: 파이프
4: 입구 5: 출구
6: 쿨러 6a, 6b: 인터쿨러
6c: 애프터쿨러 7: 1차 섹션
8: 2차 섹션 9: 냉각 회로
10: 입구 11: 출구
12: 분할 쿨러 12', 12": 서브쿨러
13: 1차 섹션 13', 13": 스테이지
14: 입력부 15: 출력부

Claims (25)

  1. 2개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디바이스(19)로서, 상기 압축기 디바이스(19)는 직렬로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압축기 요소(2) 및 압축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쿨러(12), 즉 2개의 연속적인 압축기 요소(2)의 각각 사이의 인터쿨러(12a, 12b)를 포함하고, 각각의 쿨러(12)는 냉각될 압축 가스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1차 섹션(13) 및 상기 1차 섹션(13)과 열교환식으로 접촉하고 있고 냉각제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2차 섹션(16)을 구비하는 것인 압축기 디바이스(19)에 있어서,
    상기 쿨러(12) 중 적어도 2개는, 그 2차 섹션(16)이 상기 1차 섹션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를 연속적인 단으로 냉각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개별 스테이지(16', 16"), 즉 적어도 상기 쿨러(12)의 1차 섹션(13) 내로 유동하는 고온 가스의 제1 냉각을 위한 고온 스테이지(16') 및 상기 가스의 추가의 냉각을 위한 저온 스테이지(16") 각각으로 분할되는 '분할 쿨러'이고,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스테이지(16', 16")는 하나 이상의 개별 냉각 회로(20)에서 함께 접속되어 상기 압축기 요소(2)들 사이의 압축 가스가 상기 냉각 회로(20)를 통과하는 최소 냉각제 유량으로 충분히 냉각되게 되어, 각각의 쿨러(12)의 출구(15)에서 냉각된 가스의 온도를 최대 허용 가능한 값 미만으로 유지하고, 이에 의해 상기 냉각 회로(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냉각제의 원하는 온도 증가를 실현하고,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저온 스테이지(16") 중 적어도 2개는 냉각제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냉각 회로(20)에서 직렬로 함께 접속되고,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모든 스테이지(16', 16")는 하나의 단일의 냉각제를 갖는 하나의 단일의 냉각 회로(20)에서 함께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온 스테이지(16')는 병렬로 함께 접속되고, 상기 냉각 회로(20) 내의 냉각제는 먼저 상기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그리고 이어서 상기 고온 스테이지(16')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온도 증가는 적어도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설계적으로 최대 허용 가능한 출구 온도에 가장 근접한 출구 온도를 갖는 상기 압축기 요소(2)의 직전의 상기 쿨러(12)의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먼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설계적으로 상기 쿨러(12)의 출구(15)에서 압축 가스의 온도가 그 직후의 상기 압축기 요소(2)의 입구에서 최대 허용 가능한 온도에 가장 근접한 상기 쿨러(12)의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먼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고온 스테이지(16') 중 적어도 2개는 냉각제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냉각 회로(20)에서 직렬로 함께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설계적으로 최고 출구 온도를 갖는 압축기 요소(2)의 직후의 쿨러(12)의 고온 스테이지(16')를 통해 마지막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저온 스테이지(16") 중 적어도 2개 및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고온 스테이지(16') 중 적어도 2개는 냉각제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냉각 회로(20)에서 직렬로 함께 접속되고, 상기 냉각 회로(20) 내의 냉각제는 먼저 상기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그리고 이어서 상기 고온 스테이지(16')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모든 스테이지(16', 16")는 하나의 단일의 냉각제를 갖는 하나의 단일의 냉각 회로(20)에서 직렬로 함께 접속되고, 상기 냉각 회로(20) 내의 냉각제는 먼저 상기 저온 스테이지(16")를 통해 그리고 이어서 상기 고온 스테이지(16')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모든 스테이지(16', 16")는 하나의 단일의 냉각제를 갖는 하나의 단일의 냉각 회로(20)에서 함께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저온 스테이지(16")는 병렬로 함께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직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저온 스테이지(16")는 제1 냉각 회로(20")에 합체되고, 직렬로 또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병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는 다른 스테이지(16', 16")는 상기 제1 냉각 회로(20")와 별개인 제2 냉각 회로(20')에 합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적어도 2개의 저온 스테이지(16")는 제1 냉각 회로(20")에 병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고,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다른 스테이지(16', 16")는 상기 제1 냉각 회로(20")와 별개인 제2 냉각 회로(20')에 직렬로 또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병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저온 스테이지(16")는 병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온 스테이지(16")는 제1 냉각 회로(20")에 있는 이전의 저온 스테이지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쿨러(12)의 2차 섹션(16)의 다른 스테이지(16', 16")는 상기 제1 냉각 회로(20")와 별개인 제2 냉각 회로(20')에 직렬로 또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병렬로 함께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디바이스.
  13. 분할 쿨러(12)로서 또는 비분할 쿨러(6)로서 구성 가능한 방식으로 모듈형 구성을 갖는 쿨러에 있어서,
    상기 쿨러는 그를 통해 냉각제를 안내하기 위한 튜브(26)를 갖는 튜브 번들(25)을 구비한 튜브 쿨러이고, 상기 튜브 번들(25)은 상기 튜브(26)가 그를 통해 돌출하는 단부판(28)에 의해 상기 튜브 번들(25)을 단부에서 차단하는 셸(27)을 갖는 하우징 내에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튜브(26) 위에 그리고 주위에 냉각될 가스를 안내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튜브 번들(25)은 상기 튜브(26)를 통해 냉각제를 채널링하기 위해 튜브(26)의 하나 이상의 단부를 커버하는 커버(29, 30)를 격실(32)로 분할하는 격벽(31)을 갖고 커버(29, 30)에 의해 그 단부에서 커버되어 있고, 상기 격벽(31)은 상기 격벽(31)과 상기 단부판(28) 사이에 밀봉부(34)를 구비하여 상호 격실 내의 유동의 채널링을 분리하고, 적어도 2개의 격벽(31')은, 제거 가능하고, 그 존재시에 상기 튜브 번들(25)을 냉각제를 위한 2개의 채널로 분할하여 분할 쿨러(12)를 형성하고, 그 결여시에 상기 2개의 채널 사이에 상호접속부를 형성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채널을 형성하여 단일의 비분할 쿨러(6)를 형성하는 밀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번들(25)의 튜브(26)는 서로로부터 거리(L)를 두고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서브번들(25', 25")로 그룹화되고, 적어도 2개의 분리 격벽(31')이 존재하고, 상기 분리 격벽(31')에서의 상기 밀봉부(34)의 존재시에, 상기 분리 격벽은 상기 2개의 서브번들(25', 25")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1, 31')은 상기 단부판(28)에 충분히 밀접하게 끼워맞춤되어 어떠한 물리적 밀봉부(34)도 요구되지 않게 되고, 상기 격벽(31')을 생략하거나 가공 제거함으로써 단일의 비분할 쿨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격벽(31')은 직선형 격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면, 상기 격벽(31)은 직선형 평행 격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버(29, 30)는 냉각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부(17', 17") 및 하나 이상의 출력부(18', 18")를 구비하고,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서브번들(25', 25")에 대향하는 하나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 또는 하나의 입력부 및 하나의 출력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버(29, 30 각각)는 2개 이상의 입력부, 및 2개 이상의 출력부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서브번들(25', 25")에 대향하는 하나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20.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를 위한 모든 접속부가 상기 2개의 커버(29, 30) 중 하나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7') 및 상기 출력부(18')는 하나의 서브번들(25')에 대향하고, 상기 입력부(17") 및 상기 출력부(18")는 다른 서브번들(25")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22.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분할 쿨러(12)의 경우에, 입력부(17', 17") 및 출력부(18', 18") 양자 모두가 각각 상기 서브번들(25', 25")을 통한 2개의 냉각제의 개별 채널링을 위해 사용되고, 하나의 단일의 비분할 쿨러(6)의 경우에, 상기 입력부(17', 17")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출력부(18', 18") 중 어느 하나는 폐쇄되고, 상기 분리 격벽(31') 내의 밀봉부(34)는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러.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67034858A 2014-05-16 2015-05-04 압축기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해 사용되는 쿨러 KR102004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14/0370A BE1022138B1 (nl) 2014-05-16 2014-05-16 Compressorinrichting en een daarbij toepasbare koeler
BE2014/0370 2014-05-16
PCT/BE2015/000017 WO2015172206A2 (en) 2014-05-16 2015-05-04 Compressor device and a cooler applicable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835A KR20170018835A (ko) 2017-02-20
KR102004599B1 true KR102004599B1 (ko) 2019-07-26

Family

ID=5135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858A KR102004599B1 (ko) 2014-05-16 2015-05-04 압축기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해 사용되는 쿨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458411B2 (ko)
EP (2) EP3633201B1 (ko)
JP (1) JP6560746B2 (ko)
KR (1) KR102004599B1 (ko)
CN (1) CN106489027B (ko)
AU (1) AU2015258784B2 (ko)
BE (1) BE1022138B1 (ko)
BR (1) BR112016026792B1 (ko)
DK (2) DK3143285T3 (ko)
MX (1) MX2016014919A (ko)
RU (1) RU2659886C2 (ko)
WO (1) WO20151722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0727A1 (it) * 2015-05-22 2016-11-22 Nuovo Pignone Tecnologie Srl Apparato di raffreddamento per un motocompressore integrato.
KR102592232B1 (ko) * 2016-07-15 2023-10-20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유체기계용 공랭식 냉각장치
BE1024644B1 (nl) * 2017-03-07 2018-05-14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Compressormodule voor het comprimeren van gas en compressor daarmee uitgerust
EP3628868B1 (en) * 2017-03-07 2021-02-24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Compressor module for compressing gas and compressor equipped therewith
RU2650446C1 (ru) * 2017-06-22 2018-04-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ЭИ" (ФГБОУ ВО "НИУ "МЭ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мпримирования пара низкого потенциала
JP6436196B1 (ja) * 2017-07-20 2018-12-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FR3072428B1 (fr) * 2017-10-16 2019-10-11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Dispositif et procede de compression et machine de refrigeration
FR3072429B1 (fr) * 2017-10-16 2020-06-19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Dispositif et procede de compression
DE102017129111A1 (de) * 2017-12-07 2019-06-13 Man Energy Solutions Se Kühler eines Verdichters
CN111630269B (zh) * 2018-01-18 2022-04-19 M·J·梅纳德 利用交替制冷和机械压缩的气态流体压缩
CN108612676A (zh) * 2018-01-23 2018-10-02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热能回收系统
BE1026652B1 (nl) * 2018-09-25 2020-04-28 Atlas Copco Airpower Nv Oliegeïnjecteerde meertraps compressorinrichting en werkwijze om een dergelijke compressorinrichting aan te sturen
BE1026651B1 (nl) * 2018-09-25 2020-04-28 Atlas Copco Airpower Nv Oliegeïnjecteerde meertraps compressorinrichting en werkwijze om een dergelijke compressorinrichting aan te sturen
CN109340088A (zh) * 2018-11-29 2019-02-15 浙江强盛压缩机制造有限公司 Lng接收站bog压缩机用大型风冷装置
CN109519408B (zh) * 2018-12-12 2020-06-09 厦门铸力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离心压缩机压缩全热回收装置
DE102019102387A1 (de) 2019-01-30 2020-07-30 Gardner Denver Deutschland Gmbh Kühl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Kühlung eines mindestens zweistufigen Drucklufterzeugers
JP2020133405A (ja) * 2019-02-12 2020-08-3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空気圧縮装置
CN110513317A (zh) * 2019-08-19 2019-11-29 德耐尔能源装备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型离心式空气压缩机
WO2021101507A1 (en) * 2019-11-18 2021-05-27 Sullair, Llc Electric oil field container package
CN111706550B (zh) * 2020-06-10 2021-11-19 江西昊仁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降低横流式冷却风机运行震动的安装组件
CN115750285B (zh) * 2022-12-16 2023-08-18 湛江市粤丰环保电力有限公司 一种空压机的高温气体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51523A1 (de) 1967-01-05 1970-03-19 Willy Scheller Maschb Kg Fa Waermeaustauscher
JPS51118154U (ko) * 1975-03-19 1976-09-25
US4279574A (en) * 1979-04-23 1981-07-21 Dresser Industries, Inc. Energy recovery system
JPS5833364Y2 (ja) * 1979-07-06 1983-07-2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圧縮機等の排熱回収装置
IT1122385B (it) * 1979-08-01 1986-04-23 Oronzio De Nora Impianti Elettrodo per celle elettrochimiche ad elettrolita solido
JPS6234147Y2 (ko) * 1979-08-17 1987-08-31
JPS5928206Y2 (ja) * 1979-08-17 1984-08-15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H03279683A (ja) * 1990-03-28 1991-12-10 Hitachi Ltd 多段圧縮機
JPH0587299U (ja) * 1992-04-27 1993-11-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多段圧縮機のガス冷却システム
JPH116693A (ja) * 1997-04-23 1999-01-12 Denso Corp 車両空調用熱交換器
RU2169294C1 (ru) * 2000-02-03 2001-06-20 Ку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Компресс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RU2208713C1 (ru) * 2001-11-09 2003-07-20 Ахмеров Марат Серажетдинович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компремируемого воздуха и компресс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DE102004020753A1 (de) * 2004-04-27 2005-12-29 Man Turbo Ag Vorrichtung zur Ausnutzung der Abwärme von Verdichtern
BE1018590A3 (nl) * 2009-10-30 2011-04-05 Atlas Copco Airpower Nv Inrichting voor het comprimeren en drogen van gas en een daarbij toegepaste werkwijze.
BE1018598A3 (nl) * 2010-01-25 2011-04-05 Atlas Copco Airpower Nv Werkwijze voor het recupereren van enrgie.
BE1019332A5 (nl) * 2010-05-11 2012-06-05 Atlas Copco Airpower Nv Warmtewisselaar.
CN102226654A (zh) * 2011-05-05 2011-10-26 长沙理工大学 壳程插入件式管壳换热器
CN103363822B (zh) * 2013-08-08 2015-07-15 北京瑞宝利热能科技有限公司 污水源热泵机组专用污水换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3285A2 (en) 2017-03-22
US20170074268A1 (en) 2017-03-16
JP6560746B2 (ja) 2019-08-14
EP3633201B1 (en) 2021-07-07
WO2015172206A3 (en) 2016-04-14
BR112016026792A2 (pt) 2018-07-10
MX2016014919A (es) 2017-04-06
AU2015258784A1 (en) 2016-12-01
RU2016149465A (ru) 2018-06-19
CN106489027B (zh) 2020-01-10
WO2015172206A9 (en) 2016-01-07
CN106489027A (zh) 2017-03-08
RU2016149465A3 (ko) 2018-06-19
EP3633201A1 (en) 2020-04-08
AU2015258784B2 (en) 2019-01-17
DK3633201T3 (da) 2021-10-11
BR112016026792B1 (pt) 2022-11-16
JP2017517677A (ja) 2017-06-29
RU2659886C2 (ru) 2018-07-04
KR20170018835A (ko) 2017-02-20
WO2015172206A2 (en) 2015-11-19
US10458411B2 (en) 2019-10-29
BE1022138B1 (nl) 2016-02-19
EP3143285B1 (en) 2020-07-22
DK3143285T3 (da)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599B1 (ko) 압축기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해 사용되는 쿨러
RU24654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и газотурбинный двигатель
US10371015B2 (en) Supercritical CO2 generation system for parallel recuperative type
EP2975337B1 (en) Refrigerating system
US6532744B1 (en) Method for cooling a gas turbine system and a gas turbine system for performing this method
US10309262B2 (en) Complex supercritical CO2 generation system
ITRM20070520A1 (it) Impianto frigorifero a co2 con compressore a viti ad immersione in olio con disposizione a due stadi
US20050193763A1 (en) Multi-stage no-oil gas compressor
KR200446520Y1 (ko) 공기 압축 설비
US8814509B2 (en) Internally-cooled centrifugal compressor with cooling jacket formed in the diaphragm
BE1024644B1 (nl) Compressormodule voor het comprimeren van gas en compressor daarmee uitgerust
US10526925B2 (en) Supercritical CO2 generation system for series recuperative type
JPWO2017111120A1 (ja) 気体圧縮機
RU2014115977A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JP2005195265A (ja) 多段空気圧縮機の圧縮排熱利用システム及び圧縮排熱利用方法
CN115217737A (zh) 一种多级压缩气体的散热结构及多级压缩机
JP5470064B2 (ja) 2段圧縮装置
KR101827948B1 (ko) 공기압축기의 폐열회수장치
US20160131433A1 (en) Brazed heat exchanger with fluid flow to serially exchange heat with different refrigerant circuits
US3371498A (en) Cryogenic refrigerator
CN112983893A (zh) 一种用于离心压缩机的多功能冷却系统
SE432290B (sv) Flerstegs vexlad radialkompressor med kylare och vermevexlare for uppvermning av vat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